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548A -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548A
KR20200117548A KR1020190039812A KR20190039812A KR20200117548A KR 20200117548 A KR20200117548 A KR 20200117548A KR 1020190039812 A KR1020190039812 A KR 1020190039812A KR 20190039812 A KR20190039812 A KR 20190039812A KR 20200117548 A KR20200117548 A KR 20200117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power line
proximity
coupled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4539B1 (ko
Inventor
권순호
이재영
임영섭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039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53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전력선에 설치되어 전력선 측으로 외물이 근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어 전력선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수직스틱,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스틱과 상기 수직스틱에 인접한 다른 수직스틱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스틱,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외물의 근접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외물근접정보를 외부에 알리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PROXIMITY PREVENTION APPARATUS OF POWER LINE}
본 발명은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선에 외물이 근접 또는 더 나아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력선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각 수용가로 공급하기 위하여 발전소로부터 변전소에 이르기까지 다수의 송전탑이 설치되고, 송전선들이 공중에 가설되어 송전탑에 설치된다. 한편, 계속적인 도시의 개발 및 확장으로 송전탑 인근 및 송전탑의 직하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송전선로에 크레인과 같은 외물이 접촉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송전설비의 고장으로 인한 전력수급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고, 송전선의 손상에 의해 지락 전류에 의해 인명사고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도사리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선에 외물이 근접되는 것을 그 주변에 알리고, 외물이 전력선에 접촉되기 직전까지 근접하도록 전력선을 외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력선에 설치되어 전력선 측으로 외물이 근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어 전력선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수직스틱,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스틱과 상기 수직스틱에 인접한 다른 수직스틱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스틱,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외물의 근접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외물근접정보를 외부에 알리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물근접 방지장치는 전력선에 설치되는 방식이므로, 외물근접 방지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부가적인 구조물이 설치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에 외물근접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의 고도제한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축을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물근접 방지장치는 전력선에 근접하는 외물을 감지하여 알람 신호를 주변에 제공한다. 따라서, 외물이 전력선에 접촉됨에 따라 전력선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설사 외물이 전력선에 접촉하기 직전까지 근접하더라도, 외물근접 방지장치는 전력선에 네트워크 구조로 설치되므로, 외물 접촉으로부터 전력선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지지축에 고도제한설치가 설치된 것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에 외물근접 방지장치가 설치된 것을 함께 나타내는 사진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에 설치된 다수의 외물근접 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다수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중 하나의 외물근접 방지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제1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b는 도 2a의 제2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a는 도 2b에 도시된 수직스틱의 탑스틱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탑스틱의 클램핑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2b에 도시된 제1 씰링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된 탑스틱과 미들스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제1 씰링 연결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b에 도시된 미들스틱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b에 도시된 바텀스틱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2b에 도시된 바디부와 이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들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바디부와 이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들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후술될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도면 상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지지축에 고도제한설치가 설치된 것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에 외물근접 방지장치가 설치된 것을 함께 나타내는 사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상에서 크레인과 같이 고도가 조절되는 외물의 근접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력선(EW)의 하부에 고도제한장치(8)가 설치되며, 고도제한장치(8)는 지상(5)에 고정된 지지축(5)에 설치된다. 이러한 고도제한장치(8)는 전력선(EW)이 설치된 높이를 알림과 동시에 크레인과 같은 외물의 고도를 제한하기 위한 효과는 있으나, 고도제한장치(8)를 설치하기 위하여 지상에 지지축(5)을 설치하는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제1 영역(A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500, 이하 '외물근접 방지장치')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물근접 방지장치(500)는 기 공중에 가설된 전력선(EW)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외물근접 방지장치(500)를 설치하기 위하여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이 필요 없다. 외물근접 방지장치(500)는 전력선(EW)에 근접하는 외물을 감지하여 알람 신호를 주변에 제공할 수 있어 외물 근접에 의한 전력선(EW)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설사 외물이 전력선(EW)에 접촉하기 직전까지 근접하더라도 외물이 전력선(EW)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물근접 방지장치(500)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한 두 전력선들(EW)에 설치되며, 외물근접 방지장치(500)는 다수로 서로 이격되어 전력선들(EW)이 설치된 방향으로 나열된다. 이하, 외물근접 방지장치(50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에 설치된 다수의 외물근접 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다수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중 하나의 외물근접 방지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a는 도 2a의 제1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3b는 도 2a의 제2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공중에 서로 평행하게 제1 전력선(EW1)과 제2 전력선(EW2)에 외물근접 방지장치(500)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물근접 방지장치(500)는 제1 및 제2 전력선들(EW1,EW2)에 네트워크 구조로 설치되되, 외물근접 방지장치(500)는 지상으로부터 제1 및 제2 전력선들(EW1,EW2)보다 가깝게 설치된다.
