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323A -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 Google Patents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323A
KR20210152323A KR1020200069271A KR20200069271A KR20210152323A KR 20210152323 A KR20210152323 A KR 20210152323A KR 1020200069271 A KR1020200069271 A KR 1020200069271A KR 20200069271 A KR20200069271 A KR 20200069271A KR 20210152323 A KR20210152323 A KR 20210152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film
wire
rotary tool
live wir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7073B1 (ko
Inventor
변규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69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073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pairing insulation or armouring of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활선과 충분한 거리가 이격된 간접활선 작업과정에서 알루미늄 전선의 도체 표면에 형성된 산화막을 회전 구동부에 의하여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알루미늄 전선의 전도성이 향상되는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ROTATION TOOL FOR INDIRECT HOT-LINE OXIDATION REMOVAL}
본 발명은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고압 알루미늄 전선의 산화막을 제거하는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자동으로 산화막 제거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에 관한 것이다.
전력수요가 급증하면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되는 전력설비가 계속 확충되고 있으며, 배전공사시에 전력을 차단하지 않는 상태(활선 상태)에서 전기 배전공사를 진행하는 무정전 공법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무정전 활선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활선스틱을 이용하여 간접작업으로 수행하였으나, 이러한 간접작업은 그 작업범위가 제한적이고 작업이 번거롭고 난해하여 작업시간의 상당한 지연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활선 상태의 전선로와 직접 접촉 내지는 매우 근접한 거리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직접작업을 수행하여 작업시간을 축소하고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으나, 그에 따른 안전사고 또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존 활선스틱들은 케이싱 전체가 회전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구조로 본체가 크고 무거워 기존 활선스틱을 활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고가이면서 무거운 구리 전선을 대체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전선이 대신 적용되고 있으나, 절연 피복이 제거된 알루미늄 전선은 도체 표면이 공기 중에 노출되면 쉽게 산화되어 약 100A(10-8m) 이하의 알루미늄 산화막이 형성된다.
알루미늄 산화막은 매우 얇은 박막으로 형성되나 치밀한 구조를 가지면서 절연성이 높으므로 전류의 이동과정 과정에서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어, 알루미늄 전선 간의 접속을 위해서 와이어 브러쉬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산화피막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현재 간접활선 표준공법에서는 브러쉬를 사용하여 알루미늄 도선의 산화막을 수작업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간접활선 표준공법에는 알루미늄 전선의 산화막을 제거할 수 있는 별도의 산화막 제거공정이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산화막을 제거할 수 있는 작업공정 또한 부재하여 간접활선 작업 중 형성되는 알루미늄 산화막으로 인하여 저항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12558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8263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간접활선 작업 중 송전선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전선의 도체 표면에 형성된 알루미늄 산화막을 제거할 수 있는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는, 도선 및 전선피복을 포함하는 전선이 통과가능하도록 본체의 중앙이 관통되어 형성된 제1 관통공 및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구비하고,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본체의 중앙이 천공되어 전선이 통과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관통공 및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2 연장부가 구비된 하부케이스, 일측이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말단이 기어 치형으로 형성된 모터부, 외측이 상기 모터부와 맞물리도록 외측 둘레를 따라 기어 치형이 형성되고, 내측에 브러쉬가 부착되어 상기 도선의 산화막을 제거하는 원형의 구동부, 상기 상부케이스의 측면에 연결되는 연장스틱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 상기 전동모터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력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도록 치형이 형성된 모터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동모터는 내구성이 우수한 코어리스 모터를 포함하는 서보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내측에 상기 도선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막을 제거하도록 형성된 브러쉬,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모터기어와 맞물리도록 기어 치형이 형성된 브러쉬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는 상기 산화막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선에 이물질이 혼합되지 않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기어는 상기 모터기어와 기어비가 1:5 이상 1:15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는 표면에 내마모성과 경도가 향상되도록 표면에 질화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스틱은 