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285A -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285A
KR20200011285A KR1020180086165A KR20180086165A KR20200011285A KR 20200011285 A KR20200011285 A KR 20200011285A KR 1020180086165 A KR1020180086165 A KR 1020180086165A KR 20180086165 A KR20180086165 A KR 20180086165A KR 20200011285 A KR20200011285 A KR 20200011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loosening
housing
outer diameter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희
김동석
김재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86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1285A/ko
Publication of KR20200011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나사산(103)이 형성된 볼트(100)와 상기 볼트(100)의 나사산(103)에 체결되며 일정토크를 가하여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풀림방지너트(200)와 상기 풀림방지너트(200)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풀림방지너트(200)에 조임력과 장력을 가하여 상기 풀림방지너트(200)의 회전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수단(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풀림방지너트의 풀림이 방지되고 현장의 미세한 진동에도 접속부의 공극 발생이 방지되고 설비의 과열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정적인 설비운영과 전력공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COMPRESSION TYPE DEADEND CLAMP}
본 발명은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점퍼터미널과의 접속부에서 과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축인류클램프는 현수애자를 설치한 가공 송전선로의 송전선을 현수애자에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금구류이다. 압축인류클램프는 송전선로 자체 중량 및 풍압에 의한 진동을 충분히 견딜 수 있고 가설 및 송전상 연결이 용이하도록 제작되며, 양질의 전기를 송전할 수 있도록 전기적 접속을 고려하여 도전성이 높은 고순도의 알루미늄으로 제작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압축인류클램프(1)는 본체(2), 강클램프(3) 및 접속단자(4)를 포함한다. 압축인류클램프(1)는 본체(2)에 송전선의 강연선(L1)을 삽입하여 압축 고정하며, 본체(2)는 강클램프(3)를 매개로 철탑 아암(미도시)의 애자장치에 연결되어 송전선이 철탑 간 이어지게 된다.
압축인류클램프(1)의 접속단자(4)는 점퍼선(L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한 점퍼터미널(5)의 접속면판(6)이 볼트(8) 및 너트(9)에 의해 접속되며, 이 점퍼선(L2)의 타단에 있는 점퍼터미널(5)이 철탑 아암의 반대편 압축인류클램프와 접속하게 되면서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압축인류클램프(1)는 전력선 또는 철탑의 미세한 진동에 의해 볼트(8) 및 너트(9)의 조임이 느슨해져, 압축인류클램프(1)의 접속단자(4)와 점퍼터미널(5)의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며, 이 공극으로 수분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여 전기저항이 증가하면서 압축인류클램프(1)와 점퍼터미널(5)의 접속부에서 과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불완전 접속이 야기되어 설비 운영에 악영향을 미치며 송전효율이 저하되고 많은 전력 손실이 초래되어 안정적인 전력공급에 위해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5-34458호(1995.12.1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인류클램프의 접속단자와 점퍼터미널의 접속부에 기존의 볼트를 대체하여 특수 제작한 고정장치를 적용하여, 현장의 미세한 진동에도 접속부의 공극 발생을 방지하여 설비의 과열이 예방되게 한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와 상기 볼트의 나사산에 체결되며 일정토크를 가하여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풀림방지너트와 상기 풀림방지너트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풀림방지너트에 조임력과 장력을 가하여 상기 풀림방지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풀림방지너트는 제1 너트와 제2 너트의 2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너트와 상기 제2 너트의 연결부분에는 외경을 둘러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입된 슬릿홈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홈은 상기 제2 너트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너트의 후단 외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와 상기 풀림방지너트 사이에 와셔가 결합된다.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이며 선단 외경을 둘러 다수 개의 끼움슬롯이 형성된 풀림방지 하우징과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에 압입식으로 삽입되고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클러치 베어링과 외경에 상기 클러치 베어링이 끼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클러치 베어링이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에 압입식으로 삽입되게 하며 내경에 상기 풀림방지너트가 끼움 결합되는 너트 하우징과 상기 너트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클러치 베어링과 상기 너트 하우징을 고정하는 스냅링과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의 끼움슬롯에 장착되고 상기 너트 하우징의 내경에 상기 풀림방지너트를 끼움 결합시 상기 제2 너트의 나사산을 타고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2 너트의 슬릿홈에 걸어지는 이탈방지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의 외경에 외부 구조물에 접촉하여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날개 형성된다.
