KR101124468B1 - 랙크밴드 - Google Patents

랙크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468B1
KR101124468B1 KR1020110102733A KR20110102733A KR101124468B1 KR 101124468 B1 KR101124468 B1 KR 101124468B1 KR 1020110102733 A KR1020110102733 A KR 1020110102733A KR 20110102733 A KR20110102733 A KR 20110102733A KR 101124468 B1 KR101124468 B1 KR 101124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band
bolt
binding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주)용문전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용문전력 filed Critical (주)용문전력
Priority to KR1020110102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를 지지하는 랙크를 전신주에 고정하는 랙크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신주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지름을 갖는 환형의 밴드를 양분하여, 밴드본체와 결속체로 구성하고, 양분된 밴드본체와 결속체 각각의 단부를 외향으로 절곡하여 체결편을 형성하며, 전신주의 외주면에 밴드본체와 결속체의 체결편들이 서로 대향되게 위치시킨 뒤 대응하는 체결편들을 각각 체결볼트로 체결하는 랙크밴드를 구성하되, 상기 밴드본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랙크를 고정하는 랙크결속볼트의 볼트부를 상기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도록 결합구성하며,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랙크결속볼트를 이동시켜 랙크를 고정하도록 구성하여, 전신주에 설치되어 전선을 분기할 때 설치하는 랙크를 고정하는 랙크밴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랙크결속볼트의 헤드부에 가이드홈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공의 내측변을 헤드부의 가이드홈에 결합구성하여,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랙크결속볼트를 이동시켜 랙크를 고정하도록 구성해 배전사업소 등의 각도주 또는 분기주에서 전선을 분기할 때 별도의 랙크밴드 없이 하나의 랙크밴드만으로 배전선로를 원의 사분점은 물론 그 이외의 다양한 방향(각도)으로 랙크를 밴드에 고정할 수 있어,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선 분기에 따른 작업시간 단축과 충분한 지상고 확보, 배전선로의 단순화 및 비용절감을 할 수 있는 랙크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랙크밴드{Rack band}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를 지지하는 랙크를 전신주에 고정하는 랙크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신주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지름을 갖는 환형의 밴드를 양분하여, 밴드본체와 결속체로 구성하고, 양분된 밴드본체와 결속체 각각의 단부를 외향으로 절곡하여 체결편을 형성하며, 전신주의 외주면에 밴드본체와 결속체의 체결편들이 서로 대향되게 위치시킨 뒤 대응하는 체결편들을 각각 체결볼트로 체결하는 랙크밴드를 구성하되, 상기 밴드본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랙크를 고정하는 랙크결속볼트의 볼트부를 상기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도록 결합구성하며,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랙크결속볼트를 이동시켜 랙크를 고정하도록 구성하여, 전신주에 설치되어 전선을 분기할 때 설치하는 랙크를 고정하는 랙크밴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랙크결속볼트의 헤드부에 가이드홈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공의 내측변을 헤드부의 가이드홈에 결합구성하여,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랙크결속볼트를 이동시켜 랙크를 고정하도록 구성한 랙크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인 거주 구역에는 많은 주택이 있고, 또한 새로운 주택도 계속적으로 건축되고 있다.
각각의 주택에는 사람들이 거주하기 때문에 사람의 거주를 위해 필요한 장비를 구동하기 위해 전원의 공급이 필수적이고, 각각의 주택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발전소에서 주택까지 여러 경로를 거치게 된다.
