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094B1 -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 - Google Patents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094B1
KR102496094B1 KR1020210090013A KR20210090013A KR102496094B1 KR 102496094 B1 KR102496094 B1 KR 102496094B1 KR 1020210090013 A KR1020210090013 A KR 1020210090013A KR 20210090013 A KR20210090013 A KR 20210090013A KR 102496094 B1 KR102496094 B1 KR 102496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wire harness
fixing
axial direction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9235A (ko
Inventor
홍강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1009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094B1/ko
Publication of KR20230009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은: 와이어하네스를 축 방향을 따라 접하여 지지하는 베이스패드, 및 베이스패드에서 분기 연장되고 차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와이어하네스의 배선 위치와 차체와의 고정 위치 거리를 조절 가능한 거리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WIRING CLIP OF VEHICLE}
본 발명은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위치와 배선되는 와이어하네스의 배선 위치가 상이하여도, 와이어하네스 정렬용 베이스패드와 차체에 고정되는 위치가변블록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한 채 위치 고정함에 따라, 클립의 호환성을 증대하기 위한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를 비롯한 많은 전장 부품이 포함되어 있다.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 있어서, 와이어하네스(wire harness)가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 케이블, 와이어하네스 고정판 등의 서포트(support)부재를 사용하여 와이어하네스를 정렬 고정한다.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을 위한 서포트부재 중에는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클립이 많이 사용된다.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클립은 상측부에 와이어하네스를 안착시킨 후 테이핑하여 고정하고, 하측부를 차체패널에 결합시킴으로써 와이어하네스를 차체패널에 고정하게 된다.
관련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1913호(등록일:2010.04.01.)에는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클립"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클립은 차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위치와 배선되는 와이어하네스의 배선 위치의 상이함에 따라 다양한 크기(길이)를 갖는 별개로 제작되어야 함으로써, 생산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위치와 배선되는 와이어하네스의 배선 위치가 상이하여도, 와이어하네스 정렬용 베이스패드와 차체에 고정되는 위치가변블록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한 채 위치 고정함에 따라, 클립의 호환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은: 와이어하네스를 축 방향을 따라 접하여 지지하는 베이스패드; 및 상기 베이스패드에서 분기 연장되고, 차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하네스의 배선 위치와 상기 차체와의 고정 위치 거리를 조절 가능한 거리가변부를 포함한다.
상기 거리가변부는, 상기 베이스패드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패드에서 연장되는 분기패드; 외력 작용시 상기 분기패드를 따라 왕복 이동되며, 상기 분기패드에 대한 위치를 가변하는 위치가변블록; 상기 위치가변블록의 일측에 돌출되어, 차체에 결속되는 결속부재; 및 상기 위치가변블록에 가해지는 외력 제거시, 상기 위치가변블록을 상기 분기패드에 위치 고정 안내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가변블록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부재를 구비한 바디; 및 상기 바디에 축 방향으로 통공되어, 상기 분기패드를 축 삽입하는 삽입홀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분기패드의 일측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요철부; 및 상기 삽입홀부의 내측에 돌출되어 상기 요철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분기패드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가 임의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바디의 일부가 절개되어 하향 절곡된 채 탄성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은 종래 기술과 달리 차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위치와 배선되는 와이어하네스의 배선 위치가 상이하여도, 와이어하네스 정렬용 베이스패드와 차체에 고정되는 위치가변블록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한 채 위치 고정함에 따라, 클립의 호환성을 증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클립에 와이어하네스를 정렬하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클립을 와이어하네스로부터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클립에 와이어하네스를 정렬하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클립을 와이어하네스로부터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20)의 고정용 클립(100)은 베이스패드(200) 및 거리가변부(300)를 포함한다.
베이스패드(200)는 와이어하네스(20)를 축 방향을 따라 접하여 지지한다. 베이스패드(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와이어하네스(20)가 베이스패드(200) 상에 놓인 채 테이핑 등에 의해 베이스패드(200)에 고정된다.
이때, 베이스패드(200)는 차체(10)에 지지된 채 와이어하네스(20)를 정렬 안내한다.
그리고, 거리가변부(300)는 베이스패드(200)에서 분기 연장되고, 차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다.
아울러, 거리가변부(300)는 와이어하네스(20)의 배선 위치와 차체(10)와의 고정 위치 간의 거리를 조절 허용한다.
상세히, 거리가변부(300)는 분기패드(310), 위치가변블록(320), 결속부재(330) 및 위치고정부(340)를 포함한다.
분기패드(310)는 베이스패드(200)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베이스패드(200)에서 연장 형성된다. 편의상, 분기패드(310)는 베이스패드(200)의 축 방향에 대해 대략 중앙 위치에서, 베이스패드(200)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분기패드(310)는 베이스패드(20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분기패드(3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베이스패드(200)에 대해 다양한 위치에서 분기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가변블록(320)은 밀거나 당기는 외력 작용시 분기패드(310)를 따라 왕복 이동되며, 분기패드(310)에 대한 위치를 가변한다.
결속부재(330)는 위치가변블록(320)의 일측에 돌출되어, 차체(10)에 결속된다. 결속부재(33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차체(10)의 홀에 억지 삽입됨으로써 위치가변블록(320)을 차체(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베이스패드(200)가 와이어하네스(20)를 정렬하고, 위치가변블록(320)이 분기패드(310)에 연결된 채 차체(10)에 고정된다. 이때, 위치가변블록(320)이 분기패드(310) 상에서 위치 가변됨에 따라, 와이어하네스(20)를 정렬하는 베이스패드(200)의 위치와 차체(10)에 고정되는 위치가변블록(320) 간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게 된다.
특히, 위치가변블록(320)은 바디(322) 및 삽입홀부(324)를 포함한다.
바디(322)는 차체(10)에 대한 안정적 접촉을 위해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결속부재(330)를 구비한다. 물론, 바디(32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삽입홀부(324)는 바디(322)에 축 방향으로 통공되어, 분기패드(310)를 축 삽입 허용한다.
이에 따라, 바디(322)는 분기패드(310)를 축 삽입한 채, 분기패드(31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위치고정부(340)는, 위치가변블록(320)에 가해지는 외력 제거시, 위치가변블록(320)의 바디(322)를 분기패드(310)에 위치 고정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위치고정부(340)는 요철부(342) 및 걸림돌기(344)를 포함한다.
요철부(342)는 분기패드(310)의 일측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돌기(344)는 바디(322)의 삽입홀부(324)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요철부(342)에 걸림으로써, 분기패드(310)의 축 방향을 따라 바디(322)가 임의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걸림돌기(34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특히, 걸림돌기(344)는 바디(322)의 일부가 절개되어 하향 절곡된 채 탄성 변형 가능한 것으로 한다. 바디(322)는 걸림돌기(344)를 형성하기 위해 일측면(상측면)이 절개됨에 따라 절개홀(323)을 형성한다. 요철부(342)는 절개홀(323)을 통해 노출됨으로써, 걸림돌기(344)가 요철부(342)에 걸리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0: 와이어하네스 100: 고정용 클립
200: 베이스패드 300: 거리가변부
310: 분기패드 320: 위치가변블록
322: 바디 323: 절개홀
324: 삽입홀부 330: 결속부재
340: 위치고정부 342: 요철부
344: 걸림돌기