상기 제2 너트는 외경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너트 하우징의 내경은 상기 제2 너트의 외경에 대응되는 육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너트 하우징은 상기 클러치 베어링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외경 후단을 둘러 돌출되는 후단 플랜지와 외경 선단을 둘러 돌출되며 상기 후단 플랜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돌출되고 곡면으로 되어 상기 클러치 베어링의 끼움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 선단 플랜지와 상기 선단 플랜지와 접하는 내측 외경을 둘러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스냅링이 끼움 결합되는 요입슬롯을 구비한다.
상기 이탈방지 스프링은 'C'자 형상인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각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C자 형상 곡면을 형성하는 스프링 탄성부와 상기 스프링 탄성부의 각 단부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는 형상의 벌어짐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 스프링은 상기 고정부가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의 외경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탄성부가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의 내경에 배치되며 상기 벌어짐부가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의 외경에 배치되게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의 끼움슬롯에 장착된다.
상기 풀림방지수단을 상기 풀림방지너트 방향으로 누름에 의해, 상기 풀림방지수단의 너트 하우징의 내경에 상기 풀림방지너트의 제2 너트가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너트 하우징의 선단이 상기 이탈방지 스프링의 스프링 탄성부를 밀어 상기 스프링 탄성부가 상기 제2 너트의 나사산을 타고 탄성변형 되면서 제2 너트의 육각형상 부분을 넘어 탄성복원되고 상기 슬릿홈에 걸어져 고정된다.
압축인류클램프의 접속단자에 형성된 볼트공과 점퍼터미널의 접속면판에 형성된 볼트공이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단자의 볼트공과 상기 접속면판의 볼트공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가 삽입되고, 상기 두 볼트공을 관통한 상기 볼트의 단부에 상기 풀림방지너트가 결합되고, 상기 풀림방지너트에 상기 풀림방지수단이 끼움 결합된다.
상기 압축인류클램프의 접속단자와 상기 점퍼터미널의 접속면판은 다수 개의 볼트로 고정하고 상기 볼트는 각각 풀림방지너트와 풀림방지수단으로 고정되며,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의 회전방지날개가 인접하는 풀림방지 하우징에 접촉하여 회전이 방지된다.
상기 압축인류클램프의 접속단자와 상기 점퍼터미널의 접속면판이 상호 접하는 면에는 도전성 실리콘오일이 도포된다.
본 발명은 압축인류클램프의 접속단자와 점퍼터미널의 접속면판을 볼트, 스프링 와셔 및 풀림방지너트로 고정하여 볼트의 나사산에 일정토크를 가하고, 풀림방지너트에 풀림방지수단을 결합하여 풀림방지너트에 조임력과 장력을 가하여 풀림방지너트의 풀림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인류클램프와 접속단자와 점퍼터미널의 접속면판이 마주하는 면에 도전성 실리콘오일을 도포하거나 특수씰을 배치하여 접속단자와 접속면판의 공극 발생을 방지한다.
따라서, 풀림방지너트의 풀림이 방지되고 현장의 미세한 진동에도 접속부의 공극 발생이 방지되고 설비의 과열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정적인 설비운영과 전력공급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볼트가 적용된 압축인류클램프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가 적용된 압축인류클램프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의 결합된 단면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가 적용된 압축인류클램프를 보인 배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가 적용된 압축인류클램프를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이하 '접속단자 고정장치'라 칭함)는 볼트(100), 풀림방지너트(200) 및 풀림방지수단(300)을 포함한다.
