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558B1 -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558B1
KR101912558B1 KR1020180026018A KR20180026018A KR101912558B1 KR 101912558 B1 KR101912558 B1 KR 101912558B1 KR 1020180026018 A KR1020180026018 A KR 1020180026018A KR 20180026018 A KR20180026018 A KR 20180026018A KR 101912558 B1 KR101912558 B1 KR 101912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 wire
tool
live
stick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득
김영성
문일주
이우상
이영익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26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21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2Clamps with slid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4Clamps with pivoted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068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with at least one jaw sliding along a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9/00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 B25G1/12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7/00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 B26B17/02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with jaws operated indirectly by the handles, e.g. through cams or toggle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은, 절단기가 선단에 체결된 로터스틱을 구비하는 절단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활선을 절단하는 단계, 및 피박기와 회전공구가 선단에 체결된 로터스틱을 구비하는 피박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활선을 피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활선을 절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절단 활선공구의 로터스틱을 파지하고, 상기 활선을 피박하는 단계에서 작업자는 상기 피박 활선공구의 로터스틱을 파지한다.

Description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INDIRECT DISPOSING METHOD OF LIVE-LINE USING LIVE-LINE TOOL}
본 발명은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활선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서 간접적으로 활선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직접적 활선 작업에 따르면, 작업차에 탑승한 작업자가 절연고무장갑 및 고무소매 등을 착용하고, 전력설비 충전부에 방호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고압의 배전선로에 직접 접촉하여 활선에 대해 절단작업, 피박작업 및 압축작업과 같은 작업등을 수행한다.
직접적 활선 작업에 따르면, 작업자들이 절연고무장갑 및 고무소매의 탄성과 두께 때문에 불편하다는 이유로 개인안전장구를 착용하지 않는 사례가 있다. 또한, 일부 공사현장에서는 전력설비 충전부에 대한 방호장치의 설치 없이 작업자가 활선 작업을 수행하고 있어,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으며, 실제로 개인안전장구 미착용 및 방호장치 생략에 따른 안전사고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작업의 비용 절감 및 효율성 보다는 작업자의 안전을 최우선 하기 위하여 직접적 활선 작업을 대체하는 방안이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활선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서 간접적으로 활선을 처리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간접 활선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은, 절단기가 선단에 체결된 로터스틱을 구비하는 절단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활선을 절단하는 단계, 및 피박기와 회전공구가 선단에 체결된 로터스틱을 구비하는 피박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활선을 피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활선을 절단하는 단계에서 작업자는 상기 절단 활선공구의 로터스틱을 파지하고, 상기 활선을 피박하는 단계에서 작업자는 상기 피박 활선공구의 상기 로터스틱을 파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작업자는 상기 절단 활선공구 및 상기 피박 활선공구의 각각의 상기 로터스틱의 둘레에 제공된 안전 주의 커버의 아래 부분을 파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단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활선을 절단하기 이전에 상기 피박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활선을 피박하고, 상기 피박 활선공구의 상기 피박기 및 상기 회전공구가 활선의 중간부분에 체결되어 상기 활선의 상기 중간부분이 피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단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활선을 절단한 이후에 상기 피박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활선을 피박하고, 상기 피박 활선공구의 상기 피박기 및 상기 회전공구가 상기 절단된 활선의 끝부분에 체결되어 상기 활선의 상기 끝부분이 피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선에 대한 절단작업, 피박작업, 슬리브를 이용한 압축 작업, 슬리브 커버 작업 및 입상케이블 클램핑 작업과 같은 활선에 대한 처리 공정들이 간접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간접 활선공구들의 각각은 로터스틱, 핫스틱, 그랩스틱 및 핸드스틱과 같은 절연스틱 및 상기 절연스틱의 선단에 체결되어 각 단위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각종 공구들로 구성되어, 작업자는 활선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활선에 대해 간접적인 방법으로 단위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 정한 충전부 접근한계거리인 22.9kV 기준 90cm을 준수하여 간접적으로 활선을 처리할 수 있고, 그 결과 작업자가 활선을 손으로 만지거나, 방호장치 및 개인안전장구를 생략하여 작업자에게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활선을 처리하여 활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공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j들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활선을 절단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활선공구들을 설명하는 사진도들이다.
도 3a 내지 도 3g들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전력선의 중간부분을 피박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활선공구들을 설명하는 사진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c들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피박된 활선의 중간 부분을 절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사진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e들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절단된 활선의 끝 부분을 피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사진도들이다.
도 6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피박된 활선의 끝 부분을 피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h들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절단 및 피박된 활선들을 압축하는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활선공구들을 나타내는 사진도들이다.
도 8a 내지 도 8c들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활선들을 압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진도들이다.
도 9a 내지 도 9g들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슬리브 커버를 설치하고, 설치된 슬리브 커버를 테이핑하는 작업을 설명하는 사진도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0f들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활선의 분기개소에 대해 슬리브 커버를 설치하고 테이핑하는 작업을 설명하는 사진도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활선의 점퍼선 개소에 대해 원통형 슬리브 커버를 설치하고 테이핑하는 작업을 나타내는 사진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활선에 바이패스 라인의 설치를 위한 입상케이블 클램프를 설치하는 공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h들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본 활선에 바이패스 라인의 역할을 하는 입상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활선공구들을 나타내는 사진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활선을 처리하여 활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공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활선 처리 공법의 각 단위 공정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활선공구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활선 공구는 절연스틱 및 절연스틱의 선단에 체결되어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선단공구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연스틱의 종류로는 로터스틱, 핫스틱, 그랩스틱 및 핸드스틱이 있을 수 있다. 작업자는 활선 공구에서 절연스틱을 파지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는 절연스틱의 둘레에 제공된 안전 주의 커버(도 2a의 15)의 아래 부분을 파지하여 작업자는 작업개소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작업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단공구의 종류로는 절단기, 피박기, 테이핑기, 클램프 회전기, 후크, D형 후크, 압축기 홀더 및 나이프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활선에 대해 단위 공정을 수행하여 활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박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활선을 피박한다(S100).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박 활선공구는 로터스틱, 로터스틱의 선단에 체결된 회전공구 및 회전공구에 체결된 피박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활선을 피박(S100) 한 이후에 절단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피박된 활선을 절단(S200)할 수 있다. 절단 활선공구는 로터스틱 및 로터스틱의 선단에 체결된 절단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활선을 피박(S100)하는 단계 및 활선을 절단(S200)하는 단계의 시계열적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활선을 절단(S200) 한 이후에 활선을 피박(S100)할 수도 있다.
