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480A - 현수 애자 고정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현수 애자 고정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9480A KR20210149480A KR1020200066568A KR20200066568A KR20210149480A KR 20210149480 A KR20210149480 A KR 20210149480A KR 1020200066568 A KR1020200066568 A KR 1020200066568A KR 20200066568 A KR20200066568 A KR 20200066568A KR 20210149480 A KR20210149480 A KR 202101494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button
- suspension insulator
- fixing device
- insulator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설치 또는 교체 작업시 간접활선 공법이 적용 가능한 현수 애자 고정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현수 애자 고정 장치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아이쇄클,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완철, 및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상기 완철을 상기 아이쇄클에 고정하게 일단에 코터핀을 일체로 갖는 고정 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수 애자 고정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스마트 스틱을 이용한 간접활선 공법 적용이 가능한 현수 애자 고정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전주에 지지하기 위해서는 절연성능을 가진 현수애자 등을 이용하여 전선을 장악하고, 이러한 현수애자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완철을 전주에 설치한다. 이러한 완철과 현수애자와의 결합을 위하여 아이쇄클(eye shackle)을 사용하였다. 또한, 아이쇄클과 현수애자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코터핀(cotter pin)을 필요로 한다.
부연하면, 완철의 관통공에 아이쇄클의 관통공을 일치시키고, 이후 스프릿핀을 분리한 후 코터핀을 관통공에 삽입한다. 최종적으로, 스프릿핀을 코터핀 관통구에 삽입한다. 이 경우, 현수애자 설치시 직접활선공법(Rubber-Glove)으로만 코터핀의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간접활선공법의 적용이 불가하다.
또한, 코터핀의 시공시 절연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은 크기의 스프릿핀을 코터핀에 삽입하여 시공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분실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체형 코터핀 시공시 완철 하부에 밀착된 일체형 코터핀의 고정링을 절연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잡고 회전시켜 고정하기가 어려워 작업이 불편하며 작업속도가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불편한 점 때문에 일부 작업자는 절연장갑을 벗고 작업하려 하기에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현수애자 설치 또는 교체 작업시 간접활선 공법이 적용 가능한 현수 애자 고정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접활선공법의 확대 시행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사고 요소를 근절할 수 있는 현수 애자 고정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현수애자 설치 또는 교체 작업시 간접활선 공법이 적용 가능한 현수 애자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현수 애자 고정 장치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아이쇄클;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완철; 및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상기 완철을 상기 아이쇄클에 고정하게 일단에 코터핀을 일체로 갖는 고정 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스틱은, 상기 코터핀을 회전시키는 3개의 기어가 내장되는 몸체; 및
또한, 상기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3개의 상기 기어를 동작시키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터핀의 회전 각도는 0°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과 일정 간격으로 파지시 미끄러지거나 탈락되지 않도록 헤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과 상기 헤드부 사이에 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은 상기 목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목부에 형성되는 제 1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 1 버튼 및 상기 목부에 형성되는 제 2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 2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버튼과 상기 제 2 버튼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3개의 상기 기어 중 제 1 기어는 제 1 부재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 1 버튼의 하부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3개의 상기 기어 중 제 2 기어는 제 2 부재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 2 버튼의 하부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는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의 기어비는 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3개의 상기 기어 중 제 3 기어는 상기 제 2 기어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지렛대 원리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 1 부재의 제 1 중심점과 상기 제 2 부재의 제 2 중심점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 2 부재의 길이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a) 아이쇄클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에 완철이 삽입되는 단계; 및 (b) 일단에 코터핀을 일체로 갖는 고정 스틱이 상기 아이쇄클 및 상기 완철에 삽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애자 고정 장치의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을 이용하여 코터핀을 일자 또는 굽은 형태로 변경할 수 있어 