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252B1 -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252B1
KR101915252B1 KR1020180081675A KR20180081675A KR101915252B1 KR 101915252 B1 KR101915252 B1 KR 101915252B1 KR 1020180081675 A KR1020180081675 A KR 1020180081675A KR 20180081675 A KR20180081675 A KR 20180081675A KR 101915252 B1 KR101915252 B1 KR 101915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ing
hole
lid membe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Priority to KR1020180081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G01R31/02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42Means for obtaining improved distribution of voltage; Protection against arc discharges
    • H01B17/46Means for providing an external arc-discharge pa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를 보수할 시 활선 상태의 가공배전선을 임시고정할 수 있는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부재(C)에 밴드(A), 완철(B), 누전감지센서(E), 경고등(F) 및 피뢰기이상표시기구(D)를 더 포함한고, 가공배전선로를 보수할 시, 활선 상태의 가공배전선(L')을 고정부재(C)를 통해 임시 고정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가공배전선로의 활선상태를 유지하면서 가공배전선로를 편리하게 보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FASTENING APPARATUS FOR LIVE LINE WORK TYPE ON AERIAL LINE}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에는 밴드(B)를 매개로 전주에 완철이 설치되고, 완철에 애자가 설치되어, 애자에 가공배전선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공배전선로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애자에 설치된 활선 상태의 가공배전선을 옮겨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데, 종래에는 이러한 경우 마땅이 가공배전선을 옮겨 고정할 수단이 없어, 가공배전선로 보수 작업이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공배전선로에 설치되는 피뢰기는 낙뢰로 인해 발생하는 과전압을 대지로 흘려보냄으로써 가공배전선로를 보호한다.
그러나, 종래의 피뢰기는, 피뢰기와, 피뢰기에 접속되는 접지전선의 접속부에 이물질이 있을 경우, 낙뢰로 인해 고압의 전류가 피뢰기를 통과할 시 상기 접속부에 고열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상기 접속부가 손상된다.
이와 같이 피뢰기와 접지전선의 접속부가 손상되면, 이후 다시 낙뢰가 발생할 시 피뢰기가 정상적으로 과전압을 대지로 흘려보내지 못해, 낙뢰로 인해 가공배전선로에 심각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낙뢰 발생시 피뢰기의 이상을 신속하게 확인하여, 피뢰기의 이상발생 부분을 즉각적으로 수리함으로써, 추후에 발생하는 낙뢰에 대해 안정적으로 대비할 필요성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3543호(말단 편출 장주 지지밴드/2012.04.30)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를 보수할 시 활선 상태의 가공배전선을 임시고정할 수 있는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를 임시고정시 가공배전선로의 누전을 감지하여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낙뢰 후 피뢰기에서 발생한 이상부분을 지상에서 육안으로 확인하여, 이상이 발생한 피뢰기에 대한 수리를 신속하게 함으로써, 가공배전선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뢰기에 이상이 발생할 시 낙하하는 와이어가 피뢰기의 구조에 상관없이 하방으로 안정적으로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는
활선 상태의 가공배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는,
밴드(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밴드홀(A1)과, 상하로 형성되고 밴드홀(A1)과 연통되는 볼트홀(A2)를 지니고, 전주(P)에 설치되는 밴드(A)와::
밴드(A)의 둘레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밴드(A)의 밴드홀(A1)에 설치되는 완철(B)과:
밴드(A)의 볼트홀(A2)에 나사산 체결되어 완철(B)을 밴드(A)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완철고정체(10);
완철고정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20);
완철고정체(10)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위치하는 회전체(20)를 지지하는 지지체(120);
회전체(2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는 체결부(101)와, 가공배전선(L')이 안착되는 전선삽입홈(102a), 전선삽입홈(102a)과 연통되며 누전감지센서(E)가 설치되는 센서삽입홈(102b)을 구비한 'ㄷ'자 형상의 전선수용부(102)를 갖춘 전선고정체(100);
전선수용부(102)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볼트(110);
를 지닌 고정부재(C)와:
고정부재(C)의 센서삽입홈(102b)에 설치되어, 고정부재(C)의 전선삽입홈(102a)에 안착된 가공배전선(L')의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E)와::
고정부재(C)의 전선고정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누전감지센서(D)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되는 경고등(F)과:
완철(B)의 하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애자(90);
고정대설치홈(31a)이 피뢰기본체(31)의 중앙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일측이 수직애자(90)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피뢰기본체(31)와, 걸이구삽입홈(32a)이 접속단자(32)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어 접지전선(L)이 각각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도전재질의 접속단자(32)를 갖춘 피뢰기(30);
덮개부재(40)의 하측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와이어통과홀(41)과, 덮개부재(40)의 일측에 좌우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접지전선(L)이 인입되는 다수의 전선인입홀(42) 및,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와이어통과홀(41)의 좌우에 위치하게 형성되되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덮개결합홀(43)을 갖추고서, 피뢰기(30)의 접속단자(32)가 덮개부재(40)의 내부에 수용되게 피뢰기본체(31)의 양측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덮개부재(40);
덮개부재(40)의 전선인입홀(42) 중 접지전선(L)이 인입되지 않은 전선인입홀(4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부재마개(130);
