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107B1 -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107B1
KR101941107B1 KR1020180099068A KR20180099068A KR101941107B1 KR 101941107 B1 KR101941107 B1 KR 101941107B1 KR 1020180099068 A KR1020180099068 A KR 1020180099068A KR 20180099068 A KR20180099068 A KR 20180099068A KR 101941107 B1 KR101941107 B1 KR 101941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aring mounting
insulator
mounting portion
gu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우진
Original Assignee
이수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기술(주) filed Critical 이수기술(주)
Priority to KR1020180099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완금(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대(100); 지지대(10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너트블록(200); 지지대(100)의 외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프레임(300); 가이드프레임(30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절연체(400); 가이드프레임(300)과 절연체(400)에 압입고정되는 베어링(500); 지지대(100)를 관통하여 너트블록(200)과 상호 체결되고, 상단부가 베어링(500)에 압입고정되며, 회전에 의해 가이드프레임(300)을 승강시키는 아이볼트(600); 지지대(100)에 설치되어 가이드프레임(300)의 이동을 제한하는 프레임고정구(700); 완금(1)으로부터 지지대(100)의 이탈을 제한하는 고정핀(800); 지지대(100)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900); 지지대(100)에 설치되어 누전감지센서(900)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램프(10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각종 공구 및 부품들을 수납부에 수납 및 거치해 줄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며, 완금의 제1단자편과 접촉하는 제2단자편을 통해 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누전감지센서가 감지하여 램프를 동작하므로 작업자는 직감적으로 누전여부를 판단하여 유지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Fixing device of electric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완금에 장착되어 누전시 신속한 검출이 가능해 배전선로의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고, 각종 공구 및 부품 들을 수납 및 거치해 줄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의 유지 보수공사는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유지하며, 정전사고를 최소화하여 전력수요자들에게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상태로 보수공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압이 살아있는 상태 즉, 무정전 활선상태에서 작업을 하여야만 하며 현재에는 대부분 이와 같이 활선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애자의 손상 또는 배전선로의 손상으로 인해 전류가 흐르게 될 경우 작업자가 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었으며, 만약 이를 작업자가 인지 못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작업자가 감전의 위험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에 필요한 각종 공구 및 부품들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작업상에 불편함이 있었다.
게다가, 손상된 애자를 수리하기 위해 배전선로로부터 분리한 다음 새로운 애자로 교체 후, 교체된 애자에 배전선로를 거치하면 되는데, 문제는 애자로부터 분리된 활선상태의 배전선로를 임시로 거치해 두거나 고정해두는 것이 상당히 번거롭고 어려웠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7379호
본 발명은 완금에 장착되어 누전시 신속한 검출이 가능해 배전선로의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고, 각종 공구 및 부품 들을 수납 및 거치해 줄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며, 애자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활선상태에서도 쉽고 간편하게 손상된 애자의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호 형태를 이루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호형상의 블록안내부가 형성되고, 양단부 상면과 하면에는 블록안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호형상의 볼트안내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마련된 금속재질의 바디부와; 바디부의 내주면으로부터 호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고, 배전선을 지지고정 및 절연하는 애자가 설치되며 내부에 제1단자편이 구비된 완금의 일단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바디부와 완금을 상호 연결하며, 완금의 핀삽입부와 상호 연통되는 핀삽입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와; 바디부와 연결부의 둘레를 감싸는 절연부와; 연결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단자편과 상호 접촉되는 제2단자편과; 바디부의 개구부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측에 각종 공구 및 부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서랍부로 구성된 지지대:
지지대에 내설되어 블록안내부를 따라 이동하며, 볼트안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체결부를 갖춘 너트블록:
바디부의 상면에 배치되되, 중앙부에는 볼트안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제1베어링장착부가 형성되고, 제1베어링장착부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호형상의 돌기안내부가 형성된 안착부와; 안착부의 양단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어 바디부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와; 바디부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로 구성된 가이드프레임:
안착부의 상면에 배치되되, 상부에는 배전선이 삽입되는 인입부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1베어링장착부와 상호 연통되는 제2베어링장착부가 형성되며, 제2베어링장착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하향으로 돌출되어 돌기안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돌기로 구성된 절연체:
제1베어링장착부와 제2베어링장착부에 각각 압입고정되는 베어링:
볼트안내부를 관통하여 체결부와 상호 체결되면서 상단부가 베어링에 압입고정되는 나사부와; 나사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나사부를 회전시키는 고리부로 구성되어 가이드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아이볼트:
수납부에 설치되며 손잡이에 끼워져 가이드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하는 프레임고정구:
완금으로부터 연결부가 빠지지 않게 핀삽입부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핀:
지지대에 설치되어 제1단자편을 통해 제2단자편으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