따라서, 크레인과 같이 지상에 설치되어 고도가 변경가능한 외물이 제1 및 제2 전력선들(EW1,EW2)을 향해 승강하는 경우에, 외물근접 방지장치(500)는 크레인의 근접을 센싱하여 이를 상기 크레인의 운전자에게 알려 상기 크레인이 제1 및 제2 전력선들(EW1,EW2)에 접촉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레인의 운전자가 외물근접 방지장치(500)로부터 발생되는 알람 신호를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외물근접 방지장치(500)는 제1 및 제2 전력선들(EW1,EW2)의 하방에서 제1 및 제2 전력선들(EW1,EW2)에 네트워크 구조로 결합되므로 외물의 근접으로부터 제1 및 제2 전력선들(EW1,EW2)을 보호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외물근접 방지장치(500)는 다수의 바디부들(BP), 다수의 수직스틱들(100), 다수의 수평스틱들(HST), 다수의 보강스틱들(LST), 다수의 알람부들(AL) 및 다수의 센서부들(SE)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전력선들(EW1,EW2)이 제1 방향(D1)으로 설치되어 제2 방향(D2)으로 이격된 구조를 가질 때, 다수의 수직스틱들(100)의 각각은 연직방향인 제3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제1 전력선(EW1)과 제2 전력선(EW2)에 고정된다. 또한, 다수의 수직스틱들(100) 중 제1 전력선(EW1)에 고정된 수직스틱들은 제1 전력선(EW1)의 하방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으며, 다수의 수직스틱들(100) 중 제2 전력선(EW2)에 고정된 수직스틱들은 제2 전력선(EW2)의 하방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수직스틱들(100)은 스크류와 너트의 체결방식을 이용하는 클램프 방식으로 제1 전력선(EW1)과 제2 전력선(EW2)에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다수의 수직스틱들(100)이 제1 및 제2 전력선들(EW1,EW2)에 체결되는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수직스틱들(100)은 제1 및 제2 전력선들(EW1,EW2)에 집게 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다수의 수평스틱들(HST)의 각각은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다수의 수직스틱들(100)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수직스틱들을 연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수평스틱들(HST) 중 일부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제1 방향(D1)으로 이격된 두 개의 수직스틱들(100)을 연결하고, 다수의 수평스틱들(HST) 중 다른 일부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제2 방향(D2)으로 이격된 두 개의 수직스틱들(100)을 연결한다.
다수의 바디부들(BP)은 다수의 수직스틱들(100), 다수의 수평스틱들(HST), 다수의 알람부들(AL) 및 다수의 센서부들(SE)과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각 바디부(BP)는 수직스틱(100)의 하단에서 수직스틱(100)에 결합되고, 바디부(BP)는 수평스틱(HST)의 일 단부와 결합된다.
또한, 바디부(BP)에는 알람부(AL)와 센서부(SE)가 장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바디부들(BP) 중 일부의 바디부들에 알람부(AL)와 센서부(SE)가 수납될 수 있다.
다수의 보강스틱들(LST)은 다수의 수직스틱들(100)과 다수의 수평스틱들(HST)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보강스틱(LST)은 제1 방향(D1)과 제3 방향(D3)의 사선 방향 또는 제2 방향(D2)과 제3 방향(D3)의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직스틱(100)을 수평스틱(HST)에 연결한다.
