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394Y1 - 아이 쇄클 - Google Patents

아이 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394Y1
KR200201394Y1 KR2020000008892U KR20000008892U KR200201394Y1 KR 200201394 Y1 KR200201394 Y1 KR 200201394Y1 KR 2020000008892 U KR2020000008892 U KR 2020000008892U KR 20000008892 U KR20000008892 U KR 20000008892U KR 200201394 Y1 KR200201394 Y1 KR 200201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main body
hole
b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8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3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3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01B17/10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by intermediate l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12Special features of strain ins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완금용 볼쇄클의 볼부분을 아이형태로 개선시킨 아이쇄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중심부에 구멍이 형성된 ∪자 형상의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양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와, 일측에는 걸림턱(3)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구멍(6)을 가진 원형 돌기(7)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의 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아이(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종래의 소켓아이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배전공사시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고, 배전장주의 간소화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아이 쇄클 {Eye-Shackle}
본 고안은 아이 쇄클(Eye-Shackle)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완금용 볼쇄클(Ball-Shackle)의 볼 부분을 아이형태로 개선시켜 배전용 폴리머 현수애자 취부시 불필요하게 사용중인 소켓아이의 설치를 생략함으로써 배전공사의 자재비 절감과 배전장주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아이 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배전용 폴리머 현수애자 양단 취부금구는 자기제 현수애자와는 달리 국제적으로 크레비스(Clevis)와 아이(Eye)형태로 되어 있어 22.9KV-y전력선용 경완금에 신설 취부시에 '경완금용 아이쇄클'과의 사이에 191mm자기제 볼소켓형 현수 애자와 마찬가지로 반드시 고가의 소켓아이가 필요하다.
즉, 현수 애자 설치방법에는 첫째, ┐형 완철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고, 둘째, 경완철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도 1은 종래 ┐형 완철을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경완철을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형 완철을 사용한 경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 완철(11), 앵커 쇄클(12), 볼크레비스(13), 현수애자(14), 소켓아이(15), 데드앤드크램프(16) , 전선(17)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구성에 의해 현수 애자를 설치하였다.
또한, 경완철을 사용한 경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완철(21), 볼쇄클(22), 현수애자(23), 소켓아이(24), 데드앤드크램프(25), 전선(26)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구성에 의해 현수애자를 설치하였다.
여기서, 상기 도 2를 살펴보면, 경완철(21)이 볼쇄클(22)과 연결된 상태에서 볼쇄클(22)에 소켓아이(24)가 설치되어 있어 이러한 소켓 아이(24)를 통하여 현수 애자(23)와 데드앤드크램프(25) 및 전선(26)을 차례로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여기서, 상기 볼쇄클(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 ∪자 형상의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양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와, 일측에는 걸림턱(3)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볼애자(4)를 가진 볼(5)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의 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와 같이 볼쇄클(22)을 사용하여 현수애자(23)를 설치하는데 이때 볼 애자(4)가 현수애자(23)에 바로 연결되지 못하므로 반드시 별도의 소켓아이(24)를 사용하여 조립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볼쇄클(22)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반드시 소켓아이 (24)가 필요하여 배전공사의 자재비가 증가하고, 배전장주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현재 사용중인 경완금용 아이쇄클의 볼 부분을 아이형태로 바꾼 경완금용 아이쇄클을 사용하여 배전용 폴리머 현수 애자 신규 취부시 불필요하게 사용중인 소켓아이 설치를 생략함으로써 배전 공사의 자재비 절감 및 배전 강주 간소화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아이쇄클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형 완철을 사용한 현수애자 설치 구조물의 분해도
도 2는 종래 경완철을 사용한 현수애자 설치 구조물의 분해도
도 3은 종래 볼쇄클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아이 쇄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본체 2:고정부재
3:걸림턱 6:구멍
7:원형돌기 8:아이
10:아이 쇄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심부에 구멍이 형성된 ∪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일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구멍을 가진 원형 돌기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볼 아이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아이 쇄클(10)의 사시도로, 중심부에 구멍이 형성된 ∪자 형상의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양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와, 일측에는 걸림턱(3)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구멍(6)을 가진 원형 돌기(7)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의 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아이(8)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아이쇄클(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중심부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이 구멍(2)에 아이(8)를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아이(8)는 일측에 걸림턱(3)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구멍(6)을 가진 원형 돌기(7)가 형성되어 있어 이러한 아이(8)가 상기 구멍(6)을 통하여 본체(1)에 삽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아이 쇄클(10)은 원형돌기(7)에 형성된 구멍(6)에 직접 폴리머 현수애자를 결합하고 이 폴리머 현수애자에 데드앤드크램프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소켓아이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 배전장주의 간소화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현재 사용중인 경완금용 아이쇄클의 볼 부분을 아이형태로 바꾼 경완금용 아이쇄클을 사용하여 배전용 폴리머 현수 애자 신규 취부시 불필요하게 사용중인 소켓아이 설치를 생략함으로써 배전 공사의 자재비 절감 및 배전 강주 간소화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폴리머 현수애자 설치 구조에 있어서,
    중심부에 구멍이 형성된 ∪자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양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일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구멍을 가진 원형 돌기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아이를 구비하여,
    소켓아이 사용없이 직접 상기 폴리머 현수 애자에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쇄클.
KR2020000008892U 2000-03-29 2000-03-29 아이 쇄클 KR200201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892U KR200201394Y1 (ko) 2000-03-29 2000-03-29 아이 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892U KR200201394Y1 (ko) 2000-03-29 2000-03-29 아이 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394Y1 true KR200201394Y1 (ko) 2000-11-01