지지대에 설치되어 누전감지센서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완금의 제1단자편과 접촉하는 제2단자편을 통해 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누전감지센서가 감지하여 램프를 동작하므로 작업자는 직감적으로 누전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각종 공구 및 부품들을 수납부에 수납 및 거치해 줄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전선을 단전하지 않고도 배전선의 활선상태에서 손상된 애자를 쉽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완금과 바디부 사이에 자연스럽게 공간이 마련됨에 따라 이 공간을 통해 작업자가 교체작업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의 요부단면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의 설치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는, 지지대(100)와 너트블록(200), 가이드프레임(300), 절연체(400), 베어링(500), 아이볼트(600), 프레임고정구(700), 고정핀(800), 누전감지센서(900) 및 램프(10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완금에 장착되어 누전시 신속한 검출이 가능해 배전선로의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고, 각종 공구 및 부품 들을 수납 및 거치해 줄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며, 애자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활선상태에서도 쉽고 간편하게 손상된 애자의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100)는 바디부(110)와 연결부(120), 절연부(130), 제2단자편(140) 및 수납부(150)로 구성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완금(1)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핀(800)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바디부(110)는 금속재질이면서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호 형태를 이루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호형상의 블록안내부(111)가 형성되고, 양단부 상면과 하면에는 블록안내부(111)와 상호 연통되는 호 형상의 볼트안내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120)는 바디부(110)와 완금(1)을 상호 연결해주는 금속재질의 부재로서, 바디부(110)의 내주면으로부터 호를 이루는 바디부(110)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완금(1)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며, 완금(1)에 끼워졌을 때 완금(1)의 핀삽입부(1a)와 상호 연통되는 핀삽입부(12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핀삽입부(1a,121)에는 고정핀(800)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며, 이에 의해 완금(1)으로부터 지지대(100)의 이탈이 제한된다.
일 예로서, 상기 완금(1)은 수직하게 입설된 전주(미도시)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전주(미도시)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완금(1)의 단부에는 배전선(L)과 완금(1)이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애자(I)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핀(800)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핀삽입부(1a)를 구비하며, 내부에는 제1단자편(1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연부(130)는 절연수지 또는 합성고무와 같은 소재가 바디부(110)와 연결부(120) 및 수납부(150)의 둘레에 일정 두께로 피복되어 전류가 통하지 않게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단자편(140)은 연결부(120)의 내부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완금(1)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제1단자편(1b)과 상호 접촉한다.
상기 수납부(150)는 개구부(113)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내측에 각종 공구 및 부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작업에 필요한 각종 공구 및 부품 등을 수납부(150)에 거치(보관)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너트블록(200)은 대략 육면체형상을 이루며, 지지대(100)에 내설되어 블록안내부(111)를 따라 이동한다.
특히, 상기 너트블록(200)에는 상하로 관통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210)가 일체로 형성되며, 체결부(210)는 볼트안내부(112)와 상호 연통된다.
상기 체결부(210)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아이볼트(600)의 나사부(610)가 체결되어 관통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프레임(300)은 안착부(310)와 지지부(320) 및 손잡이(33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바디부(1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절연체(4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부(310)는 바디부(110)의 상면에 배치되되, 중앙부에는 볼트안내부(112)와 상호 연통되는 제1베어링장착부(311)가 형성되고, 제1베어링장착부(311)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호형상의 돌기안내부(31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320)는 안착부(310)의 양단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어 바디부(110)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인접되게 배치된다.
상기 손잡이(330)는 바디부(11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지지부(320)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가 손잡이(330)를 잡고 손쉽게 가이드프레임(3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절연체(400)는 배전선(L)을 떠받쳐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애자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안착부(31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얹혀진다.
상기 절연체(400)의 상면에는 내부가 배전선(L)의 가설방향 및 상방향으로 개구된 인입부(410)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연체(400)의 하면 중앙에는 가이드프레임(300)의 제1베어링장착부(311)와 상호 연통되는 제2베어링장착부(420)가 형성되고, 제2베어링장착부(420)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하향으로 돌출되어 가이드프레임(300)의 돌기안내부(312)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돌기(4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베어링(500)은 가이드프레임(300)의 제1베어링장착부(311)와 절연체(400)의 제2베어링안착부(42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압입고정되어, 이후에 설명되는 아이볼트(60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아이볼트(600)는 나사부(610)와 고리부(62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회전에 의해 가이드프레임(300) 및 절연체(400)를 동시에 상승 및 하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나사부(610)는 통상의 전산볼트로서, 바디부(110)의 볼트안내부(112)를 관통하되, 바디부(110)의 블록안내부(111)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너트블록(200)의 체결부(210)와 상호 체결되고, 상단부는 가이드프레임(300)과 절연체(400)에 각각 설치된 베어링(500)에 압입고정된다.
