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703B1 -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 - Google Patents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703B1
KR102320703B1 KR1020210067035A KR20210067035A KR102320703B1 KR 102320703 B1 KR102320703 B1 KR 102320703B1 KR 1020210067035 A KR1020210067035 A KR 1020210067035A KR 20210067035 A KR20210067035 A KR 20210067035A KR 102320703 B1 KR102320703 B1 KR 102320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fixed
unit
wire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일
Priority to KR1020210067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01B17/08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by cap-and-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Abstract

본 발명은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에 관한 것으로, 완금(완철)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유연성을 이용하여 선로의 배선을 도와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는, 일측에 전력선(1)이 고정되는 애자부(10)와; 일측이 상기 애자부의 타측에 고정되는 한편 타측이 유연 연결와이어(20)와; 상기 유연 연결와이어의 타측에 연결되며 완금(2)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관통된 후 록킹핀을 통해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핀부(30)와; 상기 완금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기 와이어 고정핀부를 지지하는 가변형 지지구(40)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고정핀부는 상기 유연 연결와이어의 타측이 압입으로 고정되는 소켓부(31), 상기 소켓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완금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경사부(32), 상기 경사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33) 및 상기 수평부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완금의 체결공에 관통되며 상기 록킹핀이 고정되는 수직부(3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PIN FIXING TYPE POLYMER SUSPENSION INSULATOR}
본 발명은 폴리머 현수 애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완금에 직접 고정되는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전주에 지지하기 위해서 완금에 설치되는 절연성능을 가진 폴리머(polymer) 현수 애자를 사용하고 있다. 즉, 현수 애자는 초고압송전선로나 배전선과 같은 가공전선로 상에서 선로가 늘어지지 않도록 지탱해주는 전기기구로서, 선로가 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여야 함에 따라 높은 인장강도와 함께 양호한 절연성이 요구된다.
또한, 종래 현수 애자를 완금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아이쇄클(eye shackle)을 사용하고 있다. 아이쇄클은 코터핀(cotter pin)을 통해 고정되는데 필요로 한다. 코터핀의 크기가 작아서 작업자가 결합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확인할 수 있는 특허문헌으로, 등록특허 제10-2065675호는 가선작업을 위한 폴리머 현수애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현수애자 장치는 폴리머 현수애자와 경완철용 아이쇄클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경완철용 아이쇄클은, U자형 쇄클 몸체의 전면 개방부의 양단부에는 경완철과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결합핀이 삽입되는 핀공이 형성되고, 상기 U자형 쇄클 몸체 후면 절곡부에는 중심으로부터 양단으로 길게 형성된 절개홈이 형성되되, 상기 절개홈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절개홈에 대해 T형으로 형성된 쇄클볼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U자형 쇄클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절개홈을 따라 유동이 되며, 상기 폴리머 현수애자의 일측 로드와 연결되는 쇄클로드의 쇄클볼이 내장되며, 상기 쇄클볼은 타원형 구체로 형성되며, 상기 쇄클볼의 직경은 상기 절개홈의 가로 폭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쇄클볼 삽입홈의 장측 가로 폭보다는 작게 형성되며, 상기 쇄클볼의 두께는 상기 쇄클볼 삽입홈의 단측 세로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 다.
등록특허 제10-1615696호는 볼쇄클에 삽입되는 코터핀의 중심과 일치되는 곡면을 갖고, 완철의 수직면에 설치되는 곡면안내판; 상기 완철에 형성되는 체결공; 상기 곡면 안내판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체결공으로 삽입되는 보스; 상기 볼쇄클의 안쪽에 위치되고, 서로 겹쳐서 접합되는 중첩판; 상기 중첩판의 상하단으로부터 상반된 방향으로 대칭되게 절곡되어 상기 볼쇄클에 형성된 보강리브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리브결합부; 상기 리브결합부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볼쇄클에 형성된 절곡부를 지지하는 곡면지지부; 상기 중첩판의 후단부에서 상반된 방향으로 대칭되게 절곡되어 상기 곡면안내판의 곡면에 밀착되어 상기 코터핀을 중심으로 수평회전되면서 미끄러지는 곡면슬라이드부를 포함한다.
