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693B1 - 가공배전선 안전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 안전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693B1
KR102153693B1 KR1020200043199A KR20200043199A KR102153693B1 KR 102153693 B1 KR102153693 B1 KR 102153693B1 KR 1020200043199 A KR1020200043199 A KR 1020200043199A KR 20200043199 A KR20200043199 A KR 20200043199A KR 102153693 B1 KR102153693 B1 KR 102153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branch line
insulator
fixing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웅부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웅부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웅부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43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배전선로가 안전하면서도 다양한 방향으로 배전될 수 있는 스트랍이 구비된 가공배전선 안전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로써, 제1고정기구(10), 연결바(20), 제1고정애자(30), 제2고정기구(40), 이동밴드(50), 애자회전기구(60), 제1래크(70), 제2래크(80), 스트랍(90), 휴대용케이스(100) 및 밴드고정볼트(110)를 포함하고, 스트랍(90)을 매개로 손쉽게 제2래크(80)를 제1래크(7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손쉽게 추가배전선을 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 안전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STRAP APPARATUS FOR SAFETY LINE FIXING TYPE ON AERIAL LINE}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 안전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배전선로가 안전하면서도 다양한 방향으로 배전될 수 있는 스트랍이 구비된 가공배전선 안전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는 전주의 둘레면에 다단계로 구성되며, 전주를 기준으로 높은 둘레에 피뢰기, 고압 배전선로가 설치되며, 고압 배전선로 하단부에 저압배전선로가 첨가되어 구성하고 있다.
즉, 전주의 둘레면에 피뢰기, 특고압선, 고압배전선 및 저압배전선로가 상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배전선로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종래 전주에 배전선을 추가 선로로 구성할 시에는 활선 상태에 있는 기존 배전선의 고정용 래크에 추가 배전선을 연결시킬 수 없으므로, 편법으로 기존 배전선로의 하단에 래크를 추가 설치하여 추가 배전선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추가 배전선을 설치하는 기술로써 종래에 '특허등록번호 제10-0601417호'이 제안되었다. 종래 스트랍 장치는 래크(40)에 가이드(42홈)을 형성시키고, 상부 스트랍(50)과 하부 스트랍(60)에 각각 가이드홈(42)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53, 63)을 구성시켜서, 래크(40)와 상,하부 스트랍(50, 60) 간에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면서도 회전 없이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별도의 래크구조가 필요하고, 중심 래크에서 상하측에 설치가 불가능하여 분기선이 다양하게 설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특고압선은 종래 전주의 둘레면에 완금장주를 통해 수평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반면, 저압선로는 전주의 둘레면에 래크장주를 기초로 수직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특허는 애자에 설치되는 분기선이 일정한 범위 내에만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분기라인이 전주 또는 전주에 설치되는 배전설비와 간섭되어, 다양한 위치로 분기되는 분기라인의 설치가 불가능하며, 분기선의 위치변경에 따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1417호(길이조절이 가능한 확장 애자 고정용 스트랍장치/2006.07.0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래크의 규격에 상관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상하로 래크를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래크와 스트랍 간에 안정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가공배전선 안전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 설치된 래크에 설치되는 여유배전선을 배치하거나, 주변이 어두운 상태에서 가공배전설비의 교체 또는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비상등을 구비하는 가공배전선 안전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변압기에서 인출된 배전라인에서 다양한 위치로 분기라인이 분기되되 전주와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분기되도록 하며, 분기선의 위치를 변경해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가공배전선 안전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가공배전선 안전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는,
원형밴드 형상으로 전주(P)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고정기구(10)와,
제1고정기구(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연결바(20)와,
연결바(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분기선(L1)을 고정하는 제1고정애자(30)와,
원형밴드 형상으로 연결바(20)의 하측에 설치되고 전주(P)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고정기구(40)와,
제2고정기구(40)에 원주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호 형상의 이동밴드(50)와,
