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695B1 - 암타이 랙크 밴드 - Google Patents

암타이 랙크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695B1
KR102225695B1 KR1020200132732A KR20200132732A KR102225695B1 KR 102225695 B1 KR102225695 B1 KR 102225695B1 KR 1020200132732 A KR1020200132732 A KR 1020200132732A KR 20200132732 A KR20200132732 A KR 20200132732A KR 102225695 B1 KR102225695 B1 KR 102225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groove
fastening
fasten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식
Original Assignee
김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식 filed Critical 김용식
Priority to KR1020200132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Abstract

본 발명은 상세하게는 전주에 손쉽게 체결되어 전선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암타이 랙크 밴드에 관한 것으로, 전주의 일측을 감싸고 안착되는 제1 체결밴드; 상기 전주의 다른 일측 감싸고 안착된 뒤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제1 체결밴드에 체결되는 제2 체결밴드; 상기 제1 체결밴드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전주의 일측을 감싸고 안착되는 제3 체결밴드; 상기 제2 체결밴드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전주의 다른 일측 감싸고 안착된 뒤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제3 체결밴드에 체결되는 제4 체결밴드; 및 상부가 상기 제1 체결밴드에 체결되고 하부가 상기 제3 체결밴드에 체결되어 전선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 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암타이 랙크 밴드{ARM-TIE RACK BAND}
본 발명은 암타이 랙크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에 손쉽게 체결되어 전선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암타이 랙크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주에는 소정높이에 좌우 한 쌍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전후 한 쌍의 밴드가 설치되고, 전신주의 상단에는 완금이 설치되며, 밴드의 일측과 완금의 일측에는 여러개의 암타이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재에 의해 양단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신주의 소정높이에는 또 다른 밴드를 이용하여 저압가선용 랙크가 설치되고, 이 랙크에는 저압인류 애자가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암타이 랙크 밴드는 동일한 반원형의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밴드로 구비되어 각 밴드의 양단부에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전신주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편이 각각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암타이 또는 랙크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체결부재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암타이 랙크 밴드는, 전신주에의 체결의 용이 편의성 향상을 위해 발전하였는 바, 전신주에 안착되는 전선의 안정적인 안착 또는 이동 방향을 위한 구성을 구비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673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896635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세하게는 전주에 손쉽게 체결되어 전선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암타이 랙크 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는, 전주의 일측을 감싸고 안착되는 제1 체결밴드; 상기 전주의 다른 일측 감싸고 안착된 뒤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제1 체결밴드에 체결되는 제2 체결밴드; 상기 제1 체결밴드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전주의 일측을 감싸고 안착되는 제3 체결밴드; 상기 제2 체결밴드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전주의 다른 일측 감싸고 안착된 뒤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제3 체결밴드에 체결되는 제4 체결밴드; 및 상부가 상기 제1 체결밴드에 체결되고 하부가 상기 제3 체결밴드에 체결되어 전선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 가이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선 가이드는, 일측이 상기 제1 체결밴드에 체결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제3 체결밴드에 체결되는 체결 프레임;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U"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프레임의 일측 및 다른 일측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 안착 프레임; 상기 롤러 안착 프레임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전선이 안착되는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체결 프레임과 상기 롤러 안착 프레임을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체결 프레임과 상기 롤러 안착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선 가이드는, 상기 체결 프레임과 상기 롤러 안착 프레임 사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롤러 안착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 안착 프레임을 지지하는 "+"형 지지대; 및 상기 체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형 지지대를 지지하는 고정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형 지지대는, 제1 받침대, 제2 받침대, 제3 받침대 및 제4 받침대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중심으로부터 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 형태로 형성되는 "+"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3 지지 프레임;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4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4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형 지지대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케이스; 상기 "+"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여 "+" 형태로 상기 지지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형 안착홈;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형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지지홈; 상기 제2 지지 프레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형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지지홈; 상기 제3 지지 프레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형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 지지홈; 