제1,2걸이홀(51a1,51a2)이 좌우로 개구되게 형성된 갈고리걸이부(51a), 갈고리걸이부(51a)의 상측에 구비되어 피뢰기본체(31)의 고정대설치홈(31a)의 하측에 배치되는 반원 형상의 연결부(51b)를 갖춘 받침체(51)와, 받침체(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피뢰기본체(31)의 고정대설치홈(31a)의 상측에 배치되는 반원 형상의 회전체(52) 및, 받침체(51)와 회전체(52)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피뢰기고정핀(53)으로 구성된 피뢰기고정대(50);
피뢰기 접속단자(32)의 걸이구삽입홈(32a)에 삽입되고 열에 녹는 재질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걸이체(61)와, 걸이체(61)를 피뢰기 접속단자(3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표식체크부재고정핀(62)과, 걸이체(61)에서 연장되고 덮개부재(40)의 와이어통과홀(41)을 통과하되 제1가이드부재(70) 및 제2가이드부재(80)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63) 및, 덮개부재(40)의 와이어통과홀(41)를 통과한 와이어(63)의 일측에 설치되어 고정대 받침체(51)의 제1걸이홀(51a1) 또는 제2걸이홀(51a2)에 착탈가능하게 걸리는 갈고리(64)를 갖추고서,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는 한 쌍의 표식체크부재(60);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제1표식체결홀(71a1)을 구비하여 덮개부재(40)의 일측 하방에 위치하는 제1표식체결부(71a), 제1표식체결부(7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덮개부재(40)의 와이어통과홀(41)을 통과하는 제1가이드부(71b)를 구비한 제1가이드체(71)와, 덮개부재(40)의 덮개결합홀(43) 및 제1가이드체(71)의 제1표식체결홀(71a1)에 삽입되되 덮개부재(40)의 덮개결합홀(4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표식체볼트(72)를 갖춘 제1가이드부재(70);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제2표식체결홀(72a1)을 구비하여 덮개부재(40)의 타측 하방에 위치하는 제2표식체결부(81a), 제2표식체결부(8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덮개부재(40)의 와이어통과홀(41)을 통과하는 제2가이드부(81b)를 구비한 제2가이드체(81)와, 덮개부재(40)의 덮개결합홀(43) 및 제2가이드체(81)의 제2표식체결홀(81a1)에 삽입되되 덮개부재(40)의 덮개결합홀(4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2표식체볼트(82)를 갖추고서, 제1가이드부재(70)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가이드부재(80);
를 지닌 피뢰기이상표시기구(D):
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를 보수할 시, 활선 상태의 가공배전선(L')을 고정부재(C)를 통해 임시 고정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가공배전선로의 활선상태를 유지하면서 가공배전선로를 편리하게 보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C)를 통해 활선 상태의 가공배전선(L')를 임시고정할 시, 가공배전선(L')에서 누전이 발생하면, 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어, 가공배전선(L')의 누전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의 설치 위치에 따라 완철의 위치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여, 다양한 가공배전선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완철(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뢰기(30)를 과전류가 통과할 시, 이상이 발생한 피뢰기(30) 부분의 걸이체(61)가 고열에 녹으면, 와이어(63)가 하부로 낙하하여 덮개부재(40)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외부에서 쉽게 육안으로 피뢰기(30)의 이상 발생 지점을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뢰기(30)의 피뢰기본체(31) 및 접속단자(32)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피뢰기(30)의 접속단자(32)에 문제가 발생할 시 표식체크부재(60)를 통해 문제가 발생한 접속단자(32)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단자(32)의 배치 위치 또는 접속단자(32)의 걸이구삽입홈(32a)의 배치 위치가 상이한 다양한 피뢰기(30)에 대응하여, 제1가이드체(71) 및 제2가이드체(81)의 상하, 좌우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표식체크부재(60)의 와이어(63)가 하방으로 낙하할 시 덮개부재(40) 외방으로 안정적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표식체크부재(60)의 와이어(63)는 서로 색을 달리함으로써, 걸이체(61)가 녹아 와이어(63)가 하방으로 늘어질 시, 외부에서 쉽게 피뢰기(30) 이상 발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뢰기고정대(50)를 구비하여 좌우의 표식체크부재(60)를 피뢰기본체(31)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고정대피뢰기고정핀(53)을 매개로 피뢰기고정대(50)의 받침체(51) 및 회전체(52)의 설치 및 해체를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밴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부재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90도 회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부재의 다른 일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Y-Y'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피뢰기고정대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덮개부재 내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Z-Z'선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고정부재 작업을 위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피뢰기고정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밴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부재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90도 회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부재의 다른 일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3의 Y-Y'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피뢰기고정대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2의 X-X'선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덮개부재 내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도 10의 Z-Z'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활선 상태의 가공배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는, 밴드(A), 완철(B), 고정부재(C), 누전감지센서(E), 경고등(F) 및 피뢰기이상표시기구(D)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A)는 밴드홀(A1) 및 볼트홀(A2)을 지니고, 전주(P)에 설치된다.
상기 밴드홀(A1)은 밴드(A)의 둘레에 따라 형성된다. 또한, 밴드홀(A1)은 완철(B)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에 홈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홀(A2)은 상하로 형성되고 밴드홀(A1)과 연통된다. 또한, 밴드(A)는 완철(B)의 위치에 맞춰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볼트홀(A2)을 갖춘다.