일측이 개구된 몸체홀(61a1)을 구비하여, 이동밴드(50)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는 몸체부(61a)와, 다각형 형상으로, 몸체홀(61a1)의 내측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61b)를 갖춘 몸체(61)와; 지지부(61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부(62a)와, 회전축부(62a)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애자고정축부(62b)를 갖춘 회전체(62)와; 애자고정축부(62)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판부(63a)와, 지지부(61b)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일측이 개구된 끼움홈(63b1)을 구비하여, 판부(63a)의 양측에 설치되되, 끼움홈(63b1)이 지지부(61b)에 삽탈가능한 한 쌍의 날개부(63b)를 갖춘 위치변경체(63)와; 판부(63a)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애자고정축부(62b)에 설치되되 판부(63a)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제1분기선(L1)에 접속된 제2분기선(L2)을 지지하는 이동애자(64)와; 판부(63a)와 이동애자(64) 사이에 설치되어 위치변경체(63)를 탄발지지하는 스프링(65);으로 구성된 애자회전기구(60)와,
이동밴드(50)의 외주면 타측에 설치되는 제1래크몸체(71)와; 제1래크몸체(71)에 설치되며, 제2분기선(L2)에 접속된 제3분기선(L3)을 지지하는 제2고정애자(72);로 구성된 제1래크(70)와,
제1래크몸체(71)의 상측 또는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트랍(90)과,
스트랍(9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래크몸체(81)와; 제2래크몸체(81)에 설치되며, 제3분기선(L3)에 접속된 제4분기선(L4)을 지지하는 제3고정애자(82);로 구성된 제2래크(80)와,
제1고정기구(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관용본체(101)와; 보관용본체(101)를 개폐하는 보관용도어(102);를 갖춘 보관용케이스(1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밴드(50)를 통해 제2분기선(L2)을 사방으로 설치할 수 있어, 인출라인(EL), 제1분기선(L1) 및 제3분기선(L3)의 위치에 상관없이 제2분기선(L2)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용가의 변경위치에 따라 인출라인(EL)에서 제3분기선(L3)까지 손쉽게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분기선(L2)이 제3분기선(L3)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설치되면, 제2분기선(L2)을 이동애자(64)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2분기선(L2)이 흔들리거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의 배전선, 통신선 등 다른 전선과 접촉되어 서로간의 전선 꼬임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밴드(50)를 회전시켜 제2분기선(L2)의 위치가 변동되면, 제2분기선(L2)의 위치에 맞춰 이동애자(64)를 수직변경시켜 제2분기선(L2)을 고정시킴으로써, 제2분기선(L2)이 타 분기선과의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고, 제2분기선(L2)이 외부에 설치된 다른 전선들과의 꼬임을 방지하며, 제2분기선(L2)의 길이를 별도로 증가시킬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이동애자(64)의 수직을 변경시키면, 스프링(65)이 위치변경체(63)를 탄발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변경된 위치에서 위치변경체(63)가 손쉽게 지지부(61b)에 삽입될 수 있어, 작업이 보다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랍(90)을 매개로 손쉽게 제2래크(80)를 제1래크(7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손쉽게 추가배전선을 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용케이스(100)를 매개로 작업자가 필요한 물품(여유배전선(AL), 휴대용전등)을 보관하고 있어, 작업자가 추가작업에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래크, 제2래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애자회전기구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랍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작용에 따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래크, 제2래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는 제1고정기구(10), 연결바(20), 제1고정애자(30), 제2고정기구(40), 이동밴드(50), 애자회전기구(60), 제1래크(70), 제2래크(80), 스트랍(90), 보관용케이스(100) 및 밴드고정볼트(1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기구(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밴드 형상으로 전주(P)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고정기구(10)는 제1고정기구부(11), 제2고정기구부(12) 및 고정기구볼트(13)를 갖춘다.
상기 제1고정기구부(11)는 반원형밴드 형상으로 전주(P)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고정기구부(12)는 반원형밴드 형상으로 제1고정기구부(11)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전주(P)의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기구볼트(13)는 제1고정기구부(11) 및 제2고정기구부(12)를 고정한다.
상기 연결바(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기구(10)의 하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바(20)는 전주(P)의 외측면에 맞닿게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고정애자(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분기선(L1)을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분기선(L1)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미도시)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라인(미도시)과 접속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변압기(미도시)는 완철에 가설된 가공배전라인(미도시)과 접속하는 인입라인(미도시)를 갖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분기선(L1)과 인출라인(미도시)은 클램프(미인출)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고정기구(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밴드 형상으로 연결바(20)의 하측에 설치되고 전주(P)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고정기구(40)는 제1밴드고정부(41), 제2밴드고정부(42) 및 밴드고정볼트(43)을 갖춘다.