및 상기 제4 지지 프레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형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4 지지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4 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사각 지주; 상기 사각 지주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홈에서 상기 사각 지주를 지지하는 전단 지지부; 및 상기 전단 지지부와 대칭되도록 상기 사각 지주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홈에서 상기 사각 지주를 지지하는 후단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단 지지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사각 지주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부가 상기 사각 지주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 지지편; 상기 상부 지지편과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상부 지지편의 하측과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사각 지주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하부가 상기 사각 지주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하부 지지편; 및 상기 상부 지지편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과 상기 하부 지지편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하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 거치 바아와 상기 상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거치 바아에 의해 거치되는 롤러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형 지지대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원판형 플레이트;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바퀴; 상기 제1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를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경사홈; 상기 제1 경사홈에 안착된 상기 제1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경사홈에서 상기 제1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1 밀착 스프링; 상기 제2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를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제1 경사홈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의 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2 경사홈; 및 상기 제2 경사홈에 안착된 상기 제2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 경사홈에서 상기 제2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2 밀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홈은, 상기 사각 지주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사각 지주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주 안착홈; 상기 전단 지지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 안착홈의 전단에 형성되되, 외력에 의해 상기 사각 지주가 상기 지주 안착홈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롤러형 지지대가 벽면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아치 형태로 형성되는 전단 안착홈; 및 상기 전단 안착홈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주 안착홈의 후단에 형성되는 후단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세하게는 전주에 손쉽게 체결되어 전선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전주의 전선 안착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의 장착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전선 가이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3의 프레임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형 지지대와 및 고정형 지지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지지 프레임와 제1 지지홈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전단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롤러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10)는, 제1 체결밴드(100), 제2 체결밴드(200), 제3 체결밴드(300), 제4 체결밴드(4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 가이드(500-1, 500-2, 500-3)를 포함한다.
제1 체결밴드(100)는, 제2 체결밴드(200)와 대향하며 전주(P)의 일측을 감싸고 안착되며, 제2 체결밴드(200)와 맞닿는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체결 볼트 및 노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전주(P)에 고정 설치된다.
제2 체결밴드(200)는, 전주(P)의 다른 일측 감싸고 안착된 뒤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체결 볼트 및 노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제1 체결밴드(100)에 체결된다.
제3 체결밴드(300)는, 제1 체결밴드(10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전주(P)의 일측을 감싸고 안착되며, 제4 체결밴드(400)와 대향하며 전주(P)의 일측을 감싸고 안착되며, 제4 체결밴드(400)와 맞닿는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체결 볼트 및 노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전주(P)에 고정 설치된다.
제4 체결밴드(400)는, 제2 체결밴드(20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전주(P)의 다른 일측 감싸고 안착된 뒤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체결 볼트 및 노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제3 체결밴드(300)에 체결된다.
전선 가이드(500-1, 500-2, 500-3)는, 상부가 제1 체결밴드(100)에 체결되고 하부가 제3 체결밴드(300)에 체결되어 전선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P)에 손쉽게 체결되어 하나 또는 두 개의 전선(L1, L2)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전주(P)의 전선(L1, L2) 안착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전선 가이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선 가이드(500)는, 체결 프레임(510), 롤러 안착 프레임(520), 가이드 롤러(530), 프레임 지지부(540) 및 체결 볼트(550)를 포함한다.
체결 프레임(510)은, 일측이 제1 체결밴드(100)에 체결되고 다른 일측이 제3 체결밴드(300)에 체결 볼트(550)에 의해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체결되며, 상측에 프레임 지지부(540)가 안착된다.
롤러 안착 프레임(520)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U" 형태로 형성되어 체결 프레임(510)의 일측 및 다른 일측 상부에 프레임 지지부(540)에 의해 지지되어 각각 설치된다.
가이드 롤러(530)는, 롤러 안착 프레임(520)의 내측에 체결핀(52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전선(L1, L2)이 안착된다.