거주 지역에서 주택으로 연결되는 전선은 전신주를 통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전신주에 설치하는 랙크밴드(rack band)는 지중에 매설되는 전신주에 저압배전선로를 가설하는 과정에서 전신주의 둘레면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고정부재로서, 이 랙크밴드는 그 둘레면을 따라 보울트를 통해 랙크를 설치한 다음, 애자와 저압선을 분기하여 저압배전선로를 지지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랙크밴드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0450호(2005.03.23)에서는 케이블 밴드(10)를 구성하는 몸체(10A, 10B)의 중앙에 어댑터 연결 볼트(20)가 설치되고 어댑터 연결 볼트(20)와 케이블밴드 접속 볼트(15) 사이에 조가선(5)의 일단이 연결되는 반원형 형태의 분기 걸이용 고리(30)가 부착되어 있는 배전선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통신용 케이블을 전신주에 연결하는 케이블 밴드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연결 볼트(20)에 직사각형 형태의 케이블 어댑터(40)를 볼트 고정하여 구성하고, 상기 케이블 어댑터(40)는 상기 케이블 밴드(10)와 직각을 이루며 설치되거나, 상기 케이블 어댑터(40)에는 중심선을 따라 2개 이상의 볼트홀(45)이 형성되어, 전신주에 연결되는 배전선에 공통으로 통신용 케이블을 연결함에 있어 설치되는 케이블의 갯수와 같은 수량의 케이블 밴드를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케이블 밴드를 사용하는 것으로도 다수의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하여 케이블 밴드 설치 비용과 조립 시간을 절감한다.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09832호(1998.04.03)에서는 전주의 표면과 동일한 곡률의 곡률부를 가지며 반분형성된 통상의 결착밴드(1) 일측에 설치대(2)를 형성하여 설치홈(201)을 천공하여 여기에다 경사부(301)를 가지는 지지대(3)를 설치하되 지지대(3) 후방에 돌설된 결착고리(302)를 설치대(2)의 설치홈(201)에 끼워지게 설치하고 이 지지대(3)의 구멍(303)에 전선용 애자(4)를 정착하므로서 전력선이 삼각형의 모양으로 전주에 가설되도록 해 전선과 전주에 조류가 집을 지을수가 없게 전력선을 가설하므로서 전주와 전선지지금구에 별도의 조류를 쫓는 장치를 장착할 필요가 없어 시간ㆍ경제ㆍ인력의 막대한 낭비를 막으면서도 조류에 의한 누전ㆍ감전과 같은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할 수가 있게 전력선을 가설시킬 수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38798호(1999.10.25)에서는 양끝단에 보울트(7) 체결용 결착판(201)(202)을 가지면서 외면 양측에 보조밴드(도시하지않음) 체결공(203)이 형성된 2개의 반분체(2)(2')로 구성되는 밴드본체(1)에 있어서, 반분체(2)(2') 상하측 둘레 각각에 다수의 관통공(301)이 일정간격으로 뚫려지는 설치환편(3)(3')(31)(31')을 형성시켜 애자(5) 설치공간(104)이 생기도록 하고, 각각의 반분체(2)(2') 둘레의 상하 설치환편(3)(3')(31) (31')을 일정간격으로 등분 절개하여 관통공(301)을 가지는 여러개의 설치환편(3) (3')(31)(31')이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되며, 밴드본체(1)의 일측 결착부(101) 타측에는 회동부(103)를 구성하되, 회동핀(4)이 끼워지는 원호편(302)(303)을 반분체(2)(2')의 상하 설치환편(3)(3')(31)(31') 끝단에 각각 형성시켜 일측 상하 설치환편(3)(3')의 원호편(302)이 타측설치환편(31)(31')의 원호편(303) 사이에 끼워져 적층되어 밴드본체(1)의 둘레로 여러개의 애자(5)를 방사형으로 설치할수 있으므로 애자(5) 설치공간이 간소화되면서 깔끔하여 도시미관을 대폭 개선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선(10)의 가설도 깔끔하게 되어 다른 전기시설물의 설치도 용이 할뿐만 아니라 전선(10)이 다른 시설물과 접촉되어 정전 등의 전기적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애자(5) 설치 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어 애자(5) 설치작업의 능률을 올릴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한 밴드본체(l)의 일측 결착부(101) 타측에 회동핀(4)에 의거되어 회동하는 회동부(103)가 구성되어 2개의 반분체(2)(2')를 일체화시키므로 전주(9)에 밴드본체(1)의 부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19450호(2001.01.29)에서는 가공선로의 전선을 지지하는 래크를 전주에 고정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암타이 래크밴드로서, 상기 전주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원호형 몸체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탭이 외향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상기 래크를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래크 고정볼트가 적정각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밴드, 상기 전주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으르 갖는 원호형 몸체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탭이 외향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상기 래크를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래크 고정볼트가 설치되는 제2밴드; 및 