압축인류클램프(1)의 접속단자(4)와 점퍼터미널(5)의 접속면판(6)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접속단자(4)의 볼트공과 접속면판(6)의 볼트공을 관통하여 볼트(100)를 삽입하고, 두 볼트공을 관통한 볼트(100)의 나사산에 풀림방지너트(200)를 체결하고, 풀림방지너트(200)에 풀림방지수단(300)을 끼움 결합한다.
압축인류클램프(1)의 접속단자(4)와 점퍼터미널(5)의 접속면판(6)을 접속단자 고정장치로 고정하기 전, 압축인류클램프(1)의 접속단자(4)와 점퍼터미널(5)의 접속면판(6)이 상호 접하는 면에는 도전성 실리콘오일이 도포되거나 실리콘오일을 카본과 배합한 도전성 콤파운드가 배치된다.
실리콘오일을 카본과 배합한 도전성 콤파운드는 특수씰(KS-660)이다. 실리콘오일은 안정성이 뛰어나고 카본을 배합한 도전성 콤파운드는 도전성, 열산화안정성, 내약품성이 뛰어나 전기의 정전방지에 최적이다. 특수씰은 사용온도범위가 -50℃에서 200℃이다. 압축인류클램프(1)의 접속단자(4)와 점퍼터미널(5)의 접속면판(6)이 상호 접하는 면에 도전성 실리콘오일을 도포하거나, 특수씰(KS-660)을 배치하는 것은 접속단자(4)와 접속면판(6)의 공극 발생을 방지하여 과열을 방지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볼트(100)에 와셔(250), 풀림방지너트(200)가 체결되고, 풀림방지너트(200)에 풀림방지수단(300)이 결합된다.
볼트(100)는 고강도 볼트이다. 실시예에서 볼트(100)는 4각목 둥근머리볼트이며 몸체에 나사산(103)이 형성된다.
풀림방지너트(200)는 볼트(100)의 나사산(103)에 체결된다. 실시예에서, 풀림방지너트(200)는 접속단자(4)와 접속면판(6)의 두 볼트공을 관통한 볼트(100)의 나사산(103)에 체결된다. 풀림방지너트(200)는 나사산(103)에 일정토크를 가하여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다.
풀림방지너트(200)는 제1 너트(210)와 제2 너트(220)의 2개로 구성된다. 볼트(100)에 2개의 너트(210,220)를 체결하면 2중 접점 영향으로 나사산(103)에 일정토크를 가하여 풀림방지 기능을 한다.
제1 너트(210)와 제2 너트(220)의 연결부분에는 외경을 둘러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입된 슬릿홈(221)이 형성된다. 슬릿홈(221)은 원형이며 후술할 이탈방지 스프링(350)이 걸어져 고정된다.
슬릿홈(221)은 제2 너트(220)의 외경 선단에 형성된다. 제2 너트(220)는 중앙부분 외경이 육각형상이며 외경 선단에 원형의 슬릿홈(221)이 형성되고 외경 후단에는 나사산(223)이 형성된다. 제2 너트(220)의 내경에는 볼트(100)의 나사산(103)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2 너트(220)의 외경 육각형상 부분에 풀림방지수단(300)이 결합된다.
제1 너트(210)는 외경이 육각형상이며 내경에는 볼트(100)의 나사산(103)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 너트(210)는 볼트(100)에 토크를 부여하기 위한 일반 너트이며, 제2 너트(220)는 풀림방지수단(300)이 결합될 수 있게 별도 제작한 너트이다.
