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313B1 -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기구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313B1
KR101864313B1 KR1020180016575A KR20180016575A KR101864313B1 KR 101864313 B1 KR101864313 B1 KR 101864313B1 KR 1020180016575 A KR1020180016575 A KR 1020180016575A KR 20180016575 A KR20180016575 A KR 20180016575A KR 101864313 B1 KR101864313 B1 KR 101864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bending
fixing
insulat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16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4Insulators apertured for fixing by nail, screw, wire, or bar, e.g. diabolo, bobb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7/00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non-mechanical mean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7/02Electrets, i.e. having a permanently-polarised di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방으로 개구된 체결홈(11a)이 제1밴딩체(11)의 양측에 구비되고, 반원 형상을 이루는 제1밴딩체(11)와; 상방으로 개구된 체결홈(12a)이 제2밴딩체(12)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1밴딩체(11)와 이어지는 반원 형상을 이루어, 제1밴딩체(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밴딩체(12)를 갖추고서, 전주(P)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밴딩기구(10)와:
밴딩기구(10)에 설치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대(21a)와, 밴딩기구(10)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돌출되고, 제1지지대(21a)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대(21b)를 갖춘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의 제1지지대(21a)를 관통하여 상기 제1지지대(2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이 상기 제1지지대(21a)의 우방으로 돌출되는 회전대(22a)와, 상기 회전대(22a)의 우측에 설치되는 기어(22b) 및, 밴딩기구(10)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대(22a)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2c)를 갖춘 구동기구(22)와; 좌측 및 우측이 제1,2지지대(21a,21b)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이 제1지지대(21a)를 관통하여 우방으로 돌출되는 회전대(23a)와, 제1지지대(21a)의 우방에 위치하게 상기 회전대(23a)에 설치되고, 구동기구(22)의 기어(22b)와 맞물리는 기어(23b)를 갖춘 회전기구(23) 및; 회전기구(23)의 회전대(23a)에 설치되는 연결바(24a)와, 연결바(24a)에 설치되는 애자날개(24b) 및, 연결바(24a)의 하측에 구비되는 점퍼선지지체(24c)를 갖춘 활선작업가능애자(24)로 구성되어, 서로 대향되게 밴딩기구(10)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점퍼선지지기구(20)와:
제1반원체(31a)의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ㅗ'자 형상의 가이드홈(31a1), 제1반원체(31a)의 상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가이드홈(31a1)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고정홀(31a2), 상하로 개구되게 제1반원체(31a)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1밴딩체(11)의 체결홈(11a)과 연통되는 연결홀(31a3)을 구비한 제1반원체(31a)와, 제2반원체(31b)의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ㅗ'자 형상의 가이드홈(31b1), 제2반원체(31b)의 상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가이드홈(31b1)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고정홀(31b2), 상하로 개구되게 제2반원체(31b)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2밴딩체(12)의 체결홈(12a)과 연통되는 연결홀(31b3)을 구비하여, 제1반원체(31a)의 가이드홈(31a1)과 제2반원체(31b)의 가이드홈(31b1)이 연통되게 제1반원체(3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반원체(31b)로 구성되어, 밴딩기구(10)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대(31)와;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제2반원체(31b)의 고정홀(31b2)과 연통가능한 체결홀(32a1)을 구비하고, 제1,2반원체(31a,31b)의 가이드홈(31a1,31b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측이 애자고정기구(30)의 지지대(31)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ㅗ'자 형상의 이동체(32a)와, 회동체(32b)의 일측에 측방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의 안착홈(32b1)이 형성되고 타측이 이동체(32a)의 상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체(32b) 및, 회동체(32b)의 안착홈(32b1)을 관통하도록 회동체(32b)의 일측에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체(32c)를 갖춘 한 쌍의 고정대(32)로 이루어진 애자고정기구(30)와:
상방으로 개구된 나사홈(41a)을 구비하여, 제1,2밴딩체(11,12)의 체결홈(11a,12a)과 제1,2반원체(31a,31b)의 연결홀(31a3,31b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볼트(41)와; 상기 제1볼트(41)의 나사홈(4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고정대(32)의 회동체(32b)를 지지하는 제2볼트(42)를 갖춘 다수 개의 체결볼트(40) 및:
