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612Y1 -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612Y1
KR200483612Y1 KR2020150008604U KR20150008604U KR200483612Y1 KR 200483612 Y1 KR200483612 Y1 KR 200483612Y1 KR 2020150008604 U KR2020150008604 U KR 2020150008604U KR 20150008604 U KR20150008604 U KR 20150008604U KR 200483612 Y1 KR200483612 Y1 KR 200483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lifting
rotor shaft
supporting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욱
장용식
곽명근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8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6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6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는: 발전기의 로터축을 안착홈부에 안착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부지지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에 대해 상부지지부재를 밀어 로터축을 승강하는 리프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DEVICE FOR LIFTING ROTOR SHAFT OF GENERATOR}
본 고안은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부지지부재에 형성된 설치부에 유압램부재를 장착하여 승강하므로 작업공수를 줄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기에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로터축(rotor shaft)이 구비되어 있으며, 로터축은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 등에 손상이 발생되어 수리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로터축을 리프팅하여 베어링 등을 취외하거나 삽입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로터축을 리프팅하는 작업은 크레인 또는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로터축을 들어 올리고, 베어링을 취외하고, 수리 후 다시 삽입 장착한 후 로터축을 원상 복귀하면 된다.
그런데, 기존에는 로터축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공수가 많이 필요하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70041호(발명의 명칭: 리프팅 장치, 공개일: 2012.06.29)가 제시된 바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상,하부지지부재에 형성된 리프팅부의 설치부에 유압램부재를 장착하여 승강하므로 작업공수를 줄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지지부재에서 상부지지부재를 승강한 후 승강상태유지부를 이용하여 상부지지부재의 승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고정부를 이용하여 상부지지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므로 상부지지부재에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는, 발전기의 로터축을 안착홈부에 안착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재;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상부지지부재를 밀어 상기 로터축을 승강하는 리프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하부지지부재에 형성되는 설치부; 및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상부지지부재를 밀어올리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부는, 상기 하부지지부재의 중심부 상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하부설치홈부; 및 상기 하부설치홈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중심부 하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상부설치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하부설치홈부에 안착되고, 상기 상부설치홈부를 통해 상기 상부지지부재를 상측으로 밀어주므로 상기 로터축을 리프팅하는 유압램부재; 및 상기 유압램부재에 관로를 통해 유압을 공급하는 오일잭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부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지지부재에서 상기 상부지지부재를 들어올린 상태를 유지하는 승강상태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상태유지부는,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상부접촉부; 상기 상부접촉부에 접촉 지지되도록 상기 하부지지부재의 양측에 형성되는 하부접촉부: 및 상기 상부접촉부의 나사공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지지부재에 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승강 상태를 유지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부재에서 상기 상부지지부재를 승강할 때, 상기 하부지지부에 대해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하부지지부재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양단을 가압하므로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위치를 구속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는, 상,하부지지부재에 형성된 리프팅부의 설치부에 유압램부재를 장착하여 승강하므로 작업공수를 줄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지지부재에서 상부지지부재를 승강한 후 승강상태유지부를 이용하여 상부지지부재의 승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고정부를 이용하여 상부지지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므로 상부지지부재에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부를 상세하게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상태유지부와 위치고정부를 상세하게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부를 상세하게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상태유지부와 위치고정부를 상세하게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는, 상부지지부재(100), 하부지지부재(200) 및 리프팅부(300)를 포함한다.
상부지지부재(100)는 발전기의 로터축(50)을 안착홈부(110)에 안착 지지하는 구성이다. 상부지지부재(100)의 안착홈부(110)는 반원형태로 형성되어 로터축(50)의 저면을 감싸는 상태로 지지한다.
상부프레임부재(100)와 하부지지부재(200)는 수십톤정도 나가는 발전기의 하중을 지지해야 하므로 고강도의 금속재를 적용하도록 한다. 상부지지부재(100)의 하부면은 안착홈부(110)와 마찬가지로 반원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지지부재(200)는 상부지지부재(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하부지지부재(200)는 바닥 또는 하부구조물에 의해 서포트되어 로터축(50), 상부지지부재(100)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한다.
하부지지부재(200)의 상측부위는 상부지지부재(100)의 하측부위를 감싸도록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하부지지부재(200)는 상부지지부재(100)를 지지하기 용이한 경우 어떠한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부재(200)의 하측부위에는 지지를 위한 하부구조물이 구비될 수 있다. 이 하부구조물은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지지부재(200)는 하부구조물에 다양한 형태로 지지되면서 볼트(미도시)를 통해 하부구조물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리프팅부(300)는 하부지지부재(200)에 대해 상부지지부재(100)를 밀어 로터축(50)을 승강하는 구성이다.