활선을 피박(S100)한 이후에,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피박된 활선을 슬리브로 덮는다(S300). 이 실시예에서는, 피박된 활선을 슬리브로 덮을 때, 그랩스틱 또는 핸드스틱과 같이 자재를 움켜쥐는 활선공구가 사용될 수 있다.
피박된 활선을 슬리브로 덮은(S300) 이후에, 압축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슬리브를 피박된 활선에 압축(S400)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압축 활선공구는 핫스틱, 핫스틱 선단에 체결된 압축기 홀더 및 압축기 홀더에 장착되어 슬리브를 압축하는 유압 압축기로 구성될 수 있다.
슬리브를 피박된 활선에 압축(S400)한 이후에,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슬리브 커버를 압축된 슬리브에 덮는다(S500). 이 실시예에서는, 그랩스틱 또는 핸드스틱과 같은 슬리브 커버를 움켜쥘 수 있는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슬리브 커버를 슬리브 위에 위치시키며, D형 후크를 이용하여 슬리브 커버를 움켜쥔 상태에서, 핸드스틱을 이용하여 슬리브 커버의 체결부위를 눌러서 슬리브 커버의 체결을 완료할 수 있다.
슬리브 커버를 압축된 슬리브에 덮은(S500) 후에, 테이핑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슬리브 커버의 양쪽 끝부분을 절연테이프로 활선에 테이핑(S600)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테이핑 활선공구는 로터스틱, 로터스틱의 선단에 체결된 회전공구 및 회전공구에 체결된 테이핑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활선공구들 및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활선에 대한 처리공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j들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활선을 절단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활선공구들을 설명하는 사진도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절연고무장갑 및 고무소매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작업차(11)에 탑승하여 작업개소에 근접한다. 작업자는 스틱형의 활선공구들(10)을 이용하여 작업개소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서 활선에 대해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작업개소를 올려다보며 활선공구들(10) 각각의 절연스틱의 둘레에 제공된 안전 주의 커버(15)의 아래 부분을 파지한다. 이 경우에, 작업자는 작업 개소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으므로, 활선에 의하 작업자들의 안전 사고가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활선에 대해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활선공구들(10)은 그랩스틱(20) 및 절단 활선공구(25)일 수 있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보조 작업자는 그랩스틱(20)을 이용하여 활선(LW)의 일부를 파지한다. 그 이후에, 주 작업자는 절단하고자 하는 활선(LW)의 일부분에 절단 활선공구(25)의 칼날을 위치시킨다.
도 2d 및 도 2e의 각각에서는 도 2c에 도시된 절단 활선공구(25)가 도시된다. 도 2d 및 도 2e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절단 활선공구(25)는 로터스틱(27), 절단기(26) 및 라쳇핸들(28)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로터스틱(27)은 절연스틱이고, 절단 활선공구(25)에서 작업자는 로터스틱(27)을 파지한다. 로터스틱(27)의 선단은 각종 공구와 결합될 수 있는 홈이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로터스틱(27)의 선단은 절단기(26)와 결합된다.
라쳇핸들(28)은 로터스틱(27)의 손잡이에 인접한 체결홈에 체결된다. 작업자가 라쳇핸들(28)을 로터스틱(27)에 체결시킨 후에 로터스틱(27)을 회전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경우에, 상기 회전력은 로터스틱(27)의 내부에 구비된 동력 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절단기(26)에 전달되어 절단기(26)에 구비된 칼날이 동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라쳇 핸들(28) 대신에 모터를 구비하는 회전 동력기(미도시)가 로터스틱(27)에 체결될 수 있다. 그 결과, 회전 동력기를 구동하여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절단기(26)가 동작될 수 있다.
도 2f에서는 도 2c에 도시된 그랩스틱(20)이 도시된다. 도 2f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그랩스틱(20)은 절연스틱(22) 및 그립부(21)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립부(21)는 절연스틱(22)의 선단에 체결되어 전력선 및 슬리브와 같이 대체적으로 둥근 형태의 자재를 움켜쥐듯이 파지할 때 유용하다.
도 2g를 참조하면, 주 작업자는 앞서 도 2d 및 도 2e를 참조하여 설명한 절단 활선공구(25)의 로터스틱(도 2e의 27)에 결합된 라쳇핸들(도 2e의 28)을 회전시킨다. 그 결과, 절단 활선공구(25)의 절단기의 칼날이 동작하여 활선(LW)이 절단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절단 활선공구(25)에 의해 활선(LW)의 일부분을 절단하는 경우에, 절단 활선공구(25)는 절단된 활선(LW)의 한쪽 부분을 파지하고, 그랩스틱(20)은 절단된 활선(LW)의 다른 한쪽을 파지한다. 따라서, 활선(LW)의 절단된 부분이 아래로 처져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h 및 도 2i를 참조하면, 주 작업자는 핸드 스틱(25)을 이용하여 임시 절연캡(30)의 집게부분(31)을 눌러 임시 절연캡(30)의 입구를 벌린다. 이 실시예에서는, 입시 절연캡(30)은 절연재질로 형성되어 절단된 활선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32) 및 수용부(32)의 입구부분에 결합되어 수용부(32)의 입구를 여닫는 집게부분(31)을 포함한다.
임시 절연캡(30)의 입구가 벌려지면, 절단된 활선 양쪽 각각에 임시 절연캡(30)을 쒸운다. 따라서, 임시 절연캡(30)에 의해 활선(LW)에서 절단된 부분이 외부와 절연될 수 있고, 그 결과 활선의 절단된 부분이 작업자와 접촉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j에서는 도 2i에 도시된 핸드스틱(35)이 나타난다. 도 2j를 참조하면, 핸드 스틱(35)은 절연스틱(37) 및 절연스틱(37)의 선단에 체결된 그립부(36)로 구성될 수 있다. 핸드 스틱(35)은 전술한 그랩 스틱(도 2f의 2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핸드 스틱의(35) 그립부(36)는 임시 절연캡의 집게부(도 2i의 31) 및 테이프 끝단과 같은 자재를 집게로 정확히 집듯이 파지하는 데 용이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g들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전력선의 중간부분을 피박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활선공구들을 설명하는 사진도들이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활선공구들은 피박 활선공구 및 그랩스틱일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보조 작업자는 활선(LW)의 피박하고자 하는 부위를 앞서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된 그랩스틱(도 2b의 20)을 이용하여 파지한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주 작업자는 피박 활선공구(40)의 선단에 구비된 회전공구(41)의 입구를 열어 회전공구(41)를 활선(LW)에 건다. 그 이후에, 주 작업자는 앞서 도 2e를 참조하여 설명된 로터스틱(27)의 라쳇핸들(28)을 회전시켜 회전공구(41)의 입구를 닫는다.
