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696B1 -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696B1
KR101615696B1 KR1020160009900A KR20160009900A KR101615696B1 KR 101615696 B1 KR101615696 B1 KR 101615696B1 KR 1020160009900 A KR1020160009900 A KR 1020160009900A KR 20160009900 A KR20160009900 A KR 20160009900A KR 101615696 B1 KR101615696 B1 KR 101615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surface
ball chain
curved
portions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원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원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원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00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쇄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가공선에 의한 하중을 완철로 분산해서 코터핀에 가해지는 전단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볼쇄클(30)에 삽입되는 코터핀(32)의 중심과 일치되는 곡면(42)을 갖고, 완철(20)의 수직면에 설치되는 곡면안내판(40); 완철(20)에 형성되는 체결공(22); 곡면안내판(4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체결공(22)으로 삽입되는 보스(44); 볼쇄클(30)의 안쪽에 위치되고, 서로 겹쳐서 접합되는 중첩판(50)(60); 중첩판(50)(60)의 상하단으로부터 상반된 방향으로 대칭되게 절곡되어 볼쇄클(30)에 형성된 보강리브(34)(35)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리브결합부(52)(53)(62)(63); 리브결합부(52)(53)(62)(63)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볼쇄클(30)에 형성된 절곡부(36)(37)를 지지하는 곡면지지부(54)(55)(64)(65); 중첩판(50)(60)의 후단부에서 상반된 방향으로 대칭되게 절곡되어 곡면안내판(40)의 곡면(42)에 밀착되어 코터핀(32)을 중심으로 수평회전되면서 미끄러지는 곡면슬라이드부(56)(6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Shackle Jointer for Power Pole Suspension Insulator}
본 발명은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쇄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가공선에 의한 하중을 완철로 분산해서 코터핀에 가해지는 전단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공급은 지상에 세워진 전신주를 이용한 가공배전과, 지중이나 해저에 매설된 지중관로를 통한 지중배전으로 대별되며, 특히 가공배전에 사용되는 전력선을 접속부위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한 번에 포설하는 것은 어렵고, 온도변화에 의한 처짐이나 장력을 가하는 것도 어렵기 때문에 전신주에 점프선(접속선)을 두고 볼쇄클 또는 아이쇄클을 이용해서 전신주 사이사이에 장력이 개별적으로 걸리도록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점프선 연결에 이용하는 종래 쇄클 연결장치는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터핀(10)에 의해 볼쇄클(11)이 완철(12)에 설치되어 있으며, 분할핀(13)을 코터핀(10)의 단부에 설치해서 코터핀(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고, 볼쇄클(11)에 연결된 애자연결봉(14)에 의해 현수애자(15)와 볼쇄클(11)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볼쇄클(11)에 작용되는 하중이 코터핀(10)을 통해 완철(12)로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하중이 코터핀(10)을 전단시키는 방향으로 작용되어 코터핀(10)의 직경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바람의 영향으로 코터핀(10)에 피로하중이 누적되어 코터핀(10)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선(도시생략)에 의해 작용되는 하중에 의해 볼쇄클(11)이 아래쪽으로 처지면서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7321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3692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066785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14-000383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완철에 설치된 볼쇄클의 처짐을 방지하고, 코터핀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전단하중을 완철로 분산시켜서 지지할 수 있는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는 볼쇄클에 삽입되는 코터핀의 중심과 일치되는 곡면을 갖고, 완철의 수직면에 설치되는 곡면안내판; 상기 완철에 형성되는 체결공; 상기 곡면안내판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체결공으로 삽입되는 보스; 상기 볼쇄클의 안쪽에 위치되고, 서로 겹쳐서 접합되는 중첩판; 상기 중첩판의 상하단으로부터 상반된 방향으로 대칭되게 절곡되어 상기 볼쇄클에 형성된 보강리브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리브결합부; 상기 리브결합부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볼쇄클에 형성된 절곡부를 지지하는 곡면지지부; 상기 중첩판의 후단부에서 상반된 방향으로 대칭되게 절곡되어 상기 곡면안내판의 곡면에 밀착되어 상기 코터핀을 중심으로 수평회전되면서 미끄러지는 곡면슬라이드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바람의 영향이나 볼쇄클(30)의 위치어긋남에 의해 볼쇄클(30)이 코터핀(32)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리브결합부(52)(53)(62)(63)와 중첩판(50)(60) 및 곡면슬라이드부(56)(66)이 볼쇄클(30)과 함께 회전되면서 곡면슬라이드부(56)(66)가 곡면안내판(40)의 곡면(42)으로부터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볼쇄클(30)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볼쇄클(30)에 작용되는 하중을 리브결합부(52)(53)(62)(63)와 중첩판(50)(60), 곡면슬라이드부(56)(66), 곡면안내판(40)에 의해 완철(20)로 지속적으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코터핀(32)에 작용되는 전단하중을 경감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쇄클(3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보강리브(34)(35)에 끼워지는 리브결합부(52)(53)(62)(63)와 곡면안내판(40)의 곡면에 밀착되는 곡면슬라이드부(56)(66)에 의해 중첩판(50)(60)이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쇄클연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쇄클연결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측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첩판과 리브결합부, 곡면지지부, 곡면슬라이드부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볼쇄클(30)에 삽입되는 코터핀(32)의 중심과 일치되는 곡면(42)을 갖고, 완철(20)의 수직면에 설치되는 곡면안내판(40); 상기 완철(20)에 형성되는 체결공(22); 상기 곡면안내판(4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체결공(22)으로 삽입되는 보스(44)를 포함한다.