상기 제1,2 밴드를 상기 전주의 외주에 대향되게 위치시킨 뒤 양자의 대응하는 연결탭들을 각각 체결하는 두 밴드 고정볼트로 이루어져, 배전사업소 등의 각도주 또는 분기주에서 전선을 분기할 때 별도의 래크밴드 없이 하나의 래크밴드만으로 전선을 여러 방향으로 동시에 분기시킬 수 있으며, 전선 분기에 따른 작업시간 단축과 충분한 지상고 확보, 배전선로의 단순화 및 비용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랙크밴드는 전신주의 각종 설비가 복잡하여 미관을 해치게 될 뿐만 아니라, 저압선의 지상고가 미달되는 경우 전신주의 교체와 같은 작업이 불가피하므로 제반부대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였는데, 다른 시설물과 접촉되어 정전 등의 전기적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랙크와 배전선로 간의 결속이 직진성을 유지해야하나, 랙크가 고정되는 랙크결속볼트가 랙크밴드의 사분점에만 구성되어 있어 현실은 그러하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480450호(2005.03.23),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09832호(1998.04.03),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38798호(1999.10.25), 등록실용신안 제20-0219450호(2001.01.29)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압배전설비용 저압선의 가설 및 해체에 따른 작업공수 및 작업하중을 절감시킴과 더불어 저압선의 지상고를 상향하여 설비사고를 예방시킴은 물론 전신주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랙크와 배선전로 간에 직진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신주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지름을 갖는 환형의 밴드를 양분하여, 밴드본체와 결속체로 구성하고, 양분된 밴드본체와 결속체 각각의 단부를 외향으로 절곡하여 체결편을 형성하며, 전신주의 외주면에 밴드본체와 결속체의 체결편들이 서로 대향되게 위치시킨 뒤 대응하는 체결편들을 각각 체결볼트로 체결하는 랙크밴드를 구성하되, 상기 밴드본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랙크를 고정하는 랙크결속볼트의 볼트부를 상기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도록 결합구성하며,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랙크결속볼트를 이동시켜 랙크를 고정하도록 구성하여, 전신주에 설치되어 전선을 분기할 때 설치하는 랙크를 고정하는 랙크밴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랙크결속볼트의 헤드부에 가이드홈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공의 내측변을 헤드부의 가이드홈에 결합구성하여,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랙크결속볼트를 이동시켜 랙크를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랙크밴드에 가이드공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유동하는 랙크결속볼트를 구성하여, 배전사업소 등의 각도주 또는 분기주에서 전선을 분기할 때 별도의 랙크밴드 없이 하나의 랙크밴드만으로 배전선로를 원의 사분점은 물론 그 이외의 다양한 방향(각도)으로 랙크를 밴드에 고정할 수 있어,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선 분기에 따른 작업시간 단축과 충분한 지상고 확보, 배전선로의 단순화 및 비용절감 등에 큰 효과가 있는 신규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랙크밴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신주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지름을 갖는 환형의 밴드를 양분하여, 밴드본체(110)와 결속체(120)로 구성하고, 양분된 밴드본체(110)와 결속체(120) 각각의 단부를 외향으로 절곡하여 체결편(110a,120a)을 형성하며, 전신주의 외주면에 밴드본체(110)와 결속체(120)의 체결편(110a,120a)들이 서로 대향되게 위치시킨 뒤 대응하는 체결편(110a,120a)들을 각각 체결볼트(130)로 체결하는 랙크밴드(100)를 구성하되, 상기 밴드본체(110)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공(112)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랙크(200)를 고정하는 랙크결속볼트(140)의 볼트부를 상기 가이드공(112)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도록 결합구성하며, 상기 가이드공(112)을 따라 랙크결속볼트(140)를 이동시켜 랙크(200)를 고정하도록 구성하여, 전신주에 설치되어 전선을 분기할 때 설치하는 랙크를 고정하는 랙크밴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랙크결속볼트(140)의 헤드부에 가이드홈(143)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공(112)의 내측변을 헤드부(142)의 가이드홈(143)에 결합구성하여, 상기 가이드공(112)을 따라 랙크결속볼트(140)를 이동시켜 랙크(200)를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삭제
삭제
삭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를 지지하는 랙크(200)를 전신주(A)에 고정하는 랙크밴드(100)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랙크(200)를 밴드에 고정하도록 하는 랙크결속볼트(140)를 랙크밴드(100)를 따라 유동시켜, 일반적으로 지정된 밴드의 사분점 외에 다양한 각도로 랙크(200)를 밴드에 고정하도록 하는 랙크밴드(100)이다.
