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799B1 -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 Google Patents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799B1
KR102324799B1 KR1020190125513A KR20190125513A KR102324799B1 KR 102324799 B1 KR102324799 B1 KR 102324799B1 KR 1020190125513 A KR1020190125513 A KR 1020190125513A KR 20190125513 A KR20190125513 A KR 20190125513A KR 102324799 B1 KR102324799 B1 KR 102324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cable
wiring
standing pipe
underground
waterproof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2674A (ko
Inventor
강귀준
곽종택
심정봉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25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79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2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674A/ko
Priority to KR1020210148992A priority patent/KR102377000B1/ko
Priority to KR1020210148991A priority patent/KR102376999B1/ko
Priority to KR1020210148989A priority patent/KR102376997B1/ko
Priority to KR1020210148990A priority patent/KR102376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상관에 배설되는 지중케이블에 대한 방수 성능을 확보하고 방수용 구조물과 지중케이블 사이의 조립 구조를 간략화함으로써 지중케이블의 설치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입상관의 방수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입상관의 방수장치는 입상관에 고정되고 조립 가능하게 분할되는 분할형 몸체부, 상기 분할형 몸체부에 형성되어 지중케이블을 설치하는 수용홈, 및 상기 분할형 몸체부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Waterproof device of standpipe for wiring underground power cable}
본 발명은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상관에 설치되는 지중케이블에 대한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를 통해 배설되는 가공배전선로와 지하공간을 따라 배설되는 지중배전선로 사이의 연결은 입상관의 설치를 통해 구현된다.
도 1은 종래 가공배전선로와 지중배전선로 사이의 연결을 위해 전주에 입상관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전주(10) 상에 배설되는 가공배전선로(12)는 지하에 위치한 매설구조물(14)을 따라 배설되는 지중배전선로(미도시)와 지중케이블(16)의 설치를 통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지중케이블(16)은 전주(10)의 상부에 위치한 케이블입상관(18)을 통해 하부로 연장된 다음, 전주(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지하에 위치한 매설구조물(14)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구조로 배설된다.
또한, 전주(10)의 내부공간을 따라 지하로 배설되는 지중케이블(16)은 관로구(14a)를 통해 매설구조물(14)의 내부로 인입된 다음, 매설구조물(14)이 설정하는 지하공간의 배선경로를 따라 배설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에서는 지중케이블(16)이 전주(10)의 외부에서 내부에 위치한 공간으로 삽입되는 부위에 대한 방수 대책이 필요한 데, 이러한 부위에서는 입상관의 설치를 통해 케이블의 인입경로를 안내하고 있지만, 케이블과 입상관 사이의 공간에 대한 방수 시공이 미흡하여 완벽한 방수가 보장되지 않게 되면, 우천시 지중케이블(16)의 표면을 타고 낙하하는 물방울이 전주(10)의 내부공간을 거쳐 매설구조물(14)의 내부공간에 이르기까지 이동하게 되므로, 매설구조물(14)의 내부에서는 침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해 수반되는 매설구조물(14)의 내부의 침수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체에 대한 손상의 원인이 되는 수 트리(water tree) 현상을 유발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처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2235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입상관 내부에 방수용 구조물의 설치를 통해 입상관에 배설되는 지중케이블에 대한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입상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수용 구조물과 지중케이블 사이의 조립 구조를 간략화함으로써, 지중케이블의 설치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로서, 상기 입상관에 고정되고 조립 가능하게 분할되는 분할형 몸체부, 상기 분할형 몸체부에 형성되어 지중케이블을 설치하는 수용홈, 및 상기 분할형 몸체부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분할형 몸체부는 상기 지중케이블의 설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절개면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절개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천공구멍, 및 상기 천공구멍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볼트부재와 너트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수용홈에 장착되고 상기 지중케이블을 내부에 삽입하여 지지하는 중공형상의 어댑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여러 규격의 지중케이블 외경에 부합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수용홈에 장착되고 상기 지중케이블을 내부에 삽입하여 지지하며, 내부에 서로 다른 직경의 관통부를 갖춘 중공형상의 다단형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는 여러 규격의 지중케이블 외경에 부합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로서, 상기 입상관에 설치되고 지중케이블의 설치를 위한 복수의 삽입구멍을 갖춘 덮개부재, 및 상기 덮개부재의 삽입구멍에 결합되고 내부에 서로 다른 직경의 관통부를 갖춘 중공형상의 다단형 구조물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부는 여러 규격의 지중케이블 외경에 부합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관통부는 상기 다단형 구조물에 대해 상기 지중케이블의 설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관통부는 상하방향의 층상 구조로서 직경 크기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단형 