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543B1 -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543B1
KR102140543B1 KR1020200033058A KR20200033058A KR102140543B1 KR 102140543 B1 KR102140543 B1 KR 102140543B1 KR 1020200033058 A KR1020200033058 A KR 1020200033058A KR 20200033058 A KR20200033058 A KR 20200033058A KR 102140543 B1 KR102140543 B1 KR 102140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insulator
bracket
fixed
arc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Priority to KR1020200033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주(P)의 둘레면에 고정 및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밴드조립체(100); 밴드조립체(100)에 설치되어 저압가공선(L)을 시공할 수 있도록 된 저압가공선설치유닛(200); 밴드조립체(100)에 의해 회전되며 저압분기선(L')을 시공할 수 있도록 된 저압분기선설치유닛(300); 밴드조립체(100)에 의해 회전되며 저압가공선(L)과 저압분기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을 시공할 수 있도록 된 점퍼선가설유닛(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저압분기선이 가설될 경로 상에 간섭대상물이 위치해 있더라도 높낮이 조절과 회전에 의한 횡 방향으로의 이동을 통해 간섭대상물을 손상시키거나 파괴하지 않고도 손쉽게 회피하여 가설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Support device for low pressure overhead line connection}
본 발명은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는 주로 전주의 둘레면에 다단계로 구성되는 바, 이러한 배전선로는 최근 들어 통신회사에서 전주를 임대하여 저압 배전선로의 하단부에 통신선을 첨가하여 구성하고 있다.
즉, 전주의 둘레면에 가공지선, 특고압선, 중성선, 저압선, 통신선을 상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배전선로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특고압선은 전주의 둘레면에 완금장주를 통해 수평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반면, 저압선로와 통신선은 전주의 둘레면에 랙크장주를 통해 수직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구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배전선로의 하부측에 추가로 저압선(이하, 분기선이라 통칭함)을 가설하려는 경우, 통신선과 분기선의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분기선과 대지와의 이격거리가 미달되므로, 전주를 높은 규격으로 교체하거나, 배전선로와 대지의 이격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저압선의 일부를 수평배열로 변경하거나, 저압선의 하부측에 각각의 지선밴드를 통해 랙크를 장착하거나, 랙크의 선단부에 스트랩을 장착하여 분기선을 가설하는 방법과 같은 다양한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시공하고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099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9729호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과 회전기능을 통해 저압분기선이 설치될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가설작업이 편리해지는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주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연결수단을 매개로 전주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밴드, 각각의 고정밴드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말단부 외주면에 가압너트가 체결되는 가이드볼트가 일체로 형성된 제1연장편으로 이루어진 제1바디와,
전주를 감싸도록 전주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고정밴드의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양단과 외주면으로 개구된 수용부를 갖춘 승강밴드, 승강밴드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1연장편의 외주면에 맞대어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을 매개로 가이드볼트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압너트에 의해 가압고정되는 제2연장편, 승강밴드의 수용부에 각각 끼워져 전주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양단부에 요철형상의 블록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된 아크플레이트, 아크플레이트의 블록삽입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아크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블록으로 이루어진 제2바디로 구성된 밴드조립체;
고정밴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연장편과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고정체와, 제1고정체의 말단부에 고정되는‘ㄷ’자 형상의 제1브라켓과, 제1브라켓에 수용되어 저압가공선을 절연하는 제1애자와, 제1브라켓에 설치되어 제1애자를 고정하는 제1애자고정수단으로 구성된 저압가공선설치유닛;
아크플레이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제2연장편과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아크플레이트의 회전시 함께 이동하는 제2고정체와, 제2고정체의 말단부에 고정되는‘ㄷ’자 형상의 제2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수용되어 저압분기선을 절연하는 제2애자와, 제2브라켓에 설치되어 제2애자를 고정하는 제2애자고정수단으로 구성된 저압분기선설치유닛;
