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596B1 -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 Google Patents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596B1
KR100738596B1 KR1020060026232A KR20060026232A KR100738596B1 KR 100738596 B1 KR100738596 B1 KR 100738596B1 KR 1020060026232 A KR1020060026232 A KR 1020060026232A KR 20060026232 A KR20060026232 A KR 20060026232A KR 100738596 B1 KR100738596 B1 KR 100738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mper wire
support
angle adjusting
coupling hole
rota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일
Original Assignee
(주)일광종합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광종합기술단 filed Critical (주)일광종합기술단
Priority to KR1020060026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045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with separate wing abutment strips, e.g. adjustable; Door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에 관한 것으로서, 전주 또는 철탑의 완금에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 결합공을 통해 결합되는 제1 및 제2나사 부분의 하단에 접합된 베이스 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지지보강용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 지지봉과, 상부 지지봉 저부로부터 연장되되 중앙에는 제1센터결합공, 가장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제1 각도 조정 결합공이 형성된 제1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을 구비하는 제1고정체와, 하부지지봉 상에 결합된 다수의 원반상의 절연체와, 하부지지봉 상단에서 상호 분기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지지편에 각각 제1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의 양측에서 대향되게 밀착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되되 제1센터 결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및 제3센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제1각도 조정 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및 제3 각도 조정 결합공이 형성된 제2 및 제3 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과, 하부지지봉 하부에 상호 다른 직경의 점퍼선이 관통되게 지지될 수 있게 수용홀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점퍼선 수용부재 및 수용홀에 수용된 점퍼선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제2고정체를 구비한다. 이러한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에 의하면, 완금에 대해 점퍼선을 하향 시공할 있으면서도 점퍼선 지지를 위한 회동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작업성이 좋고, 횡방향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insulator for supporting jumper wire of electric ca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선 지지용 애자가 전주의 완금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도 1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의 결합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제1고정체 120: 제1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
140: 지지보강부재 160: 제2고정체
170: 제2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 180: 제3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
본 발명은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풍압에 따라 점퍼선이 전주 또는 철탑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점퍼선을 지지하는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생성된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되고, 변전소에서는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전력수용가로 공급된다.
이러한 송배전과정에서 전력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철탑 또는 전주를 통해 연결된 전력선을 통해 공급된다.
그런데, 각 철탑 또는 전주에서 전력선은 점퍼선을 이용하여 연결되고, 통상적으로 점퍼선을 완금 상부에서 완금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시설하였다. 그런데, 이 경우 조류 등이 점퍼선을 지지대로 활용하여 둥지를 틀게 됨으로써 둥지가 선로에 접촉하는 경우 정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완금에 대해 하방으로 점퍼선을 설치할 수 있는 점퍼선 지지용 애자가 국내 공개특허 제1999-0084162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점퍼선 지지용 애자는 완금에 대해 하나의 관통공을 통해 체결됨으로써 풍압에 의해 애자가 회전될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 점퍼선이 감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 지지봉과 하부지지봉이 결합요돌조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전주에서 직접 상부지지봉에 대해 하부지지봉의 각도를 조정하고자 할 경우 하부지지봉을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작업자가 상부지지봉의 결합요돌조에 끼움결합시키고, 이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부 지지봉의 하중을 작업자가 견디면서 볼트와 너트를 상호 조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하부 지지봉이 상부 지지봉에 대해 경사지게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지 지봉의 무게중심이 상부 지지봉에 대해 경사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횡방향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할 수 없는 구조적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현장에서의 각도 조정에 대한 작업성이 좋으면서도 완금에 대한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도 조정 상태에서 횡방향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는 지상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 송배전용 지주의 완금에 전력선을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에 있어서, 상기 완금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 결합공을 통해 너트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제1 및 제2나사 부분과, 상기 제1및 제2나사부분의 하단 상호 간이 접합된 베이스 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보강용 관통공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상부 지지봉과, 상기 상부 지지봉 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제1센터결합공, 가장자리 주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다수의 제1 각도 조정 결합공이 형성된 제1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을 구비하는 제1고정체와; 일정길이로 연장된 하부지지봉과, 상기 하부지지봉상에 결합된 다수의 원반상의 절연 체와, 상기 하부지지봉 상단에서 상호 분기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지지편에 각각 상기 제1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의 양측에서 대향되게 밀착 지지될 수 있게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센터 결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및 제3센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각도 조정 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및 제3 각도 조정 결합공이 형성된 제2 및 제3 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과, 상기 하부지지봉 하부로 연장되어 상호 다른 직경의 점퍼선이 관통되게 지지될 수 있게 상호 다른 직경의 수용홀이 상호 이격되되 측방향으로 열리게 형성된 점퍼선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홀의 측방향으로 열린 개방부분에 대향되게 상기 점퍼선 수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홀에 수용된 상기 점퍼선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제2고정체를 구비하고, 제1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 양측에서 상기 제2 및 제3 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이 대향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센터 결합공 내지 제3센터 결합공이 동축상으로 제1 고정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되, 상기 상부 지지봉에 대한 상기 하부지지봉의 회동각도는 상기 하부지지봉을 상기 상부지지봉에 대해 원하는 각도 만큼 회동시키되 상기 제1각도 조정 결합공과 상기 제2 및 제3각도 조정결합공이 대향되게 어레이된 상태에서 제2고정부재에 의해 상호 관통되게 결합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지지봉에 형성된 지지보강용 관통공과 상기 각도조정 결합공 상호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보강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보강부재는 관형 튜브형태로 형성되되 양단 내측에 일정길이 나사선이 형성된 길이조정바와; ㄱ자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되 양단 각각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 고, 일단은 상기 길이조정바에 나사 결합되어 결합되는 꺽쇠형 결합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종단이 상방으로 절곡된 고리와; 상기 고리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지지편을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걸편;을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선 지지용 애자가 전주의 완금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도 1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의 결합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점퍼선 지지용 애자(100)는 전주(10) 상단에 설치된 완금(20)에 하방으로 설치되어 있다.