리프팅부(300)는 상부지지부재(100)와 하부지지부재(200)에 형성되는 설치부(310)와, 설치부(310)에 설치되어 하부지지부재(200)에 대해 상부지지부재(100)를 밀어올리는 승강부재(320)를 포함한다.
설치부(310)는 상부지지부재(100)와 하부지지부재(200)에 홈 형태로 형성된다.
설치부(310)는 하부지지부재(200)의 중심부 상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하부설치홈부(312)와, 하부설치홈부(312)에 대응하도록 상부지지부재(100)의 중심부 하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상부설치홈부(314)를 포함한다.
하부설치홈부(312)는 후술하는 유압램부재(322)의 저면이 지지되도록 바닥부위가 편평하게 형성된다.
상부설치홈부(314)는 유압램부재(322)의 실린더 승강축 단부가 접촉되도록 천장부위가 편평하게 형성된다.
승강부재(320)는 하부설치홈부(312)에 안착되고, 상부설치홈부(314)를 통해 상부지지부재(100)를 상측으로 밀어주므로 로터축(50)을 리프팅하는 유압램부재(322)와, 유압램부재(322)에 관로(326)를 통해 유압을 공급하는 오일잭부재(324)를 포함한다.
유압램부재(322)는 유압잭부재(324)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오일을 통해 실린더를 작동하여 상승시키므로 실린더 승강축이 상부지지부재(100)의 상부설치홈부(314) 저면을 밀어주거나 내려줌으로써 로터축(50)을 승하강 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는 리프팅부(300)를 이용하여 하부지지부재(200)에서 상부지지부재(100)를 들어올린 상태를 유지하는 승강상태유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상태유지부(400)는 상부지지부재(10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상부접촉부(410)와, 상부접촉부(410)에 접촉 지지되도록 하부지지부재(200)의 양측에 형성되는 하부접촉부(420)와, 상부접촉부(410)의 나사공(412)에 결합되고, 하부지지부재(200)에 단부가 지지되어 상부지지부재(100)의 승강 상태를 유지하는 조임부재(430)를 포함한다.
하부접촉부(420)의 상면에는 상부접촉부(410)의 나사공(412)에 체결된 조임부재(430)의 단부가 지지되므로 조임부재(430)를 체결함에 따라 하부지지부재(200)에 대해 상부지지부재(100)를 승강시키게 된다.
조임부재(430)는 볼트 또는 나사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는 하부지지부재(200)에서 상부지지부재(100)를 승강할 때, 하부지지부재(200)에 대해 상부지지부재(1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500)는 하부지지부재(200)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부지지부재(100)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510)과, 지지프레임(510)에 체결되어 상부지지부재(100)의 양단을 가압하므로 상부지지부재(100)의 위치를 구속하는 결합부재(52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510)은 사각형 블록 형태로 형성된다. 지지프레임(510)에는 좌우로 관통 형성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결합부재(520)가 체결된다.
결합부재(520)는 볼트 또는 나사로 이루어진다.
이하,본 발명에 따른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의 사용 상태를 살펴 보면, 로터축(50)의 저면에 승강장치를 배치한다. 그리고, 유압램부재(322)를 하부설치홈부(312)와 상부설치홈부(314)에 삽입 설치한다.
연이어, 오일잭부재(324)에서 관로(326)를 통해 오일을 공급하여 실린더 승상축이 상부지지부재(100)를 밀어 하부지지부재(100)에서 들어올린다.
또한, 상부지지부재(100)의 승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부접촉부(410)의 나사공(412)에 조임부재(430)를 체결하여 하부집촉부(420)의 홈부에 삽입 지지함으로써, 하부지지부재(200)에 대한 상부지지부재(100)의 승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 후에 유압램부재(322)를 설치부(310)에서 제거한다.