일측이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에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관 형상의 스틱본체, 상기 스틱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위치부, 상기 스틱본체의 말단에 구비되는 전원, 상기 전동모터에 상기 스위치부 및 상기 전원를 각각 연결하고 전류가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 전선,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전원을 연결하여 전류가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스틱본체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위치버튼, 일측이 상기 스위치버튼의 하부면에 연결되는 이동전극, 상기 스틱본체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고정전극, 일측이 상기 고정전극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위치버튼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전극의 타측이 상기 고정전극의 표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상기 스위치버튼을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전극은 외력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버튼과 동시에 상기 스틱본체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전극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지지스프링은 외력이 제거되어 상기 스위치버튼과 상기 이동전극이 상기 스틱본체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전극이 상기 고정전극에서 분리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에 의하면, 작업자가 활선과 충분한 거리가 이격된 간접활선 작업과정에서 알루미늄 전선의 도체 표면에 형성된 산화막을 회전 구동부에 의하여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알루미늄 전선의 전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의 연장스틱 내부 구조를 도시한 일부파절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의 브러쉬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는, 도선(100) 및 전선피복(200)을 포함하는 전선이 통과가능하도록 본체의 중앙이 관통되어 형성된 제1 관통공(11) 및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2)를 구비하고,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0), 본체의 중앙이 천공되어 전선이 통과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관통공(21) 및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2 연장부(22)가 구비된 하부케이스(20), 일측이 상기 하부케이스(20)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말단이 기어 치형으로 형성된 모터부(40), 외측이 상기 모터부(40)와 맞물리도록 외측 둘레를 따라 기어 치형이 형성되고, 내측에 브러쉬(31)가 부착되어 상기 도선(100)의 산화막을 제거하는 원형의 구동부(30), 상기 상부케이스(10)의 측면에 연결되는 연장스틱(50)을 포함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케이스(10)는 본체의 중앙이 관통되어 제1 관통공(11)이 형성되고, 본체의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다각형 형상의 플레이트인 제1 연장부(12)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케이스(10) 본체와 상기 제1 연장부(12)의 둘레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면에 의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관통공(11)은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선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져 상기 전선이 상부케이스(1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0)는 절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으로부터 누설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모터부(40) 또는 상기 구동부(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부케이스(20)는 본체의 중앙이 관통되어 제2 관통공(21)이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인 하부케이스(20) 본체와 상기 하부케이스(20) 본체에서 상기 제1 연장부(12)와 마주보도록 측면에서 연장되어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다각형 형상의 플레이트인 제2 연장부(22)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20)는 외측 둘레를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0)의 연장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모터부(40)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41), 상기 전동모터(41)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2), 상기 회전축(42)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력을 상기 구동부(30)에 전달하도록 치형이 형성된 모터기어(43)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모터(41)는 내구성이 우수한 코어리스 모터를 포함하는 서보모터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서보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를 추가로 포함하여 회전속도가 변경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동모터(41)는 엔코더를 추가로 포함하여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장치가 사전에 입력된 회전수만큼 회전되어 상기 전선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막이 동일하게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터기어(43)는 상기 회전력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도록 치형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치형의 표면은 내마모성이 강화되도록 고강도 금속합금으로 코팅되어 형성되어 현장에서 조기에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구동부(30)는 내측에 상기 도선(100)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막을 제거하도록 형성된 브러쉬(31) 및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모터기어(43)와 맞물리도록 기어 치형이 형성된 브러쉬기어(32)을 포함한다,
상기 브러쉬(31)는 내측을 따라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삽입된 복수의 브러쉬솔(31a)이 구비되어 도선(100)과 마찰되어 표면 산화막을 제거한다.