구조물 중 내부에 가장 작은 직경의 관통부를 가지는 최소 몸체부는 중실형상의 플러그에 의해 마감되어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덮개부재와 다단형 구조물은 각각 부재를 지중케이블의 설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양분하는 절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부에 의해 분할되는 부재에는 각각 잠금용 구조물이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재와 다단형 구조물은 잠금용 구조물을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덮개부재는 절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잠금용 구조물의 위치와 반대되는 부위에 힌지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는 입상관 내부에 설치되는 방수용 구조물을 지중케이블의 외주면과 밀착되면서 결합이 용이한 중공형상의 분할형 몸체부로 구성함으로써, 입상관에 배설되는 지중케이블에 대한 방수 성능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분할형 몸체부는 여러 규격의 지중케이블의 외경에 부합하는 내경을 가지는 중공형상 어댑터의 부가적인 설치를 통해 입상관에 배설되는 지중케이블에 대한 방수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는 입상관 내부에 설치되는 방수용 구조물을 내부에 서로 다른 직경의 관통부를 가지고서 지중케이블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중공형상의 다단형 구조물로 구성함으로써, 입상관에 배설되는 지중케이블에 대한 방수 성능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다단형 구조물은 최소 몸체부로부터 최대 몸체부에 이르기까지 관통부의 직경이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여러 규격의 외경을 가지는 지중케이블에 대한 현장 설치를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입상관에 대한 지중케이블의 배선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해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는 입상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수용 구조물과 지중케이블 사이의 조립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으므로, 입상관의 설치를 통해 지중케이블의 배설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가공배전선로와 지중배전선로 사이의 연결을 위해 전주에 입상관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에 대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입상관의 방수장치에서 분할형 몸체부만을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할형 몸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와 도 3에 각각 도시된 분할형 몸체부에 대해 별도로 조립되어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댑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에 대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입상관의 방수장치에서 다단형 구조물만을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입상관의 방수장치에서 덮개부재만은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에 대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입상관의 방수장치에서 분할형 몸체부만을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할형 몸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방수장치는 전주(10)의 측부에 설치되는 입상관(20), 상기 입상관(20)에 조립되고 내부에 지중케이블(16)을 수용하여 장착하는 분할형 몸체부(30), 및 상기 분할형 몸체부(30)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상관(20)은 전주(10)의 측부에서 지중케이블(16)의 외부를 감싸도록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전주(10)의 외부에서 전주(10)의 내부에 위치한 공간으로 지중케이블(16)의 인입을 안내하는 경로를 설정하고, 지중케이블(16)의 인입경로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할형 몸체부(30)는 입상관(20)의 상부에 대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로서, 복수의 부재로 분할되어 단일의 부재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분할형 몸체부(30)는 신축성과 내구성 및 절연성을 모두 갖춘 연질의 실리콘 계열 합성고무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분할형 몸체부(30)는 내부에 지중케이블(16)의 설치를 위한 공간의 형태로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홈(30a)을 일체로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수용홈(30a)의 크기는 분할형 몸체부(30)가 조립된 상태에서 지중케이블(16)의 외주면을 긴밀하게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분할형 몸체부(30)는 복수의 부재로의 분할을 위한 절개면(32)을 구비하는 데, 상기 절개면(32)은 각각의 단편 부재마다 매칭되는 상대측 부재와의 접촉식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절개면(32)은 지중케이블(16)의 설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체결수단(40)은 복수의 부재로서 분할되는 분할형 몸체부(30)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입상관(20)에 대해 단일의 부재로 조립되게 하는 것으로, 부재를 관통하는 천공구멍(42)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천공구멍(42)은 분할형 몸체부(30)의 절개면(32)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분할형 몸체부(30)에 대한 결속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40)은 천공구멍(42)의 내부로 삽입되는 볼트부재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체결수단(40)은 볼트부재와의 체결을 통해 분할형 몸체부(30)에 대한 결합력을 유지해 주는 너트부재(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도 2와 도 3에 각각 도시된 분할형 몸체부에 대해 별도로 조립되어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댑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방수장치는 상기 분할형 몸체부(30)의 수용홈(30a)에 장착되면서 내부에 상기 지중케이블(16)을 삽입하여 지지하는 중공형상의 어댑터(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어댑터(50)는 신축성과 내구성을 모두 갖춘 