상기 제1밴드고정부(41)는 반원형밴드 형상으로 전주(P)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밴드고정부(42)는 반원형밴드 형상으로 연결바(20)의 하측에 설치되고 제1밴드고정부(41)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전주(P)의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밴드고정볼트(43)는 제1고정기구부(11) 및 제2고정기구부(12)를 고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제2고정기구(40)는 제1밴드고정부(41) 또는 제2밴드고정부(42)의 상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홀이 형성된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은 작업자가 밴드고정볼트(110)를 매개로 이동밴드(50)를 손쉽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호 형상의 이동밴드(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기구(40)에 원주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이동밴드(50)는 제2고정기구(40)가 설치되기 전에 제1밴드고정부(41) 또는 제2밴드고정부(42)의 홀을 매개로 삽입 설치된다.
본 발명은 이동밴드(50)를 구비함으로써 이동밴드(50)에 설치된 애자회전기구(60) 및 제2고정애자(72)을 사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인출된 배전라인(EL)에서 다양한 위치로 제1분기선(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분기선(L2)이 분기되되 전주(P)와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분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애자회전기구(6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61), 회전체(62), 위치변경체(63), 이동애자(64) 및 스프링(65)을 갖춘다.
상기 몸체(61)는 몸체부(61a) 및 지지부(61b)를 지닌다.
상기 몸체부(61a)는 일측이 개구된 몸체홀(61a1)을 구비하여, 이동밴드(50)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몸체부(61a)는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동밴드(50)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된다. 또한, 몸체(61)는 몸체홀(61a1)에 관통될 수 있도록 양측 날개에 각각 홀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61b)는 다각형 형상으로, 몸체홀(61a1)의 내측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부(61b)는 다각형 중앙에 홀이 형성되고 몸체부(61a)의 날개에 형성된 홀과 대응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부(61b)는 8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작업자가 원하는 다각형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62)는 회전축부(62a)와 애자고정축부(62b)를 지닌다.
상기 회전축부(62a)는 지지부(61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회전축부(62a)는 몸체(61a) 및 지지부(61b)에 형성된 홀을 관통한다.
상기 애자고정축부(62b)는 회전축부(62a)에서 전방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애자고정축부(62b)는 회전축부(62a)와 동일하게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작업자가 원하는 다각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애자고정축부(62b)는 전방 일측에 볼트형태로 형성되고, 이동애자(64)가 애자고정축부(62b)에 설치되면, 전방에 너트가 삽입되어 이동애자(64)가 흔들리거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위치변경체(63)는 판부(63a) 및 날개부(63b)를 지니고,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판부(63a)는 애자고정축부(62b)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판부(63a)는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애자고정축부(62b)가 홀에 관통되어 후방으로 삽입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날개부(63b)는 지지부(61b)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일측이 개구된 끼움홈(63b1)을 구비하여, 판부(63a)의 양측에 설치되되, 끼움홈(63b1)이 지지부(61b)에 삽탈가능한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날개부(63b)는 'ㄷ'자 판 형상을 이루고, 판부(63a)의 후방에 설치되어 한 쌍의 지지부(61b)에 각각 삽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끼움홈(63b1)은 예시로 8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지지부(61b)의 다각형의 변경과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애자(64)는 판부(63a)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애자고정축부(62b)에 설치되되 판부(63a)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제1분기선(L1)에 접속된 제2분기선(L2)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이동애자(64)는 회전체(62) 및 위치변경체(63)를 매개로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2분기선(L2)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를 매개로 제1분기선(L1)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본 발명은 이동밴드(50)를 회전시켜 제2분기선(L2)의 위치가 변동되면, 제2분기선(L2)의 위치에 맞춰 이동애자(64)를 수직변경시켜 제2분기선(L2)을 고정시킴으로써, 제2분기선(L2)이 타 분기선과의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고, 제2분기선(L2)이 외부에 설치된 다른 전선들과의 꼬임을 방지하며, 제2분기선(L2)의 길이를 별도로 증가시킬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스프링(65)은 통상의 코일스프링으로써 판부(63a)와 이동애자(64) 사이에 설치되어 위치변경체(63)를 탄발지지한다. 본 발명의 예시로서, 상기 스프링(65)은 내부에 애자고정축부(62b)가 삽입되어 이동애자(64)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이동애자(64)의 수직을 변경시키면, 스프링(65)이 위치변경체(63)를 탄발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변경된 위치에서 위치변경체(63)가 손쉽게 지지부(61b)에 삽입될 수 있어, 작업이 보다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래크(70)는, 도 1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래크몸체(71), 제2고정애자(72), 제1고정볼트(73) 및 제1고정너트(74)로 구성된다.