도 3d에서는 피박 활선공구(40)가 나타난다. 이 실시예에서는 피박 활선공구(40)는 로터스틱(27), 로터스틱(27)의 선단에 체결된 회전 공구(41) 및 회전공구(41)와 결합된 피박기(42)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회전공구(41) 및 피박기(42) 사이에 어댑터(미도시)가 결합되어, 다양한 규격별로 설계된 피박기(42)가 어댑터를 통해 회전공구(4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e 및 도 3f를 참조하면, 피박기(42) 조절용 고리(43)에 후크(50)를 삽입하고, 후크(50)를 이용하여 조절용 고리(43)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 피박기(42)를 활선(LW)에 밀착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후크(50)는 절연스틱인 핫스틱(51) 및 핫스틱(51)의 선단에 결합된 후크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50)는 후크부(52)를 이용하여 피박기의 조절 용 고리(43)를 조작하는 데 사용되거나, 후크(50)는 작업자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활선(LW)의 위치를 조정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도 3g를 참조하면, 피박 활선공구(도 3d의 40)의 로터스틱(도 3d의 27)의 라쳇핸들을 회전하여 피박기(42)를 동작하면, 피박기(42)에 구비된 칼날에 의해 피박기(42)에 밀착된 활선(LW)이 피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박 활선공구를 이용한 활선의 피박작업이 종료되면, 도 3e에 나타낸 방법과 역순으로 후크(도 3e의 50)를 이용하여 조절용 고리(도 3e의 43)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피박기(42)를 활선(LW)으로부터 분리한다.
또한, 도 3b에 개시된 방법의 역순으로, 로터스틱(도 3c의 27)의 라쳇핸들(도 3c의 28)을 회전하여 회전공구(41)를 열게 되면, 피박 활선공구를 활선(LW)으로부터 철거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들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피박된 활선의 중간 부분을 절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사진도들이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활선공구들은 절단 활선공구(25) 및 그랩스틱(20)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 3a 내지 도 3g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대로 활선의 중간 부분에 대한 피박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절단 활선공구(25) 및 그랩스틱(20)을 이용하여 활선(LW)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후술될 도 4a 내지 도 4c들을 참조하여 피박된 활선의 중간 부분을 절단하는 방법은 앞서 도 2a 내지 도 2j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활선의 절단하는 방법과 유사할 수 있으므로, 도 4a 내지 도 4c들의 설명에 전술된 도 2a 내지 도 2j들의 내용이 참조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보조 작업자는 그랩스틱(20)을 이용하여 활선(LW)의 피박된 부분에 인접한 부분을 파지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그랩스틱(20)에 의해 파지된 부분은 활선의 피박되지 않은 일 부분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주 작업자는 절단하고자 하는 활선(LW)의 일 부분에 절단 활선공구(25)의 칼날을 인접하게 배치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절단 활선공구(25)의 칼날은 활선(LW)에서 피박 활선공구(도 3d의 40)에 의해 기 피박된 일 부분일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주 작업자는 절단 활선공구(25)의 로터스틱(도 2e의 27)의 라쳇핸들(도 2e의 28)을 회전하여 절단기(도 2d의 26)를 동작시킨다. 그 결과, 절단기에 의해 활선의 피박된 일 부분이 절단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절단 활선공구(25)를 이용하여 활선(LW)의 일부분을 절단하기 이전에, 그랩스틱(20)에 의해 활선(LW)의 피박되지 않은 부분이 파지된다. 따라서, 활선(LW)의 절단된 부분이 아래로 처져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들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절단된 활선의 끝 부분을 피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사진도들이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활선공구들은 그랩스틱(20), 피박 활선공구(40)기 및 핸드스틱(35)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 2a 내지 도 2g들을 참조하여 설명 된 대로 활선(LW)에 대해 절단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그랩스틱(20), 피박 활선공구(40) 및 핸드스틱(35)을 이용하여 절단된 활선(LW)의 끝 부분이, 잔존하는 피복 없이, 피박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될 도 5a 내지 도 5e들에서 설명되는 절단된 활선(LW)의 끝 부분을 피박하는 방법은 앞서 도 3a 내지 도 3g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활선의 피박하는 방법과 유사할 수 있으므로, 도 5a 내지 도 5e들의 설명에 앞서 전술된 도 3a 내지 도 3g들의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절단 활선공구(도 2c의 25)를 이용하여 활선(LW)의 일부분을 절단한다. 그 이후에, 그랩스틱(20)을 이용하여 피박하고자 하는 활선(LW)의 일 부분을 파지한다.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그랩스틱(20)에 인접한 활선(LW)의 일부분에 피박 활선공구(40)를 체결한다. 그 이후에, 앞서 도 3a 내지 도 3g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피박 활선공구(40)를 이용하여 활선(LW)의 일부분을 피박한다.
도 5d 및 도 5e를 참조하면, 피박 활선공구(40)에 의해 활선(LW)의 일부분(P1)이 피박되나, 활선(LW)의 끝부분(P2)은 피박되지 않아 활선(LW)의 끝 부분(P2)에 피복이 남겨질 수 있다.