등록특허 제10-2065675호 등록특허 제10-161569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완금(완철)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유연성을 이용하여 선로의 배선을 도와주는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는, 일측에 전력선이 고정되는 애자부와; 일측이 상기 애자부의 타측에 고정되는 한편 타측이 유연 연결와이어와; 상기 유연 연결와이어의 타측에 연결되며 완금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관통된 후 록킹핀을 통해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핀부와; 상기 완금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기 와이어 고정핀부를 지지하는 가변형 지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고정핀부는 상기 유연 연결와이어의 타측이 압입으로 고정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완금의 체결공에 관통되며 상기 록킹핀이 고정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에 의하면, 와이어 고정핀부를 완금(완철)의 구멍에 삽입한 후 록킹핀을 끼우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설치가 가능하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를 추락 사고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유연 연결와이어를 통해 선로를 유연하게 배선함으로써 선로의 손상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와이어 고정핀부의 구조 및 가변형 지지구를 통해 완금에 대해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고 특히 선로의 배선으로 와이어 고정핀부와 완금 사이의 간격이 변하더라도 현수 애자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선로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의 설치 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에 적용된 와이어 고정핀부의 다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에 적용된 거동제어구를 보인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100)는, 전력선(1)(송전선, 배전선)을 완금(경완금)(2)에 지지하는 것으로 전력선(1)이 연결되는 애자부(10), 애자부(10)의 유연한 거동(전력선(1)의 배선으로 인한 휨 거동)을 위한 유연 연결와이어(20), 유연 연결와이어(20)를 완금(2)에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핀부(30), 와이어 고정핀부(30)의 고정력을 증대하고 유연 연결와이어(20)의 거동이 발생하여도 유연 연결와이어(20)와 와이어 고정핀부(30)의 흔들림을 줄이는 가변형 지지구(40)로 구성된다.
애자부(10)는 애자블록(11), 애자블록(11)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며 전력선(1)이 연결되는 전력선 연결부(12), 애자블록(11)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되며 유연 연결와이어(20)의 일측이 고정되는 소켓부(13)로 구성된다.
애자블록(11)와 전력선 연결부(12)는 통상의 애자로부터 실시 가능하며, 즉, 기성품이 가능하다.
소켓부(13)는 애자블록(11)의 타측에 고정되며 연질로 이루어져 내부에 유연 연결와이어(20)가 삽입된 후 압착을 통해 고정된다.
유연 연결와이어(20)는 예를 들어 유연성이 있는 강선이며 유연성의 특징을 이용하여 전력선(1)의 배선에 따라 휘어지면서 전력선(1)의 배선환경에 맞는 배선을 도와준다.
유연 연결와이어(20)는 길이방향의 양측이 애자부(10)의 소켓부(13)와 와이어 고정핀부(30)의 소켓부(31)에 각각 삽입된 후 압착을 통해 고정된다.
와이어 고정핀부(30)는 유연 연결와이어(20)의 타측이 압입으로 고정되는 소켓부(31), 소켓부(31)에서 상향 경사지는 경사부(32), 경사부(32)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33) 및 수평부(33)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완금(2)의 체결공에 관통되며 록킹핀(35)이 고정되는 수직부(34)로 구성된다.
소켓부(31)는 연질로 이루어져 유연 연결와이어(20)를 압착으로 고정한다.
경사부(32)는 유연 연결와이어(20)를 완금(2)의 중심 높이에 배치하고 이 높이보다 위쪽에서 수직부(34)를 완금(2)의 체결공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경사부(32)를 통해 완금(2)과의 사이에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수평부(33)의 길이가 완금(2)에 비해 짧더라도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와이어 고정핀부(30)는 전력선(1)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으로 인하여 경사부(32)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수평부(33)는 경사부(32)와 수직부(34) 사이의 거리 확보를 위한 것이다.
수직부(34)는 완금(2)의 체결공에 삽입되어 단부가 완금(2)의 저부로 돌출되는 길이이며 록킹핀(35)의 끼움 결합을 위한 핀홀이 포함될 수 있다.
