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884B1 -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배전선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배전선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884B1
KR102462884B1 KR1020220011125A KR20220011125A KR102462884B1 KR 102462884 B1 KR102462884 B1 KR 102462884B1 KR 1020220011125 A KR1020220011125 A KR 1020220011125A KR 20220011125 A KR20220011125 A KR 20220011125A KR 102462884 B1 KR102462884 B1 KR 102462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ing shaft
support plate
rotating plat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봉호
정수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림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림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011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2Mechanical actuation of the alarm, e.g. by the breaking of a wi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배전선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완철(F)에 설치되는 고정대(10)와;
좌우 방향으로 개구된 스프링설치홀(21a1), 좌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스프링설치홀(21a1)보다 상방에 구비되는 접촉센서설치홈(21a2)을 구비하여, 고정대(10)에 설치되는 지지판부(21a)와, 지지판부(21a)의 좌측에 구비되고 스프링설치홀(21a1)과 접촉센서설치홈(21a2)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축부(21b)를 갖춘 지지판(21); 지지판부(21a)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제1연결부(22a1), 전측 및 후측 및 좌측이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어 제1연결부(22a1)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1접촉부(22a2)를 갖춘 제1접촉체(22a)와, 제1접촉부(22a2)의 우측에 구비되어 제1점퍼선(J1)이 연결되는 제1점퍼선고정체(22b)를 갖춘 통전재질의 제1통전부재(22);로 구성되는 지지부재(20)와;
회전판(31)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우측이 스프링설치홀(21a1)의 하측과 연통되는 이동축고정홀(31a)과, 좌우 방향 및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후측이 이동축고정홀(31a)의 하측과 연통되며, 회전판(31) 회전시 이동축(51)의 이동축부(51a)가 통과하게 곡선 형상을 이루는 이동축통과홀(31b)을 구비하여, 회전축부(21b)에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회전판(31); 회전판(31)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제2연결부(32a1), 전측 및 후측이 라운지게 돌출 형성되고, 우측이 라운드진 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2연결부(32a1)의 하측에 구비되며, 우측이 제1접촉부(22a2)에 맞물리는 제2접촉부(32a2)를 갖추고서, 제1접촉체(22a)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접촉체(32a)와, 제2접촉부(32a2)의 좌측에 구비되어 제1점퍼선(J1)에 대향되는 제2점퍼선(J2)이 연결되는 제2점퍼선고정체(32b)를 갖춘 통전재질의 제2통전부재(32)와, 회전판(31)의 하부 좌측에 구비되어 좌방으로 돌출되는 걸이봉(33);으로 구성되는 회전부재(30)와;
지지판(21)과 회전판(31)에 설치되어, 회전판(3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40)과;
지지판(21)의 스프링설치홀(21a1)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측이 지지판(21)의 좌방으로 돌출되어 회전판(31)의 이동축고정홀(31a)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축부(51a), 이동부축(51a)의 우측에 우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걸이부(51b)와, 걸이부(51b)보다 좌방에 위치하게 이동축부(51a)에 구비되고 지지판(21)의 우측면에 맞닿는 지지부(51c)를 갖춘 이동축(51); 지지판(21)의 스프링설치홀(21a1)에 설치되어 이동축(51)을 상방으로 당기는 인장스프링(52);으로 구성된 고정기구(50)와;
지지판부(21)의 접촉센서설치홈(21a2)에 설치되어 회전판(31)과 접촉하고, 회전판(31)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접촉센서(60)와;
고정대(10)에 설치되고, 접촉센서(60)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되는 경고등(70)과;
고정대(10)에 설치되고,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배전선 클램핑 장치{Overhead Line Clamping Equipmen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배전선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배전선을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게 되는 배전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가공배전선은 전주에 연결되어 변전소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각 수용가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주에는 완철이 설치되고, 완철에 설치된 애자 및 점퍼선을 통해 가공배전선이 연결된다.
한편, 가공배전 현장 작업 중 문제가 발생하면, 전기를 신속하게 차단하여야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수단이 없어, 안전사고에 대한 대응이 미흡했다.