프레임 지지부(540-1, 540-2)는, 체결 프레임(510)과 롤러 안착 프레임(520) 사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롤러 안착 프레임(520)을 지지하여 롤러 안착 프레임(52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체결 볼트(550)는, 체결 프레임(510)과 롤러 안착 프레임(520)을 관통하고, 또는 제1 체결밴드(100)까지 모두 삽입된 뒤 너트(B) 등에 체결되어 체결 프레임(510)과 롤러 안착 프레임(520)을 체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선 가이드(500)는, 전선(L)이 안착되는 가이드 롤러(530)가 설치되는 롤러 안착 프레임(52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프레임 지지부(540)를 이용하여 감쇄시킴으로써, 폭풍 등으로 인하여 전선(L)이 요동침에 따라 이에 따른 진동 등으로 인해 본 발명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프레임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부(600)는, "+"형 지지대(610) 및 고정형 지지대(620)를 포함한다.
"+"형 지지대(610)는, "+" 형태로 형성되어 롤러 안착 프레임(520)을 지지하며, 고정형 지지대(62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다.
고정형 지지대(620)는, 체결 프레임(5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안착되는 "+"형 지지대(61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다른 프레임 지지부(600)는, 롤러 안착 프레임(520)과 체결 프레임(510) 사이에 설치되어 전선(L)의 진동에 따른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본 발명에 따른 전주(P)의 체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형 지지대와 및 고정형 지지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형 지지대(610)는, "+" 프레임(611), 제1 지지 프레임(612), 제2 지지 프레임(613), 제3 지지 프레임(614) 및 제4 지지 프레임(615)를 포함한다.
"+" 프레임(611)은, "+"형 안착홈(622)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받침대(6111), 제2 받침대(6112), 제3 받침대(6113) 및 제4 받침대(6114)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중심으로부터 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 형태로 형성되며, 각 받침대의 선단부에 제1 지지 프레임(612), 제2 지지 프레임(613), 제3 지지 프레임(614) 및 제4 지지 프레임(615)의 각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지지 프레임(612)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1 받침대(6111)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지지홈(623)에 안착되어 제1 받침대(6111)를 지지한다.
즉, 제1 지지 프레임(612)은, 후술하는 제1 지지홈(623)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되어 제1 받침대(611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제1 받침대(6111)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1 받침대(6111)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킬 수 있다.
제2 지지 프레임(613)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2 받침대(6112)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지지홈에 안착되어 제2 받침대(6112)를 지지한다.
제3 지지 프레임(614)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3 받침대(6113)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3 지지홈에 안착되어 제3 받침대(6113)를 지지한다.
제4 지지 프레임(615)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4 받침대(6114)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4 지지홈에 안착되어 제4 받침대(6114)를 지지한다.
여기서, 제2 지지 프레임(613), 제3 지지 프레임(614) 및 제4 지지 프레임(615)는, 제1 지지 프레임(612)과 설치되는 위치만 다른 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고정형 지지대(620)는, 지지 케이스(621), "+"형 안착홈(622), 제1 지지홈(623), 제2 지지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제3 지지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제4 지지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지지 케이스(621)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형 안착홈(622)이 형성된다.
"+"형 안착홈(622)은, "+" 프레임(611)의 형태에 대응하여 "+" 형태로 지지 케이스(621)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1 지지홈(623)은, 제1 지지 프레임(6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받침대(6111)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형 안착홈(622)의 일 단부로부터 제1 지지 프레임(612)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홈(62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 안착홈(6231), 전단 안착홈(6232) 및 후단 안착홈(6233)을 포함한다.
지주 안착홈(6231)은, 사각 지주(612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사각 지주(6121)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단에 전단 안착홈(6232)이 형성되고, 후단에 후단 안착홈(6233)이 형성된다.
전단 안착홈(6232)은, 전단 지지부(612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주 안착홈(6231)의 전단에 형성되되, 외력에 의해 사각 지주(6121)이 지주 안착홈(6231)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후술하는 롤러형 지지대(730)가 벽면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아치 형태로 형성된다.