제1,2반원체(31a,31b)의 고정홀(31a2,31b2)과 이동체(32a)의 체결홀(32a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볼트(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기구{Insulator Equipment Of Aerial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배전선로가 전주에 가설되고, 가설된 가공배전선로를 통해 전력의 배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가공배전선로가 가설된 상태에서, 가공배전선로에 문제가 발생해 가공배전선로를 수리할 시, 가공배전선을 활선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가공배전선로를 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가공배전선의 위치를 옮겨 가면서 수리 작업을 수행하는 데, 이러한 경우 작업자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작업자가 수리 작업을 하는 데 있어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250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공배전선로 수리시 활선 상태 가공배전선(점퍼선)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가공배전선로를 수리할 수 있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방으로 개구된 체결홈(11a)이 제1밴딩체(11)의 양측에 구비되고, 반원 형상을 이루는 제1밴딩체(11)와; 상방으로 개구된 체결홈(12a)이 제2밴딩체(12)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1밴딩체(11)와 이어지는 반원 형상을 이루어, 제1밴딩체(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밴딩체(12)를 갖추고서, 전주(P)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밴딩기구(10)와:
밴딩기구(10)에 설치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대(21a)와, 밴딩기구(10)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돌출되고, 제1지지대(21a)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대(21b)를 갖춘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의 제1지지대(21a)를 관통하여 상기 제1지지대(2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이 상기 제1지지대(21a)의 우방으로 돌출되는 회전대(22a)와, 상기 회전대(22a)의 우측에 설치되는 기어(22b) 및, 밴딩기구(10)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대(22a)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2c)를 갖춘 구동기구(22)와; 좌측 및 우측이 제1,2지지대(21a,21b)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이 제1지지대(21a)를 관통하여 우방으로 돌출되는 회전대(23a)와, 제1지지대(21a)의 우방에 위치하게 상기 회전대(23a)에 설치되고, 구동기구(22)의 기어(22b)와 맞물리는 기어(23b)를 갖춘 회전기구(23) 및; 회전기구(23)의 회전대(23a)에 설치되는 연결바(24a)와, 연결바(24a)에 설치되는 애자날개(24b) 및, 연결바(24a)의 하측에 구비되는 점퍼선지지체(24c)를 갖춘 활선작업가능애자(24)로 구성되어, 서로 대향되게 밴딩기구(10)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점퍼선지지기구(20)와:
제1반원체(31a)의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ㅗ'자 형상의 가이드홈(31a1), 제1반원체(31a)의 상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가이드홈(31a1)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고정홀(31a2), 상하로 개구되게 제1반원체(31a)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1밴딩체(11)의 체결홈(11a)과 연통되는 연결홀(31a3)을 구비한 제1반원체(31a)와, 제2반원체(31b)의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ㅗ'자 형상의 가이드홈(31b1), 제2반원체(31b)의 상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가이드홈(31b1)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고정홀(31b2), 상하로 개구되게 제2반원체(31b)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2밴딩체(12)의 체결홈(12a)과 연통되는 연결홀(31b3)을 구비하여, 제1반원체(31a)의 가이드홈(31a1)과 제2반원체(31b)의 가이드홈(31b1)이 연통되게 제1반원체(3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반원체(31b)로 구성되어, 밴딩기구(10)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대(31)와;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제2반원체(31b)의 고정홀(31b2)과 연통가능한 체결홀(32a1)을 구비하고, 제1,2반원체(31a,31b)의 가이드홈(31a1,31b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측이 애자고정기구(30)의 지지대(31)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ㅗ'자 형상의 이동체(32a)와, 회동체(32b)의 일측에 측방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의 안착홈(32b1)이 형성되고 타측이 이동체(32a)의 상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체(32b) 및, 회동체(32b)의 안착홈(32b1)을 관통하도록 회동체(32b)의 일측에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체(32c)를 갖춘 한 쌍의 고정대(32)로 이루어진 애자고정기구(30)와:
상방으로 개구된 나사홈(41a)을 구비하여, 제1,2밴딩체(11,12)의 체결홈(11a,12a)과 제1,2반원체(31a,31b)의 연결홀(31a3,31b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볼트(41)와; 상기 제1볼트(41)의 나사홈(4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고정대(32)의 회동체(32b)를 지지하는 제2볼트(42)를 갖춘 다수 개의 체결볼트(40) 및:
제1,2반원체(31a,31b)의 고정홀(31a2,31b2)과 이동체(32a)의 체결홀(32a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볼트(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를 이루는 점퍼선(J)의 활선상태에서, 가공배전선로 수리 또는 가공배전선로와 관련된 작업을 함에 있어, 작업 공간 확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고정기구(30)의 고정대(32)가 고장나더라도, 가공배전선로 수리 작업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장난 고정대(32)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고정기구(30의 고정대(32)의 회동체(32b)의 위치 및, 체결볼트(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가공배전선로 수리 작업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밴딩기구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애자고정기구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W-W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밴딩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X-X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애자고정기구의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 7의 Y-Y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반원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반원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밴딩기구와 애자고정기구의 연결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도 8의 Z-Z선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애자고정기구의 고정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체결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5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밴딩기구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애자고정기구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W-W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밴딩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X-X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애자고정기구의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 7의 Y-Y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반원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반원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밴딩기구와 애자고정기구의 연결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도 8의 Z-Z선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애자고정기구의 고정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체결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밴딩기구(10)와, 점퍼선지지기구(20)와, 애자고정기구(30)와, 체결볼트(40) 및, 고정볼트(50)를 포함한다.
상기 밴딩기구(10)는 제1밴딩체(11)와, 제2밴딩체(12)를 갖추고서, 전주(P)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주(P)에는 완철(F)이 설치된다.
상기 제1밴딩체(11)는 상방으로 개구된 체결홈(11a)이 제1밴딩체(11)의 양측에 구비되고, 반원 형상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홈(11a)은 제1밴딩체(11)의 반원호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밴딩체(12)는 상방으로 개구된 체결홈(12a)이 제2밴딩체(12)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1밴딩체(11)와 이어지는 반원 형상을 이루어, 제1밴딩체(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홈(12a)은 제2밴딩체(12)의 반원호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2밴딩체(11,12)를 볼트를 통해 전주(P)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밴딩기구(10)를 전주(P)에 설치할 시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밴딩기구(10)는 제1밴딩체(11)의 체결홈(11a) 및 제2밴딩체(12)의 체결홈(12a)을 밴딩기구(10)에 형성할 수 있으면, 일측이 개구된 하나의 밴드 형상으로 전주(P)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점퍼선지지기구(20)는 지지대(21)와, 구동기구(22)와, 회전기구(23) 및, 활선작업가능애자(24)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점퍼선지지기구(20)는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대향되게 밴딩기구(10)에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점퍼선지지기구(20)는 완철(F)과 완철(F)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점퍼선지지기구(20)의 지지대(21)는 밴딩기구(10)에 설치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대(21a)와, 밴딩기구(10)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돌출되고, 제1지지대(21a)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대(21b)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제1,2지지대(21a,21b)는 제1,2밴딩체(11,12)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구(22)는, 점퍼선지지기구(20)의 지지대(21)의 제1지지대(21a)를 관통하여 상기 제1지지대(2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이 상기 제1지지대(21a)의 우방으로 돌출되는 회전대(22a)와, 상기 회전대(22a)의 우측에 설치되는 기어(22b) 및, 밴딩기구(10)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대(22a)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2c)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모터(22c)는 제1,2밴딩체(11,12)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22c)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기 제어유닛(미도시) 및, 제어유닛에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유닛(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기구(23)는, 좌측 및 우측이 제1,2지지대(21a,21b)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이 제1지지대(21a)를 관통하여 우방으로 돌출되는 회전대(23a)와, 제1지지대(21a)의 우방에 위치하게 상기 회전대(23a)에 설치되고, 구동기구(22)의 기어(22b)와 맞물리는 기어(23b)를 갖춘다.