상기 완철(B)은 밴드(A)의 둘레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밴드(A)의 밴드홀(A1)에 설치된다. 또한, 완철(B)은 밴드홀(A1)과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의 끝부분에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일부분에 수직애자(90)가 설치된다. 또한, 완철(B)은 애자가 설치되고, 애자에 가공배전선(L')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C)는 완전고정체(10), 회전체(20), 지지체(120), 전선고정체(100) 및 고정볼트(110)를 지닌다.
상기 완전고정체(10)는 밴드(A)의 볼트홀(A2)에 나사산 체결되어 완철(B)을 밴드(A)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본 발명에서 완전고정체(10)는 하단이 밴드(A)의 볼트홀(A2)에 나사산 체결된다.
본 발명은 밴드홀(A1)에 완철(B)을 설치하고, 설치된 부분의 상부에 형성된 볼트홀(A2)에 완전고정체(10)를 체결함으로써 완철(B)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전고정체(10)의 체결을 해체하고, 완철(B)을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완전고정체(10)를 체결함으로써 완철(B)을 사방으로 회전 및 고정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완철(B)이 밴드(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지만, 밴드(A)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체(20)는 완철고정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은 완전고정체(10)에 회전체(20)가 설치됨으로서 작업자가 평상시 수직으로 설치된 회전체(20)를 활선 작업을 위해 수평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작업이 완료되면 수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체(120)는 완철고정체(10)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위치하는 회전체(20)를 지지한다.
한편, 회전체(20)는 수평으로 회전되어 가공배전선(L')을 고정 시 가공배전선(L')의 무게에 아래로 하강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지지체(120)를 구비함으로서 회전체(20)가 아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선고정체(100)는 체결부(101) 및 전선수용부(102)를 갖춘다.
상기 체결부(101)는 회전체(2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된다. 또한, 체결부(101)는 상측에 전선수용부(102)가 구비된다.
상기 전선수용부(102)는 좌측으로 개구된 전선삽입홈(102a)와, 전선삽입홈(102a)의 우측에 구비되어 전선삽입홈(102a)과 연통되는 센서삽입홈(102b)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전선수용부(102)는 'ㄷ'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고정볼트(110)는 전선수용부(102)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본 발명은 전선삽입홈(102a)에 가공배전선(L')을 안착하고, 안착된 부분의 상부에 고정볼트(110)를 체결함으로써 가공배전선(L')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누전감지센서(E)는 고정부재(C)의 센서삽입홈(102b)에 설치되어, 고정부재(C)의 전선삽입홈(102a)에 안착된 가공배전선(L')의 누전을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 누전감지센서(E)는 가공배전선(L')과 접촉되게 구비되어, 가공배전선(L')에서 누전이 발생할 시 이를 감지한다.
상기 경고등(F)은 고정부재(C)의 전선고정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누전감지센서(D)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된다.
본 발명은 안착된 가공배전선(L')에서 누전이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도록 누전감지센서(E)를 포함하고, 누전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점등되는 경고등(F)을 포함함으로써, 활선 상태의 가공배전선(L')을 전선고정체(100)에 임시 배치할 시, 가공배전선(L')의 누전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공배전선(L')의 누전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상기 피뢰기이상표시기구(D)는 수직애자(90), 피뢰기(30), 덮개부재(40), 덮개부재마개(130), 피뢰기고정대(50), 표식체크부재(60), 제1가이드부재(70) 및 제2가이드부재(8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애자(90)는 완철(B)의 하부에 수직으로 연결된다. 수직애자(90)는 완철(B)의 하부에 연결됨으로서 피뢰기(30)를 수평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피뢰기(30)는 피뢰기본체(31) 및 한 쌍의 접속단자(32)를 포함한다.
상기 피뢰기본체(31)는 고정대설치홈(31a) 및 한 쌍의 커버설치홈(31b)을 포함하고, 일측이 수직애자(90)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배치된다.
상기 고정대설치홈(31a)은 피뢰기본체(31)의 양측 중앙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피뢰기고정대(5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커버설치홈(31b)은 피뢰기본체(31)의 양측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덮개부재(4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은 피뢰기(30)의 피뢰기본체(31) 및 접속단자(32)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피뢰기(30)의 접속단자(32)에 문제가 발생할 시 표식체크부재(60)를 통해 문제가 발생한 접속단자(32)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32)는 걸이구삽입홈(32a) 및 걸이구고정홈(32b)을 포함하고, 도전재질로 이루어져 접지전선(L)이 각각 착탈가능하게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지전선(L)은 별도의 브라켓 및 볼트를 매개로 접속단자(3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걸이구삽입홈(32a)은 접속단자(32)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구고정홈(32b)은 걸이구삽입홈(32a)의 하측에 위치하여 걸이구삽입홈(32a)에 연통되게 접속단자(32)에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덮개부재(40)는 와이어통과홀(41), 전선인입홀(42) 및 덮개결합홀(43)을 포함하고, 피뢰기(30)의 접속단자(32)가 덮개부재(40)의 내부에 수용되게 피뢰기본체(31)의 양측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덮개부재(40)는 커버설치홈(31b)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접속단자(32) 및 접속단자(32)에 설치된 표식체크부재(60) 일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덮는다.