상기 제1래크몸체(71)는 이동밴드(50)의 외주면 타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래크몸체(71)는 제1래크수직판(71a)과, 제1래크상판(71b)과, 제1래크하판(71c)을 갖춘다.
상기 제1래크수직판(71a)은 이동밴드(50)의 외주면 타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래크수직판(71a)는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래크상판(71b)은, 일측에 구비되는 제1볼트상측체결홀(71b1)과, 타측에 구비되는 제1래크상측결합홀(71b2)을 갖추고서, 제1래크수직판(71a)의 상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상기 제1볼트상측체결홀(71b1)은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래크상측결합홀(71b2)은,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제1상측돌기수용홈(71b2a)이 외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래크상측결합홀(71b2)은,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제1상측돌기수용홈(71b2a)과 연통되는 한 쌍의 제1상측돌기회전홈(71b2b)이 제1상측돌기수용홈(71b2a)의 하방에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제1상측돌기회전홈(71b2b)은 45°의 호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래크하판(71c)은, 일측에 구비되는 제1볼트하측체결홀(71c1)과 타측에 구비되는 제1래크하측결합홀(71c2)을 갖추고서, 제1래크수직판(71a)의 하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상기 제1볼트하측체결홀(71c1)은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래크하측결합홀(71c2)은,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제1하측돌기수용홈(71c2a)이 외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래크하측결합홀(71c2)은,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제1하측돌기수용홈(71c2a)과 연통되는 한 쌍의 제1하측돌기회전홈(71c2b)이 제1하측돌기수용홈(71c2a)의 상방에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제1상측돌기회전홈(71b2b)은 45°의 호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고정애자(72)는, 상측이 제1래크상판(71b)에 설치되고, 하측이 제1래크하판(71c)에 설치되어, 제1래크상판(71b)과 제1래크하판(71c) 사이에 배치되어, 제2분기선(L2)에 접속된 제3분기선(L3)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3분기선(L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미인출)를 매개로 제2분기선(L2)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제3분기선(L3)은 각 가정 또는 다른 전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볼트(73)는 제1래크몸체(71)에 제2고정애자(72)를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고정볼트(73)는 제1볼트상측체결홀(71b1), 제2고정애자(72), 제1볼트하측체결홀(71c1) 순서대로 관통되어 제2고정애자(72)를 고정시킨다.
상기 제1고정너트(74)는 제2고정애자(72)와 결합된 제1고정볼트(73)를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고정너트(74)는 제1볼트하측체결홀(71c1)에 관통된 제1고정볼트(73)와 볼트결합되며, 제1래크하판(71c)의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스트랍(90)은, 도 1,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래크몸체(71)의 상측 또는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트랍(90)은 스트랍판체(91), 제1연결체(92) 및 제2연결체(93)을 갖춘다.
상기 스트랍판체(91)는 제1래크상판(71b) 또는 제1래크하판(71c)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스트랍판체(91)는 제1래크(70)의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제1연결체(92)는, 하부 양측에, 제1상측돌기수용홈(71b2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1돌기(92a)가 형성되어, 스트랍판체(91)의 하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돌기(92a)는 제1상측돌기수용홈(71b2a)에 삽탈되고, 제1연결체(92)가 회전하면 제1상측돌기회전홈(71b2b)에 안착가능하다.
상기 제2연결체(93)는, 상부 양측에, 제1하측돌기수용홈(71c2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돌기(93a)가 형성되어, 스트랍판체(91)의 상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돌기(93a)는 제1하측돌기수용홈(71c2a)에 삽탈되고, 제2연결체(93)가 회전하면 제1하측돌기회전홈(71c2b)에 안착가능하다.
본 발명은 제1연결체(92) 및 제2연결체(93)를 매개로 스트랍(90)이 손쉽게 제1래크(70)에 삽입될 수 있고, 제1돌기(92a) 및 제2돌기(93a)를 매개로 스트랍(90)이 손쉽게 제1래크(70)에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래크(80)는, 도 1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래크몸체(81), 제3고정애자(82), 제2고정볼트(83) 및 제2고정너트(84)로 구성된다.
상기 제2래크몸체(81)는 스트랍(9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래크몸체(81)는 제2래크수직판(81a)과, 제2래크상판(81b)과, 제2래크하판(81c)을 갖춘다.