상기 브러쉬(31)는 표면 산화막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선에 이물질이 혼합되지 않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31)는 표면에 내마모성과 경도가 향상되도록 알루미늄이 질소 환경에 노출되어 알루미늄 질화물로 구성된 코팅막(3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기어(32)는 상기 모터기어(4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외측에 기어치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치형의 표면에는 내마모성이 강화되도록 고강도 금속합금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기어(32)는 상기 모터기어(43)와 기어비가 1:5 이상 1:15 이하가 되어 상기 도체(100)의 표면과 접촉되어 산화막이 제거될 수 있는 강도와 회전속도를 조화롭게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충분한 회전속도를 가지지 못하거나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연장스틱(50)은 일측이 상기 상부케이스(10) 및 상기 하부케이스(20)의 측면에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관 형상의 스틱본체(51), 상기 스틱본체(51)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위치부(52), 상기 스틱본체(51)의 말단에 구비되는 전원(53), 상기 전동모터(41)에 상기 스위치부(52) 및 상기 전원(53)를 각각 연결하고 전류가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 전선(54), 상기 스위치부(52)와 상기 전원(53)을 연결하여 전류가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전선(55)을 포함한다,
상기 스틱본체(51)는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고경도 플라스틱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 구조를 보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53)은 높은 용량을 가지는 일반적인 리튬이온전지가 사용되어 교체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전선(54)은 상기 전동모터(41)와 상기 전원(53)의 일극을 연결하는 양극선(54a)과 상기 스위치부(52)와 상기 전동모터(41)를 연결하는 음극선(54b)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부(52)는 상기 스틱본체(51)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위치버튼(52a), 일측이 상기 스위치버튼(52a)의 하부면에 연결되는 이동전극(52c), 상기 스틱본체(51)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고정전극(52d), 일측이 상기 고정전극(52d)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위치버튼(52a)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전극(52c)의 타측이 상기 고정전극(52d)의 표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상기 스위치버튼(52a)을 지지하는 지지스프링(52b)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전극(52c)은 외력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버튼(52a)과 동시에 상기 스틱본체(51)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전극(52d)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지지스프링(52b)은 외력이 제거되어 상기 스위치버튼(52a)과 상기 이동전극(52c)이 상기 스틱본체(51)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전극(52c)이 상기 고정전극(52d)에서 분리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전극(52c)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금속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스프링(52b)의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버튼(52a)은 일부가 상기 스틱본체)51_를 관통하여 돌출되어 작업자의 외력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상부케이스
11 : 제1 관통공
12 : 제1 연장부
20 : 하부케이스
21 : 제2 관통공
22 : 제2 연장부
30 : 구동부
31 : 브러쉬
31a : 브러쉬솔
31b : 코팅막
32 : 브러쉬기어
40 : 모터부
41 : 전동모터
42 : 회전축
43 : 모터기어
50 : 연장스틱
51 : 스틱본체
52 : 스위치부
52a : 스위치버튼
52b : 지지스프링
52c : 이동전극
52d : 고정전극
53 : 전원
54 : 제1 전선
54a : 양극선
54b : 음극선
55 : 제2 전선
100 : 도선
200 : 전선피복

Claims (11)

  1. 도선 및 전선피복을 포함하는 전선이 통과가능하도록 본체의 중앙이 관통되어 형성된 제1 관통공 및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구비하고,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본체의 중앙이 천공되어 전선이 통과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관통공 및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2 연장부가 구비된 하부케이스;
    일측이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말단이 기어 치형으로 형성된 모터부;
    외측이 상기 모터부와 맞물리도록 외측 둘레를 따라 기어 치형이 형성되고, 내측에 브러쉬가 부착되어 상기 도선의 산화막을 제거하는 원형의 구동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측면에 연결되는 연장스틱;
    를 포함하는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
    상기 전동모터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력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도록 치형이 형성된 모터기어;
    를 포함하는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는,
    내구성이 우수한 코어리스 모터를 포함하는 서보모터로 형성되는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내측에 상기 도선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막을 제거하도록 형성된 브러쉬; 및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모터기어와 맞물리도록 기어 치형이 형성된 브러쉬기어;
    를 포함하는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산화막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선에 이물질이 혼합되지 않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기어는,
    상기 모터기어와 기어비가 1:5 이상 1:15 이하로 형성된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표면에 내마모성과 경도가 향상되도록 질화막이 표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장스틱은,