제2저압선설치유닛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아크플레이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제2연장편과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아크플레이트의 회전시 함께 이동하는 제3고정체와, 제3고정체의 말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ㄷ’자 형상의 제3브라켓과, 제3브라켓에 수용되어 저압가공선과 저압분기선을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을 절연하는 제3애자와, 제3브라켓에 설치되어 제3애자를 고정하는 제3애자고정수단으로 구성된 점퍼선가설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압분기선이 가설될 경로 상에 간섭대상물이 위치해 있더라도 높낮이 조절과 회전에 의한 횡 방향으로의 이동을 통해 간섭대상물을 손상시키거나 파괴하지 않고도 손쉽게 회피하여 가설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에서 제1바디 및 저압가공선설치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에서 제2바디와 저압분기선설치유닛 및 점퍼선가설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에서 제2바디와 점퍼선가설유닛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에서 제1바디 및 저압가공선설치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에서 제2바디와 저압분기선설치유닛 및 점퍼선가설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에서 제2바디와 점퍼선가설유닛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는 밴드조립체(100)와 저압가공선설치유닛(200), 저압분기선설치유닛(300) 및 점퍼선가설유닛(4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높낮이 조절과 회전기능을 통해 저압분기선(L')이 설치될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가설작업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밴드조립체(100)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주(P)에 설치된 변압기(미도시)의 하부에 배치되며 전주(P)의 외주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바디(110)는 고정밴드(111)와 제1연장편(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밴드(111)는 호 형상으로 분할형성된 부재가 한 쌍을 이룬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고정밴드(111)는 전주(P)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전주(P)의 외주면에 맞대어져 양단부에 설치되는 연결수단(C1:볼트 및 너트)을 매개로 전주(P)에 고정된다.
상기 제1연장편(112)은 호형의 단면을 갖는 플레이트로서, 각각의 고정밴드(111)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말단부 외주면에는 가이드볼트(112a)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볼트(112a)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제2연장편(122)이 장공(122a)을 매개로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며 가이드볼트(112a)에 체결되는 가압너트(112b)에 의해 제2연장편(122)은 가압고정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제2바디(120)는 승강밴드(121)와 제2연장편(122), 아크플레이트(123) 및 연결블록(124)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바디(110)의 하부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어 전주(P)의 외주면을 감싸며 저압분기선설치유닛(300)과 점퍼선가설유닛(400)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밴드(121)는‘C’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반원형의 부재로 분할형성되어 한 쌍을 이룬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승강밴드(121)는 전주(P)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전주(P)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전주(P)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아크플레이트(123)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승강밴드(121)는 내부가 양단과 외주면으로 개구된 수용부(121a)를 구비하며, 이 수용부(121a)에는 아크플레이트(123)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전주(P)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연장편(122)은 호형의 단면을 갖는 플레이트로서, 각각의 승강밴드(121)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1연장편(112)의 외주면에 승강가능하게 맞대어진다.
또한, 상기 제2연장편(12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122a)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장공(122a)에는 가이드볼트(112a)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일 예로서, 상기 제1연장편(112)과 제2연장편(122)을 가이드볼트(112a)와 장공(122a)을 매개로 상호 결합한 상태에서 제1연장편(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연장편(122)을 원하는 위치로 승강시킨 다음 가이드볼트(112a)에 체결된 가압너트(112b)를 조이게 되면 제2연장편(122)은 가압너트(112b)에 의해 가압되면서 고정됨에 따라 작업자가 원하는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크플레이트(123)는 반원형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승강밴드(121)의 수용부(121a)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아크플레이트(123)의 양단에는 요철모양의 블록삽입부(123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블록(124)은 아크플레이트(123)의 블록삽입부(123a)에 끼워져 분할된 아크플레이트(123)를 상호 연결하여 승강밴드(121)가 벌어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승강밴드(121)의 경계선과 아크플레이트(123)의 경계선이 소정의 각도로 서로 어긋나 있으면 승강밴드(121)의 벌어짐을 제한할 수 있지만, 승강밴드(121)의 경계선에 아크플레이트(123)의 경계선이 위치되면 승강밴드(121)는 작업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자연스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 아크플레이트(123)를 연결블록(124)을 매개로 상호 연결해주게 되면 아크플레이트(123)가 일체형 구조를 이루게 됨에 따라 승강밴드(121)의 경계선과 아크플레이트(123)의 경계선이 일치되더라도 승강밴드(121)가 작업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벌어지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저압가공선설치유닛(200)은 제1고정체(210)와 제1브라켓(220), 제1애자(230) 및 제1애자고정수단(24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밴드조립체(100)를 구성하는 고정밴드(111)에 설치되어 변압기(미도시)로부터 인출되는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압가공선(L)을 절연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고정체(210)는 고정밴드(111)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연장편(112)과 직교를 이루는 횡방향으로 돌출된 부재이다.