상기 고리부(620)는 나사부(6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작업자가 도구(막대 등)를 끼워 회전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고정구(700)는 지지대(100)를 구성하는 수납부(150)에 설치되며 손잡이(330)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가이드프레임(3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핀(800)은 상호 연통된 핀삽입부(1a,12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완금(1)에 지지대(100)가 선택적으로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누전감지센서(900)는 지지대(100)를 구성하는 연결부(1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2단자편(140)과 전선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제1단자편(1b)을 통해 제2단자편(140)으로 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램프(1000)는 지지대(100)에 설치되며 누전감지센서(9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준다.
이에 따라 작업자(시설물관리자)는 누전감지센서(900) 및 램프(1000)를 통해 현재 완금(1)에 누전이 발생하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신속한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설치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의 설치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완금(1)의 단부에 지지대(100)의 연결부(120)를 끼워 완금(1)의 핀삽입부(1a)와 연결부(120)의 핀삽입부(121)가 상호 연통되게 맞춰준 상태에서 핀삽입부(1a,121)에 고정핀(800)을 삽입하여 완금(1)과 지지대(100)가 일체형을 이루도록 하며, 이때 연결부(120)의 내부에 설치된 제2단자편(140)과 완금(1)의 내부에 설치된 제1단자편(1b)은 서로 접촉된다.
한편, 상기 제1단자편(1b)을 통해 제2단자편(140)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를 누전감지센서(900)가 감지하게 되고, 누전감지센서(900)는 즉시 램프(1000)를 동작시켜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하게 되며, 작업자는 불빛을 통해 현재 완금(1)에 누전이 발생했다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누전원인을 먼저 찾아 쉽게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완금(1)에 설치된 애자(I)가 외력 또는 섬락 등으로 손상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손잡이(330)를 잡고 가이드프레임(300)을 지지대(100)를 따라 이동시켜 배전선(L)의 하부에 절연체(400)가 배치되도록 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400)가 배전선(L)의 하부에 배치되면, 아이볼트(600)의 고리부(620)에 도구(미도시)를 끼워주고 도구를 이용해 아이볼트(600)를 돌려주게 되면, 너트블록(200)에 체결된 아이볼트(600)가 상방으로 상승하게 되고, 아이볼트(600)의 상승으로 인해 아이볼트(600)의 상단부에 베어링(500)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 가이드프레임(300)과 절연체(400)가 아이볼트(600)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절연체(400)의 인입부(410)로 배전선(L)이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300)은 지지부(320)가 지지대(100)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볼트(600)가 회전하더라도 가이드프레임(300)은 회전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절연체(400)를 승강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절연체(400)의 인입부(410)에 배전선(L)이 삽입된 상태에서 아이볼트(600)를 이용하여 절연체(400)를 좀 더 상승시켜 주게 되면, 배전선(L)은 교체대상인 애자(I)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프레임(300) 및 절연체(400)가 배전선(L)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손잡이(330)를 잡고 볼트안내부(112)를 따라 이동시켜 교체대상인 애자(I)로부터 배전선(L)이 완전하게 이격되도록 한 다음, 이동된 손잡이(330)에 프레임고정구(700)를 걸어 가이드프레임(300)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한편, 도 6d에 도시된 바와, 절연체(400)가 가이드프레임(300)을 매개로 지지대(100)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배전선(L)에 의해 절연체(400)는 베어링(500)을 매개로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절연체(400)의 돌기(430)가 가이드프레임(300)의 돌기안내부(312)를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하면서 배전선(L)과 애자(I)가 평행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전선(L)의 이동이 완료되면, 완금(1)에 고정되어 있던 애자(I)를 교체한 다음, 손잡이(330)로부터 프레임고정구(700)를 분리하고, 손잡이(330)를 이용하여 가이드프레임(300)과 절연체(400)를 이동시켜 준 다음, 아이볼트(600)를 회전시켜 가이드프레임(300)과 절연체(400)가 하강시켜 준다.