상기의 랙크밴드(100)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랙크밴드(100)는 전신주(A)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지름을 갖는 환형의 밴드를 밴드본체(110)와 결속체(120)로 양분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밴드본체(110)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호형으로 구성되고, 전신주(A)의 외주면에 밴드본체(110)의 내주면이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밴드본체(110) 각각의 단부를 외향으로 절곡하여 체결편(110a)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편(110a)들에는 체결볼트(130)를 체결 가능하도록 볼트공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밴드본체(110)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공(112)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공(112)에는 랙크(200)를 고정하는 랙크결속볼트(140)의 볼트부(141)를 관통시켜, 랙크결속볼트(140)의 볼트부(141)가 가이드공(112)을 통해 외부로 돌출하도록 결합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랙크결속볼트(140)의 볼트부(141)가 가이드공(112)을 관통하기에 랙크결속볼트(140)의 헤드부(142)는 가이드공(112)의 내측변(112a)에 걸러 랙크결속볼트(14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상기 가이드공(112)을 따라 랙크결속볼트(140)의 볼트부(141)가 이동되어 랙크(200)를 고정하고자 하는 각도에 맞쳐 랙크결속볼트(140)를 이동시켜 위치한 랙크(200)를 랙크결속볼트(140)에 결속해 고정한다.
또한 상기 랙크결속볼트(140)의 헤드부(142)에 가이드홈(143)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공(112)의 내측변(112a)을 헤드부(142)의 가이드홈(143)에 결합구성하여, 상기 가이드공(112)을 따라 랙크결속볼트(140)를 이동시켜 랙크(200)를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속체(120)도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호형으로 구성되고, 전신주(A)의 외주면에 밴드본체(110)의 내주면이 접하게 된다.
상기 결속체(120) 각각의 단부도 외향으로 절곡하여 체결편(120a)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편(120a)들에는 체결볼트(130)를 체결 가능하도록 볼트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결속체(120) 중심부에 현수애자(121)를 일체로 구성하여, 비교적 높은전압의 배선선로를 결속 가능하도록 한다.
더불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랙크결속볼트(140)가 결합하는 가이드공(112)을 밴드의 외향으로 돌출형성하여, 전신주(A)의 외주면에 상기 랙크밴드(100)의 내주면이 맞닿아 고정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주요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00: 랙크밴드 110: 밴드본체 110a,120a: 체결편
112: 가이드공 112a: 내측변 120: 결속체
121: 현수애자 130: 체결볼트 140: 랙크결속볼트
141: 볼트부 142: 헤드부 143: 가이드홈
200: 랙크

Claims (4)

  1. 삭제
  2. 전신주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지름을 갖는 환형의 밴드를 양분하여, 밴드본체와 결속체로 구성하고, 양분된 밴드본체와 결속체 각각의 단부를 외향으로 절곡하여 체결편을 형성하며, 전신주의 외주면에 밴드본체와 결속체의 체결편들이 서로 대향되게 위치시킨 뒤 대응하는 체결편들을 각각 체결볼트로 체결하는 랙크밴드를 구성하되, 상기 밴드본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랙크를 고정하는 랙크결속볼트의 볼트부를 상기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도록 결합구성하여,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랙크결속볼트를 이동시켜 랙크를 고정하도록 구성하여, 전신주에 설치되어 전선을 분기할 때 설치하는 랙크를 고정하는 랙크밴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랙크결속볼트의 헤드부에 가이드홈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공의 내측변을 헤드부의 가이드홈에 결합구성하여,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랙크결속볼트를 이동시켜 랙크를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크밴드.