상기 제2래크수직판(81a)은 본 실시예에서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래크상판(81b)은 일측에 구비되는 제2볼트상측체결홀(81b1)과, 타측에 구비되는 제2래크상측결합홀(81b2)을 갖추고서, 제2래크수직판(81a)의 상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상기 제2볼트상측체결홀(81b1)은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래크상측결합홀(81b2)은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제2상측돌기수용홈(81b2a)이 외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래크상측결합홀(81b2)은,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제2상측돌기수용홈(81b2a)과 연통되는 한 쌍의 제2상측돌기회전홈(81b2b)이 제2상측돌기수용홈(81b2a)의 하방에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제2상측돌기회전홈(81b2b)은 45°의 호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래크하판(81c)은, 일측에 구비되는 제2볼트하측체결홀(81c1)과 타측에 구비되는 제2래크하측결합홀(81c2)을 갖추고서, 제2래크수직판(81a)의 하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상기 제2볼트하측체결홀(81c1)은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래크하측결합홀(81c2)은,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제2하측돌기수용홈(81c2a)이 외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래크하측결합홀(81c2)은,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제2하측돌기수용홈(81c2a)과 연통되는 한 쌍의 제2하측돌기회전홈(81c2b)이 제2하측돌기수용홈(81c2a)의 상방에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제2상측돌기회전홈(81b2b)은 45°의 호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고정애자(82)는, 상측이 제2래크상판(81b)에 설치되고, 하측이 제2래크하판(81c)에 설치되어, 제2래크상판(81b)과 제2래크하판(81c) 사이에 배치되어, 제3분기선(L3)에 접속된 제4분기선(L4)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4분기선(L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미인출)를 매개로 제3분기선(L3)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제4분기선(L4)은 각 가정 또는 다른 전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제3분기선(L3)이 제4분기선(L4)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설치되면, 제2분기선(L2)을 이동애자(64)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4분기선(L4)을 제3분기선(L3)으로부터 손쉽게 접속시켜 추가배전선을 연장시킬 수 있고, 외부의 배전선, 통신선 등 다른 전선과 엮여 꼬이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손쉽게 추가 배전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고정볼트(83)는 제2래크몸체(81)에 제3고정애자(82)를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2고정볼트(83)는 제2볼트상측체결홀(81b1), 제3고정애자(82), 제2볼트하측체결홀(81c1) 순서대로 관통되어 제3고정애자(82)를 고정시킨다.
상기 제2고정너트(84)는 제3고정애자(82)와 결합된 제2고정볼트(83)를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2고정너트(84)는 제2볼트하측체결홀(81c1)에 관통된 제2고정볼트(83)와 볼트결합되며, 제2래크하판(81c)의 하단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스트랍(90)을 매개로 손쉽게 제2래크(80)를 제1래크(7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삽탈시킬 수 있으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보관용케이스(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용본체(101)와 보관용도어(102)를 갖춘다.
상기 보관용본체(101)는 제1고정기구(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보관용본체(10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유배전선(AL)을 구비한다. 여유배전선(AL)은 제4배전선(L4) 또는 추가배전에 사용되거나, 제1분기선(L1), 제2배전선(L2) 및 제3분기선(L3)의 교체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관용본체(101)는 휴대용전등이 배치되며, 휴대용 베터리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보관용도어(102)는 보관용본체(101)를 개폐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보관용도어(102)는 작업자의 키 또는 번호키가 사전에 설치되어 손쉽게 열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보관용케이스(100)를 매개로 작업자가 필요한 물품(여유배전선(AL), 휴대용전등)을 보관하고 있어, 작업자가 추가작업에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밴드고정볼트(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기구(40)의 상단에 설치된 홀에 나사산 체결되어 이동밴드(50)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밴드고정볼트(110)를 구비하여, 이동밴드(5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스트랍판체(91)와 제1연결체(92)와 제3연결체(93)로 구성된 스트랍(90)을 매개로, 제2래크(80)가 제1래크(7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지만, 스트랍(90)이 브라켓 구조로 이루어져, 브라켓 구조인 스트랍(90)을 매개로 제2래크(80)가 제1래크(7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애자회전기구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랍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작용에 따른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발명은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제1분기선(L1)과 제3분기선(L3)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제2배전선(L2)을 설치한다. 