상기 곡면(42)은,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볼 때 코터핀(32)의 중심과 일치되는 중심을 갖는 볼록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곡면안내판(40)과 보스(44)는, 예컨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아연합금, 알루미늄합금, 황동, 청동 등을 이용해서 모두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보스(44)와 체결공(22)은 서로 중심이 일치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 형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볼쇄클(30)의 안쪽에 위치되고, 서로 겹쳐서 접합되는 중첩판(50)(60); 상기 중첩판(50)(60)의 상하단으로부터 상반된 방향으로 대칭되게 절곡되어 상기 볼쇄클(30)에 형성된 보강리브(34)(35)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리브결합부(52)(53)(62)(63)를 포함한다.
상기 중첩판(50)(60)은, 예를 들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이용해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중첩판(50)(60)을 서로 겹친 상태에서 전기저항을 이용한 스포트 용접에 의해 중첩판(50)(60)의 접합면에 용접부(W1)(W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브결합부(52)(53)(62)(63)는 보강리브(34)(35)와 같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L"자 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리브결합부(52)(53)(62)(63)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볼쇄클(30)에 형성된 절곡부(36)(37)를 지지하는 곡면지지부(54)(55)(64)(65); 상기 중첩판(50)(60)의 후단부에서 상반된 방향으로 대칭되게 절곡되어 상기 곡면안내판(40)의 곡면(42)에 밀착되어 상기 코터핀(32)을 중심으로 수평회전되면서 미끄러지는 곡면슬라이드부(56)(66)를 포함한다.
상기 중첩판(50)(60)과 리브결합부(52)(53)(62)(63), 곡면지지부(54)(55)(64)(65), 곡면슬라이드부(56)(66)는 모두 하나의 강판을 이용해서 일체로 형성하고,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해서 서로 접합한다.
상기 곡면지지부(54)(55)(64)(65)는, 예를 들면 볼쇄클(30)에 형성된 절곡부(36)(37)의 안쪽 곡면에 일치되도록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면 중 부호 32h는 코터핀(32)에 형성된 핀구멍을 나타낸 것이며, 33은 코터핀(32)에 형성된 핀구멍(32h)으로 삽입되어 코터핀(3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할핀을 나타낸 것이고, 30h는 볼쇄클(30)에 형성된 코터삽입구멍을 나타낸 것이며, 20h는 완철(20)에 형성된 쇄클체결공을 나타낸 것이고, 24는 현수애자를 나타낸 것이며, 31은 볼쇄클(30)과 현수애자(24)를 연결하는 애자연결봉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안내판(40)에 형성된 보스(44)의 중심을 완철(20)에 형성된 체결공(22)의 중심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보스(44)를 체결공(22)으로 삽입하게 되면, 곡면안내판(40)이 완철(20)의 수직면에 밀착된다.
이후 중첩판(50)(60)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리브결합부(52)(53)(62)(63)를 볼쇄클(30)에 형성된 보강리브(34)(35)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중첩판(50)(60)을 볼쇄클(30)의 안쪽으로 삽입하게 되면, 리브결합부(52)(53)(62)(63)가 보강리브(34)(35)에 결합된다.