이 경우에, 핸드 스틱을 이용하여 활선(LW)의 끝부분(P2)에 남겨진 피복(P4)을 잡아당겨 제거한다. 그 결과, 활선(LW)의 절단된 부분의 끝부분에 피복의 잔류하지 않게 되므로, 슬리브를 이용하여 활선(LW)과 다른 활선 간의 압축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활선(LW)의 끝부분에 대해 피박 작업을 완료한 이후에, 앞서 도 2h 및 도 2i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피박된 활선(LW)에 임시 절연캡(30)을 씌어 활선(LW)의 끝부분이 작업자에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도 6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피박된 활선의 끝 부분을 피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진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 2a 내지 도 2g들을 참조하여 설명 된 대로 활선(LW)에 대해 절단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그랩스틱(20), 피박 활선공구(도 3d의 40) 및 절단기(25)를 이용하여 활선(LW)의 끝 부분이, 잔존하는 피복 없이, 피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도 5a 내지 도 5d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그랩스틱(20) 및 절단 활선공구(25)를 이용하여 활선(LW)의 일부분을 절단한 후에, 피박 활선공구(도 3d의 40)를 이용하여 절단된 활선(LW)의 한쪽 부분을 피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활선(LW)의 끝부분은 피박되지 않아 활선(LW)의 끝 부분에 피복이 남겨질 수 있고, 슬리브를 이용하여 활선(LW)을 다른 활선과 압축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복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피박되지 않은 활선(LW)의 끝부분(P5)과 이를 감싸는 피복과 함께 절단 활선공구(25)를 이용하여 절단한다. 그 결과, 활선(LW)의 길이가 감소되더라도, 활선(LW)의 절단된 부분의 끝에도 피복이 모두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를 이용하여 활선(LW)과 다른 활선 간의 압축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활선(LW)의 끝부분에 대해 피박 작업을 완료한 이후에, 앞서 도 2h 및 도 2i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피박된 활선(LW)에 임시 절연캡(30)을 씌어 활선(LW)의 끝부분이 작업자에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h들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절단 및 피박된 활선들을 압축하는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활선공구들을 나타내는 사진도들이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활선공구들은 그랩스틱, 압축 활선공구 및 핸드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우선 압축 활선공구(50)를 준비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압축 활선공구(50)는 핫스틱(51), 압축기 홀더(52) 및 유압 압축기(53)를 포함할 수 있다. 핫스틱(51)은 절연 스틱이며, 압축기 홀더(52)는 핫스틱(51)의 선단에 체결된다. 또한, 유압 압축기(53)는 압축기 홀더(52)에 결합되며 유압 압축기(53)는 유압 연결관(54)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이용하여 활선을 압축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버킷의 가장 자리에 거치대(미도시)를 고정시키고, 거치대에 연결된 보조스틱(미도시)을 압축 활선공구(50)에 연결하여 압축 활선공구(50)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주 작업자는 그랩스틱(20)을 사용하여 압축하고자 하는 활선(LW)의 일 부분을 파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랩스틱(20)에 의해 활선(LW)의 피복된 부분이 파지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보조 작업자는 핸드스틱(35)을 사용하여 슬리브(60)를 파지하고, 슬리브(60)를 활선(LW)의 피박된 부분에 삽입한다.
도 7e 및 도 7f를 참조하면, 슬리브(60)의 내부에 활선(LW)의 피박된 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주 작업자는 유압 압축기(53)가 설치된 핫스틱을 윗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유압 압축기(53)를 슬리브(60)에 인접하게 위치시킨다.
그 이후에, 주 작업자는 유압 압축기(53)를 구동하여 슬리브(60)의 한쪽 끝부분을 수회 압축한다. 그 결과, 활선(LW) 및 슬리브(60) 간의 결속력에 의해 활선(LW)의 한쪽 끝부분에 슬리브(60)가 고정될 수 있다.
도 7g를 참조하면, 주 작업자가 그랩스틱(20)을 이용하여 슬리브(60)의 한쪽 끝부분과 체결된 활선(LW)을 파지한 상태에서 보조 작업자는 핸드스틱(35)을 이용하여 슬리브(60)의 다른쪽 끝부분에 피박된 다른 활선(LW-1)을 삽입한다.
도 7h를 참조하면, 앞서 도 7e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과 유사하게, 보조 작업자가 핸드스틱(35)을 이용하여 슬리브(60)의 내부에 다른 활선(LW-1)의 피박된 부분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주 작업자는 유압 압축기(53)를 구동하여 슬리브(60)의 다른 쪽 끝부분을 수회 압축한다. 그 결과, 두 개의 활선들(LW, LW-1)의 피박된 부분이 슬리브에 결속되어 슬리브에 의해 두 개의 활선들(LW, LW-1)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들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활선들을 압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진도들이다.
한편, 후술될 도 8a 내지 도 8c들에 도시된 실시예는 분기 슬리브를 이용하여 피박된 활선들을 압축한다는 점에서 전술된 도 7a 내지 도 7h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와 구분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주 작업자는 압축 활선공구의 유압 압축기(53)를 이용하여 분기 슬리브(61)를 파지한다. 그 이후에, 유압 압축기(53)가 설치된 핫스틱(51)을 윗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유압 압축기(53)를 압축개소에 인접하게 위치시킨다.
그 이후에, 보조 작업자는 그랩 스틱(20)을 이용하여 분기 활선(LW-2)을 파지하고, 파지된 분기 활선(LW-2)을 분기 슬리브(61)에 삽입한다. 그 이후에 유압 압축기(53)를 이용하여 분기 슬리브(61)에 삽입된 활선들(LW, LW-2)을 압축한다.
도 9a 내지 도 9g들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슬리브 커버를 설치하고, 설치된 슬리브 커버를 테이핑하는 작업을 설명하는 사진도들이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활선공구들은 D형 후크 및 테이핑 활선공구일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앞서 도 7a 내지 도 7h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슬리브를 이용하여 피박된 두 활선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이후에, 주 작업자는 핸드스틱(35)을 이용하여 슬리브 커버(70)를 파지한 후에 슬리브 커버(70)를 슬리브 위에 위치시킨다.
도 9b를 참조하면, 보조 작업자는 D형 후크(80)를 이용하여 슬리브 커버(70)를 슬리브(미도시)에 감싸듯이 밀착시킨다. 그 이후에, 주 작업자는 핸드스틱(35)을 사용하여 슬리브 커버(70)의 하부쪽에 구비된 체결부위를 눌러 슬리브 커버(70)의 하부를 닫는다.
이 실시예에서는, 슬리브 커버(70)의 하부에 구비된 체결부위는 똑딱이 단추들(미도시)일 수 있다. 따라서, 똑딱이 단추들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슬리브 커버(70)의 하부는 개구되고, 똑딱이 단추들이 체결된 상태에서는 슬리브 커버(70)의 하부는 닫힐 수 있다.