현수애자 설치 또는 교체 작업시 간접활선 공법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간접활선공법의 확대 시행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사고 요소를 근절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 애자 고정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완철과 아이쇄클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 스틱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고정 스틱 내부의 동작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버튼이 복원된 상태에서 코터핀의 동작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현수 애자 고정 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완철과 아이쇄클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 스틱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고정 스틱 내부의 동작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버튼이 복원된 상태에서 코터핀의 동작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현수 애자 고정 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 애자 고정 장치(100)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수 애자 고정 장치(1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아이쇄클(110), 아이쇄클(110)에 삽입되는 완철(120), 아이쇄클(110)내에 완철(120)을 고정하는 고정 스틱(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완철(120)은 전주(미도시)에 고정된다. 고정 스틱(130)은 말단이 접철된 형상이다. 따라서, 완철(120)이 아이쇄클(110)내 형성되는 중공(111)에 삽입되고, 완철(120)의 관통공에 아이쇄클(110)의 관통공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 스틱(130)을 삽입한다. 고정 스틱(130)이 삽입 완료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이 90°바깥쪽으로 접철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완철(120)과 아이쇄클(110)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아이쇄클(110)과 완철(120)에는 각각 관통공(211,221)이 형성된다. 부연하면, 아이쇄클(110)의 하부 측면에 관통공(211)이 형성되고, 완철(120)의 중앙 측면에 관통공(221)이 형성된다. 관통공(211,221)은 동일한 지름을 갖는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 스틱(130)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 스틱(130)은, 상기 코터핀(380)를 회전시키는 3개의 기어(351,352,360)가 내장되는 몸체(310), 상기 몸체(310)의 상부에 배치되어 3개의 상기 기어(351,352,360)를 동작시키는 버튼(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310)의 상부에는 걸림턱(312)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312)과 일정 간격으로 헤드부(314)가 형성되고, 걸림턱(312)과 헤드부(314) 사이에 목부(313)가 형성된다. 걸림턱(312)과 헤드부(314) 사이 형성된 목부(313)에 버튼(320)이 배치된다. 헤드부(314)는 고정 스틱(130)을 파지시 집게 공구로부터 고정 스틱이 미끄러지는 등으로 고정 스틱(130)을 놓치지 않도록 하며 중앙단면이 반달 형상이고, 걸림턱(312)은 중앙 단면에서 위변에 모서리가 없고 아래변에는 모서리가 있는 형태이다. 부연하면, 고정 스틱(130)을 작업자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으나, 고전압 등의 위험성이 있음으로 공구 집게를 작업자가 이용하여 고정 스틱(130)을 파지할 수 있다. 공구 집게는 스마트 스틱, 집게 클램프 등이 될 수 있다.
물론, 목부(313)에는 버튼(320)이 삽입되었다가 돌출될 수 있도록 요홈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즉, 버튼(320)은 제 1 버튼(321)과 이 제 1 버튼(321)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 2 버튼(32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버튼(321)과 제 2 버튼(322) 각각이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이 형성된다.
제 1 버튼(321)의 하부면은 제 1 부재(341)의 말단과 연결되고, 이 제 1 부재(341)의 타단에는 제 1 기어(351)가 연결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 2 버튼(322)의 하부면은 제 2 부재(342)의 말단과 연결되고, 이 제 2 부재(342)의 타단에는 제 2 기어(352)가 연결된다.
몸체(310) 및/또는 걸림턱(312) 및/또는 헤드부(314) 및/또는 목부(313)의 재질로는 비철금속, 금속,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들 몸체(310), 걸림턱(312), 헤드부(314), 목부(313)는 동일한 재질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부재(341)와 제 2 부재(342)는 교차점(301)에서 가위처럼 위치가 교대된다. 즉 가위 방식처럼 교차 배치된다. 또한, 제 1 부재(341)와 제 2 부재(342) 사이에 탄성 부재(330)가 설치되고, 이 탄성 부재(330)로 인해 버튼(321,322)이 사용자에 의해 압착되면 탄성 부재(330)도 압축되어 제 1 기어(351) 및 제 2 기어(352)가 회전한다. 탄성 부재(330)는 압축 스프링, 고무 부재 등이 될 수 있다.
제 1 기어(351)가 회전함에 따라 제 2 기어(352)도 회전된다. 물론, 제 1 기어(351) 및 제 2 기어(352)가 동시에 회전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기어(352) 하나만으로도 동작이 충분히 가능하다.
이러한 제 2 기어(352)의 회전에 따라 치합되어 제 3 기어(360)가 회전된다. 제 1 기어(351)와 제 2 기어(352)의 기어비는 1:1이 된다. 제 3 기어(360)는 연결 부재(370)에 의해 코터핀(380)과 연결된다. 또한, 제 1 기어(351) 및 제 2 기어(352)가 최대로 회전할 수 있도록 기어 표면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는 고정점(351-1) 및 고정점(352-1)에서 제 1 부재(341)와 제 2 부재(342)의 말단이 조립된다.
부연하면, 고정점(351-1) 및 고정점(352-1)은 원주면의 가장자리쪽에 위치된다. 또한, 버튼(320)의 적은 동작으로도 제 3 기어(360)의 회전이 많도록 제 3 기어(360)의 크기는 크고 기어수는 적고, 반대로 제 2 기어(352)의 크기는 작고 기어수는 많게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버튼(320)을 누른 상태에서 고정 스틱(130) 내부의 동작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고정 스틱(130)을 이용하여 목부(313)를 파지시 버튼(320)이 동시에 눌러지며, 제 1 부재(341)와 제 2 부재(342)가 평형에 가깝게 된다.