    일측이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에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관 형상의 스틱본체;
    상기 스틱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위치부;
    상기 스틱본체의 말단에 구비되는 전원;
    상기 전동모터에 상기 스위치부 및 상기 전원를 각각 연결하고 전류가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 전선; 및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전원을 연결하여 전류가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전선;
    을 포함하는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스틱본체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위치버튼;
    일측이 상기 스위치버튼의 하부면에 연결되는 이동전극;
    상기 스틱본체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고정전극; 및
    일측이 상기 고정전극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위치버튼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전극의 타측이 상기 고정전극의 표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상기 스위치버튼을 지지하는 지지스프링;
    을 포함하는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극은,
    외력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버튼과 동시에 상기 스틱본체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전극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스프링은,
    외력이 제거되어 상기 스위치버튼과 상기 이동전극이 상기 스틱본체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전극이 상기 고정전극에서 분리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KR1020200069271A 2020-06-08 2020-06-08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KR102397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271A KR102397073B1 (ko) 2020-06-08 2020-06-08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271A KR102397073B1 (ko) 2020-06-08 2020-06-08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323A true KR20210152323A (ko) 2021-12-15
KR102397073B1 KR102397073B1 (ko) 2022-05-16

Family

ID=78865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271A KR102397073B1 (ko) 2020-06-08 2020-06-08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07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730A (ja) * 1994-12-05 1996-06-21 Toshin Denki Kk 電線先端部の磨き工具
JPH11234840A (ja) * 1998-02-13 1999-08-27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電動用ワイヤーブラシ
KR100338049B1 (ko) * 1993-06-29 2002-09-25 이턴 코포레이션 전기스위치
JP2005212026A (ja) * 2004-01-29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ルミ電解コンデンサ用電極箔のバリ取り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282631B1 (ko) 2011-11-07 201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선의 단자 접속방법
KR101912558B1 (ko) 2018-03-05 2018-10-29 한국전력공사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
KR101957472B1 (ko) * 2018-10-12 2019-03-12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안전성 향상 변전시설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049B1 (ko) * 1993-06-29 2002-09-25 이턴 코포레이션 전기스위치
JPH08163730A (ja) * 1994-12-05 1996-06-21 Toshin Denki Kk 電線先端部の磨き工具
JPH11234840A (ja) * 1998-02-13 1999-08-27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電動用ワイヤーブラシ
JP2005212026A (ja) * 2004-01-29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ルミ電解コンデンサ用電極箔のバリ取り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282631B1 (ko) 2011-11-07 201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선의 단자 접속방법
KR101912558B1 (ko) 2018-03-05 2018-10-29 한국전력공사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
KR101957472B1 (ko) * 2018-10-12 2019-03-12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안전성 향상 변전시설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7073B1 (ko) 202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22432A (en) Dental hygiene appliance
KR102397073B1 (ko) 간접활선 산화막 제거용 회전공구
US20240000211A1 (en) Nail grinding pen and nail grinding host machine
JP6017202B2 (ja) ケーブル被覆剥取工具
US8251757B1 (en) Cable clamp having a base with a tapered hole and a sleeve with a tapered outer wall to clamp a cable in-between
CN112952663A (zh) 一种带电作业自动剥线机
CN204314728U (zh) 云台装置
CN115032484A (zh) 一种电缆测试装置
CN210016081U (zh) 一种接地棒操作辅助装置
DE20116756U1 (de) Dreh-Durchführung zur Stromübertragung
KR200490377Y1 (ko) 배터리 충전용 플러그
CN106030724B (zh) 用于使螺旋电缆定中心的机械衬套
CN219767764U (zh) 一种电动工具
CN211760569U (zh) 一种电动式电缆打磨器
CN216312546U (zh) 一种操作方便的电力剥线钳
CN218070993U (zh) 一种可以调节的接线装置
CN111168537A (zh) 等离子发生器阳极头起弧区清理打磨装置
JP2020188631A (ja) 電動作業機
CN219937810U (zh) 一种低压线路带电驳接的剥线器
CN219811869U (zh) 一种新型剥线工具
CN210111296U (zh) 一种电气柜母线槽的安装结构
CN115498562B (zh) 一种线缆切割器
CN103944028A (zh) 一种旋转碳刷架
CN116093839A (zh) 一种绝缘导线剥离刀具及电动剥离装置
CN213125003U (zh) 一种机电接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