이때, 제2배전선(L2)은 인출라인(미인출) 및 제1분기선(L1)의 설치위치에 따라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수용가의 변경위치에 대응하여 제3분기선(L3)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이동밴드(50)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때, 작업자는 도 1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밴드고정볼트(110)를 탈착시킨 후, 이동밴드(50)의 위치를 도 8과 같이 이동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도 8과 동일한 위치로 이동시킨 이동밴드(50)에 밴드고정볼트(110)를 삽입하여 이동밴드(50)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이동밴드(50)를 통해 제2분기선(L2)을 사방으로 설치할 수 있어, 인출라인(EL), 제1분기선(L1) 및 제3분기선(L3)의 위치에 상관없이 제2분기선(L2)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용가의 변경위치에 따라 인출라인(EL)에서 제3분기선(L3)까지 손쉽게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분기선(L2)이 제3분기선(L3)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설치되면, 제2분기선(L2)을 이동애자(64)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2분기선(L2)이 흔들리거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의 배전선, 통신선 등 다른 전선과 접촉되어 서로간의 전선 꼬임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밴드(50)를 도 8의 위치로 변경시키면, 제2분기선(L2)의 위치가 변동되어 이동애자(64)가 제2분기선(L2)을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작업자가 위치변경체(63)을 잡고 전방으로 당긴다.(도 6(a)참조) 이때, 위치변경체(63) 및 이동애자(64)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65)은 작업자의 당김을 매개로 수축된다. 이후, 작업자는 위치변경체(63)를 전방으로 당긴 상태에서, 회전체(62)를 매개로 위치변경체(63), 이동애자(64) 및 스프링(65)을 45°로 회전시킨다.(도 6(b)참조) 다음으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위치변경체(63)의 당김력을 해제하면, 수축되었던 스프링(65)의 탄성력을 매개로 위치변경체(63)를 손쉽게 지지부(61b)에 삽입시킨다.(도 6(c)참조) 이후, 본 발명은 별도의 작업없이 위치변경체(63)를 매개로 손쉽게 이동애자(64)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도 6(d)참조)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밴드(50)를 회전시켜 제2분기선(L2)의 위치가 변동되면, 제2분기선(L2)의 위치에 맞춰 이동애자(64)를 수직변경시켜 제2분기선(L2)을 고정시킴으로써, 제2분기선(L2)이 타 분기선과의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고, 제2분기선(L2)이 외부에 설치된 다른 전선들과의 꼬임을 방지하며, 제2분기선(L2)의 길이를 별도로 변경시킬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 및 도 8과 같이 45°로 회전하는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지지부(61b) 및 날개부(63b)의 다각형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이동애자(64)의 회전각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작업자가 최초 제2분기선(L2)를 설치할 시,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제2분기선(L2)의 충분한 여유를 갖도록 설치할 수 있다. 그러면 제2분기선(L2)은 살짝 늘어질 수 있는 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방식으로, 애자회전기구(60)를 회전시켜 제2분기선(L2)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제2분기선(L2)이 팽팽하게 배치되거나, 제2분기선(L2)이 다른 배전설비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분기선(L2)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용도로 애자회전기구(60)를 사용할 시에는, 애자회전기구(60)의 이동애자(64)를 경유하는 제2분기선(L2)이 이동애자(64)에 감긴 후 이동애자(64)를 경유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분기선을 설치할 경우, 추가 분기선을 설치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스트랍(90)을 매개로 제4배전선(L4)을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제1래크(70)의 상단에 형성된 제1래크상측체결홀(71b2)에 제1연결체(92)를 대응시켜 삽입시킨다.(도 7(a)참조) 이때, 제1연결체(92)에 구비된 제1돌기(92a)는 제1상측돌기수용홈(71b2a)에 삽입된다. 또한, 스트랍(90)은 회전되지 않으면서 삽입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스트랍(90)을 45°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 7(b)참조) 이때, 제1돌기(92a)는 제1상측돌기수용홈(71b2a)에서 제1상측돌기회전홈(71b2b)으로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랍(90)의 일측이 제1고정볼트(73)를 매개로 제1래크(70)에 지지되고, 스트랍(90)의 타측이 제1연결체(92)를 매개로 제1래크상판(71b)에 지지됨으로써, 제1레크(70)에 설치된 스트랍(90)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제2래크(80)의 제2래크하측체결홀(81c2)을 제2연결체(93)에 삽입시킨다.(도 7(c)참조) 이때, 제2래크하측체결홀(81c2)에 형성된 제2하측돌기수용홈(81c2a)은 제2연결체(93)의 제2돌기(93a)에 삽입된다. 또한, 제2래크는(80)는 스트랍(90)에 회전되지 않으면서 삽입된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이후 작업자는 제2래크(80)를 45°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 7(d)참조) 이때 제2돌기(93a)는 제2래크하측회전홈(81c2b)으로 배치된다. 