후단 안착홈(6233)은, 전단 안착홈(6232)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지주 안착홈(6231)의 후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프레임(612)은, 사각 지주(6121), 전단 지지부(6122) 및 후단 지지부(6123)를 포함할 수 있다.
사각 지주(6121)는,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1 받침대(6111)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단에 전단 지지부(6122)가 연결 설치되고, 후단에 후단 지지부(6123)가 연결 설치된다.
전단 지지부(6122)는, 사각 지주(6121)의 전단에 설치되며, 전단 안착홈(6232)의 벽면에 밀착되어 제1 지지홈(623)에서 사각 지주(6121)를 지지한다.
후단 지지부(6123)는, 전단 지지부(6122)와 대칭되도록 사각 지주(6121)의 후단에 설치되며, 후단 안착홈(6233)의 벽면에 밀착되어 제1 지지홈(623)에서 사각 지주(6121)를 지지한다.
제2 지지홈은, 제2 지지 프레임(6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받침대(6112)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형 안착홈(622)의 일 단부로부터 제2 지지 프레임(613)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제3 지지홈은, 제3 지지 프레임(61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3 받침대(6113)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형 안착홈(622)의 일 단부로부터 제3 지지 프레임(614)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제4 지지홈은, 제4 지지 프레임(6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4 받침대(6114)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형 안착홈(622)의 일 단부로부터 제4 지지 프레임(615)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지지홈, 제3 지지홈, 및 제4 지지홈은, 제1 지지홈(623)과 방향만을 달리하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사각 지주(6121)는, 제1 지지홈(623)의 바닥면까지 하강되지 아니하고 전단 지지부(6122)와 후단 지지부(6123)에 의해 제1 지지홈(623)에서 부양된 상태로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전단 지지부(6122)와 후단 지지부(6123)가 전단 안착홈(6232) 및 후단 안착홈(6233)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됨에 따라 전달되는 외력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전단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 지지부(700)는, 상부 지지편(710), 하부 지지편(720) 및 롤러형 지지대(73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편(710)은, 하부 지지편(720)과 상하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하측으로 갈수록 사각 지주(6121)으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부가 사각 지주(6121)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에 롤러형 지지대(7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하부 지지편(720)은, 상부 지지편(710)과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상부 지지편(710)의 하측과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사각 지주(6121)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하부가 사각 지주(6121)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에 롤러형 지지대(7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롤러형 지지대(730)는, 상부 지지편(710)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711)과 하부 지지편(72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721)에 각각 안착되며, 하부 안착홈(71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 거치 바아(712)와 상부 안착홈(72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거치 바아(722)에 의해 거치되며, 전단 안착홈(6232)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됨에 따라 전달되는 외력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 지지부(700)는, 롤러형 지지대(730)가 전단 안착홈(6232)의 벽면을 따라 안착된 뒤, 사각 지주(6121)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이 전달되면 롤러형 지지대(730)가 전단 안착홈(6232)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지지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롤러형 지지대(730)는, 원판형 플레이트(731), 베어링(732), 회전 바퀴(733), 제1 경사홈(734), 제1 밀착 스프링(735-1, 735-2), 제2 경사홈(736) 및 제2 밀착 스프링(737-1, 737-2)을 포함한다.
원판형 플레이트(731)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에 베어링(732)이 연결 설치된다.