또한, 종래에는 가공배전설비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를 신속하게 알릴 수 없어, 화재발생에 대한 대응이 미흡했다.
대한민국 등록공보 제10-192019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위급상황시 전기 차단을 알리면서 가공배전선을 흐르는 전기를 신속 편리하게 차단하고, 화재 발생 시 이를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가공배전선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완철(F)에 설치되는 고정대(10)와;
좌우 방향으로 개구된 스프링설치홀(21a1), 좌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스프링설치홀(21a1)보다 상방에 구비되는 접촉센서설치홈(21a2)을 구비하여, 고정대(10)에 설치되는 지지판부(21a)와, 지지판부(21a)의 좌측에 구비되고 스프링설치홀(21a1)과 접촉센서설치홈(21a2)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축부(21b)를 갖춘 지지판(21); 지지판부(21a)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제1연결부(22a1), 전측 및 후측 및 좌측이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어 제1연결부(22a1)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1접촉부(22a2)를 갖춘 제1접촉체(22a)와, 제1접촉부(22a2)의 우측에 구비되어 제1점퍼선(J1)이 연결되는 제1점퍼선고정체(22b)를 갖춘 통전재질의 제1통전부재(22);로 구성되는 지지부재(20)와;
회전판(31)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우측이 스프링설치홀(21a1)의 하측과 연통되는 이동축고정홀(31a)과, 좌우 방향 및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후측이 이동축고정홀(31a)의 하측과 연통되며, 회전판(31) 회전시 이동축(51)의 이동축부(51a)가 통과하게 곡선 형상을 이루는 이동축통과홀(31b)을 구비하여, 회전축부(21b)에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회전판(31); 회전판(31)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제2연결부(32a1), 전측 및 후측이 라운지게 돌출 형성되고, 우측이 라운드진 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2연결부(32a1)의 하측에 구비되며, 우측이 제1접촉부(22a2)에 맞물리는 제2접촉부(32a2)를 갖추고서, 제1접촉체(22a)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접촉체(32a)와, 제2접촉부(32a2)의 좌측에 구비되어 제1점퍼선(J1)에 대향되는 제2점퍼선(J2)이 연결되는 제2점퍼선고정체(32b)를 갖춘 통전재질의 제2통전부재(32)와, 회전판(31)의 하부 좌측에 구비되어 좌방으로 돌출되는 걸이봉(33);으로 구성되는 회전부재(30)와;
지지판(21)과 회전판(31)에 설치되어, 회전판(3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40)과;
지지판(21)의 스프링설치홀(21a1)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측이 지지판(21)의 좌방으로 돌출되어 회전판(31)의 이동축고정홀(31a)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축부(51a), 이동부축(51a)의 우측에 우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걸이부(51b)와, 걸이부(51b)보다 좌방에 위치하게 이동축부(51a)에 구비되고 지지판(21)의 우측면에 맞닿는 지지부(51c)를 갖춘 이동축(51); 지지판(21)의 스프링설치홀(21a1)에 설치되어 이동축(51)을 상방으로 당기는 인장스프링(52);으로 구성된 고정기구(50)와;
지지판부(21)의 접촉센서설치홈(21a2)에 설치되어 회전판(31)과 접촉하고, 회전판(31)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접촉센서(60)와;
고정대(10)에 설치되고, 접촉센서(60)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되는 경고등(70)과;
고정대(10)에 설치되고,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이를 신속하게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작업 중 위급 상황 발생으로 가공배전선을 흐르는 전기를 긴급하게 차단해야 할 경우, 별도의 후크봉을 이용하여, 지지부재(20)와 회전부재(30)의 결속을 쉽게 해제시키면서, 제1통전부재(22) 및 제2통전부재(32)의 전기적 연결이 안전하게 해제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은 경고등(70)을 통해 제1통전부재(22) 및 제2통전부재(32)의 단전상태를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전된 제1통전부재(22) 및 제2통전부재(32)를 다시 접속해야할 경우, 별도의 후크봉을 이용하여, 지지부재(20)와 회전부재(30)를 쉽게 결속시키면서 제1통전부재(22) 및 제2통전부재(32)의 전기적 연결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통전부재(22) 및 제2통전부재(32)가 접속될 시, 부드럽게 맞물리면서 견고하게 밀착접속되어, 제1통전부재(22) 및 제2통전부재(32)의 전기적 연결을 안전하고 정밀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Y-Y'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1통전부재 및 제2통전부재가 맞물지리 않은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Y-Y'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1통전부재 및 제2통전부재가 맞물지리 않은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정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2 상에서 X축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Y축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며,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본 발명 구성의 방향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클램핑 장치는 고정대(10)와, 지지부재(20)와, 회전부재(30)와, 토션스프링(40)과, 고정기구(50)와, 접촉센서(60)와, 경고등(70) 및, 화재감지센서(8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F)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완철(F)은 한쌍이 구비되어,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게 전주(P)에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고정대(1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한쌍의 완철(F)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2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1)과, 제1통전부재(22)를 갖춘다.