상기 활선작업가능애자(24)는 회전기구(23)의 회전대(23a)에 설치되는 연결바(24a)와, 연결바(24a)에 설치되는 애자날개(24b) 및, 연결바(24a)의 하측에 구비되는 점퍼선지지체(24c)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바(24a)는 상기 회전대(23a)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점퍼선지지체(24c)는 점퍼선(J)이 삽입통과한다.
상기 애자고정기구(30)는, 지지대(31)와, 한 쌍의 고정대(3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대(32)는 2개가 구비된다.
상기 애자고정기구(30)의 지지대(31)는, 제1반원체(31a)와, 제2반원체(31b)를 갖추고서, 밴딩기구(10)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반원체(31a)는 제1반원체(31a)의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ㅗ'자 형상의 가이드홈(31a1)과, 제1반원체(31a)의 상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가이드홈(31a1)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고정홀(31a2) 및, 상하로 개구되게 제1반원체(31a)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1밴딩체(11)의 체결홈(11a)과 연통되는 연결홀(31a3)을 갖춘다.
상기 제2반원체(31b)는, 제2반원체(31b)의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ㅗ'자 형상의 가이드홈(31b1)과, 제2반원체(31b)의 상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가이드홈(31b1)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고정홀(31b2)과, 상하로 개구되게 제2반원체(31b)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2밴딩체(12)의 체결홈(12a)과 연통되는 연결홀(31b3)을 구비하여, 제1반원체(31a)의 가이드홈(31a1)과 제2반원체(31b)의 가이드홈(31b1)이 연통되게 제1반원체(3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대(32)는 이동체(32a)와, 회동체(32b) 및, 고정체(32c)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대(32)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체(32a)는,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제2반원체(31b)의 고정홀(31b2)과 연통가능한 체결홀(32a1)을 구비하고, 제1,2반원체(31a,31b)의 가이드홈(31a1,31b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체(32a)는 'ㅗ'자 형상을 이루고, 상측이 애자고정기구(30)의 지지대(31)보다 상방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체(32a)는 제1,2반원체(31a,31b)의 가이드홈(31a1,31b1)을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둘레가 라운드 진다.
상기 회동체(32b)는, 회동체(32b)의 일측에 측방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의 안착홈(32b1)이 형성되고, 타측이 이동체(32a)의 상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체(32c)는, 회동체(32b)의 안착홈(32b1)을 관통하도록 회동체(32b)의 일측에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체결볼트(40)는 제1볼트(41)와, 제2볼트(4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볼트(40)는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1볼트(41)는 상방으로 개구된 나사홈(41a)을 구비하여, 제1,2밴딩체(11,12)의 체결홈(11a,12a)과 제1,2반원체(31a,31b)의 연결홀(31a3,31b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제2볼트(42)는 상기 제1볼트(41)의 나사홈(4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고정대(32)의 회동체(32b)를 지지한다.
상기 고정볼트(50)는 한 쌍을 이루어, 제1,2반원체(31a,31b)의 고정홀(31a2,31b2)과 이동체(32a)의 체결홀(32a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도 15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5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공배전선로를 수리하기 위해, 전주(P)에 오른 작업자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상태에서 작업공간 확보를 위해, 구동기구(22)의 구동모터(22c)를 구동하면, 구동기구(22)의 기어(22b)가 회전하면서 회전기구(23)의 기어(23b)가 회전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선작업가능애자(24)의 위치를 옮길 수 있다.