베어링(732)는, 원판형 플레이트(731)의 외측에 설치되고, 외측에 회전 바퀴(733)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회전 바퀴(733)는, 베어링(732)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원판형 플레이트(73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경사홈(734)은, 제1 거치 바아(712)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원판형 플레이트(731)를 관통하고 형성되되, 원판형 플레이트(731)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원판형 플레이트(731)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제1 밀착 스프링(735-1, 735-2)은, 제1 경사홈(734)에 안착된 제1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제1 경사홈(734)에서 제1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제2 경사홈(736)은, 제2 거치 바아(722)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원판형 플레이트(731)를 관통하고 형성되되, 제1 경사홈(734)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원판형 플레이트(731)의 후단 하측으로부터 원판형 플레이트(731)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제2 밀착 스프링(737-1, 737-2)은, 제2 경사홈(736)에 안착된 제2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제2 경사홈(736)에서 제2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롤러형 지지대(730)는, 제1 거치 바아(712)와 제2 거치 바아(722)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 안착홈(6232)의 중심 부위에 안착되어 있다가, 사각 지주(6121)를 통해 진동 또는 충격 등이 전달되면 제1 거치 바아(712) 또는 제2 거치 바아(722)를 지지하고 있는 제1 밀착 스프링(735-1, 735-2) 또는 제2 밀착 스프링(737-1, 737-2)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전단 안착홈(6232)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사각 지주(6121)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암타이 랙크 밴드
100: 제1 체결밴드
200: 제2 체결밴드
300: 제3 체결밴드
400: 제4 체결밴드
500: 전선 가이드
600: 프레임 지지부

Claims (2)

  1. 전주의 일측을 감싸고 안착되는 제1 체결밴드;
    상기 전주의 다른 일측 감싸고 안착된 뒤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제1 체결밴드에 체결되는 제2 체결밴드;
    상기 제1 체결밴드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전주의 일측을 감싸고 안착되는 제3 체결밴드;
    상기 제2 체결밴드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전주의 다른 일측 감싸고 안착된 뒤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제3 체결밴드에 체결되는 제4 체결밴드; 및
    상부가 상기 제1 체결밴드에 체결되고 하부가 상기 제3 체결밴드에 체결되어 전선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전선 가이드는, 일측이 상기 제1 체결밴드에 체결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제3 체결밴드에 체결되는 체결 프레임;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U"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프레임의 일측 및 다른 일측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 안착 프레임; 상기 롤러 안착 프레임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전선이 안착되는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체결 프레임과 상기 롤러 안착 프레임을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체결 프레임과 상기 롤러 안착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 가이드는, 상기 체결 프레임과 상기 롤러 안착 프레임 사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롤러 안착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 안착 프레임을 지지하는 "+"형 지지대; 및 상기 체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형 지지대를 지지하는 고정형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형 지지대는, 제1 받침대, 제2 받침대, 제3 받침대 및 제4 받침대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중심으로부터 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 형태로 형성되는 "+"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3 지지 프레임;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4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4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형 지지대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케이스; 상기 "+"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여 "+" 형태로 상기 지지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형 안착홈;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형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지지홈; 상기 제2 지지 프레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형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지지홈; 상기 제3 지지 프레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형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 지지홈; 및 상기 제4 지지 프레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형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4 지지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4 지지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사각 지주; 상기 사각 지주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홈에서 상기 사각 지주를 지지하는 전단 지지부; 및 상기 전단 지지부와 대칭되도록 상기 사각 지주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홈에서 상기 사각 지주를 지지하는 후단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단 지지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사각 지주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부가 상기 사각 지주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 지지편; 상기 상부 지지편과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상부 지지편의 하측과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사각 지주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하부가 상기 사각 지주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하부 지지편; 및 상기 상부 지지편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과 상기 하부 지지편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하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 거치 바아와 상기 상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거치 바아에 의해 거치되는 롤러형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형 지지대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원판형 플레이트;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바퀴; 상기 제1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를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경사홈; 상기 제1 경사홈에 안착된 상기 제1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경사홈에서 상기 제1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1 밀착 스프링; 상기 제2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를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제1 경사홈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의 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2 경사홈; 및 상기 제2 경사홈에 안착된 상기 제2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 경사홈에서 상기 제2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2 밀착 스프링;을 포함하는, 암타이 랙크 밴드.