볼트(100)와 풀림방지너트(200) 사이에 와셔(250)가 결합된다. 와셔(250)는 풀림방지너트(200)가 풀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와셔(250)는 스프링 와셔가 적용된다. 실시예에 와셔는 2개의 스프링 와셔가 적용된다. 스프링 와셔(250)는 진동이 있는 설비에서 볼트(100)와 제1 너트(210) 사이에 맞물린 장력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볼트(100)의 나사산(103)에 스프링 와셔(250), 제1 너트(210) 및 제2 너트(220)가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1차, 2차 풀림방지 기능을 발휘한다. 볼트(100)의 나사산(103)에 제1 너트(210)와 제2 너트(220)를 체결시 토크렌치 등을 사용하여 규정된 힘을 가하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풀림방지수단(300)은 풀림방지 하우징(310), 클러치 베어링(320), 너트 하우징(330), 스냅링(340) 및 이탈방지 스프링(350)을 포함한다. 풀림방지 하우징(310), 클러치 베어링(320), 너트 하우징(330), 스냅링(340) 및 이탈방지 스프링(350)은 하나의 조립품이며, 조립품 자체가 풀림방지너트(200) 중 제2 너트(220)에 결합된다.
풀림방지 하우징(310)은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이다. 원통형상의 개구된 내부가 설치공(315)이 되며, 설치공(315)에 클러치 베어링(320), 너트 하우징(330), 스냅링(340) 및 이탈방지 스프링(350)이 조립된다.
풀림방지 하우징(310)은 선단 외경을 둘러 다수 개의 끼움슬롯(311)이 형성된다. 끼움슬롯(311)에 이탈방지 스프링(350)이 장착된다. 실시예에서 끼움슬롯(311)은 2개씩 한쌍을 이루어 4개가 형성된다.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외경에 회전방지날개(313)가 형성된다. 회전방지날개(313)는 외부 구조물에 접촉하여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설치공(315)에는 클러치 베어링(32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턱(316)이 형성된다.
클러치 베어링(320)은 풀림방지 하우징(310)에 압입식으로 삽입된다. 클러치 베어링(320)은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특성을 가진 베어링이다. 클러치 베어링(320)은 제2 너트(220)가 풀리는 방향을 토크 발생시 제2 너트(220)의 풀리는 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핵심부품이다.
너트 하우징(330)은 외경에 클러치 베어링(320)이 끼움 결합된 상태로 풀림방지 하우징(310)에 삽입되어 클러치 베어링(320)이 풀림방지 하우징(310)에 압입식으로 삽입되게 한다. 너트 하우징(330)은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너트 하우징(330)의 외경은 클러치 베어링(320)의 내경에 대응된다.
너트 하우징(330)은 외경에 후단 플랜지(331), 선단 플랜지(333) 및 요입슬롯(335)이 형성된다.
후단 플랜지(331)는 클러치 베어링(320)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너트 하우징(330)의 외경 후단을 둘러 돌출 형성된다. 선단 플랜지(333)는 너트 하우징(330)의 외경 선단을 둘러 돌출 형성된다. 선단 플랜지(333)는 후단 플랜지(331)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돌출되고 곡면으로 되어 클러치 베어링(320)의 끼움 결합이 용이하도록 된다. 요입슬롯(335)은 선단 플랜지(333)와 접하는 너트 하우징(330)의 내측 외경을 둘러 형성되며, 너트 하우징(330)의 외경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입된다. 요입슬롯(335)에 스냅링(340)이 끼움 결합된다.
너트 하우징(330)의 내경에 풀림방지너트(200)가 결합된다. 너트 하우징(330)의 내경은 제2 너트(220)의 육각형상 외경에 대응되는 육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스냅링(340)은 너트 하우징(330)에 결합되어 클러치 베어링(320)과 너트 하우징(330)을 고정한다. 스냅링(340)은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너트 하우징(330)의 요입슬롯(335)에 결합된다. 너트 하우징(330)의 외경에 클러치 베어링(320)이 끼움 결합되면 클러치 베어링(320)의 일단이 후단 플랜지(331)에 지지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요입슬롯(335)에 결합된 스냅링(340)에 지지되어 클러치 베어링(320)이 너트 하우징(330)에 고정된다.