그러면, 작업자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상태에서 가공배전선로 수리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선작업가능애자(24)를 회전시킨 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고정기구 고정대(32)의 고정체(32c)를 통해 활선작업가능애자(24)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체결볼트(40)를 통해 애자고정기구 고정대(32)의 회동체(32b)를 지지하여, 애자고정기구(30)가 활선작업가능애자(24)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활선작업가능애자(24)가 회전할 시, 가공배전선(L)과 점퍼선(J)의 연결부분에 부하가 걸려 단선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최초 가공배전선(L)과 점퍼선(J)의 연결시 활선작업가능애자(24)의 회전에 따른 부하를 견딜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점퍼선(J)에 이상이 있어, 점퍼선(J)을 활선작업가능애자(24)에서 분리한 후, 작업 공간을 확보할 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선작업가능애자(24)를 배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 수리 시 애자고정기구(30)의 고정대(32)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될 시, 정상적인 나머지 하나의 고정대(32)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자고정기구(30)의 양측에 위치한 고정대(32)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면, 작업자는 고정볼트(50)를 풀어 고장난 고정대(32)와, 애자고정기구(30)의 지지대(31)의 결합을 해제한 후,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난 고정대(32)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고정기구(30)의 고정대(32) 중 정상인 고정대(32)를 이동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애자고정기구(30)의 고정대(32)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정상적인 고정대(32)를 이동시키면서 활선작업가능애자(24)를 고정시킬 수 있어, 고장난 고정대(32)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가공배전선로 수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 수리 작업을 완료한 후, 상기 고정난 고정대(32)를 교체할 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고정기구(30)의 고정대(32)를 이동시키고, 제1반원체(31a)와 제2반원체(31b)의 결합을 풀며, 제2반원체(31b)가 제2밴딩체(12)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반원체(31a)를 고정하는 체결볼트(40)를 풀어 제1반원체(31a)와 제1밴딩체(11)의 결합을 해제한다.
그리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난 고정대(32)가 위치한 제1반원체(31a)를 제2반원체(31b)에서 분리하고, 고장난 고정대(32)를 제1반원체(31a)에서 빼낸 후 새로운 고정대(32)로 교체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반원체(31a)만 애자고정기구(30)의 지지대(31)에서 분리한 후, 다시 제1반원체(31a)를 애자고정기구(30)의 지지대(31)에 결합할 수 있어, 신속하고 편리하게 고장난 고정대(32)를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애자고정기구(30의 고정대(32)의 회동체(32b)가 이동체(32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체결볼트(40)가 제1,2볼트(41,42)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체(32b)의 위치 및 체결볼트(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에 따라 작업 공간 확보가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를 이루는 점퍼선(J)의 활선상태에서, 가공배전선로 수리 또는 가공배전선로와 관련된 작업을 함에 있어, 작업 공간 확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고정기구(30)의 고정대(32)가 고장나더라도, 가공배전선로 수리 작업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장난 고정대(32)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고정기구(30의 고정대(32)의 회동체(32b)의 위치 및, 체결볼트(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가공배전선로 수리 작업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활선작업가능애자(24)를 갖추고서, 가공배전선로를 이루는 점퍼선(J)의 활선 상태에서 가공배전선로 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 및 청구대상을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기구로 정의한다.