록킹핀(35)은 완금(2)의 체결공을 관통한 수직부(34)의 핀홀에 끼워져 와이어 고정핀부(30)를 완금(2)에 고정한다.
와이어 고정핀부(30)는 전력선(1)의 배선 시 유연 연결와이어(20)가 휨 거동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하여 경사부(32)와 수평부(33)가 축핀(36)(도 3에 도시됨)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변형 지지구(40)는 와이어 고정핀부(30)의 경사부(32)에 고정되는 너트(41), 너트(41)에 나사 체결되어 전후진하며 자유단부가 완금(2)의 둘레부에 지지되어 와이어 고정핀부(30)를 지지하는 볼트(42)로 구성된다.
너트(41)는 볼트(42)의 길이조절을 위하여 여유 있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볼트(42)는 너트(41)에 나사 체결되어 양방향의 회전에 따라 인출 또는 삽입되며 즉, 경사부(32)가 완금(2)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때 볼트(42)를 인출시키거나 삽입시켜 단부가 항상 완금(2)에 지지된다.
또한, 볼트(42)의 단부에는 완금(2)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자석(43)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완금(2)에 자석(43)이 부착되는 철판을 덧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의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애자부(10)의 전력선 연결부(12)에 전력선(1)을 고정하고, 와이어 고정핀부(30)의 수직부(34)를 완금(2)의 체결공에 삽입 관통시킨 후 록킹핀(35)을 끼워 고정한다.
이 과정에서 유연 연결와이어(20)는 유연성을 통해 전력선(1)의 배선방향에 맞춰 휨 거동하며, 따라서, 전력선(1)은 최적의 상태로 배선을 유지하게 된다.
이 때, 가변형 지지구(40)를 완금(2)에 지지하도록 볼트(42)를 돌려 너트(41)에서 인출하거나 삽입하며, 볼트(42)의 자유단부가 완금(2)의 둘레면에 지지될 때까지 인출 또는 삽입한다.
이렇게 되면, 경사부(32)가 완금(2)에 떨어져 있지만 가변형 지지구(40)를 통해 완금(2)에 지지되기 때문에 흔들림이 없고 전력선(1)의 흔들림을 막아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유연 연결와이어(20)가 휨 거동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와이어 제어수단으로 턴버클 형태의 거동제어봉(50)을 포함한다.
거동제어봉(50)은 애자부(10)의 소켓(1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볼트(51), 와이어 고정핀부(30)의 소켓부(3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볼트(51)와 반대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된 제2볼트(51), 제1,2볼트(51,52)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53)로 구성되며, 너트(53)의 회전을 통해 제1,2볼트(51,52)가 인출 또는 삽입되어 길이 조절된다.
이와 같은 거동제어봉(50)이 유연 연결와이어(20)의 위쪽에 설치되는 경우, 너트(53)를 돌려 제1,2볼트(51,52)를 인출시키면 유연 연결와이어(20)가 아랫방향으로 휨 거동하여 전력선(1)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제1,2볼트(51,52)를 삽입시키면 전력선(1)을 상부로 당겨 팽팽하게 배선한다.