합성고무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어댑터(50)는 여러 규격의 지중케이블(16) 외경에 부합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어댑터(50)는 단면 규격이 60mm2, 200mm2, 325mm2 등 다양한 종류의 지중케이블(16)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중공형상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어댑터(50)의 내경에 대한 규격은 다양한 종류의 지중케이블(16)이 가지는 외경과 각각 적절하게 부합하는 치수로 설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어댑터(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과 외경의 규격이 서로 다른 어댑터를 크기에 맞춰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조립하는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각각의 어댑터(50)가 가지는 내경과 외경은 상호간의 삽입식 조립이 가능한 크기로 설정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어댑터(50) 중에서 내경이 가장 작은 어댑터에는 중실형상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내경부위를 마감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어댑터(50)의 외경을 분할형 몸체부(30)의 수용홈(30a)에 맞춰 설정한 다음, 내경의 크기만을 지중케이블(16)의 규격에 맞춰 개별적으로 제작함으로써, 분할형 몸체부(30)의 수용홈(30a)에 대해 단일의 어댑터(50)만을 독립적으로 조립하여 지중케이블(16)을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이 경우에 대한 실시예는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상기 어댑터(50)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후술되는 도 7에 도시된 다단형 구조물(70)의 형태로 제작하여 분할형 몸체부(30)의 수용홈(30a)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실시예는 후술되는 제2실시예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에 대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입상관의 방수장치에서 다단형 구조물만을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입상관의 방수장치에서 덮개부재(60)만은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방수장치는 전주(10)의 측부에 설치되는 입상관(20), 상기 입상관(20)에 설치되는 덮개부재(60), 및 상기 덮개부재(60)에 조립되고 내부에 지중케이블(16)을 수용하여 장착하는 중공형상의 다단형 구조물(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상관(20)은 전주(10)의 측부에서 지중케이블(16)의 외부를 감싸도록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전주(10)의 외부에서 전주(10)의 내부에 위치한 공간으로 지중케이블(16)의 인입을 안내하는 경로를 설정하고, 지중케이블(16)의 인입경로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부재(60)는 입상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부재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상관(20)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상부에서 마감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60)는 지중케이블(16)의 설치를 위해 복수의 삽입구멍(62)을 구비하는 바, 상기 삽입구멍(62)은 다단형 구조물(70)의 외경을 긴밀하게 수용하는 크기의 내경을 갖추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단형 구조물(70)은 덮개부재(60)의 삽입구멍(62)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직경의 관통부(72)를 갖춘 중공형상의 층상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다단형 구조물(70)은 각 층별로 상이한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다단형 구조물(70)은 신축성과 내구성을 모두 갖춘 합성고무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관통부(72)는 여러 규격의 지중케이블(16)이 가지는 각각 외경에 대해 개별적으로 부합하는 크기의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관통부(72)는 다단형 구조물(70)에 있어, 각 층별로 상이한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 결과, 상기 다단형 구조물(70)의 각 층별 부재는 다양한 규격의 지중케이블(16)을 긴밀하게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단형 구조물(70)은 서로 다른 직경의 구조물 사이에 위치한 단차면을 절단용 경계면으로 활용하면 현장 작업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관통부(72)는 상기 다단형 구조물(70)에 대해 상기 지중케이블(16)의 설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관통부(72)는 상하방향의 구조로서 직경 크기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다단형 구조물(70)은 최대 몸체부(최하측 부재)로부터 최소 몸체부(최상측 부재)에 이르기까지 상기 관통부(72)가 가지는 직경의 크기 순서에 따라 상하방향에 걸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상기 다단형 구조물(70)에 대해 지중케이블(16)을 삽입함에 있어, 지중케이블(16)이 가지는 외경에 부합하는 내경을 가지는 층상 구조물만 남겨두고, 이보다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가지는 층상 구조물은 잘라 제거함으로써 다단형 구조물(70)의 관통부(72)에 대한 지중케이블(16)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상기 다단형 구조물(70) 중 내부에 가장 작은 직경의 관통부(72)를 가지는 최소 몸체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중실형상의 플러그에 의해 마감되어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데, 이는 내부로 원치않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덮개부재(60)와 다단형 구조물(70)은 각각 부재를 지중케이블(16)의 설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양분하는 절단부(64,74)를 구비하는 바, 상기 절단부(64,74)에 의해 분할되는 부재에는 각각 잠금용 구조물(80)이 부가적으로 구비되어 있어, 상기 덮개부재(60)와 다단형 구조물(70)은 잠금용 구조물(80)을 매개로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잠금용 구조물(80)은 절단부(64,74)를 중심으로 분할되는 부재 사이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면, 어떤 형식이라도 무방하나, 덮개부재(60)와 다단형 구조물(70)의 크기를 고려할 때, 금속성 재질로서 외력에 의한 압착을 통해 상호 결속될 수 있는 압착방식의 결합구조가 가장 적당할 것이다.
