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635B1 - 암타이 랙크 밴드 - Google Patents

암타이 랙크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635B1
KR101896635B1 KR1020180041838A KR20180041838A KR101896635B1 KR 101896635 B1 KR101896635 B1 KR 101896635B1 KR 1020180041838 A KR1020180041838 A KR 1020180041838A KR 20180041838 A KR20180041838 A KR 20180041838A KR 101896635 B1 KR101896635 B1 KR 101896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fixing
band portion
bol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1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타이 랙크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신주에 볼트 및 너트의 체결에 의해 고정설치된 밴드를 해체 시 볼트 및 너트를 완전히 분리시킬 필요없이 너트만을 느슨하게 풀어줌에 따라 밴드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음은 물론 밴드의 지지강도가 향상되도록 구성된 암타이 랙크 밴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암타이 랙크 밴드는, 전신주의 외경에 감싸지며, 양단부에는 고정볼트가 고정되는 제1고정편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제1고정편에는 고정볼트가 삽입 관통되도록 장공홀이 각각 형성되는 제1밴드부; 상기 제1밴드부와 대향하게 전신주의 외경에 감싸지며, 양단부에는 고정볼트가 고정되는 제2고정편이 각각 형성되는 제2밴드부; 및 상기 제1밴드부와 제2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암타이 또는 랙크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2고정편에는 장공홀으로 삽입 관통된 고정볼트가 삽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외측방향으로 개방되는 절개홀이 각각 형성된 암타이 랙크 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암타이 랙크 밴드{Plate reinforcement Arm-tie rack band}
본 발명은 암타이 랙크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신주에 볼트 및 너트의 체결에 의해 고정설치된 밴드를 해체 시 볼트 및 너트를 완전히 분리시킬 필요없이 너트만을 느슨하게 풀어줌에 따라 밴드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음은 물론 밴드의 지지강도가 향상되도록 구성된 암타이 랙크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주에는 소정높이에 좌우 한 쌍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전후 한 쌍의 밴드가 설치되고, 전신주의 상단에는 완금이 설치되며, 밴드의 일측과 완금의 일측에는 여러개의 암타이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재에 의해 양단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신주의 소정높이에는 또 다른 밴드를 이용하여 저압가선용 랙크가 설치되고, 이 랙크에는 저압인류 애자가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암타이 랙크 밴드(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반원형의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밴드로 구비되어 각 밴드의 양단부에는 볼트(12)와 너트(13)에 의해 전신주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편(11)이 각각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암타이 또는 랙크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체결부재(14)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암타이 랙크 밴드(10)는 양단부에 형성된 각 고정편(14)에 볼트(12)와 너트(13)를 체결시켜 전신주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재설치를 위해서 해체하는 경우에 볼트(12)와 너트(13)를 완전히 분리시킨 후 재조립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작업시간이 길어져 인건비가 향상되므로 시공단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밴드와 볼트 및 너트를 각각 개별로 휴대 및 보관해야 하므로 자재관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24468호가 등록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한 목적은 전신주에 볼트 및 너트의 체결에 의해 고정설치된 밴드를 해체 시 볼트 및 너트를 완전히 분리시킬 필요없이 너트만을 느슨하게 풀어줌에 따라 밴드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음은 물론 밴드의 지지강도가 향상되도록 구성된 암타이 랙크 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암타이 랙크 밴드는, 전신주의 외경에 감싸지며, 양단부에는 고정볼트가 고정되는 제1고정편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제1고정편에는 고정볼트가 삽입 관통되도록 장공홀이 각각 형성되는 제1밴드부; 상기 제1밴드부와 대향하게 전신주의 외경에 감싸지며, 양단부에는 고정볼트가 고정되는 제2고정편이 각각 형성되는 제2밴드부; 및 상기 제1밴드부와 제2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암타이 또는 랙크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2고정편에는 장공홀으로 삽입 관통된 고정볼트가 삽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외측방향으로 개방되는 절개홀이 각각 형성된 암타이 랙크 밴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밴드부의 양단부에는 이탈방지보강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보강부는 상기 제2고정편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에 끼워져 제2고정편에 밀착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끼움 체결되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의 일측에는 상기 제2고정편의 절개홀에 삽입된 고정볼트가 삽입 관통되는 제2볼트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밴드부의 양단부에 체결조립된 볼트 및 너트를 완전히 분리시킬 필요없이 너트만을 느슨하게 풀어주어 밴드를 용이하게 해체 및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밴드와 볼트 및 너트를 각각 별도로 소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볼트 및 너트가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밴드부의 양단부에 이탈방지보강부를 구비시킴으로써, 밴드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절개홀에 삽입되어 고정된 고정볼트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암타이 랙크 밴드의 사용상태로, (a)는 전신주에 제1밴드부와 제2밴드부가 고정볼트와 제1고정너트에 의해 고정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고정볼트와 제1고정너트를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 너트만을 느슨하게 풀어주어 밴드를 해체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의 사용상태로, (a)는 전신주에 제1밴드부와 제2밴드부가 고정볼트와 제1고정너트에 의해 고정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고정볼트와 제1고정너트를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 너트만을 느슨하게 풀어주어 밴드를 해체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암타이 랙크 밴드(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밴드부(110)와 제2밴드부(120) 및 체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밴드부(110)는 전체적으로 반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신주의 외경에 감싸지는 것으로, 양단부에는 고정볼트(113)가 고정되는 제1고정편(111)이 각각 형성된다.