Family

ID=19649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892U KR200201394Y1 (ko) 2000-03-29 2000-03-29 아이 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39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913A (ko) * 2001-10-04 2003-04-11 한국전력공사 아이쇄클
KR100840351B1 (ko) 2008-01-17 2008-06-20 대한기술단(주) 고압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고정장치
KR100840348B1 (ko) 2008-01-17 2008-06-20 대한기술단(주) 인입주의 배전선 지지용 완금구조물
KR20160142227A (ko)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성진 배전선로용 쇄클
KR102008938B1 (ko) * 2018-05-16 2019-08-08 한국전력공사 회전방지용 아이쇄클 조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913A (ko) * 2001-10-04 2003-04-11 한국전력공사 아이쇄클
KR100840351B1 (ko) 2008-01-17 2008-06-20 대한기술단(주) 고압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고정장치
KR100840348B1 (ko) 2008-01-17 2008-06-20 대한기술단(주) 인입주의 배전선 지지용 완금구조물
KR20160142227A (ko)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성진 배전선로용 쇄클
KR102008938B1 (ko) * 2018-05-16 2019-08-08 한국전력공사 회전방지용 아이쇄클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1394Y1 (ko) 아이 쇄클
GB2378213A (en) Wire or like connectors/tensioners
CA2307690A1 (en) Lock bolt with modified end cap for slack adjuster
CA2428203A1 (en) Anchor assembly for electrified conductor bar
EP1162693A3 (en) Cable terminal connecting structure of battery
AU2002251878B2 (en) Spring-loaded wedge dead end connector
US5395266A (en) Water-proofing plug for connector
CA1063202A (en) Cable suspension assembly
AU2002251878A1 (en) Spring-loaded wedge dead end connector
KR20070038722A (ko) 차량의 견인 후크 캡
EP1220365A3 (en) Divided connector
KR200336925Y1 (ko) 회전제어용 스토퍼를 갖는 현수애자용 쇄클
JP2001136643A (ja) ケーブル架設用の留め金具
KR200301775Y1 (ko) 현수 애자용 아이쇄클 구조
JP2004032835A (ja) 螺旋状支持具を使用したケーブル等の吊架施工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固定金具
CN215599429U (zh) 一种adss光缆耐张悬垂连接固定环
JP3479242B2 (ja) ケーブル用引き紐の先導具
JP2988174B2 (ja) コネクタ
JPS5838771Y2 (ja) ケ−ブル懸吊組立体
KR200256954Y1 (ko) 지선 연결용 클램프
US20230047376A1 (en) Improve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KR200259341Y1 (ko) 인입전용 완금
JP2000161538A (ja) プロテクタ
JPS639956Y2 (ko)
CN112146066A (zh) 加固连接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