그러면, 본 발명은 제2돌기(93a)를 매개로 제2래크(80)가 손쉽게 스트랍(9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래크(80)의 일측이 제2고정볼트(83)를 매개로 스트랍(90)에 지지되고, 제2래크(80)의 타측이 제2연결체(93)를 매개로 스트랍판체(91)에 지지됨으로써, 스트랍(90)에 설치된 제2래크(80)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애자(72)에 배치된 제3분기선(L3)을 제3고정애자(82)에 배치된 제4배전선(L4)와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추가적인 배전선을 가정 및 타 전주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1래크(70)의 하단에 스트랍(90)을 매개로 제2래크(8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애자(72)에 배치된 제3분기선(L3)을 제3고정애자(82)에 배치된 제4배전선(L4)와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추가적인 배전선을 가정 및 타 전주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트랍(90)을 매개로 제1래크(7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제2래크(80)를 설치할 수 있어, 추가배전선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밴드(50)를 통해 제2분기선(L2)을 사방으로 설치할 수 있어, 인출라인(EL), 제1분기선(L1) 및 제3분기선(L3)의 위치에 상관없이 제2분기선(L2)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용가의 변경위치에 따라 인출라인(EL)에서 제3분기선(L3)까지 손쉽게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분기선(L2)이 제3분기선(L3)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설치되면, 제2분기선(L2)을 이동애자(64)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2분기선(L2)이 흔들리거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의 배전선, 통신선 등 다른 전선과 접촉되어 서로간의 전선 꼬임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밴드(50)를 회전시켜 제2분기선(L2)의 위치가 변동되면, 제2분기선(L2)의 위치에 맞춰 이동애자(64)를 수직변경시켜 제2분기선(L2)을 고정시킴으로써, 제2분기선(L2)이 타 분기선과의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고, 제2분기선(L2)이 외부에 설치된 다른 전선들과의 꼬임을 방지하며, 제2분기선(L2)의 길이를 별도로 증가시킬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이동애자(64)의 수직을 변경시키면, 스프링(65)이 위치변경체(63)를 탄발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변경된 위치에서 위치변경체(63)가 손쉽게 지지부(61b)에 삽입될 수 있어, 작업이 보다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랍(90)을 매개로 손쉽게 제2래크(80)를 제1래크(7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손쉽게 추가배전선을 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용케이스(100)를 매개로 작업자가 필요한 물품(여유배전선(AL), 휴대용전등)을 보관하고 있어, 작업자가 추가작업에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애자간을 연결하기 위한 스트랍에, 다수의 가공배전설비 구성을 더 포함하여, 가공배전선을 안정적으로 고정(지지)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 및 청구대상을 가공배전선 안전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로 정의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L1: 제1분기선 L2: 제2분기선
L3: 제3분기선 L4: 제4분기선
10: 제1고정기구 20: 연결바
30: 제1고정애자 40: 제2고정기구
50: 이동밴드 60: 애자회전기구
70: 제1래크 80: 제2래크
90: 스트랍 100: 휴대용케이스
110: 밴드고정볼트

Claims (1)

  1. 원형밴드 형상으로 전주(P)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고정기구(10)와,
    제1고정기구(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연결바(20)와,
    연결바(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분기선(L1)을 고정하는 제1고정애자(30)와,
    원형밴드 형상으로 연결바(20)의 하측에 설치되고 전주(P)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고정기구(40)와,
    제2고정기구(40)에 원주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호 형상의 이동밴드(50)와,
    일측이 개구된 몸체홀(61a1)을 구비하여, 이동밴드(50)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는 몸체부(61a)와, 다각형 형상으로, 몸체홀(61a1)의 내측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61b)를 갖춘 몸체(61)와; 지지부(61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부(62a)와, 회전축부(62a)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애자고정축부(62b)를 갖춘 회전체(62)와; 애자고정축부(62)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판부(63a)와, 지지부(61b)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일측이 개구된 끼움홈(63b1)을 구비하여, 판부(63a)의 양측에 설치되되, 끼움홈(63b1)이 지지부(61b)에 삽탈가능한 한 쌍의 날개부(63b)를 갖춘 위치변경체(63)와; 판부(63a)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애자고정축부(62b)에 설치되되 판부(63a)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제1분기선(L1)에 접속된 제2분기선(L2)을 지지하는 이동애자(64)와; 판부(63a)와 이동애자(64) 사이에 설치되어 위치변경체(63)를 탄발지지하는 스프링(65);으로 구성된 애자회전기구(60)와,