각 제1고정편(111)에는 고정볼트(113)가 삽입 관통되도록 장공홀(112)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장공홀(112)은 제1고정편(11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 이유는 후술되는 절개홀(122)에 고정볼트(113)가 삽입되어 제1고정너트(114)로 고정된 상태에서 제1고정너트(114)만을 느슨하게 풀어주어 절개홀(122)에 삽입되어있던 고정볼트(113)를 탈리 시키는 경우에 고정볼트(113)가 장공홀(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각도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하게 탈리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고정볼트(113)의 볼트머리의 하단부에는 장공홀(112)에 삽입 밀착되어 고정볼트(113)에 체결된 제1고정너트(114)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고정볼트(113)가 함께 맞돌아 회전되므로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편(113a)이 형성된다.
제2밴드부(120)는 전체적으로 반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술한 제1밴드부(110)와 대향하게 전신주(A)의 외경에 감싸지는 것으로, 양단부에는 고정볼트(113)가 고정되는 제2고정편(121)이 각각 형성된다.
각 제2고정편(121)에는 상술한 장공홀(112)으로 삽입 관통되는 고정볼트(113)가 삽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절개홀(122)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절개홀(122)의 폭 크기는 원활하게 고정볼트(113)가 삽탈될 수 있도록 고정볼트(113)의 외경 크기보다 조금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체결부(130)는 상술한 제1밴드부(110)와 제2밴드부(120)의 중단부에 구비되어 암타이 또는 랙크가 결합되는 것으로, 사각형상의 머리부(132)가 형성된 체결볼트(131)와, 관통결합되는 체결볼트(131)의 머리부(132)가 회전하지 않도록 형성된 안착지지홈(133)의 중심에 형성되며, 제1밴드부(110) 및 제2밴드부(120)의 중단부에 형성되는 관통홀(134) 및 관통홀(134)에 관통결합된 체결볼트(131)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너트(135)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의 암타이 랙크 밴드의 사용상태로, (a)는 전신주에 제1밴드부와 제2밴드부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볼트와 너트를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 너트만을 느슨하게 풀어주어 밴드를 해체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100)의 사용방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와 같이 제1밴드부(110)와 제2밴드부(120)가 고정볼트(113)와 제1고정너트(114)에 의해 전신주(A)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밴드를 재설치 하고자 하는 경우, 제1고정너트(114)가 고정볼트(113)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느슨하게 풀어주므로 전신주(A)의 외경에 면밀히 밀착되어있던 제1밴드부(110)와 제2밴드부(120)를 이격시킨다. 그런 다음 장공홀(112)에 삽입되어있던 고정볼트(113)의 회전방지편(113a)을 탈리시킨 후 절개홀(122)에 삽입된 고정볼트(113)를 외측방향으로 밀어서 탈리시키므로 도 3b와 같이 제1밴드부(110)와 제2밴드부(120)를 해체시킨다.
