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261B1 - 보수가 용이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보수가 용이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261B1
KR101884261B1 KR1020180016907A KR20180016907A KR101884261B1 KR 101884261 B1 KR101884261 B1 KR 101884261B1 KR 1020180016907 A KR1020180016907 A KR 1020180016907A KR 20180016907 A KR20180016907 A KR 20180016907A KR 101884261 B1 KR101884261 B1 KR 101884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jumper wire
insulator
groove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효선
정금준
진동현
강종주
Original Assignee
(주)대웅전기종합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웅전기종합감리 filed Critical (주)대웅전기종합감리
Priority to KR1020180016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수가 용이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밴딩고정기구(10)와, 점퍼선회동기구(20)와, 점퍼선고정기구(60)와, 보수공구요청음성기구(70)와, 애자고정기구(30)과, 체결볼트(40) 및, 고정볼트(50)를 갖추어, 보수가 쉽고 보수시 작업 공간 확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수가 용이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Fixing Equipment Of Aerial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보수가 용이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배전선로가 전주에 가설되고, 가설된 가공배전선로를 통해 전력의 배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가공배전선로를 이루는 점퍼선(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배전선 고정장치(2)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가공배전선 고정장치(2)는 문제가 발생할 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2)로부터 점퍼선(1)을 쉽게 분리할 수 없어,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쉽게 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가공배전선 고정장치(2)는 작업자가 보수 중 공구 등이 필요할 시, 이를 신속하게 공급받을 수 없었다.
한편, 작업자가 가공배전선로를 보수할 시, 가공배전선을 활선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가공배전선로를 보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가공배전선의 위치를 옮겨 가면서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데, 이러한 경우 작업자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작업자가 보수 작업을 하는 데 있어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2472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문제가 발생할 시 쉽고 신속하게 보수할 수 있고, 가공배전선로 수리시 활선 상태 가공배전선(점퍼선)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가공배전선로를 수리할 수 있는 '보수가 용이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점퍼선(1)을 지지하는 가공배전선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공배전선 고정장치는,
상방으로 개구된 체결홈(11a)이 제1결합체(11)의 양측에 구비되고, 반원 형상을 이루는 제1결합체(11)와; 상방으로 개구된 체결홈(12a)이 제2결합체(12)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1결합체(11)와 이어지는 반원 형상을 이루어, 제1결합체(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결합체(12)를 갖추고서, 전주(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밴딩고정기구(10)와:
밴딩고정기구(10)에 설치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대(21a)와, 밴딩고정기구(10)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돌출되고, 제1지지대(21a)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대(21b)를 갖춘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의 제1지지대(21a)를 관통하여 상기 제1지지대(2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이 상기 제1지지대(21a)의 우방으로 돌출되는 회전대(22a)와, 상기 회전대(22a)의 우측에 설치되는 기어(22b) 및, 밴딩고정기구(10)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대(22a)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2c)를 갖춘 구동기구(22)와; 좌측 및 우측이 제1,2지지대(21a,21b)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이 제1지지대(21a)를 관통하여 우방으로 돌출되는 회전대(23a)와, 제1지지대(21a)의 우방에 위치하게 상기 회전대(23a)에 설치되고, 구동기구(22)의 기어(22b)와 맞물리는 기어(23b)를 갖춘 회전기구(23) 및; 회전기구(23)의 회전대(23a)에 설치되는 연결바(24a)와, 연결바(24a)에 설치되는 애자날개(24b)를 갖춘 애자(24)로 구성되되, 연결바(24a)가 애자고정기구(30)를 향해 기울어질수 있게 구성되어, 서로 대향되게 밴딩고정기구(10)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점퍼선회동기구(20)와:
덮개(61)의 양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나사홀(61a)과,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삽입홀(61b)을 구비하여, 애자(24)의 연결바(24a)의 하측에 설치되는 덮개(61)와; 점퍼선안착체(62)의 양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덮개(61)의 나사홀(61a)과 연통되는 연결홈(62a)과, 상방으로 개구되고 덮개(61)의 삽입홀(61b)과 연통되는 점퍼선안착홈(62b)을 구비하여, 덮개(6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점퍼선안착체(62)와; 덮개(61)의 나사홀(61a)과 점퍼선안착체(62)의 연결홈(62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결합볼트(63) 및; 하측이 점퍼선안착체(62)의 점퍼선안착홈(62b)으로 돌출되도록 덮개(61)의 삽입홀(61b)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고정판(64)을 갖춘 한 쌍의 점퍼선고정기구(60)와:
마이크로폰(71)과; 스피커(72) 및; 마이크로폰(71)으로부터의 음성을 무선송출하고, 무선수신한 음성을 스피커(72)로 출력하는 송수신기(73)를 갖추고서, 밴딩고정기구(10)에 설치되는 보수공구요청음성기구(70)와:
제1반원체(31a)의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ㅗ'자 형상의 가이드홈(31a1), 제1반원체(31a)의 상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가이드홈(31a1)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고정홀(31a2), 상하로 개구되게 제1반원체(31a)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1결합체(11)의 체결홈(11a)과 연통되는 연결홀(31a3)을 구비한 제1반원체(31a)와, 제2반원체(31b)의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ㅗ'자 형상의 가이드홈(31b1), 제2반원체(31b)의 상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가이드홈(31b1)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고정홀(31b2), 상하로 개구되게 제2반원체(31b)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2결합체(12)의 체결홈(12a)과 연통되는 연결홀(31b3)을 구비하여, 제1반원체(31a)의 가이드홈(31a1)과 제2반원체(31b)의 가이드홈(31b1)이 연통되게 제1반원체(3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반원체(31b)로 구성되어, 밴딩고정기구(10)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대(31)와;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제2반원체(31b)의 고정홀(31b2)과 연통가능한 체결홀(32a1)을 구비하고, 제1,2반원체(31a,31b)의 가이드홈(31a1,31b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측이 애자고정기구(30)의 지지대(31)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ㅗ'자 형상의 이동체(32a)와, 회동체(32b)의 일측에 측방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의 안착홈(32b1)이 형성되고 타측이 이동체(32a)의 상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안착홈(32b1)에 애자(24)의 연결바(24a)가 삽탈가능하게 배치되는 회동체(32b) 및, 회동체(32b)의 안착홈(32b1)을 관통하도록 회동체(32b)의 일측에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체(32c)를 갖춘 한 쌍의 고정대(32)로 이루어진 애자고정기구(30)와:
상방으로 개구된 나사홈(41a)을 구비하여, 제1,2결합체(11,12)의 체결홈(11a,12a)과 제1,2반원체(31a,31b)의 연결홀(31a3,31b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볼트(41)와; 상기 제1볼트(41)의 나사홈(4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고정대(32)의 회동체(32b)를 지지하는 제2볼트(42)를 갖춘 다수 개의 체결볼트(40) 및:
제1,2반원체(31a,31b)의 고정홀(31a2,31b2)과 이동체(32a)의 체결홀(32a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볼트(50)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본 발명의 가공배전선 고정장치를 보수할 시, 필요한 보수 공구를 신속하게 전달 받을 수 있어, 가공배전선 고정장치의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퍼선(1)을 점퍼선고정기구(60)에 안정적으로 착탈 및 고정할 수 있어, 작업자가 본 발명의 가공배전선 고정장치를 보수할 시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퍼선고정기구(60)를 통해 점퍼선(1)의 굵기에 상관없이 점퍼선(1)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 수리 시 작업 공간 확보가 쉬운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밴딩고정기구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애자고정기구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점퍼선고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보수공구요청음성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W-W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밴딩고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X-X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애자고정기구의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 11의 Y-Y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반원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1반원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밴딩고정기구와 애자고정기구의 연결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도 12의 Z-Z선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애자고정기구의 고정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체결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9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밴딩고정기구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애자고정기구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점퍼선고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보수공구요청음성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W-W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밴딩고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X-X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애자고정기구의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 11의 Y-Y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반원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1반원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밴딩고정기구와 애자고정기구의 연결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도 12의 Z-Z선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애자고정기구의 고정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체결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2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고정장치는, 점퍼선(1)을 지지하는 가공배전선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공배전선 고정장치는 밴딩고정기구(10)와, 점퍼선회동기구(20)와, 점퍼선고정기구(60)와, 보수공구요청음성기구(70)와, 애자고정기구(30)와, 체결볼트(40) 및, 고정볼트(50)를 포함한다.
상기 밴딩고정기구(10)는 제1결합체(11)와, 제2결합체(12)를 갖추고서, 전주(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주(4)에는 완철(5)이 설치된다.