상기 와이어통과홀(41)은 덮개부재(40)의 하측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은, 덮개부재(40)에 와이어통과홀(41)이 형성되어, 표식체크부재(60)의 와이어(63)가 낙하시 와이어통과홀(41)을 통과하여 덮개부재(40)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뢰기(30)에 이상이 발생한 부분을 육안으로 확인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덮개부재(40)의 와이어통과홀(41)은 표식체크부재(60)의 와이어(63)가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한 폭을 가진다.
상기 전선입인홀(42)은 덮개부재(40)의 일측에 좌우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접지전선(L)이 인입된다. 전선입인홀(42)은 덮개부재(40)의 일측에 개구되어 접지전선(L)이 인입됨으로서 접지전선(L)이 접속단자(32)와 결합이 될수 있도록 홀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전선입인홀(42)은 접지전선(L) 및 접속단자(32)의 위치에 따라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결합홀(43)은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와이어통과홀(41)의 좌우에 위치하게 형성되되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형성된다. 덮개결합홀(43)은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가이드부재(70) 및 제2가이드부재(80)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덮개부재마개(130)는 덮개부재(40)의 전선인입홀(42) 중 접지전선(L)이 인입되지 않은 전선인입홀(4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덮개부재(40)는 다수의 전선인입홀(42)을 갖추고 있어, 비가 오면 접지전선(L)이 인입되지 않은 전선인입홀(42)로 비가 유입되어 덮개부재(40) 내부에 위치한 구성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덮개부재마개(130)를 전선인입홀(42) 중 접지전선(L)이 인입되지 않은 전선인입홀(42)에 설치하여, 비가 와도 상기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피뢰기고정대(50)는 받침체(51), 회전체(52) 및 고정대피뢰기고정핀(53)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체(51)는 갈고리걸이부(51a) 및 연결부(51b)를 포함한다.
상기 갈고리걸이부(51a)는 제1,2걸이홀(51a1,51a2)이 좌우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갈고리걸이부(51a)는 받침체(51)의 하부에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갈고리걸이부(51a)는 한 쌍의 표식체크부재(60)의 갈고리(64)가 각각 걸리도록 제1,2걸이홀(51a1,51a2)을 구비하지만, 하나의 걸이홀을 구비하여 상기 걸이홀에 한 쌍의 표식체크부재(60)의 갈고리(64)가 같이 걸리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51b)는 갈고리걸이부(51a)의 상측에 구비되어 피뢰기본체(31)의 고정대설치홈(31a)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51b)는 반원 형상을 이룬다.
상기 반원 형상의 회전체(52)는 받침체(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피뢰기본체(31)의 고정대설치홈(21a1)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체(52)는 회전핀을 매개로 받침체(51)의 연결부(51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대피뢰기고정핀(53)은 받침체(51)와 회전체(52)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대피뢰기고정핀(53)은 받침체(51) 및 회전체(52)로부터 착탈이 용이하여 받침체(51) 및 회전체(52)의 고정 및 해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피뢰기고정대(50)를 구비하여 좌우의 표식체크부재(60)를 피뢰기본체(31)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고정대피뢰기고정핀(53)을 매개로 피뢰기고정대(50)의 받침체(51) 및 회전체(52)의 설치 및 해체를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표식체크부재(60)는 걸이체(61), 표식체크부재고정핀(62), 와이어(63) 및 갈고리(64)를 갖추고서, 피뢰기고정대(50)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위치한다.
상기 링 형상의 걸이체(61)는 피뢰기 접속단자(32)의 걸이구삽입홈(32a)에 삽입되고 열에 녹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이체(61)는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걸이구삽입홈(32a)에 고정된다. 평상시에 걸이체(61)는 걸이구삽입홈(32a)에 고정되어 와이어(63)가 덮개부재(4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걸이체(61)는 접지전선(L)에서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유입되면 녹을 수 있도록 실리콘으로 형성되거나 녹기 용이한 물질들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걸이체(61)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표식체크부재고정핀(62)은 접속단자(32)의 걸이구고정홈(32b)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걸이체(61)를 걸이구삽입홈(32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식체크부재고정핀(62)은 걸이구고정홈(32b)에 나사산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63)는 걸이체(61)에서 연장되고 덮개부재(40)의 와이어통과홀(41)을 통과하되, 제1가이드부재(70) 및 제2가이드부재(8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와이어(63)는 걸이구삽입홈(32a)와 연결되어 걸이체(61)가 녹을 시 하부로 내려간다. 와이어(63)는 일부분에서 걸이체(61)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부분에서 갈고리(64)에 연결되어 있어서, 평상시에는 연결되어 있다. 또한, 걸이체(61)가 과전압 또는 과전류로 녹을 시 내려가면 갈고리(64)에 연결되어 아래로 늘어진다.