이때, 제 1 기어(351)는 반시계 방향(410)으로 회전하고, 제 2 기어(352)는시계 방향(420)으로 회전된다. 이 제 2 기어(352)의 회전에 따라 제 3 기어(36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접철되어 있던 코터핀(380)가 0°로 펼쳐지면서 일자가 된다.
탄성 부재(330)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기 위해 제 1 부재(341)와 제 2 부재(342)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된다. 즉, 걸림턱(312)에 가까운 거리로 설치된다.
또한, 제 1 부재(341)의 길이가 제 2 부재(342)의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제 1 부재(341)가 아래쪽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 1 부재(341)에 결합된 제 1 기어(351)가 회전하면서 제 2 부재(342)에 결합된 제 2 기어(352)를 회전시키게 된다. 물론, 제 2 부재(342)는 위쪽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제 2 부재(342)에 결합된 제 2 기어(352)도 회전되며, 이에 따라 제 3 기어(360)도 회전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버튼이 복원된 상태에서 코터핀(360)의 동작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서 버튼(320)을 눌렀던 고정 스틱을 떼면 탄성부재(도 3의 330)가 복원되면서, 제 1 기어(35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기어(352)는 제 2 기어(352)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제 2 기어(352)의 회전에 따라 제 3 기어(36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0°로 펼쳐진 코터핀(380)이 90°로 접철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현수 애자 고정 장치(100)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아이 쇄클(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111)에 완철(120)을 삽입한다(단계 S610). 이때 삽입은 아이 쇄클(110)의 관통공(211)에 완철(120)의 관통공(221)이 일치될때까지 진행된다.
이후, 고정 스틱(130)을 관통공(211,221)에 삽입한다(단계 S620). 이때, 코티핀(380)은 일자가 된다.
이후, 코터핀(380)이 회전하여 고정된다(단계 S630).
100: 현수 애자 고정 장치
110: 아이쇄클 111: 중공
120: 완철
130: 고정 스틱
310: 몸체
320: 버튼
351: 제 1 기어
352: 제 2 기어
360: 제 3 기어
110: 아이쇄클 111: 중공
120: 완철
130: 고정 스틱
310: 몸체
320: 버튼
351: 제 1 기어
352: 제 2 기어
360: 제 3 기어
Claims (13)
- 내부에 중공(111)이 형성되는 아이쇄클(110);
상기 중공(111)에 삽입되는 완철(120); 및
상기 중공(111)에 삽입되는 상기 완철(120)을 상기 아이쇄클(110)에 고정하게 일단에 코터핀(380)를 일체로 갖는 고정 스틱(1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애자 고정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틱(130)은,
상기 코터핀(380)를 회전시키는 3개의 기어(351,352,360)가 내장되는 몸체(310); 및
상기 몸체(310)의 상부에 배치되어 3개의 상기 기어(351,352,360)를 동작시키는 버튼(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애자 고정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터핀(380)의 회전 각도는 0°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애자 고정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0)의 상부에는 걸림턱(31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312)과 일정 간격으로 파지시 미끄러지거나 탈락되지 않도록 헤드부(314)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312)과 상기 헤드부(314) 사이에 목부(313)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320)은 상기 목부(313)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애자 고정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320)은 상기 목부(313)에 형성되는 제 1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 1 버튼(321) 및 상기 목부(313)에 형성되는 제 2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 2 버튼(32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버튼(321)과 상기 제 2 버튼(322)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애자 고정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3개의 상기 기어(351,352,360) 중 제 1 기어(351)는 제 1 부재(341)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부재(341)의 타단은 상기 제 1 버튼(321)의 하부면에 연결되며,
3개의 상기 기어(351,352,360) 중 제 2 기어(352)는 제 2 부재(342)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부재(342)의 타단은 상기 제 2 버튼(322)의 하부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기어(351)와 상기 제 2 기어(352)는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애자 고정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351)와 상기 제 2 기어(352)의 기어비는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애자 고정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3개의 상기 기어(351,352,360) 중 제 3 기어(360)는 상기 제 2 기어(352)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애자 고정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341)와 상기 제 2 부재(342) 사이에는 탄성부재(3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애자 고정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30)는 지렛대 원리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 1 부재(341)의 제 1 중심점과 상기 제 2 부재(342)의 제 2 중심점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애자 고정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341)의 길이는 상기 제 2 부재(342)의 길이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애자 고정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341)와 상기 제 2 부재(342)는 교차점(301)에 의해 교차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애자 고정 장치.