이탈방지 스프링(350)은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끼움슬롯(311)에 장착된다. 이탈방지 스프링(350)은 너트 하우징(330)의 내경에 풀림방지너트(200)를 끼움 결합시 제2 너트(220)의 나사산(223)을 타고 탄성변형되면서 제2 너트(220)의 육각형상 부분을 넘어 탄성복원되고 제2 너트(220)의 슬릿홈(221)에 걸어진다.
이탈방지 스프링(350)은 'C'자 형상인 고정부(351)와 고정부(351)의 각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C자 형상 곡면을 형성하는 스프링 탄성부(353)와 스프링 탄성부(353)의 각 단부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는 형상의 벌어짐부(355)를 포함한다.
고정부(351)와 벌어짐부(355)는 이탈방지 스프링(350)을 풀림방지 하우징(310)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고 스프링 탄성부(353)가 탄성변형되는 부분이다.
이탈방지 스프링(350)은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끼움슬롯에 장착되면, 고정부(351)가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외경에 배치되고, 스프링 탄성부(353)가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내경에 배치되며, 벌어짐부(355)가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외경에 배치된다.
풀림방지 하우징, 너트 하우징은 클러치 베어링과 스냅링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되고, 클러치 베어링, 스냅링, 이탈방지 스프링은 고정력이 높도록 금속 재질로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의 결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볼트(100)의 나사산(103)에 스프링 와셔(250), 제1 너트(210) 및 제2 너트(220)를 순차적으로 체결되며, 풀림방지너트(200) 중 제2 너트(220)에 풀림방지수단(300)이 결합된다.
이탈방지 스프링(350)은 풀림방지 하우징(310)에 장착되고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내경에 배치된 스프링 탄성부(353)가 제1 너트(210)와 제2 너트(220)의 사이 슬릿홈(221)에 위치되어 제2 너트(220)에 조임력을 제공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의 결합된 단면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풀림방지수단(300)은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설치공(315)에 클러치 베어링(320)과 스냅링(340)이 결합된 너트 하우징(330)을 삽입하고,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끼움슬롯(311)에 이탈방지 스프링(350)을 장착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구체적인 과정은, 너트 하우징(330)의 외경에 클러치 베어링(320)을 결합하고, 너트 하우징(330)의 요입슬롯(335)에 스냅링(340)을 결합한다. 클러치 베어링(320)과 스냅링(340)은 너트 하우징(330)의 선단 플랜지(333)가 곡선으로 되므로 곡선을 타고 너트 하우징(330)의 외경에 결합될 수 있다. 너트 하우징(330)의 외경에 클러치 베어링(320)과 스냅링(340)이 끼움 결합되면, 클러치 베어링(320)의 일단은 후단 플랜지(331)에 지지되고 반대되는 타단은 요입슬롯(335)에 결합된 스냅링(340)에 지지되어 클러치 베어링(320)이 너트 하우징(33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클러치 베어링(320)과 스냅링(340)이 결합된 너트 하우징(330)을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설치공(315)에 삽입한다. 이때,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설치공(315)에는 클러치 베어링(320)이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턱(316)이 있어 턱(316)까지만 클러치 베어링(320)이 삽입된다.
너트 하우징(330)이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설치공(315)에 삽입 완료되면, 클러치 베어링(320)은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내경과 너트 하우징(330)의 외경 사이에서 압입되고, 클러치 베어링(320)의 일단은 설치공(315)의 턱(316)과 너트 하우징(330)의 후단 플랜지(331)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스냅링(340)에 의해 지지된다. 제2 너트(220)가 너트 하우징(330)에 삽입시 설치공(315)의 턱(316)에 클러치 베어링(320)이 지지되어 너트 하우징(330)이 이탈방지 스프링(350)을 밀수 있다.
다음으로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끼움슬롯(311)에 이탈방지 스프링(350)이 장착된다.
이탈방지 스프링(350)의 양단 벌어짐부(355)를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일측 한 쌍의 끼움슬롯(311)을 통해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내경으로 삽입한 후, 반대편 타측 한 쌍의 끼움슬롯(311)을 통해 양단 벌어짐부(355)를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외경으로 인출하면 풀림방지 하우징(310)에 이탈방지 스프링(350)이 장착된다.