도 9c에는 D형 후크(80)가 나타난다. 도 9c를 참조하면, D형 후크(80)는 핫스틱(81) 및 핫스틱(81)의 선단에 체결된 D형 후크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와 같이, D형 후크(80)는 슬리브 커버(도 9b의 70)의 몸체를 둘러싸듯이 파지할 수 있어, 슬리브 커버를 닫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9d 및 도 9e를 참조하면, 주 작업자는 테이핑 활선공구(90)를 이용하여 슬리브 커버(70)의 양 끝쪽 부분을 활선(LW)에 테이핑하는 작업을 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테이핑 활선공구(90)는 로터스틱(92), 회전공구(41), 절연테이프(95) 및 테이핑기(91)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 공구(41)는 로터스틱(27)의 선단에 체결되고, 테이핑기(91)는 회전공구(41)에 고정되며, 절연 테이프(95)는 테이핑기(91)에 구비된다. 따라서, 로터스틱(27)의 라쳇핸들(도 2e의 28)을 회전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경우에,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공구(41)가 회전하며, 이에 따라 회전공구(41)에 결합된 테이핑기(91)가 회전하면서 테이핑기(91)에 구비된 절연테이프(95)가 대상물을 중심에 두고 대상물 주변을 원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되어 대상물에 절연 테이프(95)가 감길 수 있다.
전술한 테이핑 활선공구(90)가 슬리브 커버(70)의 일 측에 인접하도록 테이핑 활선공구(90)를 활선(LW)에 체결시킨 후에, 테이핑 활선공구(90)의 로터스틱(27)의 라쳇핸들을 회전한다. 그 결과, 로터스틱(27)에 체결된 회전공구(41)에 회전력이 전달되며, 회전공구(41)에 체결된 테이핑기(91)가 회전하여 슬리브 커버(70)의 한쪽 끝부분이 활선(LW)에 절연 테이프(95)로 테이핑된다.
도 9f를 참조하면, 상술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테이핑 활선공구(90)를 이용하여 슬리브 커버(70)의 다른쪽 끝부분이 절연 테이프(95)로 활선(LW)에 테이핑될 수 있다.
도 9g를 참조하면, 슬리브 커버(70)에 대한 테이핑 작업이 종료되면, 보조 작업자는 핸드스틱(35)을 이용하여 테이핑 활선공구(90)로부터 활선(LW)측으로 연결된 절연테이프를 잘라내고, 그 이후에 테이핑 활선공구(90)를 활선(LW)으로부터 철거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핸드스틱(35) 대신에 선단에 칼날부와 체결된 핫스틱을 구비하는 나이프를 사용하여 절연테이프를 잘라낼 수도 있다.
도 10a 내지 도 10f들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활선의 분기개소에 대해 슬리브 커버를 설치하고 테이핑하는 작업을 설명하는 사진도들이다.
한편, 도 10a 내지 도 10f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행되는 슬리브 커버 작업 및 테이핑 작업 각각의 단위 공정은 앞서 도 9a 내지 도 9g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과 유사할 수 있으므로, 도 10a 내지 도 10f의 설명에 전술된 도 9a 내지 도 9g들의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U자형의 바인드선(100)을 준비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바인드선(100)은 피복전선을 약 30cm정도로 절단한 이후에 U자형으로 구부려 만들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보조 작업자는 핸드스틱(35)을 이용하여 바인드선(100)의 끝부분을 파지하여 바인드선(100)을 분기개소의 본 활선(LW1)과 분기활선(LW2) 위에 걸쳐 놓는다. 그 이후에 주 작업자는 바인드선(100)의 겹쳐진 부분 안으로 후크(50)를 삽입한다.
도 10c를 참조하면, 주 작업자는 후크(50)를 돌려 바인드선(100)을 조인다. 그 결과, 바인드선(100)에 의해 본 활선(LW1)과 분기 활선(LW2)이 서로 밀착되어 고정된다.
도 10d 및 도 10e를 참조하면, 앞서 도 9a 및 도 9g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슬리브(미도시) 위에 슬리브 커버(70)를 설치하고, 테이핑 활선공구(90)에 설치된 슬리브 커버(70)에 대해 테이핑 작업을 완료한다.
도 10f를 참조하면, 주 작업자는 후크(50)를 조여진 바인드선(100)에 걸고, 그 이후에 후크(50)를 이용하여 바인드선이 풀어지는 방향으로 돌려서 바인드선(100)을 제거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활선의 점퍼선 개소에 대해 원통형 슬리브 커버를 설치하고 테이핑하는 작업을 나타내는 사진도들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주 작업자는 핸드스틱(35)을 이용하여 기 활선에 끼워진 원통형 슬리브 커버(71)를 파지한 후에, 원통형 슬리브 커버(71)를 압축개소에 근접하게 위치시킨다.
한편, 앞서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된 슬리브 커버(도 9b의 70)는 그 하부에 똑딱이 단추들과 같은 체결부위들을 구비하여 체결부위들의 체결여부에 따라 슬리브 커버의 하부가 열리거나 닫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반해, 도 11a에 도시된 원통형 슬리브 커버(71)는 압축개소를 커버하는 몸체 및 몸체의 양쪽 끝부분의 각각에 활선이 인출되는 인출부를 포함하며, 테이핑 작업이 용이하도록 인출부의 끝단은 여러 갈래로 갈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전술된 바와 유사하게, 테이핑 활선공구(90)를 이용하여 원통형 슬리브 커버(71)의 양쪽 끝부분을 활선에 테이핑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활선에 바이패스 라인의 설치를 위한 입상케이블 클램프를 설치하는 공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활선에 바이패스 라인을 설치하기 위하여 입상케이블을 구비하는 입상케이블 클램프를 활선에 연결하는 공정에 있어서, 전술된 활선공구들과 이를 이용하는 활선에 대한 단위 처리 공정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상케이블 클램프를 활선에 연결하기 이전에, 앞서 도 3a 내지 도 3g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피박 활선공구(도 3b의 40)를 이용하여 활선의 중간부분, 즉 활선에서 입상케이블 클램프와 연결되는 부분을 피박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활선에 입상케이블 클램프가 설치되어 바이패스 라인이 구현되면, 본 활선에 대해 앞서 도 2a 내지 도 2g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절단 활선공구(도 2c의 25)를 이용한 절단공정을 적용하여 본 활선에 대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활선에 입상케이블을 설치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임시걸이를 전력선에 체결한다(S10). 그 이후에 클램프 회전 활선공구를 입상케이블이 설치된 입상케이블 클램프와 결합하고(S20), 입상 케이블 클램프와 결합된 클램프 회전 활선공구를 임시걸이에 임시적으로 거치한다(S30). 따라서, 입상케이블 클램프를 활선의 피박된 부분과 결합시키기 이전에, 입상케이블 클램프를 활선의 작업개소에 인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그 이후에, 클램프 회전 활선공구를 임시걸이로부터 분리하여 입상케이블 클램프를 피박된 활선에 건다(S40). 그 이후에, 클램프 회전 활선공구의 로터스틱을 조작하여 입상케이블 클램프를 피박된 활선에 체결한다(S50).