상기 가이드프레임(300)과 절연체(400)가 하강하는 과정에 배전선(L)은 새로 교체한 애자(I)의 삽입홈(미도시)에 얹혀지게 되고, 새로 교체한 애자(I)의 삽입홈(미도시)에 배전선(L)이 삽입되면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배전선(L)을 애자(I)에 고정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완금 1a: 핀삽입부 1b: 제1단자편
I: 애자 100: 가로대 110: 바디부
111: 블록안내부 112: 볼트안내부 120: 연결부
121: 핀삽입부 130: 절연부 140: 제2단자편
200: 너트블록 210: 체결부 300: 가이드프레임
310: 안착부 311: 제1베어링안착부 312: 돌기안내부
320: 지지부 330: 손잡이 400: 절연체
410: 인입부 420: 제2베어링안착부 430: 돌기
500: 베어링 600: 아이볼트 610: 나사부
620: 고리부 700: 프레임고정구 800: 고정핀
900: 누전감지센서 1000: 램프

Claims (1)

  1.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호 형태를 이루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호형상의 블록안내부(111)가 형성되고, 양단부 상면과 하면에는 블록안내부(111)와 상호 연통되는 호형상의 볼트안내부(112)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113)가 마련된 금속재질의 바디부(110)와; 바디부(110)의 내주면으로부터 호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고, 배전선(L)을 지지고정 및 절연하는 애자(I)가 설치되며 내부에 제1단자편(1b)이 구비된 완금(1)의 일단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바디부(110)와 완금(1)을 상호 연결하며, 완금(1)의 핀삽입부(1a)와 상호 연통되는 핀삽입부(121)를 구비하는 연결부(120)와; 바디부(110)와 연결부(120)의 둘레를 감싸는 절연부(130)와; 연결부(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단자편(1b)과 상호 접촉되는 제2단자편(140)과; 바디부(110)의 개구부(113)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측에 각종 공구 및 부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서랍부(150)로 구성된 지지대(100):
    지지대(100)에 내설되어 블록안내부(111)를 따라 이동하며, 볼트안내부(112)와 상호 연통되는 체결부(210)를 갖춘 너트블록(200):
    바디부(110)의 상면에 배치되되, 중앙부에는 볼트안내부(112)와 상호 연통되는 제1베어링장착부(311)가 형성되고, 제1베어링장착부(311)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호형상의 돌기안내부(312)가 형성된 안착부(310)와; 안착부(310)의 양단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어 바디부(110)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배치되는 지지부(320)와; 바디부(11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지지부(320)에 설치되는 손잡이(330)로 구성된 가이드프레임(300):
    안착부(310)의 상면에 배치되되, 상부에는 배전선(L)이 삽입되는 인입부(410)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1베어링장착부(311)와 상호 연통되는 제2베어링장착부(420)가 형성되며, 제2베어링장착부(420)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하향으로 돌출되어 돌기안내부(312)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돌기(430)로 구성된 절연체(400):
    제1베어링장착부(311)와 제2베어링장착부(420)에 각각 압입고정되는 베어링(500):
    볼트안내부(112)를 관통하여 체결부(210)와 상호 체결되면서 상단부가 베어링(500)에 압입고정되는 나사부(610)와; 나사부(6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나사부(610)를 회전시키는 고리부(620)로 구성되어 가이드프레임(300)을 승강시키는 아이볼트(600):
    수납부(150)에 설치되며 손잡이(330)에 끼워져 가이드프레임(300)의 이동을 제한하는 프레임고정구(700):
    완금(1)으로부터 연결부(120)가 빠지지 않게 핀삽입부(1a,121)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고정핀(800):
    지지대(100)에 설치되어 제1단자편(1b)을 통해 제2단자편(140)으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900):
    지지대(100)에 설치되어 누전감지센서(900)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램프(1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
KR1020180099068A 2018-08-24 2018-08-24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 KR101941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068A KR101941107B1 (ko) 2018-08-24 2018-08-24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068A KR101941107B1 (ko) 2018-08-24 2018-08-24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107B1 true KR101941107B1 (ko) 2019-01-23

Family

ID=65280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068A KR101941107B1 (ko) 2018-08-24 2018-08-24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1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17B1 (ko) * 2007-08-14 2007-10-26 박혜숙 가공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1777379B1 (ko) 2017-06-29 2017-09-12 안성감리설계(주)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17B1 (ko) * 2007-08-14 2007-10-26 박혜숙 가공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1777379B1 (ko) 2017-06-29 2017-09-12 안성감리설계(주)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106B1 (ko) 안전한 가공배전선로 수리를 위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2024670B1 (ko) 안정적 배전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1915252B1 (ko)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KR102434501B1 (ko)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KR102238113B1 (ko)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KR101787359B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
KR101787358B1 (ko)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기구
KR101624726B1 (ko)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식 애자
KR101941107B1 (ko)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
CN208368760U (zh) 一种新型磁铁电线工装
CN106058513A (zh) 上电接头
KR102075108B1 (ko) 가공배전라인 이탈방지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CN111564713A (zh) 分支引电组件及其使用方法
KR102289231B1 (ko)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위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CN210579403U (zh) 一种用于电子加工的分段式防静电装置
JP4669388B2 (ja) 検電検相器の取付構造
CN210378953U (zh) 一种熔断器
CN209948070U (zh) 一种临时接地装置
KR101938154B1 (ko)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JP2011163854A (ja) 事故点探査用課電端子
KR102448485B1 (ko) 케이블 지지장치
KR101205016B1 (ko) 전원 연결 기구
CN218975371U (zh) 一种便于外界导线快速安装的断路器
CN217860306U (zh) 六点定位夹具电信号指示装置
CN219737588U (zh) 挂接判断机构和接地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