  2. 삭제
KR1020200132732A 2020-10-14 2020-10-14 암타이 랙크 밴드 KR102225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732A KR102225695B1 (ko) 2020-10-14 2020-10-14 암타이 랙크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732A KR102225695B1 (ko) 2020-10-14 2020-10-14 암타이 랙크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695B1 true KR102225695B1 (ko) 2021-03-08

Family

ID=7518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732A KR102225695B1 (ko) 2020-10-14 2020-10-14 암타이 랙크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6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126B1 (ko) * 2021-11-30 2022-06-15 (주)한백에프앤씨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673A (ko) * 2002-08-26 2004-03-04 주식회사 지엔드에스테크 핀애자용 지지구
KR100668452B1 (ko) * 2006-08-04 2007-01-16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보관함 기능을 가진 전주 디딤발판.
KR101126731B1 (ko) 2010-08-17 2012-03-29 한국전력공사 암타이 랙크 밴드
KR101448144B1 (ko) * 2014-06-16 2014-10-16 주식회사 정림이엔씨건축사사무소 작업이 편리한 가공 배전선로 절연식 애자링커
KR101472099B1 (ko) * 2013-11-26 2014-12-16 제룡산업 주식회사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및 이를 이용한 분기선 시공방법
KR101896635B1 (ko) 2018-04-10 2018-09-10 제룡산업 주식회사 암타이 랙크 밴드
KR101915252B1 (ko) * 2018-07-13 2018-11-05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KR102140546B1 (ko) * 2020-03-18 2020-08-04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작업이 편리한 저압가공선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673A (ko) * 2002-08-26 2004-03-04 주식회사 지엔드에스테크 핀애자용 지지구
KR100668452B1 (ko) * 2006-08-04 2007-01-16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보관함 기능을 가진 전주 디딤발판.
KR101126731B1 (ko) 2010-08-17 2012-03-29 한국전력공사 암타이 랙크 밴드
KR101472099B1 (ko) * 2013-11-26 2014-12-16 제룡산업 주식회사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및 이를 이용한 분기선 시공방법
KR101448144B1 (ko) * 2014-06-16 2014-10-16 주식회사 정림이엔씨건축사사무소 작업이 편리한 가공 배전선로 절연식 애자링커
KR101896635B1 (ko) 2018-04-10 2018-09-10 제룡산업 주식회사 암타이 랙크 밴드
KR101915252B1 (ko) * 2018-07-13 2018-11-05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KR102140546B1 (ko) * 2020-03-18 2020-08-04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작업이 편리한 저압가공선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126B1 (ko) * 2021-11-30 2022-06-15 (주)한백에프앤씨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695B1 (ko) 암타이 랙크 밴드
KR101936905B1 (ko) 완충 기능을 갖는 송배전 애자
US20200313530A1 (en) Linear vibration motor
JP2557536B2 (ja) 制振装置の固有振動数の調整装置
JPS6246479B2 (ko)
JP3577665B2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筋交い緩衝架設構造
WO2016095125A1 (zh) 一种立体三角形非晶合金卷铁心变压器
US1007843A (en) Staging.
KR102506350B1 (ko) Cctv 설치 구조
JPH024416Y2 (ko)
KR102467541B1 (ko) 가로등 거치대
JP4517112B2 (ja) 高電圧用碍子設備および避雷器
CN206090298U (zh) 一种桥梁安全护栏
JP2605472Y2 (ja) 電車線用磁気ダンパ
JP2001082001A (ja) 制振用ダンパー装置
CN101197498B (zh) 用于装备有振动缓冲装置的汇流排的电绝缘子
JP5712170B2 (ja) スピーカ支持架台
US2224436A (en) Neutral wire bracket
JPH08239805A (ja) 上下振動用制振装置
KR102390897B1 (ko) 건물내진보강공법
CN216084507U (zh) 一种带有保护结构且具有安装适应性的变压器
KR102214541B1 (ko) 경량틀 지지 구조
CN212088849U (zh) 一种酒吧卡座结构
CN204770156U (zh) 一种具有弹簧减振结构及保护结构的型材冲压台
JP2001192198A (ja) クレーン用免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