10; 밴딩기구 20; 점퍼선지지기구
30; 애자고정기구 40; 체결볼트
50; 고정볼트 P; 전주
F; 완철 J; 점퍼선
L; 가공배전선

Claims (1)

  1. 상방으로 개구된 체결홈(11a)이 제1밴딩체(11)의 양측에 구비되고, 반원 형상을 이루는 제1밴딩체(11)와; 상방으로 개구된 체결홈(12a)이 제2밴딩체(12)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1밴딩체(11)와 이어지는 반원 형상을 이루어, 제1밴딩체(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밴딩체(12)를 갖추고서, 전주(P)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밴딩기구(10)와:
    밴딩기구(10)에 설치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대(21a)와, 밴딩기구(10)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돌출되고, 제1지지대(21a)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대(21b)를 갖춘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의 제1지지대(21a)를 관통하여 상기 제1지지대(2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이 상기 제1지지대(21a)의 우방으로 돌출되는 회전대(22a)와, 상기 회전대(22a)의 우측에 설치되는 기어(22b) 및, 밴딩기구(10)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대(22a)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2c)를 갖춘 구동기구(22)와; 좌측 및 우측이 제1,2지지대(21a,21b)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이 제1지지대(21a)를 관통하여 우방으로 돌출되는 회전대(23a)와, 제1지지대(21a)의 우방에 위치하게 상기 회전대(23a)에 설치되고, 구동기구(22)의 기어(22b)와 맞물리는 기어(23b)를 갖춘 회전기구(23) 및; 회전기구(23)의 회전대(23a)에 설치되는 연결바(24a)와, 연결바(24a)에 설치되는 애자날개(24b) 및, 연결바(24a)의 하측에 구비되는 점퍼선지지체(24c)를 갖춘 활선작업가능애자(24)로 구성되어, 서로 대향되게 밴딩기구(10)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점퍼선지지기구(20)와:
    제1반원체(31a)의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ㅗ'자 형상의 가이드홈(31a1), 제1반원체(31a)의 상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가이드홈(31a1)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고정홀(31a2), 상하로 개구되게 제1반원체(31a)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1밴딩체(11)의 체결홈(11a)과 연통되는 연결홀(31a3)을 구비한 제1반원체(31a)와, 제2반원체(31b)의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ㅗ'자 형상의 가이드홈(31b1), 제2반원체(31b)의 상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가이드홈(31b1)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고정홀(31b2), 상하로 개구되게 제2반원체(31b)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2밴딩체(12)의 체결홈(12a)과 연통되는 연결홀(31b3)을 구비하여, 제1반원체(31a)의 가이드홈(31a1)과 제2반원체(31b)의 가이드홈(31b1)이 연통되게 제1반원체(3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반원체(31b)로 구성되어, 밴딩기구(10)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대(31)와;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제2반원체(31b)의 고정홀(31b2)과 연통가능한 체결홀(32a1)을 구비하고, 제1,2반원체(31a,31b)의 가이드홈(31a1,31b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측이 애자고정기구(30)의 지지대(31)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ㅗ'자 형상의 이동체(32a)와, 회동체(32b)의 일측에 측방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의 안착홈(32b1)이 형성되고 타측이 이동체(32a)의 상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체(32b) 및, 회동체(32b)의 안착홈(32b1)을 관통하도록 회동체(32b)의 일측에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체(32c)를 갖춘 한 쌍의 고정대(32)로 이루어진 애자고정기구(30)와:
    상방으로 개구된 나사홈(41a)을 구비하여, 제1,2밴딩체(11,12)의 체결홈(11a,12a)과 제1,2반원체(31a,31b)의 연결홀(31a3,31b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볼트(41)와; 상기 제1볼트(41)의 나사홈(4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고정대(32)의 회동체(32b)를 지지하는 제2볼트(42)를 갖춘 다수 개의 체결볼트(40) 및:
    제1,2반원체(31a,31b)의 고정홀(31a2,31b2)과 이동체(32a)의 체결홀(32a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볼트(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기구.