상기 지지판(21)은, 좌우 방향으로 개구된 스프링설치홀(21a1), 좌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스프링설치홀(21a1)보다 상방에 구비되는 접촉센서설치홈(21a2)을 구비하여, 고정대(10)에 설치되는 지지판부(21a)와, 지지판부(21a)의 좌측에 구비되고 스프링설치홀(21a1)과 접촉센서설치홈(21a2)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축부(21b)를 갖춘다. 본 발명에서 지지판(21)은 사각 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통전부재(22)는 제1접촉체(22a)와, 제1점퍼선고정체(22b)를 갖추며, 통전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접촉체(22a)는, 지지판부(21a)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제1연결부(22a1)와, 전측 및 후측 및 좌측이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어 제1연결부(22a1)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1접촉부(22a2)를 갖춘다. 본 발명에서 제1연결부(22a1)는 판 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접촉부(22a2)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점퍼선고정체(22b)는, 제1접촉부(22a2)의 우측에 구비되어 제1점퍼선(J1)이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제1점퍼선고정체(22b)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루고, 제1점퍼선(J1)이 제1점퍼선고정체(22b)에 감겨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점퍼선(J1) 및 제1점퍼선고정체(22b) 간의 고정은 통상의 다양한 고정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1)과, 제2통전부재(32) 및, 걸이봉(33)을 갖춘다.
상기 회전판(31)은 이동축고정홀(31a)과, 이동축통과홀(31b)을 갖추고서, 회전축부(21b)에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된다.
상기 이동축고정홀(31a)은, 회전판(31)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우측이 스프링설치홀(21a1)의 하측과 연통된다.
상기 이동축통과홀(31b)은, 좌우 방향 및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후측이 이동축고정홀(31a)의 하측과 연통되며, 회전판(31) 회전시 이동축(51)의 이동축부(51a)가 통과하게 곡선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통전부재(32)는 제2접촉체(32a)와, 제2점퍼선고정체(32b)를 갖추며, 통전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접촉체(32a)는 제1접촉체(22a)에 맞물린다. 본 발명에서 제2접촉체(32a)는 회전판(31)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제2연결부(32a1)와, 전측 및 후측이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고, 우측이 라운드진 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2연결부(32a1)의 하측에 구비되며, 우측이 제1접촉부(22a2)에 맞물리는 제2접촉부(32a2)를 갖추고서, 제1접촉체(22a)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제2연결부(32a1)는 판 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2접촉체(32a)는 제1접촉체(22a)와 맞물릴 수 있으면, 그 배치 위치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2접촉부(32a2)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2점퍼선고정체(32b)는, 제2접촉부(32a2)의 좌측에 구비되어, 제1점퍼선(J1)에 대향되는 제2점퍼선(J2)이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제2점퍼선고정체(32b)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루고, 제2점퍼선(J2)이 제2점퍼선고정체(32b)에 감겨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점퍼선(J2) 및 제2점퍼선고정체(32b) 간의 고정은 통상의 다양한 고정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걸이봉(33)은 회전판(31)의 하부 좌측에 구비되어 좌방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서 걸이봉(33)은 원형 봉 형상을 이룬다.