거동제어봉(50)에 따르면, 유연 연결와이어(20)가 휨 거동한 상태를 유지하여 추가적인 휨 거동을 막을 수 있고, 결국 전력선(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10 : 애자부, 11 : 애자블록
12 : 전력선 연결부, 13,31 : 소켓부
20 : 유연 연결와이어, 30 : 와이어 고정핀부
32 : 경사부, 33 : 수평부,
34 : 수직부, 35 : 록킹핀
36 : 축핀,
40 : 가변형 지지구, 41 : 너트
42 : 볼트, 43 : 자석
50 : 거동제어봉,

Claims (4)

  1. 일측에 전력선(1)이 고정되는 애자부(10)와;
    일측이 상기 애자부의 타측에 고정되는 한편 타측이 유연 연결와이어(20)와;
    상기 유연 연결와이어의 타측에 연결되며 완금(2)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관통된 후 록킹핀을 통해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핀부(30)와;
    상기 완금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기 와이어 고정핀부를 지지하는 가변형 지지구(40)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고정핀부는 상기 유연 연결와이어의 타측이 압입으로 고정되는 소켓부(31), 상기 소켓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완금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경사부(32), 상기 경사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33) 및 상기 수평부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완금의 체결공에 관통되며 상기 록킹핀이 고정되는 수직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지지구는, 상기 와이어 고정핀부의 경사부에 고정되는 너트(41), 상기 너트에 나사 체결되어 전후진하며 자유단부가 상기 완금의 둘레부에 지지되어 상기 와이어 고정핀부를 지지하는 볼트(42) 및 상기 볼트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완금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자석(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핀부는 상기 경사부와 수평부가 축핀(36)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애자부와 와이어 고정핀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유연 연결와이어의 둘레부에 배열되며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된 제1,2볼트(51,52) 및 상기 제1,2볼트가 내부에 나사 체결되며 상기 제1,2볼트를 인출 또는 삽입시켜 상기 유연 연결와이어를 휨 거동 상태로 지지하는 너트(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







KR1020210067035A 2021-05-25 2021-05-25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 KR102320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035A KR102320703B1 (ko) 2021-05-25 2021-05-25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035A KR102320703B1 (ko) 2021-05-25 2021-05-25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703B1 true KR102320703B1 (ko) 2021-11-02

Family

ID=7847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035A KR102320703B1 (ko) 2021-05-25 2021-05-25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7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500B1 (ko) 2021-11-15 2022-08-22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변압기로의 가공배전선 분기가 편리한 가공배전장치
KR102434501B1 (ko) 2021-11-15 2022-08-22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560A (ja) * 2001-01-15 2002-08-02 Daito Co Ltd 耐張碍子
KR101615696B1 (ko) 2016-01-27 2016-04-26 주식회사 승원이엔지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
KR20160094822A (ko) * 2015-02-02 2016-08-10 송홍준 전신주용 하향 현수애자의 전기케이블 지지 및 고정금구
KR102065675B1 (ko) 2018-07-04 2020-02-11 주식회사 이디엔씨 연결금구 결합형 폴리머 현수애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560A (ja) * 2001-01-15 2002-08-02 Daito Co Ltd 耐張碍子
KR20160094822A (ko) * 2015-02-02 2016-08-10 송홍준 전신주용 하향 현수애자의 전기케이블 지지 및 고정금구
KR101615696B1 (ko) 2016-01-27 2016-04-26 주식회사 승원이엔지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
KR102065675B1 (ko) 2018-07-04 2020-02-11 주식회사 이디엔씨 연결금구 결합형 폴리머 현수애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500B1 (ko) 2021-11-15 2022-08-22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변압기로의 가공배전선 분기가 편리한 가공배전장치
KR102434501B1 (ko) 2021-11-15 2022-08-22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0703B1 (ko) 핀 취부타입 폴리머 현수 애자
US10267436B2 (en) Holding device for holding a cable
KR101994400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1523289B1 (ko) 감전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가공 배전선로 전용 절연애자
KR101666993B1 (ko)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KR101236132B1 (ko) 송전선로 피뢰기설치용 고정금구
UA124571C2 (uk) Ізолятор
CN212085777U (zh) 一种架空线路的保护装置
EP1252086A2 (en) Termination for flat flexible tension member
US20180242438A1 (en) Ground roller assembly
EA000186B1 (ru) Подвесной зажим для подвески проводов высоковольтных воздушных кабелей на опорную конструкцию
GB2378980A (en) Suspension means
JP3381067B2 (ja) メッセンジャーワイヤー用吊り金具
KR20042943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190077845A (ko) 전선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 구조
RU187237U1 (ru) Натяжной анкерный кронштейн
KR101262640B1 (ko)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2496094B1 (ko)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
JP5010231B2 (ja) ブッシング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CN220645423U (zh) 一种铁塔支臂
CN211878267U (zh) 一种光缆用耐张金具
KR102585361B1 (ko) 간접활선용 전주의 쇄클 연결장치
CN210517632U (zh) 用于线束的线束保持装置
KR102434500B1 (ko) 변압기로의 가공배전선 분기가 편리한 가공배전장치
CN220441042U (zh) 一种机柜用可调线缆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