상기 제1결합체(11)는 상방으로 개구된 체결홈(11a)이 제1결합체(11)의 양측에 구비되고, 반원 형상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홈(11a)은 제1결합체(11)의 반원호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결합체(12)는 상방으로 개구된 체결홈(12a)이 제2결합체(12)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1결합체(11)와 이어지는 반원 형상을 이루어, 제1결합체(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홈(12a)은 제2결합체(12)의 반원호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2결합체(11,12)를 볼트를 통해 전주(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밴딩고정기구(10)를 전주(4)에 설치할 시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밴딩고정기구(10)는 제1결합체(11)의 체결홈(11a) 및 제2결합체(12)의 체결홈(12a)을 밴딩고정기구(10)에 형성할 수 있으면, 일측이 개구된 하나의 밴드 형상으로 전주(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점퍼선회동기구(20)는 지지대(21)와, 구동기구(22)와, 회전기구(23) 및, 애자(24)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점퍼선회동기구(20)는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대향되게 밴딩고정기구(10)에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점퍼선회동기구(20)는 완철(5)과 완철(5)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점퍼선회동기구(20)의 지지대(21)는 밴딩고정기구(10)에 설치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대(21a)와, 밴딩고정기구(10)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돌출되고, 제1지지대(21a)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대(21b)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제1,2지지대(21a,21b)는 제1,2결합체(11,12)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구(22)는, 점퍼선회동기구(20)의 지지대(21)의 제1지지대(21a)를 관통하여 상기 제1지지대(2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이 상기 제1지지대(21a)의 우방으로 돌출되는 회전대(22a)와, 상기 회전대(22a)의 우측에 설치되는 기어(22b) 및, 밴딩고정기구(10)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대(22a)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2c)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모터(22c)는 제1,2결합체(11,12)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22c)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기 제어유닛(미도시) 및, 제어유닛에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유닛(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기구(23)는, 좌측 및 우측이 제1,2지지대(21a,21b)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이 제1지지대(21a)를 관통하여 우방으로 돌출되는 회전대(23a)와, 제1지지대(21a)의 우방에 위치하게 상기 회전대(23a)에 설치되고, 구동기구(22)의 기어(22b)와 맞물리는 기어(23b)를 갖춘다.
상기 애자(24)는 회전기구(23)의 회전대(23a)에 설치되는 연결바(24a)와, 연결바(24a)에 설치되는 애자날개(24b)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바(24a)는 상기 회전대(23a)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점퍼선고정기구(60)는 덮개(61)와, 점퍼선안착체(62)와, 결합볼트(63) 및, 고정판(64)를 갖추고서, 한 쌍의 점퍼선고정기구(60)가 점퍼선회동기구(20)의 연결바(24a)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덮개(61)는 덮개(61)의 양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나사홀(61a)과,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삽입홀(61b)을 구비하여, 애자(24)의 연결바(24a)의 하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홀(61b)는 상기 나사홀(61a)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점퍼선안착체(62)는 점퍼선안착체(62)의 양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덮개(61)의 나사홀(61a)과 연통되는 연결홈(62a)과, 상방으로 개구되고 덮개(61)의 삽입홀(61b)과 연통되는 점퍼선안착홈(62b)을 구비하여, 덮개(61)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결합볼트(63)는 덮개(61)의 나사홀(61a)과 점퍼선안착체(62)의 연결홈(62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고정판(64)은 하측이 점퍼선안착체(62)의 점퍼선안착홈(62b)으로 돌출되도록 덮개(61)의 삽입홀(61b)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판(64)은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보수공구요청음성기구(70)는 마이크로폰(71)과, 스피커(72) 및, 마이크로폰(71)으로부터의 음성을 무선송출하고, 무선수신한 음성을 스피커(72)로 출력하는 송수신기(73)를 갖추고서, 밴딩고정기구(1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송수신기(73)의 별도의 관리센터와 신호를 주고 받는다.
상기 애자고정기구(30)는, 지지대(31)와, 한 쌍의 고정대(32)를 갖춘다.
상기 애자고정기구(30)의 지지대(31)는, 제1반원체(31a)와, 제2반원체(31b)를 갖추고서, 밴딩고정기구(10)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반원체(31a)는 제1반원체(31a)의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ㅗ'자 형상의 가이드홈(31a1)과, 제1반원체(31a)의 상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가이드홈(31a1)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고정홀(31a2) 및, 상하로 개구되게 제1반원체(31a)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1결합체(11)의 체결홈(11a)과 연통되는 연결홀(31a3)을 갖춘다.