특히, 상기 덮개부재(60)의 경우에는 절단부(64)를 중심으로 잠금용 구조물(80)의 위치와 반대되는 부위에서 분할된 부재를 좌우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게 하는 힌지부재(66)가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는 입상관(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수용 구조물이 지중케이블(16)의 외주면과 밀착되면서 결합이 용이한 중공형상의 분할형 몸체부(30)로 구성되므로, 입상관(20)에 배설되는 지중케이블(16)에 대한 방수 성능을 완벽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분할형 몸체부(30)는 여러 규격의 지중케이블(16)의 외경에 부합하는 내경을 가지는 중공형상 어댑터(50)의 부가적인 설치를 통해 입상관(20)에 배설되는 지중케이블(16)에 대한 방수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는 입상관(20) 내부에 설치되는 방수용 구조물을 내부에 서로 다른 직경의 관통부(72)를 가지고서 지중케이블(16)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중공형상의 다단형 구조물(70)로 구성되므로, 입상관(20)에 배설되는 지중케이블(16)에 대한 방수 성능을 완벽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다단형 구조물(70)은 최소 몸체부로부터 최대 몸체부에 이르기까지 관통부(72)의 직경이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여러 규격의 외경을 가지는 지중케이블(16)에 대한 현장 설치를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해 준다.
10-전주 12-가공배전선로
14-매설구조물 16-지중케이블
18-케이블입상관 20-입상관
30-분할형 몸체부 32-절개면
40-체결수단 42-천공구멍
50-어댑터(50) 52-플러그
60-덮개부재 62-삽입구멍
64-절단부 66-힌지부재
70-다단형 구조물 72-관통부
74-절단부 80-잠금용 구조물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로서,
    상기 입상관에 설치되고 지중케이블의 설치를 위한 복수의 삽입구멍을 갖춘 덮개부재; 및
    상기 덮개부재의 삽입구멍에 결합되고 내부에 서로 다른 직경의 관통부를 갖춘 중공형상의 다단형 구조물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부는 여러 규격의 지중케이블 외경에 부합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다단형 구조물에 대해 상기 지중케이블의 설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관통부는 상하방향의 층상 구조로서 직경 크기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다단형 구조물 중 내부에 가장 작은 직경의 관통부를 가지는 최소 몸체부는 중실형상의 플러그에 의해 마감되어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와 다단형 구조물은 각각 부재를 지중케이블의 설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양분하는 절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부에 의해 분할되는 부재에는 각각 잠금용 구조물이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재와 다단형 구조물은 잠금용 구조물을 매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절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잠금용 구조물의 위치와 반대되는 부위에 힌지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0190125513A 2019-10-10 2019-10-10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324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513A KR102324799B1 (ko) 2019-10-10 2019-10-10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0210148992A KR102377000B1 (ko) 2019-10-10 2021-11-02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0210148991A KR102376999B1 (ko) 2019-10-10 2021-11-02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0210148989A KR102376997B1 (ko) 2019-10-10 2021-11-02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0210148990A KR102376998B1 (ko) 2019-10-10 2021-11-02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513A KR102324799B1 (ko) 2019-10-10 2019-10-10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991A Division KR102376999B1 (ko) 2019-10-10 2021-11-02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0210148989A Division KR102376997B1 (ko) 2019-10-10 2021-11-02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0210148992A Division KR102377000B1 (ko) 2019-10-10 2021-11-02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0210148990A Division KR102376998B1 (ko) 2019-10-10 2021-11-02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674A KR20210042674A (ko) 2021-04-20
KR102324799B1 true KR102324799B1 (ko) 2021-11-19

Family