  3. 삭제
  4. 삭제
KR1020110102733A 2011-10-07 2011-10-07 랙크밴드 KR101124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733A KR101124468B1 (ko) 2011-10-07 2011-10-07 랙크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733A KR101124468B1 (ko) 2011-10-07 2011-10-07 랙크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4468B1 true KR101124468B1 (ko) 2012-03-16

Family

ID=4614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733A KR101124468B1 (ko) 2011-10-07 2011-10-07 랙크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4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635B1 (ko) 2018-04-10 2018-09-10 제룡산업 주식회사 암타이 랙크 밴드
KR20190011110A (ko) 2017-07-24 2019-02-01 제룡산업 주식회사 암타이 랙크 밴드
CN110376410A (zh) * 2019-07-31 2019-10-25 威胜电气有限公司 一种抱箍及电表箱
KR102045756B1 (ko) * 2019-06-25 2019-11-19 유성전기감리설계(주) 안정적 전력 배전을 위한 가공배전용 분기기구
CN110589188A (zh) * 2019-10-12 2019-12-20 徐州逸刻新型墙体材料有限公司 免烧砖支撑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838A (ko) * 2000-08-03 2000-11-06 정둘경 배전선로용 다용도 랙크밴드와 x자형 스트랍
JP2007135273A (ja) * 2005-11-08 2007-05-3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柱用バンド
KR20110007314U (ko) * 2010-01-15 2011-07-21 주식회사 삼은통신 케이블의 가설을 위한 전봇대용 고정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838A (ko) * 2000-08-03 2000-11-06 정둘경 배전선로용 다용도 랙크밴드와 x자형 스트랍
JP2007135273A (ja) * 2005-11-08 2007-05-3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柱用バンド
KR20110007314U (ko) * 2010-01-15 2011-07-21 주식회사 삼은통신 케이블의 가설을 위한 전봇대용 고정밴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110A (ko) 2017-07-24 2019-02-01 제룡산업 주식회사 암타이 랙크 밴드
KR101896635B1 (ko) 2018-04-10 2018-09-10 제룡산업 주식회사 암타이 랙크 밴드
KR102045756B1 (ko) * 2019-06-25 2019-11-19 유성전기감리설계(주) 안정적 전력 배전을 위한 가공배전용 분기기구
CN110376410A (zh) * 2019-07-31 2019-10-25 威胜电气有限公司 一种抱箍及电表箱
CN110589188A (zh) * 2019-10-12 2019-12-20 徐州逸刻新型墙体材料有限公司 免烧砖支撑装置
CN110589188B (zh) * 2019-10-12 2023-10-27 徐州逸刻新型墙体材料有限公司 免烧砖支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468B1 (ko) 랙크밴드
KR100322053B1 (ko) 전선 케이블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101343520B1 (ko)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EP2956601A1 (en) Kit for mounting one or more appliances on a pole
KR101447198B1 (ko) 신설작업이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KR100709097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KR101112734B1 (ko) 각도 조절용 편출 인류완철
KR101708994B1 (ko) 송전선로용 가이드 링 로프 장치
CN110439350A (zh) 一种低压配电线路承托杆
KR200204895Y1 (ko) 정전방지용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
KR20210158093A (ko) 2단 저압선로 d형 랙크 구조체
CN210723988U (zh) 全向理线架
KR200184037Y1 (ko) 배전용 점프선 지지애자
KR101126731B1 (ko) 암타이 랙크 밴드
KR101143543B1 (ko) 말단 편출 장주 지지밴드
KR101056640B1 (ko) 통신용 광케이블 이격가설대
CN203175138U (zh) 高压电线杆
KR101154493B1 (ko) 저압 공중분기용 지지대
JP4309715B2 (ja) 変圧器室設備
KR101206495B1 (ko)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KR100759850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KR200219450Y1 (ko)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
KR101130805B1 (ko) 각도형 완철
KR100847253B1 (ko) 변압기 설치부위를 가진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주.
KR100890559B1 (ko) 배전용 전주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