상기 제2반원체(31b)는, 제2반원체(31b)의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ㅗ'자 형상의 가이드홈(31b1)과, 제2반원체(31b)의 상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가이드홈(31b1)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고정홀(31b2)과, 상하로 개구되게 제2반원체(31b)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2결합체(12)의 체결홈(12a)과 연통되는 연결홀(31b3)을 구비하여, 제1반원체(31a)의 가이드홈(31a1)과 제2반원체(31b)의 가이드홈(31b1)이 연통되게 제1반원체(3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대(32)는 이동체(32a)와, 회동체(32b) 및, 고정체(32c)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대(32)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체(32a)는,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제2반원체(31b)의 고정홀(31b2)과 연통가능한 체결홀(32a1)을 구비하고, 제1,2반원체(31a,31b)의 가이드홈(31a1,31b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체(32a)는 'ㅗ'자 형상을 이루고, 상측이 애자고정기구(30)의 지지대(31)보다 상방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체(32a)는 제1,2반원체(31a,31b)의 가이드홈(31a1,31b1)을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둘레가 라운드 진다.
상기 회동체(32b)는, 회동체(32b)의 일측에 측방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의 안착홈(32b1)이 형성되고, 타측이 이동체(32a)의 상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체(32c)는, 회동체(32b)의 안착홈(32b1)을 관통하도록 회동체(32b)의 일측에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체결볼트(40)는 제1볼트(41)와, 제2볼트(4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볼트(40)는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1볼트(41)는 상방으로 개구된 나사홈(41a)을 구비하여, 제1,2결합체(11,12)의 체결홈(11a,12a)과 제1,2반원체(31a,31b)의 연결홀(31a3,31b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제2볼트(42)는 상기 제1볼트(41)의 나사홈(4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고정대(32)의 회동체(32b)를 지지한다.
상기 고정볼트(50)는 한 쌍을 이루어, 제1,2반원체(31a,31b)의 고정홀(31a2,31b2)과 이동체(32a)의 체결홀(32a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도 19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9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가공배전선 고정장치의 점퍼선고정기구(60) 또는 가공배전선 고정장치의 다른 구성을 보수하기 위해 작업자가 전주(4)에 올라갈 시, 작업자가 실수로 보수용 공구를 가져 오지 않았을 경우, 작업자는 보수공구요청음성기구(70)를 구동한다. 이때 작업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71)에 보수공구 요청 음성을 방출하면, 송수신기(73)를 통해 별도의 관리센터(또는 지상 주변 동료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보수공구 요청 음성이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관리센터에서는 해당 작업자에게 필요한 공구가 전달되도록 조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점퍼선(1)을 보수할 시, 점퍼선고정기구(60)의 덮개(61)와 점퍼선안착체(62)를 분리하여, 점퍼선(1)을 점퍼선고정기구(60)로부터 빼내어, 보다 편리하게 점퍼선(1)을 보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점퍼선고정기구(60)를 통해 점퍼선(1)의 굵기에 상관없이 점퍼선(1)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즉,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퍼선(1)의 굵기에 따라 점퍼선고정기구(60)의 고정판(64)의 위치를 조절하여, 점퍼선(1)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퍼선고정기구(60)의 점퍼선안착체(62)를 점퍼선고정기구(60)의 덮개(61)로부터 이격되게 배치한 후, 점퍼선고정기구(60)의 결합볼트(63)를 통해 상기 덮개(61)와 점퍼선안착체(62)를 결합한 후, 점퍼선고정기구(60)의 고정판(64)을 상기 덮개(61) 및 점퍼선안착체(62)에 설치함으로써, 점퍼선(1)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가공배전선로를 수리하기 위해, 전주(4)에 오른 작업자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상태에서 작업공간 확보를 위해, 구동기구(22)의 구동모터(22c)를 구동하면, 구동기구(22)의 기어(22b)가 회전하면서 회전기구(23)의 기어(23b)가 회전하여,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24)의 위치를 옮길 수 있다.