상기 토션스프링(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1)과 회전판(31)에 설치되어, 회전판(3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발지지한다. 본 발명에서 토션스프링(40)은 일측이 지지판(21)의 회전축부(21b)에 설치되고 타측이 회전판(31)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기구(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축(51)과, 인장스프링(52)를 갖춘다.
상기 이동축(51)은 이동축부(51a)와, 걸이부(51b)와, 지지부(51c)를 갖춘다.
상기 이동축부(51a)는, 지지판(21)의 스프링설치홀(21a1)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측이 지지판(21)의 좌방으로 돌출되어 회전판(31)의 이동축고정홀(31a)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발명에서 이동축부(51a)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걸이부(51b)는 이동부축(51a)의 우측에 우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걸이부(51b)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지지부(51c)는, 걸이부(51b)보다 좌방에 위치하게 이동축부(51a)에 구비되고 지지판(21)의 우측면에 맞닿는다. 본 발명에서 지지부(51c)는 원형 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인장스프링(52)은 지지판(21)의 스프링설치홀(21a1)에 설치되어 이동축(51)을 상방으로 당긴다.
상기 접촉센서(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부(21)의 접촉센서설치홈(21a2)에 설치되어 회전판(31)과 접촉하고, 회전판(31)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경고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접촉센서(60)는 온오프 스위치 일 수 있으며, 회전판(31)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으면 다양한 센서가 적용가능하다.
상기 경고등(7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10)에 설치되고, 접촉센서(60)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된다.
상기 화재감지센서(8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10)에 설치되고,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화재감지센서(80)는 화재발생신호를 무선 출력한다.
도 8 내 도 12는 본 발명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센서(80)는 이를 감지하여 화재발생신호를 도 8과 같이 무선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관리센터의 관리자는 화재 발생에 대해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을 하던 중 긴급하게 단전을 시켜야 할 경우, 작업자(지상 작업자 또는 공중 작업자)는 후크봉(미도시)에 구비된 후크를 이동축(51)의 걸이부(51b)에 걸어 하방으로 당긴다.
그러면, 도 9와 같이 이동축(51)의 이동축부(51a)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회전판(31)은 토션스프링(40)의 탄발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이동축부(51a)가 회전판(31)의 이동축통과홀(31b)을 통과하면서 도 10과 같이 회전판(31)과 이동축부(51a)가 분리되고, 접촉센서(60)와 회전판(31)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도 10과 같이 경고등(70)이 점등된다.
이와 같이 회전판(31)이 회전하면, 제2통전부재(32)와 제1통전부재(22)의 접속이 해제되면서, 제1점퍼선(J1)과 제2점퍼선(J2)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고, 이러한 단전상태가 경고등(70)에 표시되게 된다.
한편, 제1점퍼선(J1)과 제2점퍼선(J2)을 다시 전기적으로 연결하려 할 시, 작업자는 후크봉의 후크를 걸이봉(33)에 건 후 도 11과 같이 회전판(3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걸이봉(33)을 당긴다.
이때, 이동축(51)의 이동축부(51a)는, 도 11과 같이 회전판(31)의 이동축통과홀(31b)의 입구쪽(우측)으로 삽입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회전판(31)이 계속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12와 같이 이동축부(51a)가 이동축부통과홀(31b)를 통과한다.