이때, 고정부(351)가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일측 외경에 지지되고 벌어짐부(355)가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타측 외경에 지지됨에 의해 스프링 탄성부(353)가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내경에 배치되고 탄성변형 가능하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풀림방지수단(300)의 조립이 완료되며, 조립 완료된 풀림방지수단(300)이 풀림방지너트(200)의 제2 너트(220)에 결합된다.
제2 너트(220)에 풀림방지수단(300)이 결합되는 과정은 풀림방지수단(300)을 풀림방지너트(200) 방향으로 누름에 의해 수행된다.
풀림방지수단(300)을 풀림방지너트(200) 방향으로 누르면, 풀림방지수단(300)의 너트 하우징(330)의 내경에 풀림방지너트(200)의 제2 너트(220)가 끼움 결합되면서, 너트 하우징(330)의 선단이 이탈방지 스프링(350)의 스프링 탄성부(353)를 밀어 스프링 탄성부(353)가 제2 너트(220)의 나사산을 타고 탄성변형 된다. 이후 스프링 탄성부(353)가 제2 너트(220)의 육각형상 부분을 넘으면 탄성복원되고 슬릿홈(221)에 걸어져 고정된다.
상술한 풀림방지수단(300)은 풀림방지 하우징(310)과 클러치 베어링(320)이 완벽하게 압입되고 클러치 베어링(320)과 너트 하우징(330)이 스냅링(340)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조립된다. 또한 이탈방지 스프링(350)은 풀림방지 하우징(310)에 장착되어 풀림방지수단(300)을 제2 너트(220)에 결합되며 제2 너트에 조임력을 가한다.
클러치 베어링(320)은 일측 방향(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특성을 가져, 너트 하우징(33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풀림방지 하우징(310)과 함께 너트 하우징(330)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너트 하우징(330)이 일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공회전하여 너트 하우징(330)의 회전을 방지한다. 여기서, 일측 방향은 너트가 풀리는 방향이고 반대 방향은 너트가 볼트에 조여지는 방향이다.
또한, 너트 하우징(330)에 제2 너트(220)가 결합되면, 제2 너트(220)가 진동 등의 요인으로 인해 풀리는 방향으로 토크가 발생하고 그 토크가 그대로 풀림방지 하우징(310)에 전달되어 제2 너트(220)가 풀리는 방향으로 풀림방지 하우징(310)이 회전하려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회전방지날개(313)가 기구적으로 외부 구조물에 접촉하여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므로 제2 너트(220) 또한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즉, 조임 방향 토크에서 클러치 베어링(320)이 너트 하우징(330)의 회전을 방지하고, 풀림 방향 토크에서 풀림방지 하우징(310)이 제2 너트(220)의 회전을 방지하는 힘(장력)이 균형을 이루어 풀림방지너트(200)가 볼트(100)에 체결된 상태의 풀림이 방지된다.
또한, 풀림방지수단(300)은 너트 하우징(330)의 내경이 제2 너트의 육각형상 외경과 일치하는 구조로 조립되고, 풀림방지 하우징(310)에 조립되는 이탈방지 스프링(350)이 제2 너트(220)의 육각형상 부분을 타고 넘어 원형인 슬릿홈(221)에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제2 너트(220)가 풀리거나 변형이 될 정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풀림방지너트(20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상술한 접속단자 고정장치는 스프링 와셔(250), 풀림방지너트(200) 및 풀림방지수단(300)이 적용되어 3중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다. 즉, 압축인류클램프(1)의 접속단자(4)와 점퍼터미널(5)의 접속면판(6)을 볼트(100), 스프링 와셔(250) 및 풀림방지너트(200)로 고정하여 볼트(100)의 나사산(103)에 일정토크를 가하여 풀림방지 기능을 갖고, 풀림방지너트(200)에 풀림방지수단(300)을 결합하여 풀림방지너트(200)에 조임력과 장력을 가하여 풀림방지너트(200)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가 적용된 압축인류클램프를 보인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인류클램프(1)의 접속단자(4)와 점퍼터미널(5)의 접속면판(6)은 다수 개의 볼트(100)로 고정되고, 볼트(100)는 각각 풀림방지너트(200)와 풀림방지수단(300)으로 고정된다.