상기 제1브라켓(220)는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을 이루며 제1고정체(21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애자(23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1애자(230)는 절연체로 제1브라켓(220)에 수용되어 제1애자고정수단(240:볼트 및 너트)을 매개로 설치되며, 저압가공선(L)의 시공 및 절연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도 1과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저압분기선설치유닛(300)은 제2고정체(310)와 제2브라켓(320), 제2애자(330) 및 제2애자고정수단(34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밴드조립체(100)를 구성하는 아크플레이트(123)에 설치되어 점퍼선(J)을 매개로 저압가공선(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압분기선(L')을 절연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고정체(310)는 아크플레이트(123)의 외주면으로부터 제2연장편(122)과 직교를 이루는 횡방향으로 돌출된 부재이다.
상기 제2브라켓(320)는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을 이루며 제2고정체(31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2애자(33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2애자(330)는 절연체로 제2브라켓(320)에 수용되어 제2애자고정수단(340:볼트 및 너트)을 매개로 설치되며, 저압분기선(L)의 시공 및 절연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도 1과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점퍼선가설유닛(400)은 제3고정체(410)와 제3브라켓(420), 제3애자(430) 및 제3애자고정수단(44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밴드조립체(100)를 구성하는 아크플레이트(123)에 설치되어 저압가공선(L)과 저압분기선(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점퍼선(J)이 전주(P)와 간섭되지 않도록 절연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고정체(410)는 제2저압선설치유닛(30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아크플레이트(123)의 외주면으로부터 제2연장편(122)과 직교를 이루는 횡방향으로 돌출된 부재이다.
상기 제3브라켓(420)은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을 이루며 제3고정체(41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3애자(43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3고정체(410)에 제3브라켓(4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3고정체(410)에는 제3브라켓(420)을 관통하는 축볼트(4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축볼트(411)에 제3브라켓(420)이 관통되게 끼워지며, 관통된 축볼트(411)에는 너트(412)가 체결되어 제3고정체(410)와 제3브라켓(420)이 일체형 구조를 이루도록 하였다.
상기 제3애자(430)는 절연체로 제3브라켓(420)에 수용되어 제3애자고정수단(440:볼트 및 너트)을 매개로 설치되며, 점퍼선(J)의 시공 및 절연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압분기선설치유닛(300)과 점퍼선가설유닛(400)은 아크플레이트(123)와 일체형 구조를 이루고 있어 전주(P)를 중심으로 아크플레이트(123)가 회전할 경우 저압분기선설치유닛(300)과 점퍼선가설유닛(400) 역시 함께 횡방향으로(수평방향으로) 위치 이동하게 되므로 전방향으로 작업자는 원하는 위치에 저압분기선(L')을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한결 수월해지며, 특히 저압분기선(L')이 가설될 경로 상에 시설물이 있는 경우 이를 회피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저압가공선(L)과 저압분기선(L') 및 점퍼선(J)의 시공(설치)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변압기(미도시)의 하부에 밴드조립체(100)가 위치되도록 전주(P)의 둘레면에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로 감싸준 다음 제1바디(110)는 연결수단(C1)을 매개로 전주(P)에 고정하고, 제2바디(120)는 승강밴드(121)가 벌어지지 않도록 아크플레이트(123)의 블록삽입부(123a)에 연결블록(124)을 결합하여 아크플레이트(123)가 일체형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 저압가공선설치유닛(200)은 제1바디(110)의 고정밴드(111)에, 저압분기선설치유닛(300)과 점퍼선가설유닛(400)은 제2바디(120)의 아크플레이트(123)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저압가공선설치유닛(200)의 제1애자(230)에는 저압가공선(L)을 시공해주고, 저압분기선설치유닛(300)의 제2애자(330)에는 저압분기선(L')을 시공해준다.
이와 같이 저압가공선(L)과 저압분기선(L')을 각각 시공한 다음 작업자는 변압기(미도시)로부터 인출된 전선과 저압가공선(L)을 분기슬리브(미도시)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고, 저압가공선(L)과 저압분기선(L')은 점퍼선(J)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해 준다.