반대로 제1밴드부(110)와 제2밴드부(120)를 전신주(A)에 고정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도 3b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볼트(113)을 절개홀(122)에 삽입시킨 후 고정볼트(113)의 회전방지편(113a)을 장공홀(112)에 삽입시킨 다음 제1고정너트(114)를 잠가주므로 도 3a와 같이 제1밴드부(110)와 제2밴드부(120)를 전신주에 고정설치시킨다.
이처럼 일 실시예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100)는, 전신주(A)에 고정설치된 밴드를 해체 시 고정볼트(113) 및 제1고정너트(114)를 완전히 분리시킬 필요없이 제1고정너트(114)만을 느슨하게 풀어줌에 따라 밴드를 용이하게 해체 및 설치할 수 있으므로써, 작업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1 및 제2밴드부와 고정볼트 및 제1고정너트를 각각 별도로 소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상술한 일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제2밴드부(120)의 양단부에는 밴드의 지지강도를 높여주고, 절개홀(122)에 삽입 고정된 고정볼트(113)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보강부(140)가 각각 구비된다.
이탈방지보강부(140)는 상술한 제2고정편(121)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141)와, 걸림돌기(141)에 끼워져 제2고정편(121)에 밀착되는 보강부재(142)가 포함된다.
보강부재(142)는 상술한 걸림돌기(141)가 끼움 체결되도록 끼움홀(143)이 형성되고, 이 끼움홀(143)의 일측에는 제2고정편(121)의 절개홀(122)에 삽입된 고정볼트(113)가 삽입 관통되는 제2볼트공(144)이 형성된다.
이때, 끼움홀(143)의 폭 크기는 걸림돌기(141)의 두께 폭보다 조금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걸림돌기(141)가 끼움홀(143)에 끼움 체결된 상태에서 제1고정너트(114)를 느슨하게 풀어주면 걸림돌기(141)가 끼움홀(143)에서 원활하게 탈리 되도록 하여 해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의 사용상태로, (a)는 전신주에 제1밴드부와 제2밴드부가 고정볼트와 제1고정너트에 의해 고정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고정볼트와 제1고정너트를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 너트만을 느슨하게 풀어주어 밴드를 해체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100)의 사용방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와 같이 제1밴드부(110)와 제2밴드부(120)가 고정볼트(113)와 제1고정너트(114)에 의해 전신주(A)에 고정된 상태에서 밴드를 재설치 하고자 하는 경우, 제1고정너트(114)가 고정볼트(113)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느슨하게 풀어주므로 전신주의 외경에 면밀히 밀착되어있던 제1밴드부(110)와 제2밴드부(120)를 이격시키고, 걸림돌기(141)에 끼움 체결되있는 보강부재(142)를 분리시킨다. 그런 다음 장공홀(112)에 삽입되어있던 고정볼트(113)의 회전방지편(113a)을 탈리시킨 후 절개홀(122)에 삽입된 고정볼트(113)를 외측방향으로 밀어서 탈리시키므로 도 6b와 같이 제1밴드부(110)와 제2밴드부(120)를 해체시킨다.
반대로 제1밴드부(110)와 제2밴드부(120)를 전신주(A)에 고정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도 6b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볼트(113)을 절개홀(122)에 삽입시킨 후 고정볼트(113)의 회전방지편(113a)을 장공홀(112)에 삽입시킨다. 그런 다음 보강부재(142)의 끼움홀(144)에 걸림돌기(141)를 끼움 체결시킨 상태에서 제1고정너트(114)를 잠가주므로 도 6a와 같이 제1밴드부(110)와 제2밴드부(120)를 전신주에 고정설치시킨다.