그 다음 볼쇄클(30)을 완철(20)에 끼우고, 볼쇄클(30)에 형성된 코터삽입구멍(30h)의 중심을 완철(20)에 형성된 쇄클체결공(20h)에 일치시킨 후 코터핀(32)을 코터삽입구멍(30h)과 쇄클체결공(20h)으로 삽입하게 되면, 볼쇄클(30)과 완철(20)이 결합된다.
이때 완철(20)과 볼쇄클(30)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곡면안내판(40)은 보스(44)의 걸림작용에 의해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이탈될 수 없게 되며, 중첩판(50)(60)은 보강리브(34)(35)에 걸려 있는 리브결합부(52)(53)(62)(63)와 곡면안내판(40)의 곡면(42)에 밀착되어 있는 곡면슬라이드부(56)(66)에 의해 걸려서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이탈될 수 없게 된다.
또한, 완철(20)과 볼쇄클(30)이 코터핀(32)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곡면안내판(40)과 중첩판(50)(60)은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코터핀(32)의 단부에 형성된 핀구멍(32h)에 분할핀(33)을 삽입한 다음 분할핀(33)의 끝부분을 휘어서 절곡해 두게 되면, 코터핀(32)이 볼쇄클(30)과 완철(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설치된 볼쇄클(30)에 결합되어 있는 애자연결봉(31)에 현수애자(24)를 연결한 다음 가공선(도시생략)을 설치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전신주(도시생략)에 설치된 볼쇄클(30)의 어긋난 정도에 따라 볼쇄클(30)이 코터핀(32)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수평회전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활처럼 처진 가공선에 의해 현수애자(24)와 애자연결봉(31)이 아래쪽으로 처지게 되는데, 이때 애자연결봉(31)에는 처진방향으로 인장하중이 작용된다.
특히 볼쇄클(30)에 작용되는 하중은 애자연결봉(31)의 연결부위에 집중되는데, 작용된 하중은 보강리브(34)(35)에 결합되어 있는 리브결합부(52)(53)(62)(63)를 통해 중첩판(50)(60)으로 전달되며, 중첩판(50)(60)으로 전달된 하중은 다시 곡면슬라이드부(56)(66)를 통해 곡면안내판(40)과 완철(20)로 전달되어 지지된다.
또, 강풍에 의해 가공선이 좌우로 흔들리는 경우 볼쇄클(30)이 코터핀(32)를 중심으로 수평회전되는데, 이때 중첩판(50)(60)의 후단부에 형성된 곡면슬라이드부(56)(66)가 곡면안내판(40)의 곡면(42)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볼쇄클(30)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면서 하중을 지속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20 : 완철 20h : 쇄클체결공
22 : 체결공 24 : 현수애자
30 : 볼쇄클 30h : 코터삽입구멍
31 : 애자연결봉 32 : 코터핀
32h : 핀구멍 33 : 분할핀
34,35 : 보강리브 36,37 : 절곡부
40 : 곡면안내판 42 : 곡면
44 : 보스 50,60 : 중첩판
52,53,62,63 : 리브결합부 54,55,64,65 : 곡면지지부
56,66 : 곡면슬라이드부 W1,W2 : 용접부

Claims (1)

  1. 볼쇄클(30)에 삽입되는 코터핀(32)의 중심과 일치되는 곡면(42)을 갖고, 완철(20)의 수직면에 설치되는 곡면안내판(40);
    상기 완철(20)에 형성되는 체결공(22);
    상기 곡면안내판(4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체결공(22)으로 삽입되는 보스(44);
    상기 볼쇄클(30)의 안쪽에 위치되고, 서로 겹쳐서 접합되는 중첩판(50)(60);
    상기 중첩판(50)(60)의 상하단으로부터 상반된 방향으로 대칭되게 절곡되어 상기 볼쇄클(30)에 형성된 보강리브(34)(35)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리브결합부(52)(53)(62)(63);
    상기 리브결합부(52)(53)(62)(63)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볼쇄클(30)에 형성된 절곡부(36)(37)를 지지하는 곡면지지부(54)(55)(64)(65);
    상기 중첩판(50)(60)의 후단부에서 상반된 방향으로 대칭되게 절곡되어 상기 곡면안내판(40)의 곡면(42)에 밀착되어 상기 코터핀(32)을 중심으로 수평회전되면서 미끄러지는 곡면슬라이드부(56)(66);
    를 포함하는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
KR1020160009900A 2016-01-27 2016-01-27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 KR101615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900A KR101615696B1 (ko) 2016-01-27 2016-01-27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900A KR101615696B1 (ko) 2016-01-27 2016-01-27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696B1 true KR101615696B1 (ko) 2016-04-26

Family