상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 회전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입상케이블 클램프를 피박된 활선에 체결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작업개소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입상케이블 설치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a 내지 도 13h들은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본 활선에 바이패스 라인의 역할을 하는 입상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활선공구들을 나타내는 사진도들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핸드스틱(35)을 이용하여 임시 걸이(100)의 전선 장악용 집게(101)를 벌리고, 벌려진 집게(101)를 작업개소에 근접한 전력선에 물려 전력선에 임시 걸이(100)를 거치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력선에서 임시 걸이(100)가 물리는 부분이 피박될 필요가 없다.
도 13b를 참조하면, 클램프 회전 활선공구(110)의 클램프 회전기(111)에 입상케이블 클램프(120)를 임시적으로 결합하여, 임시 걸이(100)에 임시적으로 거치될 클램프 회전 활선공구(110) 및 입상케이블 클램프(120) 간의 조립체를 준비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클램프 회전기(111)의 케이블 투입구에 입상케이블 클램프(120)를 삽입하여 클램프 회전기(111)가 입상케이블 클램프(120)에 임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3c에서는 도 13b에 도시된 클램프 회전 활선공구(110)가 나타난다. 이 실시예에서는 클램프 회전 활선공구(110)는 로터스틱(27) 및 로터스틱(27)의 선단에 체결된 클램프 회전기(111)를 포함한다. 따라서, 로터스틱(27)의 라쳇핸들(28)을 회전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키면, 클램프 회전기(111)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프 회전기(111)와 로터스틱(27)이 서로 수평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로터스틱(27)의 라쳇핸들(미도시)을 회전하면, 클램프 회전기(111)는 대략적으로 로터스틱(27)과 나란한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도 13d를를 참조하면, 보조 작업자는 기 전력선에 거치된 임시걸이(100)의 하부에 설치된 입상케이블 장악용 집게(102)를 핸드스틱(35)을 이용하여 벌린다. 그 이후에, 주 작업자는 입상케이블 클램프(120)를 임시걸이(100)의 입상케이블 장악용 집게(102) 사이에 거치한다
도 13e를 참조하면, 보조 작업자는 클램프 회전기(111)에 제공된 조절용 고리(113)에 후크를 삽입하고, 후크를 이용하여 조절용 고리(113)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 클램프 회전기(111)를 입상케이블 클램프(120)에 보다 견고히 결합시킨다.
도 13f를 참조하면, 보조 작업자는 핸드스틱을 이용하여 임시걸이(100)의 입상케이블 장악용 집게를 벌리고, 주 작업자는 입상케이블 클램프(120)를 임시걸이(100)로부터 분리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 3a 내지 도 3j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활선의 중간 부분을 피박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활선이 피박될 수 있다.
활선(LW)의 중간 부분이 피박된 상태에서, 주 작업자는 입상케이블 클램프(120)를 활선(LW)의 피박된 부분 위에 건다. 이 때, 작업자는 결합개소 밑에서 위를 바라보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트럭의 버킷을 결합개소 아래로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3h를 참조하면, 주 작업자는 도 13c에 도시된 클램프 회전 활선공구의 로터스틱(도 13c의 27)의 라쳇핸들을 회전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상기 회전력에 의해 입상케이블 클램프(120)가 회전하여, 입상케이블 클램프(120)가 피박된 활선(LW) 부분을 죄어 입상 케이블 클램프(120)가 활선(LW)의 피박된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3i 및 도 13j를 참조하면, 보조 작업자는 클램프 회전기(111)의 조절용 고리(113)에 후크(40)를 삽입한 후에, 조절용 고리(113)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클램프 회전기(111)를 입상케이블 클램프(120)로부터 분리시켜 활선 및 입상케이블 클램프(120) 간의 연결작업을 완료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3a 내지 도 13j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다른 입상케이블 클램프를 활선의 다른 부위에 연결할 수 있고, 이 경우에 활선에서 입상케이블 클램프들이 연결된 구간에 바이패스 라인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3k를 참조하면, 활선(LW)에 연결된 클램프 회전기(111)를 이용한 소정의 공정이 완료된 이후에, 도 13g 및 도 13h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의 역순으로, 클램프 회전 활선공구의 로터스틱(도 13c의 27)의 라쳇핸들을 회전하여 입상케이블 클램프(120)를 활선(LW)으로부터 분리한다.
도 13l을 참조하면, 도 13e를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과 유사하게, 기 전력선에 거치된 임시 걸이(100)에 입상케이블 클램프(120)를 거치한다. 이 경우에, 다른 작업개소로 입상케이블 클램프(120)를 위치시키기가 용이해지거나, 입상케이블 클램프(120)의 철거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보조 작업자가 핸드스틱을 이용하여 임시걸이(100)의 케이블 장악용 집게를 벌린 상태에서, 주 작업자가 벌려진 케이블 장악용 집게에 입상케이블 클램프를 결속하여 입상케이블 클램프(120)를 임시 걸이(100)에 임시적으로 거치한다.
도 13m 및 도 13n을 참조하면, 보조 작업자는 핸드스틱을 이용하여 임시걸이(100)의 케이블 장악용 집게를 벌리고, 주 작업자는 입상케이블 클램프(120)를 임시걸이(100)로부터 분리한다. 그 이후에, 주 작업자는 임시걸이(100)로부터 분리된 입상케이블 클램프(120)를 중성선(130)에 접촉시킨다. 그 결과, 입상케이블 클램프(120)에 잔존한 잔류 전하가 방전될 수 있다.