완금(20)은 송배전용 지주의 일 예로서 적용된 전주(10) 상단에서 전주(10)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관통된 제1 고정결합공(21) 및 제2고정결합공(22)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하나의 전력선(3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구조만 도시하였고, 다수의 전력선(30)을 상호 연결하는 경우 대응되는 위치에 제1고정 결합공(21) 및 제2고정 결합공(22)이 추가로 더 형성되면 된다.
전력선(30)은 완금(20)의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현수애자(40)를 통해 점퍼선(5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점퍼선(50)을 지지하기 위해 완금(20)에 설치된 점퍼선 지지용 애자(100)는 제1고정체(110)와 제2고정체(160)를 구비한다.
제1고정체(110)는 제1 및 제2나사부분(111)(113), 베이스 플랜지(115), 상부 지지봉(117), 제1회동각도 조정 디스판(120)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나사부분(111)(113)은 완금(20)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 결합공(21)(22)을 통해 너트(131)를 통해 나사결합될 수 있게 종단에 나사선이 각각 일정길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나사선부(111)(113)는 완금(20)의 제1 및 제2 고정결합공(21)(22)을 통해 와셔(133) 및 복수개의 너트(131)에 의해 고정된다.
베이스 플랜지(115)는 제1 및 제2나사 부분(111)(113)의 하단이 접합된 부분으로 상부 지지봉(117)과 제1 및 제2나사부분(111)(113)을 상호 접합시키며 완금(20)의 저부와 밀착지지 되는 역할을 한다.
상부 지지봉(117)은 봉형태로 베이스 플랜지(115)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다수의 지지보강용 관통공(117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보강용 관통공(117a)은 후술되는 지지보강용 부재(140)의 결합용으로 이용된다.
제1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120)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봉(117) 하단에 접합되어 있다.
제1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120)의 중앙에는 제1센터결합공(121)이 형성되어 있고, 제1센터 결합공(121)을 중심으로 동일 거리상의 가장자리 주변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의 제1 각도 조정 결합공(123)이 형성되어 있다.
제1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120) 하부에는 일정길이 연장되되 종단이 상방으로 구부려진 고리(135)가 형성되어 있다.
제2고정체(160)는 하부 지지봉(161), 절연체(163), 제1 및 제2 지지편(165)(166), 제2 및 제3 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170)(180), 점퍼선 수용부재(191) 및 커버부재(196)를 구비한다.
하부지지봉(161)은 봉형태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있고, 중간에 다수의 원반상의 절연체(163)가 결합되어 있다.
제1 및 제2 지지편(165)(166)은 하부지지봉(161) 상단에서 상호 분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및 제2 지지편(165)(166) 사이 중간부분에는 가로방향으로 결합된 걸편(167)이 형성되어 있다.
걸편(167)은 제1회동각도 조정디스크판(120) 하단에 형성된 고리(135) 결합용으로서 적용된 것이다.
제2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170) 및 제3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180)은 제1 및 제2지지편(165)(166)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제1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120)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1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120) 양측에서 밀착 지지된다.
즉, 제2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170)은 중앙에 제2센터결합공(171)이 형성되어 있고, 주변에 제2각도 조정결합공(17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180)은 중앙에 제3센터결합공(181)이 형성되어 있고, 주변에 제3각도 조정결합공(183)이 형성되어 있다.