본 발명은 걸이체(61)가 과전압 또는 과전류에 녹아서 와이어(63)가 하부로 내려감으로서 외부에서 쉽게 육안으로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발생된 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표식체크부재(60)의 와이어(63)는 서로 색을 달리함으로써, 걸이체(61)가 녹아 와이어(63)가 하방으로 늘어질 시, 외부에서 쉽게 피뢰기(30) 이상 발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갈고리(64)는 덮개부재(40)의 와이어통과홀(41)를 통과한 와이어(63)의 일측에 설치되어 고정대받침체(51)의 제1걸이홀(51a1) 또는 제2걸이홀(51a2)에 착탈가능하게 걸린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갈고리(64)는 제1걸이홀(51a1) 및 제2걸이홀(51a2)에 각각 걸린다.
상기 갈고리(64)는 와이어(63)의 일측에 연결되고 걸이체(61)가 녹을 시 하부로 내려가는 와이어(63)가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갈고리(64)는 합성수지 재질의 와이어(63)에 융착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와이어(63)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70)는 제1가이드체(71) 및 제1표식체볼트(72)를 갖춘다.
상기 제1가이드체(71)는 제1표식체결부(71a) 및 제1가이드부(71b)를 구비한다.
상기 제1표식체결부(71a)는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제1표식체결홀(71a1)을 구비하고 덮개부재(40)의 일측 하방에 위치한다.
상기 제1가이드부(71b)는 제1표식체결부(7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덮개(40의 와이어통과홀(41)을 통과한다.
상기 제1표식체볼트(72)는 덮개부재(40)의 덮개결합홀(43) 및 제1가이드체(71)의 제1표식체결홀(71a1)에 삽입되되 덮개부재(40)의 덮개결합홀(4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이때 제1가이드체(71)는 제1표식체결홀(71a1)을 매개로 제1표식체볼트(7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제1표식체볼트(72)는 제1가이드체(71)의 제1표식체결홀(71a1)과 접촉되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가이드부재(80)는 제2가이드체(81) 및 제2표식체볼트(82)를 갖추고 제1가이드부재(70)와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2가이드체(81)는 제2표식체결부(81a) 및 제2가이드부(81b)를 구비한다.
상기 제2표식체결부(81a)는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제2표식체결홀(81a1)을 구비하고 덮개부재(40)의 타측 하방에 위치한다.
상기 제2가이드부(81b)는 제2표식체결부(8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덮개(40의 와이어통과홀(41)을 통과한다.
상기 제2표식체볼트(82)는 덮개부재(40)의 덮개결합홀(43) 및 제2가이드체(81)의 제2표식체결홀(81a1)에 삽입되되 덮개부재(40)의 덮개결합홀(4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이때 제2가이드체(81)는 제2표식체결홀(81a1)을 매개로 제2표식체볼트(8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제2표식체볼트(82)는 제2가이드체(81)의 제2표식체결홀(81a1)과 접촉되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 내지 도 25은 본 발명의 고정부재 작업을 위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고정부재(C)를 밴드(B)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와 같이 완철고정체(10)와 회전체(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완철고정체(10)를 회전시켜, 완철(B)를 밴드(A)에 고정한다.
이후, 도 13과 같이 회전체(20)를 회전시켜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도 14와 같이 회전체(20)에 전선고정체(100)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C)가 밴드(A)에 설치되면, 도 2와 같이 고정부재(C)가 수직으로 배치되게 할 수 있어, 평상시에 고정부재(C)의 보관이 용이하다. 이때 고정부재(C)는 와이어 등을 통해 전주(P)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작업자가 가공배전선로를 보수하기 위해 완철(B)에 설치된 애자로부터 가공배전선(L')의 위치를 옮겨야할 시, 도 15와 같이 활선 상태의 가공배전선(L')을 전선고정체(100)에 설치한다.
그러면, 작업자는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가공배전선로 보수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5와 같이 가공배전선(L')이 설치된 상태에서, 가공배전선(L')의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여 누전이 발생하면, 누전감지센서(E)에서 이를 감지하여 누전감지신호를 경고등(F)에 출력한다.
그러면, 경고등(F)이 점등되고, 작업자가 즉각적으로 이를 확인하여, 가공배전선(L') 누전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의 설치 위치에 따라 완철(B)의 위치를 옮긴 후, 완철(B)에 본 발명의 구성을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완철(B)을 밴드(A)의 둘레를 따라 옮긴 후 도 17과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의 설치 위치에 따라 완철(B)의 위치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여, 가공배전선의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구성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천재지변(낙뢰)로 인해 접지전선(L)에서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발생되고, 발생된 과전압 또는 과전류는 도 18과 같이 접지전선(L)을 통해 피뢰기(30)로 전달된다.
이때, 피뢰기(30)의 접속단자(32)에 이물질이 쌓여 있어 접속단자(32)에 저항이 크게 걸리면, 접속단자(32)에 고열이 발생한다. 이때 접속단자(32)는 고열에 의해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고열이 발생하면 도 19과 같이 걸이체(61)가 녹되, 표식체크부재고정핀(62)은 걸이구고정홈(32b)에 고정되며, 와이어(63)는 접속단자(32)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 녹지 않은 일부분의 걸이체(61)와 함께 하부로 내려간다.
이때, 도 20과 같이 와이어(63)는 덮개부재(40)의 와이어통과홀(41)을 통과하여 낙하하되, 제1가이드부(71b)에 접촉되면서 낙하한다. 와이어(63)는 제1가이드부(71b)에 접촉되어 덮개부재(40)의 일측에 걸리지 않고 하부로 내려간다.