ID=7574318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513A KR102324799B1 (ko) 2019-10-10 2019-10-10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0210148990A KR102376998B1 (ko) 2019-10-10 2021-11-02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0210148992A KR102377000B1 (ko) 2019-10-10 2021-11-02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0210148991A KR102376999B1 (ko) 2019-10-10 2021-11-02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0210148989A KR102376997B1 (ko) 2019-10-10 2021-11-02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990A KR102376998B1 (ko) 2019-10-10 2021-11-02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0210148992A KR102377000B1 (ko) 2019-10-10 2021-11-02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0210148991A KR102376999B1 (ko) 2019-10-10 2021-11-02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0210148989A KR102376997B1 (ko) 2019-10-10 2021-11-02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23247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196A (ko) * 2019-10-10 2021-11-12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510148B1 (ko) 2022-01-10 2023-03-14 한동수 배전 입상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310U (ko) 2021-08-03 2023-02-10 박성우 가스 입상관 보호 커버용 안전 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7053B2 (ja) * 1990-11-28 1998-11-18 株式会社ジャパンリーコム ケーブルの仮再接続部の構造
KR200340056Y1 (ko) * 2003-10-30 2004-01-28 한국전력공사 전주의 입상 케이블 보호관 방수 캡구조
KR200352647Y1 (ko) * 2004-03-19 2004-06-05 주식회사 와이즈콘트롤 어댑터 및 틈새방지커버가 결합된 지중 매설용 입상관의설치구조
KR102007425B1 (ko) * 2019-01-31 2019-08-05 주식회사 다보테크 지중 케이블 인입전용 보호함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355Y1 (ko) 2000-10-20 2001-05-02 한국전력공사 입상용 고압케이블 보호장치
KR102324799B1 (ko) * 2019-10-10 2021-11-19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7053B2 (ja) * 1990-11-28 1998-11-18 株式会社ジャパンリーコム ケーブルの仮再接続部の構造
KR200340056Y1 (ko) * 2003-10-30 2004-01-28 한국전력공사 전주의 입상 케이블 보호관 방수 캡구조
KR200352647Y1 (ko) * 2004-03-19 2004-06-05 주식회사 와이즈콘트롤 어댑터 및 틈새방지커버가 결합된 지중 매설용 입상관의설치구조
KR102007425B1 (ko) * 2019-01-31 2019-08-05 주식회사 다보테크 지중 케이블 인입전용 보호함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196A (ko) * 2019-10-10 2021-11-12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20210135197A (ko) * 2019-10-10 2021-11-12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20210135443A (ko) * 2019-10-10 2021-11-15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20210135442A (ko) * 2019-10-10 2021-11-15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377000B1 (ko) * 2019-10-10 2022-03-22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376997B1 (ko) * 2019-10-10 2022-03-22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376999B1 (ko) * 2019-10-10 2022-03-22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376998B1 (ko) * 2019-10-10 2022-03-22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510148B1 (ko) 2022-01-10 2023-03-14 한동수 배전 입상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000B1 (ko) 2022-03-22
KR20210135443A (ko) 2021-11-15
KR102376997B1 (ko) 2022-03-22
KR20210042674A (ko) 2021-04-20
KR102376999B1 (ko) 2022-03-22
KR20210135196A (ko) 2021-11-12
KR20210135442A (ko) 2021-11-15
KR102376998B1 (ko) 2022-03-22
KR20210135197A (ko) 202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4799B1 (ko)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US8378232B2 (en) Convertible PVC/cast iron electrical floor box
CN110233391A (zh) 密封盖套和盖以及由此保护的互连接头
KR200480703Y1 (ko) 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커버
KR100850769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102007425B1 (ko) 지중 케이블 인입전용 보호함체
KR20170003373U (ko)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KR101779814B1 (ko)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KR101709324B1 (ko) 변전소의 특고압 인입전선용 절연형 커넥터
KR102236448B1 (ko) 전주용 접지몰딩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주
US11362501B2 (en) Insulator insert for weatherhead and methods of installing
CN207021625U (zh) 一种接线盒及跨接式接线盒组件
KR100880450B1 (ko)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102365277B1 (ko) 전주용 완금구조물
KR20170103302A (ko)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KR200423749Y1 (ko)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
WO2009049376A1 (en) Power line supporting apparatus
KR200179924Y1 (ko) 전선부설용 홈통
KR200439820Y1 (ko) 케이블 보호관
KR102562359B1 (ko)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장치
KR20180131795A (ko) 배전맨홀
KR100601589B1 (ko) 공동주택 단지내의 케이블보호 파형관의 우수유입차단장치
JP4991509B2 (ja) 集束継手
KR100190421B1 (ko) 전선부설용 홈통
KR20080046091A (ko) 광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