그러면, 작업자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상태에서 가공배전선로 수리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24)를 회전시킨 후,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고정기구(30)의 고정대(32)의 고정체(32c)를 통해 애자(24)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체결볼트(40)를 통해 애자고정기구 고정대(32)의 회동체(32b)를 지지하여, 애자고정기구(30)가 애자(24)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애자(24)가 회전할 시, 가공배전선(3)과 점퍼선(1)의 연결부분에 부하가 걸려 단선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최초 가공배전선(3)과 점퍼선(1)의 연결시 애자(24)의 회전에 따른 부하를 견딜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점퍼선(1)에 이상이 있어, 점퍼선(1)을 애자(24)에서 분리한 후, 작업 공간을 확보할 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24)를 배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 수리 시 애자고정기구(30)의 고정대(32)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될 시, 정상적인 나머지 하나의 고정대(32)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자고정기구(30)의 양측에 위치한 고정대(32)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면, 작업자는 고정볼트(50)를 풀어 고장난 고정대(32)와, 애자고정기구(30)의 지지대(31)의 결합을 해제한 후,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난 고정대(32)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고정기구(30)의 고정대(32) 중 정상인 고정대(32)를 이동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애자고정기구(30)의 고정대(32)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정상적인 고정대(32)를 이동시키면서 애자(24)를 고정시킬 수 있어, 고장난 고정대(32)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가공배전선로 수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 수리 작업을 완료한 후, 상기 고정난 고정대(32)를 교체할 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고정기구(30)의 고정대(32)를 이동시키고, 제1반원체(31a)와 제2반원체(31b)의 결합을 풀며, 제2반원체(31b)가 제2결합체(12)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반원체(31a)를 고정하는 체결볼트(40)를 풀어 제1반원체(31a)와 제1결합체(11)의 결합을 해제한다.
그리고,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난 고정대(32)가 위치한 제1반원체(31a)를 제2반원체(31b)에서 분리하고, 고장난 고정대(32)를 제1반원체(31a)에서 빼낸 후 새로운 고정대(32)로 교체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반원체(31a)만 애자고정기구(30)의 지지대(31)에서 분리한 후, 다시 제1반원체(31a)를 애자고정기구(30)의 지지대(31)에 결합할 수 있어, 신속하고 편리하게 고장난 고정대(32)를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애자고정기구(30의 고정대(32)의 회동체(32b)가 이동체(32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체결볼트(40)가 제1,2볼트(41,42)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체(32b)의 위치 및 체결볼트(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에 따라 작업 공간 확보가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작업자가 본 발명의 가공배전선 고정장치를 보수할 시, 필요한 보수 공구를 신속하게 전달 받을 수 있어, 가공배전선 고정장치의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퍼선(1)을 점퍼선고정기구(60)에 안정적으로 착탈 및 고정할 수 있어, 작업자가 본 발명의 가공배전선 고정장치를 보수할 시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퍼선고정기구(60)를 통해 점퍼선(1)의 굵기에 상관없이 점퍼선(1)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를 이루는 점퍼선(1)의 활선상태에서, 가공배전선로 수리 또는 가공배전선로와 관련된 작업을 함에 있어, 작업 공간 확보가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고정기구(30)의 고정대(32)가 고장나더라도, 가공배전선로 수리 작업 공간 확보를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장난 고정대(32)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고정기구(30의 고정대(32)의 회동체(32b)의 위치 및, 체결볼트(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가공배전선로 수리 작업 공간 확보를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 중 하나인 점퍼선(1)을 고정하고, 본 발명의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점퍼선고정기구(60) 및 보수공구요청음성기구(70)를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보수가 용이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가공배전선 고정장치로 정의한다.