이후, 도 21와 같이 와이어(63)는 덮개부재(40)의 와이어통과홀(41)을 통과하여 낙하하되, 제2가이드부(81b)에 접촉되면서 낙하한다. 와이어(63)는 제2가이드부(81b)에 접촉되어 덮개부재(40)의 다른 일측에 걸리지 않고 하부로 내려간다.
계속해서, 도 22과 같이 와이어(63)는 갈고리(64)에 의해 피뢰기고정대(50)에 연결된 상태로 덮개부재(40)의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이물질이 쌓이지 않은 피뢰기(30)의 접속단자(22, 본 실시예에서 우측 접속단자) 및 표식기구(50, 본 실시예에서 우측 표식기구)는 도 22과 같이 형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작용을 통해 작업자 또는 외부인이 아래로 내려간 줄을 육안으로 식별하고, 피뢰기(30)에서 문제가 발생한 접속단자(32)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0,21 및, 도 23(피뢰기의 접속단자가 피뢰기본체의 측면 중앙에 배치된 것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표식체볼트(71) 및 제2표식체볼트(81)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제1가이드체(71) 및 제2가이드체(81)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가이드체(71) 및 제2가이드체(81)를 좌우 이동시킨 후, 제1표식체볼트(71) 및 제2표식체볼트(81)를 매개로 제1가이드체(71) 및 제2가이드체(81)를 덮개부재(40)에 고정함으로써, 제1가이드체(71) 및 제2가이드체(81)의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뢰기(30)의 구성에 따라, 접속단자(32)의 배치 위치 또는 접속단자(32)의 걸이구삽입홈(32a)의 배치 위치가 다를 시, 제1가이드체(71) 및 제2가이드체(81)의 상하, 좌우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표식체크부재(60)의 와이어(63)가 하방으로 낙하할 시 덮개부재(40) 외방으로 안정적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갈고리(64), 받침체(51)가 고장나면, 작업자는 고장난 갈고리(64) 또는 받침체(51)를 고치기 위해 도 24과 같이 고정대피뢰기고정핀(53)을 해체하고 도 25와 같이 회전체(52)를 회전시켜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피뢰기고정대(50)를 피뢰기본체(31)로부터 분리한다. 한편 피뢰기고정대(50)를 피뢰기본체(31)에 결합할 시에는 상기 피뢰기고정대(50) 분리 순서의 역순으로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를 보수할 시, 활선 상태의 가공배전선(L')을 고정부재(C)를 통해 임시 고정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가공배전선로의 활선상태를 유지하면서 가공배전선로를 편리하게 보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C)를 통해 활선 상태의 가공배전선(L')를 임시고정할 시, 가공배전선(L')에서 누전이 발생하면, 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어, 가공배전*(L')의 누전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의 설치 위치에 따라 완철의 위치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여, 다양한 가공배전선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완철(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뢰기(30)를 과전류가 통과할 시, 이상이 발생한 피뢰기(30) 부분의 걸이체(61)가 고열에 녹으면, 와이어(63)가 하부로 낙하하여 덮개부재(40)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외부에서 쉽게 육안으로 피뢰기(30)의 이상 발생 지점을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뢰기(30)의 피뢰기본체(31) 및 접속단자(32)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피뢰기(30)의 접속단자(32)에 문제가 발생할 시 표식체크부재(60)를 통해 문제가 발생한 접속단자(32)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단자(32)의 배치 위치 또는 접속단자(32)의 걸이구삽입홈(32a)의 배치 위치가 상이한 다양한 피뢰기(30)에 대응하여, 제1가이드체(71) 및 제2가이드체(81)의 상하, 좌우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표식체크부재(60)의 와이어(63)가 하방으로 낙하할 시 덮개부재(40) 외방으로 안정적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표식체크부재(60)의 와이어(63)는 서로 색을 달리함으로써, 걸이체(61)가 녹아 와이어(63)가 하방으로 늘어질 시, 외부에서 쉽게 피뢰기(30) 이상 발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뢰기고정대(50)를 구비하여 좌우의 표식체크부재(60)를 피뢰기본체(31)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고정대피뢰기고정핀(53)을 매개로 피뢰기고정대(50)의 받침체(51) 및 회전체(52)의 설치 및 해체를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을 위한 고정 기능을 하는 고정부재(C)에 밴드(A), 완철(B), 누전감지센서(E), 경고등(F) 및 피뢰기이상표시기구(D)를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 및 청구대상을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로 정의한다.