    이동밴드(50)의 외주면 타측에 설치되는 제1래크몸체(71)와; 제1래크몸체(71)에 설치되며, 제2분기선(L2)에 접속된 제3분기선(L3)을 지지하는 제2고정애자(72);로 구성된 제1래크(70)와,
    제1래크몸체(71)의 상측 또는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트랍(90)과,
    스트랍(9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래크몸체(81)와; 제2래크몸체(81)에 설치되며, 제3분기선(L3)에 접속된 제4분기선(L4)을 지지하는 제3고정애자(82);로 구성된 제2래크(80)와,
    제1고정기구(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관용본체(101)와; 보관용본체(101)를 개폐하는 보관용도어(102);를 갖춘 보관용케이스(1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 안전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
KR1020200043199A 2020-04-09 2020-04-09 가공배전선 안전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 KR102153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199A KR102153693B1 (ko) 2020-04-09 2020-04-09 가공배전선 안전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199A KR102153693B1 (ko) 2020-04-09 2020-04-09 가공배전선 안전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693B1 true KR102153693B1 (ko) 2020-09-09

Family

ID=7246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199A KR102153693B1 (ko) 2020-04-09 2020-04-09 가공배전선 안전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232B1 (ko) * 2021-08-23 2022-04-01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피뢰구조장착 가공배전라인 고정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450Y1 (ko) * 2000-10-25 2001-04-02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
KR100601417B1 (ko) 2006-04-04 2006-07-19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길이조절이 가능한 확장 애자 고정용 스트랍장치
KR100668452B1 (ko) * 2006-08-04 2007-01-16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보관함 기능을 가진 전주 디딤발판.
KR100704366B1 (ko) * 2006-12-29 2007-04-09 (주)태양이엔지 고압케이블 고정밴드
JP2009118565A (ja) * 2007-11-02 2009-05-2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腕金装置補強器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450Y1 (ko) * 2000-10-25 2001-04-02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
KR100601417B1 (ko) 2006-04-04 2006-07-19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길이조절이 가능한 확장 애자 고정용 스트랍장치
KR100668452B1 (ko) * 2006-08-04 2007-01-16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보관함 기능을 가진 전주 디딤발판.
KR100704366B1 (ko) * 2006-12-29 2007-04-09 (주)태양이엔지 고압케이블 고정밴드
JP2009118565A (ja) * 2007-11-02 2009-05-2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腕金装置補強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232B1 (ko) * 2021-08-23 2022-04-01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피뢰구조장착 가공배전라인 고정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697B1 (ko) 가공배전선 지지를 위한 지지고정기구
US9938117B2 (en) Mobile conductor lift
JP2021121175A (ja) 架空地線張替方法
US4908482A (en) Cable closure
KR102153693B1 (ko) 가공배전선 안전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
US20040218394A1 (en) Auto lift ceiling lighting system
KR102097277B1 (ko) 안전성이 향상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
US2564328A (en) Overhead mounting for tubular lighting fixtures
US11726289B1 (en) Components for fiber optic cable installation on a powerline conductor
US5064172A (en) Stringing block
KR101885223B1 (ko) 가공송전 철탑의 스페이서장치
KR102298331B1 (ko) 가공배전을 위한 전선 간격 유지기구
US20150378121A1 (en) Enclosure with combined strain relief and grounding
KR101195154B1 (ko) 케이블 릴
KR102348864B1 (ko) 피뢰기능을 갖춘 안전형 가공배전용 고정기구
KR102140543B1 (ko)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
KR102153677B1 (ko) 가공배전라인용 안전성 향상 분기슬리브
KR200426037Y1 (ko) 광케이블 단자함
KR101366896B1 (ko)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안착장치
KR100922324B1 (ko) 고압선로의 처짐 방지장치
KR102493929B1 (ko) 피뢰기능을 탑재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CN113851936A (zh) 一种配电柜引线器及配电柜
KR102355720B1 (ko)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
KR102024669B1 (ko)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활용 고정기구
CN109904801A (zh) 一种用于电缆铺设用的限位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