이때, 상기 점퍼선(L)은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점퍼선가설유닛(400)의 제3애자(430)에 한번 감은 다음 일단은 저압가공선(L)에 연결하고, 타단은 저압분기선(L')에 연결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점퍼선가설유닛(400)의 경우 점퍼선(J)의 가설경로에 따라 이에 상응하게 제3브라켓(420)이 회전되면서 맞춰짐에 따라 확실하게 점퍼선(J)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저압분기선(L')이 가설될 경로 상에 간섭될 수 있는 대상이 위치하고 있어 회피가 필요한 경우에는 가압너트(112b)를 풀어준 다음 가이드볼트(112a)와 장공(122a)을 매개로 제2바디(120)를 승강시켜 주고, 회피 가능한 위치에 제2바디(120)가 위치되면, 작업자는 풀었던 가압너트(112b)를 다시 조여 제2바디(120)의 위치를 고정한다.
그리고 전주(P)를 중심으로 아크플레이트(123)를 회전시켜 주게 되면 아크플레이트(123)에 고정된 저압분기선설치유닛(300)과 점퍼선가설유닛(400)이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가설경로를 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저압분기선(L')이 가설될 경로 상에 간섭대상물이 위치해 있더라도 높낮이 조절과 회전에 의한 횡 방향으로의 이동을 통해 간섭대상물을 손상시키거나 파괴하지 않고도 손쉽게 회피하여 가설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밴드조립체 110: 제1바디 111: 고정밴드
112: 제1연장편 112a: 가이드볼트 112b: 가압너트
120: 제2바디 121: 승강밴드 121a: 수용부
122: 제2연장편 122a: 장공 123: 아크플레이트
123a: 블록삽입부 124: 연결블록 200: 저압가공선설치유닛
210: 제1고정체 220: 제1브라켓 230: 제1애자
240: 제1애자고정수단 300: 저압분기선설치유닛
310: 제2고정체 320: 제2브라켓 330: 제2애자
340: 제2애자고정수단 400: 점퍼선가설유닛
410: 제3고정체 411: 축볼트 412: 너트
420: 제3브라켓 430: 제3애자 440: 제3애자고정수단
C1: 연결수단 L: 저압가공선 L': 저압분기선
J: 점퍼선

Claims (1)

  1. 전주(P)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연결수단(C1)을 매개로 전주(P)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밴드(111), 각각의 고정밴드(1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말단부 외주면에 가압너트(112b)가 체결되는 가이드볼트(112a)가 일체로 형성된 제1연장편(112)으로 이루어진 제1바디(110)와,
    전주(P)를 감싸도록 전주(P)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고정밴드(111)의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양단과 외주면으로 개구된 수용부(121a)를 갖춘 승강밴드(121), 승강밴드(12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1연장편(112)의 외주면에 맞대어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122a)을 매개로 가이드볼트(112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압너트(112b)에 의해 가압고정되는 제2연장편(122), 승강밴드(121)의 수용부(121a)에 각각 끼워져 전주(P)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양단부에 요철형상의 블록삽입부(123a)가 일체로 형성된 아크플레이트(123), 아크플레이트(123)의 블록삽입부(123a)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아크플레이트(12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블록(124)으로 이루어진 제2바디(120)로 구성된 밴드조립체(100);
    고정밴드(111)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연장편(112)과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고정체(210)와, 제1고정체(210)의 말단부에 고정되는‘ㄷ’자 형상의 제1브라켓(220)과, 제1브라켓(220)에 수용되어 저압가공선(L)을 절연하는 제1애자(230)와, 제1브라켓(220)에 설치되어 제1애자(230)를 고정하는 제1애자고정수단(240)으로 구성된 저압가공선설치유닛(200);
    아크플레이트(123)의 외주면으로부터 제2연장편(122)과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아크플레이트(123)의 회전시 함께 이동하는 제2고정체(310)와, 제2고정체(310)의 말단부에 고정되는‘ㄷ’자 형상의 제2브라켓(320)과, 제2브라켓(320)에 수용되어 저압분기선(L')을 절연하는 제2애자(330)와, 제2브라켓(320)에 설치되어 제2애자(330)를 고정하는 제2애자고정수단(340)으로 구성된 저압분기선설치유닛(300);
    제2저압선설치유닛(30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아크플레이트(123)의 외주면으로부터 제2연장편(122)과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아크플레이트(123)의 회전시 함께 이동하는 제3고정체(410)와, 제3고정체(410)의 말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ㄷ’자 형상의 제3브라켓(420)과, 제3브라켓(420)에 수용되어 저압가공선(L)과 저압분기선(L')을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을 절연하는 제3애자(430)와, 제3브라켓(420)에 설치되어 제3애자(430)를 고정하는 제3애자고정수단(440)으로 구성된 점퍼선가설유닛(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