상기에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했기에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L: 접지전선 L':가공배전선
A: 밴드 B: 완철
C: 고정부재 10: 완철고정체
20: 회전체 100: 전선고정체
110: 고정볼트 120: 지지체
D: 피뢰기이상표시기구 90: 수직애자
30: 피뢰기 40: 덮개부재
50: 피뢰기고정대 60: 표식체크부재
70: 제1가이드기구 80: 제2가이드기구
130: 덮개부재마개

Claims (1)

  1. 활선 상태의 가공배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는,
    밴드(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밴드홀(A1)과, 상하로 형성되고 밴드홀(A1)과 연통되는 볼트홀(A2)를 지니고, 전주(P)에 설치되는 밴드(A)와:
    밴드(A)의 둘레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밴드(A)의 밴드홀(A1)에 설치되는 완철(B)과:
    밴드(A)의 볼트홀(A2)에 나사산 체결되어 완철(B)을 밴드(A)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완철고정체(10);
    완철고정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20);
    완철고정체(10)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위치하는 회전체(20)를 지지하는 지지체(120);
    회전체(2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는 체결부(101)와, 가공배전선(L')이 안착되는 전선삽입홈(102a), 전선삽입홈(102a)과 연통되며 누전감지센서(E)가 설치되는 센서삽입홈(102b)을 구비한 'ㄷ'자 형상의 전선수용부(102)를 갖춘 전선고정체(100);
    전선수용부(102)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볼트(110);
    를 지닌 고정부재(C)와:
    고정부재(C)의 센서삽입홈(102b)에 설치되어, 고정부재(C)의 전선삽입홈(102a)에 안착된 가공배전선(L')의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E)와:
    고정부재(C)의 전선고정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누전감지센서(D)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되는 경고등(F)과:
    완철(B)의 하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애자(90);
    고정대설치홈(31a)이 피뢰기본체(31)의 중앙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일측이 수직애자(90)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피뢰기본체(31)와, 걸이구삽입홈(32a)이 접속단자(32)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어 접지전선(L)이 각각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도전재질의 접속단자(32)를 갖춘 피뢰기(30);
    덮개부재(40)의 하측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와이어통과홀(41)과, 덮개부재(40)의 일측에 좌우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접지전선(L)이 인입되는 다수의 전선인입홀(42) 및,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와이어통과홀(41)의 좌우에 위치하게 형성되되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덮개결합홀(43)을 갖추고서, 피뢰기(30)의 접속단자(32)가 덮개부재(40)의 내부에 수용되게 피뢰기본체(31)의 양측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덮개부재(40);
    덮개부재(40)의 전선인입홀(42) 중 접지전선(L)이 인입되지 않은 전선인입홀(4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부재마개(130);
    제1,2걸이홀(51a1,51a2)이 좌우로 개구되게 형성된 갈고리걸이부(51a), 갈고리걸이부(51a)의 상측에 구비되어 피뢰기본체(31)의 고정대설치홈(31a)의 하측에 배치되는 반원 형상의 연결부(51b)를 갖춘 받침체(51)와, 받침체(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피뢰기본체(31)의 고정대설치홈(31a)의 상측에 배치되는 반원 형상의 회전체(52) 및, 받침체(51)와 회전체(52)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피뢰기고정핀(53)으로 구성된 피뢰기고정대(50);
    피뢰기 접속단자(32)의 걸이구삽입홈(32a)에 삽입되고 열에 녹는 재질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걸이체(61)와, 걸이체(61)를 피뢰기 접속단자(3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표식체크부재고정핀(62)과, 걸이체(61)에서 연장되고 덮개부재(40)의 와이어통과홀(41)을 통과하되 제1가이드부재(70) 및 제2가이드부재(80)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63) 및, 덮개부재(40)의 와이어통과홀(41)를 통과한 와이어(63)의 일측에 설치되어 고정대 받침체(51)의 제1걸이홀(51a1) 또는 제2걸이홀(51a2)에 착탈가능하게 걸리는 갈고리(64)를 갖추고서,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는 한 쌍의 표식체크부재(60);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제1표식체결홀(71a1)을 구비하여 덮개부재(40)의 일측 하방에 위치하는 제1표식체결부(71a), 제1표식체결부(7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덮개부재(40)의 와이어통과홀(41)을 통과하는 제1가이드부(71b)를 구비한 제1가이드체(71)와, 덮개부재(40)의 덮개결합홀(43) 및 제1가이드체(71)의 제1표식체결홀(71a1)에 삽입되되 덮개부재(40)의 덮개결합홀(4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표식체볼트(72)를 갖춘 제1가이드부재(70);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제2표식체결홀(72a1)을 구비하여 덮개부재(40)의 타측 하방에 위치하는 제2표식체결부(81a), 제2표식체결부(8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덮개부재(40)의 와이어통과홀(41)을 통과하는 제2가이드부(81b)를 구비한 제2가이드체(81)와, 덮개부재(40)의 덮개결합홀(43) 및 제2가이드체(81)의 제2표식체결홀(81a1)에 삽입되되 덮개부재(40)의 덮개결합홀(4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2표식체볼트(82)를 갖추고서, 제1가이드부재(70)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가이드부재(80);
    를 지닌 피뢰기이상표시기구(D):
    를 포함하는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KR1020180081675A 2018-07-13 2018-07-13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KR101915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675A KR101915252B1 (ko) 2018-07-13 2018-07-13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675A KR101915252B1 (ko) 2018-07-13 2018-07-13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252B1 true KR101915252B1 (ko) 2018-11-05

Family