ID=5591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900A KR101615696B1 (ko) 2016-01-27 2016-01-27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69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703B1 (ko) 2021-05-25 2021-11-02 주식회사 삼일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
KR20210149480A (ko) 2020-06-02 2021-12-09 한국전력공사 현수 애자 고정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220036102A (ko) 2020-09-15 2022-03-22 이디아이(주) 간접활선용 전주의 쇄클 연결장치
KR102433444B1 (ko) 2021-11-15 2022-08-18 창성전력기술 주식회사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433446B1 (ko) 2021-11-15 2022-08-18 창성전력기술 주식회사 가공배전선 지지용 애자활용 고정기기
KR102433447B1 (ko) 2021-11-15 2022-08-18 창성전력기술 주식회사 가공배전선 간의 안정적 연결을 위한 가공배전설비
KR102434500B1 (ko) * 2021-11-15 2022-08-22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변압기로의 가공배전선 분기가 편리한 가공배전장치
KR102434501B1 (ko) * 2021-11-15 2022-08-22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KR102539791B1 (ko) 2022-05-30 2023-06-0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장력조절이 가능한 배전선로의 애자 링거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480A (ko) 2020-06-02 2021-12-09 한국전력공사 현수 애자 고정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342421B1 (ko) * 2020-06-02 2021-12-24 한국전력공사 현수 애자 고정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220036102A (ko) 2020-09-15 2022-03-22 이디아이(주) 간접활선용 전주의 쇄클 연결장치
KR102320703B1 (ko) 2021-05-25 2021-11-02 주식회사 삼일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
KR102433444B1 (ko) 2021-11-15 2022-08-18 창성전력기술 주식회사 전주탈부착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433446B1 (ko) 2021-11-15 2022-08-18 창성전력기술 주식회사 가공배전선 지지용 애자활용 고정기기
KR102433447B1 (ko) 2021-11-15 2022-08-18 창성전력기술 주식회사 가공배전선 간의 안정적 연결을 위한 가공배전설비
KR102434500B1 (ko) * 2021-11-15 2022-08-22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변압기로의 가공배전선 분기가 편리한 가공배전장치
KR102434501B1 (ko) * 2021-11-15 2022-08-22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KR102539791B1 (ko) 2022-05-30 2023-06-0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장력조절이 가능한 배전선로의 애자 링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696B1 (ko)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
CN202132324U (zh) 用于连接异种材料的过渡接头组件
PL207466B1 (pl) Połączenie belek nośnych
US3281929A (en) Apparatus for assembling bell-andspigot piping
KR101801382B1 (ko) 금속부품 접합용 길이조절장치
KR101867356B1 (ko) 복합말뚝 연결장치
US11316332B2 (en) Bracket for power transmission poles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1023273A (zh) 把两块成型拉挤板联接一起的方法以及固定装配件
US8608145B1 (en) Flange clamp
US1746879A (en) Dead-end fixture for cables
KR200462543Y1 (ko) 어스 케이블 꺾임 방지기능을 갖는 용접용 접지 클램프
KR101004010B1 (ko) 파이프 연결 작업용 클램프
JP2011106125A (ja) 足場用パネル連結具
CN220761522U (zh) 一种钢梁对接焊缝高低调节装置
US2252566A (en) Open side clevis
JP2006131216A (ja) 輸送手段を結合するためのクランピング装置
US1268981A (en) Strain-clamp for aerial cables.
KR101674306B1 (ko) 합성거더 구조체
CN213615105U (zh) 焊接工装
KR100468512B1 (ko) 강관비계 결속용 클램프
US7621690B2 (en) Connecting device
KR101644792B1 (ko) 탈형 데크용 산형 받침틀 스페이서 및 탈형 데크
US20070172312A1 (en) Coupling for joining connection tubes of an exercise apparatus
KR101551130B1 (ko) 복합말뚝의 연결부
KR102032557B1 (ko) 가공배전라인 고정용 지지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