여기서, 회전판(31이 계속 회전하면, 제1통전부재(22)의 제1접촉부(22a2)와 제2통전부재(32)의 제2접촉부(32a2)가 맞물린다. 이때 제1접촉부(22a)의 후측이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고, 제2접촉부(32a)의 전측이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어, 제1접촉부(22a2)와 제2접촉부(32a2)가 부드럽게 맞닿으면서 맞물리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1통전부재(22) 및 제2통전부재(32)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서로 견고히 밀착 접속되고, 제1통전부재(22)의 제1접촉부(22a2)의 좌측이 돌출되고 제2통전부재(32)의 제2접촉부(32a2)의 우측이 홈 형상을 이루어 제1접촉부(22a2)와 제2접촉부(32a2)의 결속이 견고히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이를 신속하게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작업 중 위급 상황 발생으로 가공배전선을 흐르는 전기를 긴급하게 차단해야 할 경우, 별도의 후크봉을 이용하여, 지지부재(20)와 회전부재(30)의 결속을 쉽게 해제시키면서, 제1통전부재(22) 및 제2통전부재(32)의 전기적 연결이 안전하게 해제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은 경고등(70)을 통해 제1통전부재(22) 및 제2통전부재(32)의 단전상태를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전된 제1통전부재(22) 및 제2통전부재(32)를 다시 접속해야할 경우, 별도의 후크봉을 이용하여, 지지부재(20)와 회전부재(30)를 쉽게 결속시키면서 제1통전부재(22) 및 제2통전부재(32)의 전기적 연결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통전부재(22) 및 제2통전부재(32)가 접속될 시, 부드럽게 맞물리면서 견고하게 밀착접속되어, 제1통전부재(22) 및 제2통전부재(32)의 전기적 연결을 안전하고 정밀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의 일종인 제1,2점퍼선(J1,J2)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이에 더해 가공배전을 위한 다양한 구성을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발명의 명칭을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배전선 클램핑 장치'로 정의하고, 청구대상을 '가공배전선 클램핑 장치'로 정의한다.
10: 고정대 20: 지지부재
21: 지지판 22: 제1통전부재
30: 회전부재 31: 회전판
32: 제2통전부재 33: 걸이봉
40: 토션스프링 50: 고정기구
51: 이동축 52: 인장스프링
60: 접촉센서 70: 경고등
80: 화재감지센서 F: 완철
J1: 제1점퍼선 J2: 제2점퍼선

Claims (1)

  1. 완철(F)에 설치되는 고정대(10)와;
    좌우 방향으로 개구된 스프링설치홀(21a1), 좌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스프링설치홀(21a1)보다 상방에 구비되는 접촉센서설치홈(21a2)을 구비하여, 고정대(10)에 설치되는 지지판부(21a)와, 지지판부(21a)의 좌측에 구비되고 스프링설치홀(21a1)과 접촉센서설치홈(21a2)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축부(21b)를 갖춘 지지판(21); 지지판부(21a)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제1연결부(22a1), 전측 및 후측 및 좌측이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어 제1연결부(22a1)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1접촉부(22a2)를 갖춘 제1접촉체(22a)와, 제1접촉부(22a2)의 우측에 구비되어 제1점퍼선(J1)이 연결되는 제1점퍼선고정체(22b)를 갖춘 통전재질의 제1통전부재(22);로 구성되는 지지부재(20)와;
    회전판(31)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우측이 스프링설치홀(21a1)의 하측과 연통되는 이동축고정홀(31a)과, 좌우 방향 및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후측이 이동축고정홀(31a)의 하측과 연통되며, 회전판(31) 회전시 이동축(51)의 이동축부(51a)가 통과하게 곡선 형상을 이루는 이동축통과홀(31b)을 구비하여, 회전축부(21b)에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회전판(31); 회전판(31)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제2연결부(32a1), 전측 및 후측이 라운지게 돌출 형성되고, 우측이 라운드진 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2연결부(32a1)의 하측에 구비되며, 우측이 제1접촉부(22a2)에 맞물리는 제2접촉부(32a2)를 갖추고서, 제1접촉체(22a)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접촉체(32a)와, 제2접촉부(32a2)의 좌측에 구비되어 제1점퍼선(J1)에 대향되는 제2점퍼선(J2)이 연결되는 제2점퍼선고정체(32b)를 갖춘 통전재질의 제2통전부재(32)와, 회전판(31)의 하부 좌측에 구비되어 좌방으로 돌출되는 걸이봉(33);으로 구성되는 회전부재(30)와;
    지지판(21)과 회전판(31)에 설치되어, 회전판(3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40)과;
    지지판(21)의 스프링설치홀(21a1)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측이 지지판(21)의 좌방으로 돌출되어 회전판(31)의 이동축고정홀(31a)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축부(51a), 이동부축(51a)의 우측에 우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걸이부(51b)와, 걸이부(51b)보다 좌방에 위치하게 이동축부(51a)에 구비되고 지지판(21)의 우측면에 맞닿는 지지부(51c)를 갖춘 이동축(51); 지지판(21)의 스프링설치홀(21a1)에 설치되어 이동축(51)을 상방으로 당기는 인장스프링(52);으로 구성된 고정기구(50)와;
    지지판부(21)의 접촉센서설치홈(21a2)에 설치되어 회전판(31)과 접촉하고, 회전판(31)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접촉센서(60)와;
    고정대(10)에 설치되고, 접촉센서(60)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되는 경고등(70)과;
    고정대(10)에 설치되고,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 클램핑 장치.