제2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170)과 제3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180)의 이격거리는 제1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120)이 삽입시 이격거리가 크지 않게 적절하게 적용하면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센터 결합공(121)(171)(181)이 상호 동심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 지지봉(117)에 대해 하부 지지봉(161)이 수직상으로 한 라인이 되게 어레이된 상태에서는 제1각도 조정결합공(123) 각각과 제2 및 제3각도 조정결합공(173)(183) 각각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연통되게 배열된다.
점퍼선 수용부재(191)는 하부지지봉(161) 하부로 연장되되 일측에 하방으로 상호 이격되어 내측으로 인입된 상호 다른 직경의 수용홀(191a(191b)(191c)이 점퍼선(50)이 관통되게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수용홀(191a(191b)(191c)은 적용되는 점퍼선(50)의 직경이 다른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다수가 적용된 것이다.
수용홀(191a)(191b)(191c)의 커버부재(196)와 대향되는 개방부분은 점퍼선(50)을 안착한 상태에서 지지될 수 있되 위로 들어야만 인출될 수 있게 상방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해 노출되게 형성된다.
커버부재(196)는 수용홀(191a)(191b)(191c)의 개방부분을 폐쇄시킬 수 있도 록 점퍼선 수용부재(191)의 수용홀(191a)(191b)(191c)의 개방부분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점퍼선 수용부재(191)와 착탈될 수 있는 나사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점퍼선 지지용 애자(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체(110)에 대해 제2고정체(160)가 센터 관통홀(121)(171)(181)을 통해 제1고정부재로 적용된 볼트(151)와 너트(152)에 의해 상호 결합시킨 상태에서, 각도 조정시에는 제2고정체(160)를 회전시키되 각도 조정용 결합공(123)(173)(183)이 상호 대응되게 위치된 각도에서 제2고정부재로서 적용된 볼트(155)와 너트(157)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된다.
한편, 제2고정체(160)를 제1고정체(110)에 대해 경사지게 고정시키는 경우 횡방향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제1 내지 제3 각도조정 결합공(123)(173)(183)과 상부 지지봉(117)에 형성된 지지보강용 관통공(117a)을 통해 결합될 수 있는 지지보강부재(140)를 이용하면된다.
지지보강부재(140)는 길이조정바(141)와 꺽쇠형 결합부재(145)를 구비한다.
길이조정바(141)는 관형 튜브형태로 형성되되 양단 내측에 일정길이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꺽쇠형 결합부재(145)는 'ㄱ'자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되 양단 각각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길이조정바(141)의 양단에 두개의 꺽쇠형 결합부재(145)를 각각 나사결합하되 삽입하고자 하는 제1 내지 제3 각도조정 결합공(123)(173)(183)과 상부 지지봉(117)에 형성된 지지보강용 관통공(117a)과의 이격거리에 대응되게 길이조정 바(141)를 회전시켜 길이를 조정한 다음 삽입하고 너트(147)로 고정하면된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지지보강부재(140)는 일체로 'ㄷ'자형태로 형성되어 양단에 너트로 결합할 수 있게 나사선이 형성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점퍼선 지지용 애자(100)는 제1고정체(110)를 완금(20)에 고정시킨 다음 제2고정체(160)의 고리(135)가 걸편(167)에 걸리도록 걸어 놓은 상태에서 센터 결합공(121)(171)(181)을 통해 볼트(151)와 너트(152)로 상호 결합하고, 각도 조정결합공(123)(173)(183) 중 일부를 볼트(155)와 너트(157)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어 제2고정체(160)의 하중을 작업자가 부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성 좋다.