KR1020180016575A 2018-02-09 2018-02-09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기구 KR101864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575A KR101864313B1 (ko) 2018-02-09 2018-02-09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575A KR101864313B1 (ko) 2018-02-09 2018-02-09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313B1 true KR101864313B1 (ko) 2018-06-05

Family

ID=62635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575A KR101864313B1 (ko) 2018-02-09 2018-02-09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3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252B1 (ko) 2018-07-13 2018-11-05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KR102047360B1 (ko) 2019-07-03 2019-11-21 주식회사 부창전기 전주에 안정적 고정이 가능한 가공배전선로용 고정기구
KR102047359B1 (ko) 2019-07-02 2019-11-21 주식회사 부창전기 피뢰기능이 향상된 가공배전용 고정기구
CN110571690A (zh) * 2019-09-27 2019-12-13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宜阳县供电公司 一种变电站检修作业平台
KR102472682B1 (ko) * 2022-01-03 2022-12-01 (주)국일 낙뢰 보호형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596B1 (ko) * 2006-03-22 2007-07-12 (주)일광종합기술단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101040283B1 (ko) * 2010-06-30 2011-06-10 한국전력공사 송전선용 금구
KR101493677B1 (ko) * 2014-12-10 2015-02-23 이호성 배전선로 내의 점퍼선 지지구조
KR101625042B1 (ko) 2016-03-22 2016-05-27 김순자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장치
KR101777379B1 (ko) * 2017-06-29 2017-09-12 안성감리설계(주)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KR101787358B1 (ko) * 2017-08-21 2017-10-18 주식회사 삼호기술단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596B1 (ko) * 2006-03-22 2007-07-12 (주)일광종합기술단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101040283B1 (ko) * 2010-06-30 2011-06-10 한국전력공사 송전선용 금구
KR101493677B1 (ko) * 2014-12-10 2015-02-23 이호성 배전선로 내의 점퍼선 지지구조
KR101625042B1 (ko) 2016-03-22 2016-05-27 김순자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장치
KR101777379B1 (ko) * 2017-06-29 2017-09-12 안성감리설계(주)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KR101787358B1 (ko) * 2017-08-21 2017-10-18 주식회사 삼호기술단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252B1 (ko) 2018-07-13 2018-11-05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KR102047359B1 (ko) 2019-07-02 2019-11-21 주식회사 부창전기 피뢰기능이 향상된 가공배전용 고정기구
KR102047360B1 (ko) 2019-07-03 2019-11-21 주식회사 부창전기 전주에 안정적 고정이 가능한 가공배전선로용 고정기구
CN110571690A (zh) * 2019-09-27 2019-12-13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宜阳县供电公司 一种变电站检修作业平台
CN110571690B (zh) * 2019-09-27 2024-03-15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宜阳县供电公司 一种变电站检修作业平台
KR102472682B1 (ko) * 2022-01-03 2022-12-01 (주)국일 낙뢰 보호형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313B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기구
KR101884261B1 (ko) 보수가 용이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CN102822563B (zh) 管线布线设备、尤其是能量导引链
EP3195952B1 (en) Omnidirectional manipulator for use with spring forming machine
KR20090076823A (ko) 인시튜 비히클 시스템
CN108555954A (zh) 一种自动抓举零件的机电设备
KR101674902B1 (ko) 관절형 엘보 접속재 조작장치
JP4077479B2 (ja) 単軸ロボット
JP2016226074A (ja) 防護管接続挿入機
JP6424028B2 (ja) 工作機械の配置構造
US2278216A (en) Machine tool
KR101884264B1 (ko) 클램프를 활용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CA2964539C (en) Cured in place (cipp) liner feed roller
US2282699A (en) Power transmission unit
US2650521A (en) Means for mounting machine tool attachments
GB2566130A (en) Robot weld positioning device
US2512419A (en) Saw table with vertically adjustable circular saw
CN213568834U (zh) 一种便于纱线整理装置
US2774642A (en) Adjustable table for milling machines
US2575250A (en) Woodworking tool fence supporting structure
EP2335865B1 (en) Toolholder head
US20160099562A1 (en) Electrical system and support assembly therefor
JP2009202289A (ja) 両頭研削盤
JP2021030294A5 (ko)
JPH0484692A (ja) 工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