KR1020220011125A 2022-01-26 2022-01-26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배전선 클램핑 장치 KR102462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125A KR102462884B1 (ko) 2022-01-26 2022-01-26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배전선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125A KR102462884B1 (ko) 2022-01-26 2022-01-26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배전선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884B1 true KR102462884B1 (ko) 2022-11-04

Family

ID=8410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125A KR102462884B1 (ko) 2022-01-26 2022-01-26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배전선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8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063B1 (ko) * 2007-09-21 2008-03-03 (주)화신파워텍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101000033B1 (ko) * 2010-08-17 2010-12-10 (주)삼덕기술단 매설된 지중 배전선 보호 절연관
KR101787359B1 (ko) * 2017-08-22 2017-10-18 주식회사 삼호기술단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
KR101920195B1 (ko) 2018-07-31 2018-11-20 삼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점퍼선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KR102233998B1 (ko) * 2020-08-11 2021-03-31 금양테크(주)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점퍼선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063B1 (ko) * 2007-09-21 2008-03-03 (주)화신파워텍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101000033B1 (ko) * 2010-08-17 2010-12-10 (주)삼덕기술단 매설된 지중 배전선 보호 절연관
KR101787359B1 (ko) * 2017-08-22 2017-10-18 주식회사 삼호기술단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
KR101920195B1 (ko) 2018-07-31 2018-11-20 삼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점퍼선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KR102233998B1 (ko) * 2020-08-11 2021-03-31 금양테크(주)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점퍼선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417B1 (ko)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KR102434501B1 (ko)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KR101627142B1 (ko) 지중배전선로 전선 연결대의 안전장치
CN107610987B (zh) 一种小型断路器
KR102024670B1 (ko) 안정적 배전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1787359B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
US9915680B2 (en) Laminate structure and clamping mechanism for faulted circuit indicator
KR102462884B1 (ko)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배전선 클램핑 장치
KR102463149B1 (ko) 가공배전선 충돌 방지형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JP2006226704A (ja) 据え置き端子台および無停電計器取替工事方法ならびに送停解工事方法
CN107791846B (zh) 张紧装置及具有该张紧装置的供电系统
KR102462883B1 (ko) 가공배전선로용 애자활용 고정기기
KR102463151B1 (ko)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구비한 가공배전선 연결장치
KR102459033B1 (ko)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 클램프 장치
KR101000033B1 (ko) 매설된 지중 배전선 보호 절연관
KR101912699B1 (ko) 직류 기중차단기
KR102153677B1 (ko) 가공배전라인용 안전성 향상 분기슬리브
KR101150434B1 (ko) 배전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2473728B1 (ko) 안전상태 모니터링 가능 가공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0872144B1 (ko) 분배전반 보호용 전신주의 배전함
KR102459034B1 (ko)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지지를 위한 애자장착 고정기구
JP3118462U (ja) 活線試験用舌付圧着端子
KR102451634B1 (ko) 클램프 활용 가공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2519172B1 (ko) 화재발생경보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
US2267209A (en) Cable pay-out and take-u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