이때, 위치고정부(500)의 결합부재(520)를 지지프레임(510)의 나사공에서 체결하여 상부지지부재(100)의 양측면부를 가압하도록 조여줌으로써, 상부지지부재(100)가 하부지지부재(200)에 대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는, 상,하부지지부재에 형성된 리프팅부의 설치부에 유압램부재를 장착하여 승강하므로 작업공수를 줄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지지부재에서 상부지지부재를 승강한 후 승강상태유지부를 이용하여 상부지지부재의 승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고정부를 이용하여 상부지지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므로 상부지지부재에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50 : 로터축 100 : 상부지지부재 :
110 : 안착홈부 200 : 하부지지부재
300 : 리프팅부 310 : 설치부
312 : 하부설치홈부 314 : 상부설치홈부
320 : 승강부재 322 : 유압램부재
324 : 오일잭부재 326 : 관로
400 : 승강상태유지부 410 : 상부접촉부
412 : 니시공 420 : 하부접촉부
430 : 조임부재 500 : 위치고정부
510 : 지지프레임 520 : 결합부재

Claims (8)

  1. 발전기의 로터축을 안착홈부에 안착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재;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상부지지부재를 밀어 상기 로터축을 승강하는 리프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부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지지부재에서 상기 상부지지부재를 들어올린 상태를 유지하는 승강상태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상태유지부는,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상부접촉부;
    상기 상부접촉부에 접촉 지지되도록 상기 하부지지부재의 양측에 형성되는 하부접촉부: 및
    상기 상부접촉부의 나사공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지지부재에 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승강 상태를 유지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접촉부의 상면에는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임부재의 단부가 삽입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하부지지부재에 형성되는 설치부; 및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상부지지부재를 밀어올리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하부지지부재의 중심부 상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하부설치홈부; 및
    상기 하부설치홈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중심부 하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상부설치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하부설치홈부에 안착되고, 상기 상부설치홈부를 통해 상기 상부지지부재를 상측으로 밀어주므로 상기 로터축을 리프팅하는 유압램부재; 및
    상기 유압램부재에 관로를 통해 유압을 공급하는 오일잭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재에서 상기 상부지지부재를 승강할 때, 상기 하부지지부에 대해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하부지지부재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양단을 가압하므로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위치를 구속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
KR2020150008604U 2015-12-29 2015-12-29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 KR200483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604U KR200483612Y1 (ko) 2015-12-29 2015-12-29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604U KR200483612Y1 (ko) 2015-12-29 2015-12-29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612Y1 true KR200483612Y1 (ko) 2017-06-07

Family

ID=59093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604U KR200483612Y1 (ko) 2015-12-29 2015-12-29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6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583B1 (ko) 2018-12-26 2020-05-1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대용량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1541A (ja) * 2009-07-15 2011-02-03 Mitsubishi Heavy Ind Ltd 軸受装置および回転機械
CN102094685A (zh) * 2008-12-30 2011-06-15 通用电气公司 用于可旋转的圆柱形构件的自对齐式支承组件
WO2014199951A1 (ja) * 2013-06-12 2014-12-1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回転軸の持ち上げ治具及び回転軸の持ち上げ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94685A (zh) * 2008-12-30 2011-06-15 通用电气公司 用于可旋转的圆柱形构件的自对齐式支承组件
JP2011021541A (ja) * 2009-07-15 2011-02-03 Mitsubishi Heavy Ind Ltd 軸受装置および回転機械
WO2014199951A1 (ja) * 2013-06-12 2014-12-1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回転軸の持ち上げ治具及び回転軸の持ち上げ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583B1 (ko) 2018-12-26 2020-05-1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대용량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92147A (zh) 一种管件连接法兰钻孔夹具
EP2871147B1 (en) Elevator with tubular motor and divided motor mount
KR200483612Y1 (ko)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
JP5519420B2 (ja) 鋼管継柱嵌合部の取り外し工具
CN210318808U (zh) 一种拆卸式市政用顶管机
CN102996897A (zh) 一种安装风管的专用装置
CN214135935U (zh) 管道连接用对中装置
CN204525355U (zh) 一种法兰面扩张装置
KR102603007B1 (ko) 기어 분해장치
CN202469385U (zh) 移动式振槽输送机的升降装置
KR100638633B1 (ko) 전력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구
CN205858390U (zh) 一种液压支架底座推移装置
CN204646142U (zh) 抽油杆卡瓦
CN210528262U (zh) 一种柱型重物翻转装置
CN214350725U (zh) 一种轴承总成工装
CN105515303A (zh) 一种定子绕组吊装装置
KR20150000448U (ko) 용접 변형 방지 장치
CN212272083U (zh) 盘根座固定夹
CN210559094U (zh) 一种液压千斤顶
CN210189111U (zh) 一种传动轴加工用固定工装
FR2973018A1 (fr) Table de depilage de flans destines a l'emboutissage, destinee a supporter une palette portant une pile de flans
CN104952773A (zh) 一种半导体沉积设备腔体对接方法
JP6558504B1 (ja) 油圧エレベーターのポンプチェック弁取替治具およびポンプチェック弁取替方法
CN206861198U (zh) 气动升降装置
CN203993036U (zh) 一种安全快速成型的绳轮轴承压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