Claims (5)

  1. 와이어하네스를 축 방향을 따라 접하여 지지하는 베이스패드; 및 상기 베이스패드에서 분기 연장되고, 차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하네스의 배선 위치와 상기 차체와의 고정 위치 거리를 조절 가능한 거리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가변부는, 상기 베이스패드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패드에서 연장되는 분기패드; 외력 작용시 상기 분기패드를 따라 왕복 이동되며, 상기 분기패드에 대한 위치를 가변하는 위치가변블록; 상기 위치가변블록의 일측에 돌출되어, 차체에 결속되는 결속부재; 및 상기 위치가변블록에 가해지는 외력 제거시, 상기 위치가변블록을 상기 분기패드에 위치 고정 안내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가변블록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부재를 구비한 바디; 및 상기 바디에 축 방향으로 통공되어, 상기 분기패드를 축 삽입하는 삽입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분기패드의 일측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요철부; 및 상기 삽입홀부의 내측에 돌출되어 상기 요철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분기패드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가 임의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바디는 일측면이 절개되어 절개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요철부에 걸리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90013A 2021-07-08 2021-07-08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 KR102496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013A KR102496094B1 (ko) 2021-07-08 2021-07-08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013A KR102496094B1 (ko) 2021-07-08 2021-07-08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235A KR20230009235A (ko) 2023-01-17
KR102496094B1 true KR102496094B1 (ko) 2023-02-06

Family

ID=8511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013A KR102496094B1 (ko) 2021-07-08 2021-07-08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0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739Y1 (ko) * 1995-12-23 1999-06-15 정몽규 클립
JP2002345129A (ja) * 2001-05-17 2002-11-29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リップ
KR200406009Y1 (ko) 2005-10-31 2006-01-11 경신공업 주식회사 유동형 밴드 케이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086U (ja) * 1992-01-30 1993-08-20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ランプ
KR20090001735U (ko) * 2007-08-20 2009-02-25 경신공업 주식회사 밴드 케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739Y1 (ko) * 1995-12-23 1999-06-15 정몽규 클립
JP2002345129A (ja) * 2001-05-17 2002-11-29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リップ
KR200406009Y1 (ko) 2005-10-31 2006-01-11 경신공업 주식회사 유동형 밴드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235A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98059B (zh) 可调整的紧固件保持器组件
US10598352B2 (en) Downlight with spring fixing structure
CN111279567B (zh) 线束支承构件、附带支承构件的线束及附带支承构件的线束的支承结构
KR20130069030A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US20090014699A1 (en) Cable guide
KR102496094B1 (ko) 와이어하네스의 고정용 클립
EP3032669A1 (en) Cable-holding bracket
KR100999984B1 (ko) 도선용 고정 장치
CN101678933B (zh) 线束固定件、附固定件的线束装置及附固定件的线束装置的制造方法
KR20038814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JP2017198320A (ja) バンドクリップおよびこれを備えたワイヤハーネス
EP0976618A2 (en) Grommet holder and method of bending a wiring harness
KR200396153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US10242771B2 (en) Electrical control panel wire harness assembly pegs
KR102655222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용 밴드클립
CN116783398A (zh) 夹持件及线束
KR102496095B1 (ko)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
US10958058B2 (en) Wire unit
KR20230030463A (ko) 밴드케이블
KR200449222Y1 (ko) 커넥터하우징
KR200426814Y1 (ko) 직경 가변형 클립
KR102529734B1 (ko)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용 밴드 케이블
KR102350127B1 (ko)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용 클립
KR102507034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2496087B1 (ko) 와이어 하네스 정렬용 밴드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