ID=6432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675A KR101915252B1 (ko) 2018-07-13 2018-07-13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25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0833A (zh) * 2019-07-22 2019-09-20 安徽久壬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覆冰模拟导线的固定方式及其固定装置
KR102110872B1 (ko) * 2018-12-05 2020-05-15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건축용 방호관
CN111337717A (zh) * 2018-12-19 2020-06-26 西安祥泰电器有限公司 一种避雷器工作状态测试辅助装置
CN111478266A (zh) * 2020-04-28 2020-07-31 国家电网有限公司 高压电力塔电缆干式终端坐式支撑装置
CN111478267A (zh) * 2020-04-28 2020-07-31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具有无人机起落充电平台的电缆干式终端支撑装置
CN111478265A (zh) * 2020-04-28 2020-07-31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远程监测电缆终端状态的柔性支撑平台
KR102153677B1 (ko) * 2020-04-22 2020-09-08 권순매 가공배전라인용 안전성 향상 분기슬리브
KR102153682B1 (ko) * 2020-03-24 2020-09-09 주식회사 천하기술단 절연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KR102225695B1 (ko) * 2020-10-14 2021-03-08 김용식 암타이 랙크 밴드
CN113904261A (zh) * 2021-09-26 2022-01-07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线路避雷器不停电安装更换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031Y1 (ko) 2004-07-20 2004-10-11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지능형 낙뢰철탑 표시장치
KR100943428B1 (ko) 2009-04-09 2010-02-19 주식회사 삼덕 배전선 지지용 절연애자
KR101653500B1 (ko) 2015-08-03 2016-09-01 송홍준 라인포스트 애자
JP2017054651A (ja) 2015-09-08 2017-03-16 中国電力株式会社 避雷器縁線抜け防止具
KR101787358B1 (ko) 2017-08-21 2017-10-18 주식회사 삼호기술단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기구
KR101864313B1 (ko) 2018-02-09 2018-06-05 주식회사 가현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031Y1 (ko) 2004-07-20 2004-10-11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지능형 낙뢰철탑 표시장치
KR100943428B1 (ko) 2009-04-09 2010-02-19 주식회사 삼덕 배전선 지지용 절연애자
KR101653500B1 (ko) 2015-08-03 2016-09-01 송홍준 라인포스트 애자
JP2017054651A (ja) 2015-09-08 2017-03-16 中国電力株式会社 避雷器縁線抜け防止具
KR101787358B1 (ko) 2017-08-21 2017-10-18 주식회사 삼호기술단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기구
KR101864313B1 (ko) 2018-02-09 2018-06-05 주식회사 가현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기구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872B1 (ko) * 2018-12-05 2020-05-15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건축용 방호관
CN111337717A (zh) * 2018-12-19 2020-06-26 西安祥泰电器有限公司 一种避雷器工作状态测试辅助装置
CN110260833A (zh) * 2019-07-22 2019-09-20 安徽久壬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覆冰模拟导线的固定方式及其固定装置
CN110260833B (zh) * 2019-07-22 2024-05-03 安徽久壬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覆冰模拟导线的固定装置
KR102153682B1 (ko) * 2020-03-24 2020-09-09 주식회사 천하기술단 절연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KR102153677B1 (ko) * 2020-04-22 2020-09-08 권순매 가공배전라인용 안전성 향상 분기슬리브
CN111478266A (zh) * 2020-04-28 2020-07-31 国家电网有限公司 高压电力塔电缆干式终端坐式支撑装置
CN111478267A (zh) * 2020-04-28 2020-07-31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具有无人机起落充电平台的电缆干式终端支撑装置
CN111478265A (zh) * 2020-04-28 2020-07-31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远程监测电缆终端状态的柔性支撑平台
KR102225695B1 (ko) * 2020-10-14 2021-03-08 김용식 암타이 랙크 밴드
CN113904261A (zh) * 2021-09-26 2022-01-07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线路避雷器不停电安装更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252B1 (ko)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KR102382973B1 (ko) 피뢰기능을 갖춘 안전형 가공배전용 고정기구
KR101941106B1 (ko) 안전한 가공배전선로 수리를 위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1499652B1 (ko) 주상변압기 보호용 피뢰기와 컷아웃 스위치의 일체형 설치구조
KR101932186B1 (ko) 가공배전선로용 밴드기구
US3030531A (en) Protective means for rotating electrical device
CA3075102A1 (en) Hot stick quick connect surge arrester assembly
KR101915256B1 (ko) 가공배전을 위한 피뢰장치
KR101781116B1 (ko) 피뢰기 장착 컷 아웃 스위치
KR102161224B1 (ko) 지중배전선로 접속점별 고장구간 검출장치
CN208368804U (zh) 一种电流回路专用短接装置
KR101905441B1 (ko) 지상변압기 교체용 엘보인서트 및 그 엘보인서트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KR100725482B1 (ko) 정전유도에 의한 수배전반 선로의 전원검출 및 표시장치
WO2018173019A2 (en) Overhead arrester with leakage current detector
CN112509894B (zh) 一种带报警功能的熔断器绝缘护罩
KR101941107B1 (ko)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
KR102075108B1 (ko) 가공배전라인 이탈방지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1959955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
CN118169606B (zh) 一种高压电缆接地系统检测装置
CN218471426U (zh) 短接线断线自动报警装置
US20140118102A1 (en) Telecommunication surge protector system
CN110350328A (zh) 一种二次回路连接跳线
EP3121832A1 (en) Circuit protection assembly
KR102315625B1 (ko)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
KR102337767B1 (ko) 변압기 2차 단자 보호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