이처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100)는, 제2밴드부(120)의 양단부에 이탈방지보강부(140)를 구비시킴으로써, 밴드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절개홀(122)에 삽입되어 고정된 고정볼트(113)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 암타이 랙크 밴드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00 : 암타이 랙크 밴드
110 : 제1밴드부
111 : 제1고정편 112 : 장공홀
113 : 고정볼트 114 : 제1고정너트
120 : 제2밴드부
121 : 제2고정편 122 : 절개홀
130 : 체결부
131 : 체결볼트 132 : 머리부 133 : 안착지지홈
134 : 관통홀 135 : 제2고정너트
140 : 이탈방지보강부
141 : 걸림돌기 142 : 보강부재 143 : 끼움홀 144 : 제2볼트공

Claims (4)

  1. 전신주의 외경에 감싸지며, 양단부에는 고정볼트가 고정되는 제1고정편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제1고정편에는 고정볼트가 삽입 관통되도록 장공홀이 각각 형성되는 제1밴드부;
    상기 제1밴드부와 대향하게 전신주의 외경에 감싸지며, 양단부에는 고정볼트가 고정되는 제2고정편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제2고정편에는 고정볼트가 삽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절개홀이 각각 형성되는 제2밴드부; 및
    상기 제1밴드부와 제2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암타이 또는 랙크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밴드부의 양단부에는 이탈방지보강부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이탈방지보강부는 제2고정편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에 끼워져 제2고정편에 밀착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끼움 체결되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의 일측에는 상기 제2고정편의 절개홀에 삽입된 고정볼트가 삽입 관통되는 제2볼트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타이 랙크 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41838A 2018-04-10 2018-04-10 암타이 랙크 밴드 KR101896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838A KR101896635B1 (ko) 2018-04-10 2018-04-10 암타이 랙크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838A KR101896635B1 (ko) 2018-04-10 2018-04-10 암타이 랙크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635B1 true KR101896635B1 (ko) 2018-09-10

Family

ID=6359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838A KR101896635B1 (ko) 2018-04-10 2018-04-10 암타이 랙크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6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6410A (zh) * 2019-07-31 2019-10-25 威胜电气有限公司 一种抱箍及电表箱
KR102225695B1 (ko) 2020-10-14 2021-03-08 김용식 암타이 랙크 밴드
CN113981822A (zh) * 2021-09-27 2022-01-28 中交一公局第七工程有限公司 便于拆除的盖梁制模用墩柱抱箍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645Y1 (ko) * 2004-05-27 2004-09-01 양희성 완금밴드
KR200371597Y1 (ko) * 2004-09-22 2005-01-07 주식회사 와이즈콘트롤 전주용 완금 고정장치의 완금지지구 구조
KR101124468B1 (ko) 2011-10-07 2012-03-16 (주)용문전력 랙크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645Y1 (ko) * 2004-05-27 2004-09-01 양희성 완금밴드
KR200371597Y1 (ko) * 2004-09-22 2005-01-07 주식회사 와이즈콘트롤 전주용 완금 고정장치의 완금지지구 구조
KR101124468B1 (ko) 2011-10-07 2012-03-16 (주)용문전력 랙크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6410A (zh) * 2019-07-31 2019-10-25 威胜电气有限公司 一种抱箍及电表箱
KR102225695B1 (ko) 2020-10-14 2021-03-08 김용식 암타이 랙크 밴드
CN113981822A (zh) * 2021-09-27 2022-01-28 中交一公局第七工程有限公司 便于拆除的盖梁制模用墩柱抱箍
CN113981822B (zh) * 2021-09-27 2023-10-24 中交一公局第七工程有限公司 便于拆除的盖梁制模用墩柱抱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635B1 (ko) 암타이 랙크 밴드
US7223045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achably connecting abutting structural parts and tie member for use to form said device
US7387412B2 (en) Working light stand
US5400562A (en) Spacer for a reinforcement bar to be embedded in concrete
RU2262620C1 (ru) Фурнитура
CN109131658B (zh) 扣组式土除支撑架
JPH06167144A (ja) デッドボルト用万能アダプタ
US4502808A (en) Liner segments retention means
MXPA01010280A (es) Encofrado para pilares.
EP2186944B1 (en) Locking assurance construction
US10188038B2 (en) Quick attach corn reel assembly
KR101216407B1 (ko) 토글 클램프
KR200356201Y1 (ko) 철근 연결구
JP3843344B2 (ja) ナット
US20070065257A1 (en) Cotter pin
JP3927896B2 (ja) 継手金具
JP3650598B2 (ja) アジャスト駒用連結ピン及びこれを用いた時計バンド・装身具並びにアジャスト駒用連結構造。
GB2418469A (en) Connector assembly
KR200339999Y1 (ko) 프레임 연결장치
JP6782904B2 (ja) 連結具
EP2962919B1 (en) Ring lock with detachable chain or cable
KR20190001011U (ko) 지반 강화용 파일의 연결장치
US20070235628A1 (en) Concrete tie with reusable wedge
JP3847592B2 (ja) スリーブコアケース
KR102560130B1 (ko) 철근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