또한, 제2고정체(160)의 각도를 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고정체(110)가 완금(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고정체(160)의 걸편(167)이 고리(135)에 걸리도록 걸어 놓고, 센터 결합공(121)(171)(173)을 통해 볼트(151)(152)와 너트로 상호 결합하되 회전가능한 정도로 조인 다음, 제2고정체(160)를 각도 조정결합공(123)(173)(183)이 상호 얼라인 될 수 있게 원하는 각도 만큼 회전시킨 다음 각도 조정결합공(123)(173)(183)을 통해 볼트(155) 삽입한 다음 너트(157)로 고정시키고, 지지보강부재(140)를 지지보강용 관통공(117a)과 상부 지지봉(117)의 연장선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있는 각도조정 결합공(123)(173)(183)을 통해 삽입하여 너트(147)로 고정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송배전용 지주의 예로서 전주에 설치된 완금을 통해 설명되었고, 송전용 철탑에 설치된 완금에 대해서도 동일 구조로 적용하면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에 의하면, 완금에 대해 하방으로 설치되어 점퍼선을 하향 시공할 있으면서도 점퍼선 지지를 위한 회동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회동각도 조정시의 작업성이 좋으며 횡방향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3)

  1. 지상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 송배전용 지주의 완금에 전력선을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에 있어서,
    상기 완금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 결합공을 통해 너트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제1 및 제2나사 부분과, 상기 제1및 제2나사부분의 하단 상호 간이 접합된 베이스 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보강용 관통공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상부 지지봉과, 상기 상부 지지봉 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제1센터결합공, 가장자리 주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다수의 제1 각도 조정 결합공이 형성된 제1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을 구비하는 제1고정체와;
    일정길이로 연장된 하부지지봉과, 상기 하부지지봉상에 결합된 다수의 원반상의 절연체와, 상기 하부지지봉 상단에서 상호 분기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지지편에 각각 상기 제1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의 양측에서 대향되게 밀착 지지될 수 있게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센터 결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및 제3센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각도 조정 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및 제3 각도 조정 결합공이 형성된 제2 및 제3 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과, 상기 하부지지봉 하부로 연장되어 상호 다른 직경의 점퍼선이 관통되게 지지될 수 있게 상호 다른 직경의 수용홀이 상호 이격되되 측방향으로 열리게 형성된 점퍼선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홀의 측방향으로 열린 개방부분에 대향되게 상기 점퍼선 수용부 재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홀에 수용된 상기 점퍼선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제2고정체를 구비하고,
    제1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 양측에서 상기 제2 및 제3 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이 대향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센터 결합공 내지 제3센터 결합공이 동축상으로 제1 고정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되, 상기 상부 지지봉에 대한 상기 하부지지봉의 회동각도는 상기 하부지지봉을 상기 상부지지봉에 대해 원하는 각도 만큼 회동시키되 상기 제1각도 조정 결합공과 상기 제2 및 제3각도 조정결합공이 대향되게 어레이된 상태에서 제2고정부재에 의해 상호 관통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봉에 형성된 지지보강용 관통공과 상기 각도조정 결합공 상호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보강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보강부재는 관형 튜브형태로 형성되되 양단 내측에 일정길이 나사선이 형성된 길이조정바와;
    ㄱ자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되 양단 각각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은 상기 길이조정바에 나사 결합되어 결합되는 꺽쇠형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각도 조정 디스크판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종단이 상방으로 절곡된 고리와;
    상기 고리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지지편을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걸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1020060026232A 2006-03-22 2006-03-22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100738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232A KR100738596B1 (ko) 2006-03-22 2006-03-22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232A KR100738596B1 (ko) 2006-03-22 2006-03-22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710U Division KR200417546Y1 (ko) 2006-03-22 2006-03-22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596B1 true KR100738596B1 (ko) 2007-07-12

Family

ID=3850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232A KR100738596B1 (ko) 2006-03-22 2006-03-22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5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343B1 (ko) 2013-07-17 2013-11-27 주식회사 우인이엔지 원거리 전주의 특고압 전선 지지 장치
KR101864313B1 (ko) * 2018-02-09 2018-06-05 주식회사 가현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241A (ja) * 1992-08-24 1994-03-11 Sharp Corp 指紋識別装置
JPH10269872A (ja) * 1997-03-27 1998-10-09 Ngk Insulators Ltd アキンボ碍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241A (ja) * 1992-08-24 1994-03-11 Sharp Corp 指紋識別装置
JPH10269872A (ja) * 1997-03-27 1998-10-09 Ngk Insulators Ltd アキンボ碍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343B1 (ko) 2013-07-17 2013-11-27 주식회사 우인이엔지 원거리 전주의 특고압 전선 지지 장치
KR101864313B1 (ko) * 2018-02-09 2018-06-05 주식회사 가현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546Y1 (ko)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100718536B1 (ko) 송전선로 전선인상용 스크류 인상기
KR101877737B1 (ko)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
KR100864963B1 (ko) 가공송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구조
KR100738596B1 (ko)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102076853B1 (ko) 안정기능이 향상된 가공 배전선로 연결애자
KR19990084162A (ko) 전선 케이블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102280470B1 (ko) 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고정 장치
US6465736B1 (en) Heavy electrical fixture ceiling brace
KR100879126B1 (ko) 가공송전선로의 연결구조
KR101080646B1 (ko) 전기/전자제어설비 상부 내진보강 시스템
KR200445812Y1 (ko)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KR100677657B1 (ko)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CN205534609U (zh) 配电台架进出线电缆套管固定装置
KR100862280B1 (ko) 전선케이블관 유동 방지장치
KR101821152B1 (ko) 배전선로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KR20090060028A (ko) 송·배전용 전선케이블 연결장치
KR200184037Y1 (ko) 배전용 점프선 지지애자
KR200185358Y1 (ko) 점프선 지지애자 고정장치
US6336892B1 (en) Stabilizer apparatus for gymnastic bar assemblies
KR100846624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CN211971544U (zh) 一种塔吊电缆固定装置
KR100472693B1 (ko) 핀애자용 지지구
KR100889255B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KR20010056711A (ko) 전주의 고압케이블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