그 이후에, 보조 작업자는 핸드스틱을 이용하여 임시 걸이(100)의 전선 장악용 집게를 벌려, 전력선으로부터 임시걸이(100)를 철거하여 작업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25: 절단 활선공구 20: 그랩 스틱
26: 절단기 30: 임시 절연캡
27: 로터스틱 28: 라쳇핸들
40: 피박 활선공구 41: 회전공구
42: 피박기 35: 핸드스틱
50: 후크 60: 슬리브
51: 핫스틱 70: 슬리브 커버
71: 원통형 슬리브 커버 80: D형 후크
90: 테이핑 활선공구 91: 테이핑기
110: 클램프 회전 활선공구 111: 클램프 회전기
120: 입상케이블 클램프 30: 임시 절연캡
LW: 활선

Claims (16)

  1.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에 있어서,
    절단기가 선단에 체결된 로터스틱을 구비하는 절단 활선공구에 의해 활선이 절단되는 단계; 및
    피박기 및 회전공구가 선단에 체결된 로터스틱을 구비하는 피박 활선공구에 의해 활선이 피박되는 단계;
    각각이 끝부분이 피박된 두 개의 활선들이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되는 단계; 및
    압축 활선공구에 의해 상기 피박된 두 개의 활선들과 상기 슬리브가 압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 활선공구는 압축기 홀더와 유압 압축기가 선단에 체결된 핫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활선공구 및 상기 피박 활선공구의 각각의 로터스틱의 둘레에 제공된 안전 주의 커버의 아래 부분에 손잡이가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활선공구의 로터스틱에 구비된 라쳇핸들이 회전되어 상기 절단기에 의해 활선이 절단되고, 상기 피박 활선공구의 로터스틱에 구비된 라쳇핸들이 회전되어 상기 피박기에 의해 활선이 피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활선공구에 의해 활선이 절단되기 이전에 상기 피박 활선공구에 의해 활선이 피박되고,
    상기 피박 활선공구의 상기 피박기 및 상기 회전공구가 활선의 중간부분에 체결되어 상기 활선의 상기 중간부분이 피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활선공구에 의해 활선이 절단된 이후에 상기 피박 활선공구에 의해 활선이 피박되고,
    상기 피박 활선공구의 상기 피박기 및 상기 회전공구가 상기 절단된 활선의 끝부분에 체결되어 상기 활선의 상기 끝부분이 피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박된 활선의 끝부분에 남겨진 피복이 핸드 스틱에 의해 잡아당겨져 제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스틱은 선단에 그립부가 체결된 절연스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박된 활선의 끝부분에 남겨진 피복이 활선과 함께 상기 절단 활선공구에 의해 절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활선공구에 의해 활선이 절단되기 이전에, 그립부가 선단에 체결된 절연스틱을 구비하는 그랩스틱에 의해 활선이 고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활선공구에 의해 상기 활선이 절단된 이후에, 핸드 스틱에 의해 임시 절연캡의 수용부와 연결된 집게부분이 눌려져 상기 임시 절연캡의 입구가 벌어지는 단계; 및
    상기 절단된 활선의 끝부분이 상기 임시 절연캡의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박 활선공구에 의해 상기 활선이 피박될 때, 후크부가 선단에 체결된 절연스틱을 구비하는 후크에 의해 상기 피박 활선공구의 상기 피박기의 고리가 돌려져 상기 피박기가 활선에 밀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 방법.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활선들 및 상기 슬리브가 압축된 이후에, 핸드스틱에 의해 하부가 개방된 슬리브 커버가 그립되고, 상기 슬리브 커버가 상기 압축된 슬리브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단계;
    D형 후크가 선단에 체결된 핫스틱을 구비하는 D형 후크에 의해 상기 슬리브 커버가 감싸지는 단계; 및
    핸드스틱에 의해 상기 슬리브 커버의 체결 부위가 눌려져 상기 슬리브 커버의 하부가 닫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테이핑기가 선단에 체결된 로터스틱을 구비하는 테이핑 활선공구에 의해 상기 슬리브와 체결된 상기 슬리브 커버의 양 끝부분이 활선에 테이핑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이핑 활선공구의 로터스틱에 구비된 라쳇핸들이 회전되어 상기 테이핑기에 제공된 절연테이프에 의해 상기 슬리브 커버의 양 끝부분이 활선에 테이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클램프 회전기가 선단에 체결된 로터스틱을 구비하는 클램프 회전 활선공구가 입상케이블 클램프에 결합되는 단계;
    상기 클램프 회전 활선공구가 이동되어 상기 입상케이블 클램프가 활선의 피박된 부분에 위치하는 단계; 및
    상기 클램프 회전 활선공구의 로터스틱에 구비된 라쳇핸들이 회전되어 상기 입상케이블 클램프가 상기 활선의 피박된 부분에 고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핸드 스틱에 의해 임시걸이의 전선 장악용 집게가 벌어지고, 상기 벌어진 집게가 전력선에 물려 상기 임시걸이가 상기 전력선에 거치되는 단계; 및
    상기 입상케이블 클램프가 상기 활선의 피박된 부분에 고정되기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입상케이블 클램프가 상기 임시걸이에 거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케이블 클램프가 상기 활선의 피박된 부분에 고정된 이후에, 상기 클램프 회전 활선공구의 로터스틱에 구비된 상기 라쳇핸들이 회전되어 상기 활선의 피박된 부분에 고정된 상기 입상케이블 클램프가 분리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입상케이블 클램프가 중성선에 접촉되어 상기 입상케이블 클램프에 잔존한 잔류 전하가 방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 방법.