실시예에서 볼트(100)는 4개가 체결되며, 풀림방지수단(300)은 풀림방지 하우징(310)의 회전방지날개(313)가 인접하는 볼트(100)의 풀림방지너트(200)에 결합된 풀림방지 하우징(310)에 접촉하여 회전이 방지된다.
상술한 접속단자 고정장치는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4)와 점퍼터미널(5)의 접속부에 체결되어 현장의 미세한 진동에도 접속부의 공극 발생을 방지하여 설비의 과열을 예방한다. 설비의 과열개소 예방은 안정적인 설비운영과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접속단자 고정장치는 압축인류클램프외에도 공극 발생 방지가 필요한 다양한 접속부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압축인류클램프 2: 본체
3: 강클램프 4: 접속단자
5: 점퍼터미널 6: 접속면판
100: 볼트 101: 머리
103: 나사산 200: 풀림방지너트
210: 제1 너트 220: 제2 너트
221: 슬릿홈 223: 나사산
250: 와셔 300: 풀림방지수단
310: 풀림방지 하우징 311: 끼움슬롯
313: 회전방지날개 315: 설치공
316: 턱 320: 클러치 베어링
330: 너트 하우징 331: 후단 플랜지
333: 선단 플랜지 335: 요입슬롯
340: 스냅링 350: 이탈방지 스프링
351: 고정부 353: 스프링 탄성부
355: 벌어짐부

Claims (14)

  1.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상기 볼트의 나사산에 체결되며 일정토크를 가하여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풀림방지너트; 및
    상기 풀림방지너트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풀림방지너트에 조임력과 장력을 가하여 상기 풀림방지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너트는
    제1 너트와 제2 너트의 2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너트와 상기 제2 너트의 연결부분에는 외경을 둘러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입된 슬릿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릿홈은 상기 제2 너트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너트의 후단 외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와 상기 풀림방지너트 사이에 와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이며 선단 외경을 둘러 다수 개의 끼움슬롯이 형성된 풀림방지 하우징;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에 압입식으로 삽입되고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클러치 베어링;
    외경에 상기 클러치 베어링이 끼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클러치 베어링이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에 압입식으로 삽입되게 하며 내경에 상기 풀림방지너트가 끼움 결합되는 너트 하우징;
    상기 너트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클러치 베어링과 상기 너트 하우징을 고정하는 스냅링; 및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의 끼움슬롯에 장착되고 상기 너트 하우징의 내경에 상기 풀림방지너트를 끼움 결합시 상기 제2 너트의 나사산을 타고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2 너트의 슬릿홈에 걸어지는 이탈방지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의 외경에 외부 구조물에 접촉하여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날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너트는 외경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너트 하우징의 내경은 상기 제2 너트의 외경에 대응되는 육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너트 하우징은
    상기 클러치 베어링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외경 후단을 둘러 돌출되는 후단 플랜지;
    외경 선단을 둘러 돌출되며 상기 후단 플랜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돌출되고 곡면으로 되어 상기 클러치 베어링의 끼움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 선단 플랜지; 및
    상기 선단 플랜지와 접하는 내측 외경을 둘러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스냅링이 끼움 결합되는 요입슬롯;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 스프링은
    'C'자 형상인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각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C자 형상 곡면을 형성하는 스프링 탄성부; 및
    상기 스프링 탄성부의 각 단부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는 형상의 벌어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 스프링은 상기 고정부가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의 외경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탄성부가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의 내경에 배치되며 상기 벌어짐부가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의 외경에 배치되게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의 끼움슬롯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수단을 상기 풀림방지너트 방향으로 누름에 의해,