10; 밴딩고정기구 11; 제1결합체
12; 제2결합체 20; 점퍼선회동기구
21; 지지대 22; 구동기구
23; 회전기구 24; 애자
30; 애자고정기구 31; 지지대
32; 고정대 40; 체결볼트
41; 제1볼트 42; 제2볼트
50; 고정볼트 60; 점퍼선고정기구
61; 덮개 62; 점퍼선안착체
63; 결합볼트 64; 고정판
70; 보수공구요청음성기구 71; 마이크로폰
72; 스피커 73; 송수신기

Claims (1)

  1. 점퍼선(1)을 지지하는 가공배전선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공배전선 고정장치는,
    상방으로 개구된 체결홈(11a)이 제1결합체(11)의 양측에 구비되고, 반원 형상을 이루는 제1결합체(11)와; 상방으로 개구된 체결홈(12a)이 제2결합체(12)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1결합체(11)와 이어지는 반원 형상을 이루어, 제1결합체(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결합체(12)를 갖추고서, 전주(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밴딩고정기구(10)와:
    밴딩고정기구(10)에 설치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대(21a)와, 밴딩고정기구(10)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돌출되고, 제1지지대(21a)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대(21b)를 갖춘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의 제1지지대(21a)를 관통하여 상기 제1지지대(2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이 상기 제1지지대(21a)의 우방으로 돌출되는 회전대(22a)와, 상기 회전대(22a)의 우측에 설치되는 기어(22b) 및, 밴딩고정기구(10)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대(22a)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2c)를 갖춘 구동기구(22)와; 좌측 및 우측이 제1,2지지대(21a,21b)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이 제1지지대(21a)를 관통하여 우방으로 돌출되는 회전대(23a)와, 제1지지대(21a)의 우방에 위치하게 상기 회전대(23a)에 설치되고, 구동기구(22)의 기어(22b)와 맞물리는 기어(23b)를 갖춘 회전기구(23) 및; 회전기구(23)의 회전대(23a)에 설치되는 연결바(24a)와, 연결바(24a)에 설치되는 애자날개(24b)를 갖춘 애자(24)로 구성되되, 연결바(24a)가 애자고정기구(30)를 향해 기울어질수 있게 구성되어, 서로 대향되게 밴딩고정기구(10)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점퍼선회동기구(20)와:
    덮개(61)의 양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나사홀(61a)과,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삽입홀(61b)을 구비하여, 애자(24)의 연결바(24a)의 하측에 설치되는 덮개(61)와; 점퍼선안착체(62)의 양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덮개(61)의 나사홀(61a)과 연통되는 연결홈(62a)과, 상방으로 개구되고 덮개(61)의 삽입홀(61b)과 연통되는 점퍼선안착홈(62b)을 구비하여, 덮개(6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점퍼선안착체(62)와; 덮개(61)의 나사홀(61a)과 점퍼선안착체(62)의 연결홈(62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결합볼트(63) 및; 하측이 점퍼선안착체(62)의 점퍼선안착홈(62b)으로 돌출되도록 덮개(61)의 삽입홀(61b)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고정판(64)을 갖춘 한 쌍의 점퍼선고정기구(60)와:
    마이크로폰(71)과; 스피커(72) 및; 마이크로폰(71)으로부터의 음성을 무선송출하고, 무선수신한 음성을 스피커(72)로 출력하는 송수신기(73)를 갖추고서, 밴딩고정기구(10)에 설치되는 보수공구요청음성기구(70)와:
    제1반원체(31a)의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ㅗ'자 형상의 가이드홈(31a1), 제1반원체(31a)의 상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가이드홈(31a1)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고정홀(31a2), 상하로 개구되게 제1반원체(31a)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1결합체(11)의 체결홈(11a)과 연통되는 연결홀(31a3)을 구비한 제1반원체(31a)와, 제2반원체(31b)의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ㅗ'자 형상의 가이드홈(31b1), 제2반원체(31b)의 상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가이드홈(31b1)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고정홀(31b2), 상하로 개구되게 제2반원체(31b)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2결합체(12)의 체결홈(12a)과 연통되는 연결홀(31b3)을 구비하여, 제1반원체(31a)의 가이드홈(31a1)과 제2반원체(31b)의 가이드홈(31b1)이 연통되게 제1반원체(3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반원체(31b)로 구성되어, 밴딩고정기구(10)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대(31)와;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제2반원체(31b)의 고정홀(31b2)과 연통가능한 체결홀(32a1)을 구비하고, 제1,2반원체(31a,31b)의 가이드홈(31a1,31b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측이 애자고정기구(30)의 지지대(31)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ㅗ'자 형상의 이동체(32a)와, 회동체(32b)의 일측에 측방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의 안착홈(32b1)이 형성되고 타측이 이동체(32a)의 상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안착홈(32b1)에 애자(24)의 연결바(24a)가 삽탈가능하게 배치되는 회동체(32b) 및, 회동체(32b)의 안착홈(32b1)을 관통하도록 회동체(32b)의 일측에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체(32c)를 갖춘 한 쌍의 고정대(32)로 이루어진 애자고정기구(30)와:
    상방으로 개구된 나사홈(41a)을 구비하여, 제1,2결합체(11,12)의 체결홈(11a,12a)과 제1,2반원체(31a,31b)의 연결홀(31a3,31b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볼트(41)와; 상기 제1볼트(41)의 나사홈(4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고정대(32)의 회동체(32b)를 지지하는 제2볼트(42)를 갖춘 다수 개의 체결볼트(40) 및:
    제1,2반원체(31a,31b)의 고정홀(31a2,31b2)과 이동체(32a)의 체결홀(32a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볼트(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KR1020180016907A 2018-02-12 2018-02-12 보수가 용이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KR101884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907A KR101884261B1 (ko) 2018-02-12 2018-02-12 보수가 용이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907A KR101884261B1 (ko) 2018-02-12 2018-02-12 보수가 용이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261B1 true KR101884261B1 (ko) 2018-08-01

Family

ID=63227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907A KR101884261B1 (ko) 2018-02-12 2018-02-12 보수가 용이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2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260B1 (ko) * 2022-01-14 2022-09-02 주식회사 세림이엔지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용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라인 접속기구
KR102457795B1 (ko) * 2022-01-17 2022-10-24 주식회사 세림이엔지 지중배전선의 코너 배치가 편리한 편의성 향상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457764B1 (ko) * 2022-01-20 2022-10-24 부창엔지니어링(주) 전력구내 설치가 편리한 기능성 향상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457762B1 (ko) * 2022-01-21 2022-10-24 부창엔지니어링(주) 지중배전상태 점검이 편리한 안전형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677B1 (ko) * 2014-12-10 2015-02-23 이호성 배전선로 내의 점퍼선 지지구조
KR101587512B1 (ko) * 2015-07-29 2016-02-02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애자장치
KR101624726B1 (ko) 2016-03-10 2016-05-26 주식회사 삼일엔지니어링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식 애자
KR101777379B1 (ko) * 2017-06-29 2017-09-12 안성감리설계(주)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677B1 (ko) * 2014-12-10 2015-02-23 이호성 배전선로 내의 점퍼선 지지구조
KR101587512B1 (ko) * 2015-07-29 2016-02-02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애자장치
KR101624726B1 (ko) 2016-03-10 2016-05-26 주식회사 삼일엔지니어링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식 애자
KR101777379B1 (ko) * 2017-06-29 2017-09-12 안성감리설계(주)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260B1 (ko) * 2022-01-14 2022-09-02 주식회사 세림이엔지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용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라인 접속기구
KR102457795B1 (ko) * 2022-01-17 2022-10-24 주식회사 세림이엔지 지중배전선의 코너 배치가 편리한 편의성 향상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457764B1 (ko) * 2022-01-20 2022-10-24 부창엔지니어링(주) 전력구내 설치가 편리한 기능성 향상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457762B1 (ko) * 2022-01-21 2022-10-24 부창엔지니어링(주) 지중배전상태 점검이 편리한 안전형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261B1 (ko) 보수가 용이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KR101864313B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기구
KR200490181Y1 (ko) 공작 기계
US20080253871A1 (en) Robotic work cell and method of operation
US10421167B2 (en) Movable stand with casters and processing machine line
KR102173950B1 (ko) 패널용 수직 수평 보링 장치
US9108281B2 (en) Multi-spindle fastening system
KR101884264B1 (ko) 클램프를 활용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KR101674902B1 (ko) 관절형 엘보 접속재 조작장치
US10279445B2 (en) Conveyance jig for separate type control panel
KR20100090532A (ko) 부스바 가공장치
US8881359B2 (en) Machine tool assembling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machine tool using machine tool assembling apparatus
CN204934616U (zh) 一种高精度数控车床
KR101422092B1 (ko) 범퍼 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범퍼 천공 방법
CN202239939U (zh) 双圆立柱大型卧式金属带锯床
KR101536425B1 (ko) 모터코어의 접착력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20120064919A (ko) 그라인더 지지장치
CN103199407B (zh) 剥线机用夹线模组
KR200226459Y1 (ko) 절삭 홀더 교환장치
KR200481447Y1 (ko)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
JP2009202289A (ja) 両頭研削盤
CN211237261U (zh) 一种用于电机拆装维修的实训台
CN105089271A (zh) 机械式预埋螺栓定位安装组件
CN220881512U (zh) 一种立式加工中心的肩扛式刀库
CN220074305U (zh) 一种开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