KR1020180026018A 2018-03-05 2018-03-05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 KR101912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018A KR101912558B1 (ko) 2018-03-05 2018-03-05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018A KR101912558B1 (ko) 2018-03-05 2018-03-05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558B1 true KR101912558B1 (ko) 2018-10-29

Family

ID=6410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018A KR101912558B1 (ko) 2018-03-05 2018-03-05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558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011B1 (ko) * 2019-02-27 2019-05-10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선 피박 및 테이핑 기능을 갖는 간접활선용 자동 개폐 피박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전선 피박공법 및 간접활선 전선 테이핑공법
KR102112471B1 (ko) * 2018-11-30 2020-05-19 한국전력공사 활선 작업 방법
KR20200099270A (ko) * 2019-02-14 2020-08-24 한국전력공사 활선 작업 장치
KR20200117548A (ko) * 2019-04-04 2020-10-14 한국전력공사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KR102241896B1 (ko) 2019-10-15 2021-04-20 한국전력공사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KR102295694B1 (ko) * 2020-12-07 2021-08-27 김영춘 간접 활선작업용 핫스틱
KR20210152323A (ko) 2020-06-08 2021-12-15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KR20220021279A (ko) 2020-08-13 2022-02-22 제룡산업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절연 커버
KR20220066561A (ko) 2020-11-16 2022-05-24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 작업용 타격공구
KR20220068313A (ko) 2020-11-18 2022-05-26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 공사용 바인드 제거장치
KR20220068312A (ko) 2020-11-18 2022-05-26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 공사용 바인드 제거장치
KR20220114233A (ko) * 2021-02-08 2022-08-17 지상현 간접 활선용 전선 인장기를 이용한 간접 활선 유지 보수 방법
KR20220148586A (ko) 2021-04-29 2022-11-07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공사용 바인드 제거장치
WO2023277324A1 (ko) * 2021-07-01 2023-01-05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작업용 더블 펄 조작부를 갖는 전동식 절연 회전 그립 올 클램프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기구 조작방법
KR20230094704A (ko) 2021-12-21 2023-06-28 천공전기(주) 간접활선용 클램프와 이를 이용한 전선인장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9040A (ja) 2008-07-24 2010-02-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作業用工具及び間接活線接続方法
JP2011091896A (ja) 2009-10-20 2011-05-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工事に用いられる把持工具の補助部材
JP2014039433A (ja) * 2012-08-20 2014-02-2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被覆剥ぎ取り用間接活線先端工具
JP2017070135A (ja) 2015-10-01 2017-04-06 中国電力株式会社 テープ巻付器およびテープ巻付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9040A (ja) 2008-07-24 2010-02-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作業用工具及び間接活線接続方法
JP2011091896A (ja) 2009-10-20 2011-05-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工事に用いられる把持工具の補助部材
JP2014039433A (ja) * 2012-08-20 2014-02-2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被覆剥ぎ取り用間接活線先端工具
JP2017070135A (ja) 2015-10-01 2017-04-06 中国電力株式会社 テープ巻付器およびテープ巻付方法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471B1 (ko) * 2018-11-30 2020-05-19 한국전력공사 활선 작업 방법
KR20200099270A (ko) * 2019-02-14 2020-08-24 한국전력공사 활선 작업 장치
KR102646987B1 (ko) * 2019-02-14 2024-03-14 한국전력공사 활선 작업 장치
KR101977011B1 (ko) * 2019-02-27 2019-05-10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선 피박 및 테이핑 기능을 갖는 간접활선용 자동 개폐 피박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전선 피박공법 및 간접활선 전선 테이핑공법
WO2020175815A1 (ko) * 2019-02-27 2020-09-03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선 피박 및 테이핑 기능을 갖는 간접활선용 자동 개폐 피박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전선 피박공법 및 간접활선 전선 테이핑공법
US11848545B2 (en) 2019-02-27 2023-12-19 Daewon Electric Co., Lt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tripping device for indirect live wire having wire stripping and taping functions, and methods for stripping and taping indirect live wire using same
CN113474959B (zh) * 2019-02-27 2022-08-02 大原电机株式会社 自动开闭剥皮机以及电线剥皮方法和电线包覆方法
CN113474959A (zh) * 2019-02-27 2021-10-01 大原电机株式会社 具有电线剥皮和包覆功能的间接火线用自动开闭剥皮机以及使用它的间接火线电线剥皮方法和间接火线电线包覆方法
KR102654539B1 (ko) 2019-04-04 2024-04-05 한국전력공사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KR20200117548A (ko) * 2019-04-04 2020-10-14 한국전력공사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KR102241896B1 (ko) 2019-10-15 2021-04-20 한국전력공사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KR20210152323A (ko) 2020-06-08 2021-12-15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KR20220021279A (ko) 2020-08-13 2022-02-22 제룡산업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절연 커버
KR20220066561A (ko) 2020-11-16 2022-05-24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 작업용 타격공구
KR20220068312A (ko) 2020-11-18 2022-05-26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 공사용 바인드 제거장치
KR20220068313A (ko) 2020-11-18 2022-05-26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 공사용 바인드 제거장치
WO2022124563A1 (ko) * 2020-12-07 2022-06-16 김영춘 간접 활선작업용 핫스틱
KR102295694B1 (ko) * 2020-12-07 2021-08-27 김영춘 간접 활선작업용 핫스틱
KR20220114233A (ko) * 2021-02-08 2022-08-17 지상현 간접 활선용 전선 인장기를 이용한 간접 활선 유지 보수 방법
KR102530725B1 (ko) 2021-02-08 2023-05-10 지상현 간접 활선용 전선 인장기를 이용한 간접 활선 유지 보수 방법
KR20220148586A (ko) 2021-04-29 2022-11-07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공사용 바인드 제거장치
WO2023277324A1 (ko) * 2021-07-01 2023-01-05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작업용 더블 펄 조작부를 갖는 전동식 절연 회전 그립 올 클램프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기구 조작방법
KR20230094704A (ko) 2021-12-21 2023-06-28 천공전기(주) 간접활선용 클램프와 이를 이용한 전선인장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558B1 (ko)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
KR102177388B1 (ko) 컷아웃스위치 교체장치
KR20170089733A (ko)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
KR102327254B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WO2008062375A2 (en) Device and method for folding back the braided shielding braiding of a cable
JP2018511297A (ja) 平らに束ねられた電線から絶縁体を剥離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6697810B2 (ja) 掴線器及び該掴線器を用いた活線振り分け工具
US4661662A (en) Power line working apparatus
KR102112471B1 (ko) 활선 작업 방법
JP4188719B2 (ja) 掴線器
JP4188545B2 (ja) 被覆架線の切分け方法
CA2119049A1 (en) Ring cutting and removing device
JP2807006B2 (ja) 電線切断・接続装置
JP4408851B2 (ja) 防護用シート
JP5019947B2 (ja) 保護器具
GB2147462A (en) Process and tool for baring cables
JP4503919B2 (ja) 被覆架線の切分け工事における接地方法
JP3137399B2 (ja) 高圧引下線工事用ロボットの圧縮ダイス等の昇降装置
JP6481444B2 (ja) 間接活線工法
JP2883474B2 (ja) 架空線路の撤去方法
RU274472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шунтирования и заземления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и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CN217318260U (zh) 输煤皮带裁剥装置
JP2832490B2 (ja) 遠隔取外し式カムアロング
US9914224B2 (en) Hand-held cable handling device and method
JP3137398B2 (ja) 高圧引下線工事用ロボ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