    상기 풀림방지수단의 너트 하우징의 내경에 상기 풀림방지너트의 제2 너트가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너트 하우징의 선단이 상기 이탈방지 스프링의 스프링 탄성부를 밀어 상기 스프링 탄성부가 상기 제2 너트의 나사산을 타고 탄성변형 되면서 제2 너트의 육각형상 부분을 넘어 탄성복원되고 상기 슬릿홈에 걸어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압축인류클램프의 접속단자에 형성된 볼트공과 점퍼터미널의 접속면판에 형성된 볼트공이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단자의 볼트공과 상기 접속면판의 볼트공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가 삽입되고, 상기 두 볼트공을 관통한 상기 볼트의 단부에 상기 풀림방지너트가 결합되고, 상기 풀림방지너트에 상기 풀림방지수단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압축인류클램프의 접속단자와 상기 점퍼터미널의 접속면판은 다수 개의 볼트로 고정하고 상기 볼트는 각각 풀림방지너트와 풀림방지수단으로 고정되며,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풀림방지 하우징의 회전방지날개가 인접하는 풀림방지 하우징에 접촉하여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압축인류클램프의 접속단자와 상기 점퍼터미널의 접속면판이 상호 접하는 면에는 도전성 실리콘오일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KR1020180086165A 2018-07-24 2018-07-24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KR20200011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165A KR20200011285A (ko) 2018-07-24 2018-07-24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165A KR20200011285A (ko) 2018-07-24 2018-07-24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285A true KR20200011285A (ko) 2020-02-03

Family

ID=69627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165A KR20200011285A (ko) 2018-07-24 2018-07-24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12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860B1 (ko) * 2020-06-05 2020-10-16 제이에스엔지니어링(주)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
CN116505463A (zh) * 2023-06-30 2023-07-28 山东佰斯德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耐张线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4458U (ko) 1994-05-23 1995-12-18 동파 방지용 송전선 압축형 인류크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4458U (ko) 1994-05-23 1995-12-18 동파 방지용 송전선 압축형 인류크램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860B1 (ko) * 2020-06-05 2020-10-16 제이에스엔지니어링(주)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
CN116505463A (zh) * 2023-06-30 2023-07-28 山东佰斯德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耐张线夹
CN116505463B (zh) * 2023-06-30 2023-09-05 山东佰斯德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耐张线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0073B2 (en) Hinged bushing suspension clamp and method for using said clamp
US20090053940A1 (en) Screw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s
BRPI0617038A2 (pt) conjunto conector elétrico
US10811858B2 (en) Dead-end shoe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thereof
BRPI0706410A2 (pt) conector de derivação de cunha em combinação
CA2669632C (en) Wire grounding assembly
KR20200011285A (ko) 압축인류클램프 접속단자 고정장치
US8894434B2 (en) Solar plug connection
CN102611060A (zh) 一种导线夹持装置
US9570216B2 (en) Elastomeric gripping member for spacer assembly
RU159362U1 (ru) Компресс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абельного перехода
CN116365301B (zh) 一种光伏连接器固定组件
JPH05109399A (ja) バツテリケーブルの連結方法とその装置
CN213043070U (zh) 一种双c型线夹
US7896654B2 (en) Asymptotic head and socket electrical connection
EP3696917A1 (en) A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CN210468171U (zh) 电缆连接器压接结构及电缆连接器
CN114188792A (zh) 一种可快速安装的楔形接续金具
CN214625403U (zh) 一种紧固件防坠型并通线夹
FI127656B (en) CUTTING SCREW
CN110416771B (zh) 一种能够调节行程的软连接结构
CN113193389A (zh) 一种紧固件防坠型并通线夹
KR20150035203A (ko) 전선 접속장치
CN110265798A (zh) 一种快速接线端子
US2182151A (en) Cable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