- (a) 아이쇄클(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111)에 완철(120)이 삽입되는 단계; 및
(b) 일단에 코터핀(380)를 일체로 갖는 고정 스틱(130)이 상기 아이쇄클(110) 및 상기 완철(120)에 삽입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애자 고정 장치의 조립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6568A KR102342421B1 (ko) | 2020-06-02 | 2020-06-02 | 현수 애자 고정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6568A KR102342421B1 (ko) | 2020-06-02 | 2020-06-02 | 현수 애자 고정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9480A true KR20210149480A (ko) | 2021-12-09 |
KR102342421B1 KR102342421B1 (ko) | 2021-12-24 |
Family
ID=78866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6568A KR102342421B1 (ko) | 2020-06-02 | 2020-06-02 | 현수 애자 고정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242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8586A (ko) * | 2021-04-29 | 2022-11-07 | 한국전력공사 | 간접활선공사용 바인드 제거장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9104A (ko) * | 1997-12-11 | 1999-07-05 | 윤종용 | 청정실의 천공판넬 이송용 픽커 및 픽커사용방법 |
KR20010108149A (ko) * | 1999-01-29 | 2001-12-07 | 나타니엘 에이취. 가필드 | 토글볼트장치 |
KR101615696B1 (ko) | 2016-01-27 | 2016-04-26 | 주식회사 승원이엔지 |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 |
JP2017015184A (ja) * | 2015-07-01 | 2017-01-19 | 中国電力株式会社 |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 |
KR20200046207A (ko) | 2018-10-23 | 2020-05-07 | 한국전력공사 | 현수애자 지지장치 |
KR20200054025A (ko) * | 2018-11-09 | 2020-05-19 | 한국전력공사 | 전력선 연결용 기자재 |
-
2020
- 2020-06-02 KR KR1020200066568A patent/KR1023424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9104A (ko) * | 1997-12-11 | 1999-07-05 | 윤종용 | 청정실의 천공판넬 이송용 픽커 및 픽커사용방법 |
KR20010108149A (ko) * | 1999-01-29 | 2001-12-07 | 나타니엘 에이취. 가필드 | 토글볼트장치 |
JP2017015184A (ja) * | 2015-07-01 | 2017-01-19 | 中国電力株式会社 |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 |
KR101615696B1 (ko) | 2016-01-27 | 2016-04-26 | 주식회사 승원이엔지 |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쇄클 연결장치 |
KR20200046207A (ko) | 2018-10-23 | 2020-05-07 | 한국전력공사 | 현수애자 지지장치 |
KR20200054025A (ko) * | 2018-11-09 | 2020-05-19 | 한국전력공사 | 전력선 연결용 기자재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8586A (ko) * | 2021-04-29 | 2022-11-07 | 한국전력공사 | 간접활선공사용 바인드 제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42421B1 (ko) | 2021-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42421B1 (ko) | 현수 애자 고정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 |
JP2003170364A (ja) | 遠隔操作用ヤットコに用いるアダプタ | |
AU609599B2 (en) | A unipolar junction box | |
US1200158A (en) | Tool-holder. | |
JP5072782B2 (ja) | 間接活線作業用器具 | |
CN108886240A (zh) | 紧线器与利用所述紧线器的活线分配工具 | |
US7174902B2 (en) | Hair ornament with a resilient attaching clip | |
AU2019236735A1 (en) | Coating stripping device and coating stripping method using the same | |
JP2016124051A (ja) | 電動工具および電動工具用吊下げ具 | |
KR200389249Y1 (ko) | 착탈식 휴대용 간이전등 | |
JP2007276024A (ja) | 遠隔操作用ヤットコに用いるアダプタ | |
JP5897628B2 (ja) | 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 |
JP2016082810A (ja) | 間接活線先端工具、及び、間接活線作業用具 | |
KR101908372B1 (ko) | 애자 연결장치 | |
JP6601133B2 (ja) |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 | |
US1053770A (en) | Fuse-puller. | |
US2382170A (en) | Lamp base remover | |
US2408737A (en) | Watchcase tool | |
US1416180A (en) | Artificial hand | |
US6904830B1 (en) | Broken bulb remover | |
JP2007080672A (ja) | ヒューズ体離脱用具 | |
US2905215A (en) | Screw driver with screw holding means | |
US1110193A (en) | Attachment-plug. | |
JP6468042B2 (ja) | 圧縮用工具 | |
JP5833072B2 (ja) | 間接活線作業用の先端工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