KR1020200033058A 2020-03-18 2020-03-18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 KR102140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058A KR102140543B1 (ko) 2020-03-18 2020-03-18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058A KR102140543B1 (ko) 2020-03-18 2020-03-18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543B1 true KR102140543B1 (ko) 2020-08-04

Family

ID=72048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058A KR102140543B1 (ko) 2020-03-18 2020-03-18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5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0206A (zh) * 2020-09-21 2021-01-22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安阳供电公司 一种低压避雷器安装支架
KR102328880B1 (ko) * 2021-03-11 2021-11-19 두원전력(주) 저압가선용 볼트형 애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2099B1 (ko) 1996-03-11 1999-03-20 유종열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구동방법
KR20040018673A (ko) * 2002-08-26 2004-03-04 주식회사 지엔드에스테크 핀애자용 지지구
KR101109729B1 (ko) 2011-02-01 2012-02-24 한국전력공사 전주 전선처리용 랙크
KR101472099B1 (ko) * 2013-11-26 2014-12-16 제룡산업 주식회사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및 이를 이용한 분기선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2099B1 (ko) 1996-03-11 1999-03-20 유종열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구동방법
KR20040018673A (ko) * 2002-08-26 2004-03-04 주식회사 지엔드에스테크 핀애자용 지지구
KR101109729B1 (ko) 2011-02-01 2012-02-24 한국전력공사 전주 전선처리용 랙크
KR101472099B1 (ko) * 2013-11-26 2014-12-16 제룡산업 주식회사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및 이를 이용한 분기선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0206A (zh) * 2020-09-21 2021-01-22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安阳供电公司 一种低压避雷器安装支架
CN112260206B (zh) * 2020-09-21 2023-08-08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安阳供电公司 一种低压避雷器安装支架
KR102328880B1 (ko) * 2021-03-11 2021-11-19 두원전력(주) 저압가선용 볼트형 애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543B1 (ko) 저압가공선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
KR102206803B1 (ko) 피뢰기능탑재 가공배전라인 고정기기
KR102153682B1 (ko) 절연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KR102140546B1 (ko) 작업이 편리한 저압가공선 연결장치
KR102365477B1 (ko) 가공배전선 편의성 향상 고정기구
KR102381232B1 (ko) 피뢰구조장착 가공배전라인 고정기기
KR102153697B1 (ko) 가공배전선 지지를 위한 지지고정기구
JPH0364873A (ja) 圧接ターミナル
KR102233998B1 (ko)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점퍼선 지지장치
KR102073865B1 (ko) 가공배전선 안정적 지지를 위한 완철장치
US8389876B2 (en) High voltage bushing
US20040012276A1 (en) Electric motor
KR102382972B1 (ko)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점퍼선 지지기구
CN104967027A (zh) 一种令克绝缘隔板
KR20100093201A (ko)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KR102289231B1 (ko)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위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DE102016220852A1 (de) Mobiler Transformatordurchführungsanschluss
CH695716A5 (de) Freiluft-Hochspannungs-Durchführung und Hochspannungs-Schaltgerät mit einer solchen Durchführung.
KR20210135183A (ko) 전주용 완금구조물
KR101583683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KR101938154B1 (ko)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JP6313135B2 (ja) 仮置き台及び電力ケーブル終端部工事方法
KR101485031B1 (ko) 지중 배전선로 전선 연결대의 안전장치
KR102382976B1 (ko) 가공배전라인 안전지지를 위한 고정기구
KR102398098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점퍼선 클램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