따라서, 다수의 보강스틱들(LST)에 의해 다수의 수직스틱들(100)과 다수의 수평스틱들(HST) 간의 결합이 보다 강화되어 다수의 수직스틱들(100)과 다수의 수평스틱들(HST)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크레인과 같은 외물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외물근접 방지장치(500)로부터 발생되는 알람 신호를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다수의 수직스틱들(100), 다수의 수평스틱들(HST) 및 다수의 보강스틱들(LST)에 의해 구현되는 네트워크 구조에 의해 외물이 제1 및 제2 전력선들(EW1,EW2)이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수직스틱(100)은 탑스틱(TST), 제1 씰링 연결부(30A), 미들스틱(MST), 제2 씰링 연결부(30B), 제1 보강스틱 결합부(50) 및 바텀스틱(BST)을 포함한다.
탑스틱(TST)은 수직스틱(100)에서 상단에 배치되는 절연스틱이다. 탑스틱(TST)은 절연스틱(11)과 절연스틱(11)의 선단에 체결된 클램핑부(10)를 포함하며, 클램핑부(10)는 제1 전력선(EW1)을 클램핑한다.
미들스틱(MST)은 제1 씰링 연결부(30A)를 매개로 탑스틱(TST)에 연결된다.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수직스틱(100)에는 하나의 미들스틱(MST)이 제공되나, 수직스틱(100)의 전체 길이에 따라 미들스틱(MST)이 생략되거나 다수의 미들스틱(MST)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수직스틱(100)에서 미들스틱(MST)은 수직스틱(100)의 길이를 조절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탑스틱(TS)과 바텀스틱(BST)의 사이에 미들스틱(MST)의 개수에 따라 수직스틱(10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바텀스틱(BST)의 일단부는 제2 씰링 연결부(30B)를 매개로 미들스틱(MST)에 연결되며, 바텀스틱(BST)의 타단부는 바디부(BP)에 결합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바텀스틱(BST)에 바디부(BP)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제1 보강스틱 결합부(50)가 결합된다.
또한, 수평스틱(HST)에 바디부(BP)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이격되도록 제2 보강스틱 결합부(CR)가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강스틱 결합부(CR)는 수평스틱(HST)의 외주면을 감싸는 결합부와 이에 고정된 고리형상의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스틱(LST)의 일단부는 제1 보강스틱 결합부(50)를 매개로 바텀스틱(BST)에 체결되며, 보강스틱(LST)의 타단부는 제2 보강스틱 결합부(CR)를 매개로 수평스틱(HST)에 체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스틱(LST)은 제2 보강스틱 결합부(CR)와 고리구조로 체결되어 수평스틱(HST)에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보강스틱(LST)이 바텀스틱(BST)과 수평스틱(HST)에 연결되는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보강스틱(LST)은 바텀스틱(BST)과 수평스틱(HST)에 스크류와 너트를 이용한 클램핑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a는 도 2b에 도시된 수직스틱의 탑스틱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탑스틱의 클램핑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탑스틱(TST)은 수직스틱(100)에서 전력선에 클램핑되는 부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탑스틱(TST)은 절연스틱(11)과 절연스틱(11)의 선단에 체결된 클램핑부(10)를 포함한다. 절연스틱(11)은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절연재료로 형성되며, 클램핑부(10)는 전력선을 클램핑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클램핑부(10)는 클램프 바디(12), 스크류(17), 조임부(14), 제1 패드(13), 제2 패드(15), 너트부(16), 스크류 캡(18) 및 고정판(19)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클램프 바디(12)는 연직 방향으로 평평한 플레이트 부분과 상기 플레이트 부분으로부터 전력선의 겉면에 대응하도록 절곡된 부분을 포함한다. 클램프 바디(12)의 절곡된 부분은 전력선 상부의 겉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다.
조임부(14)는 클램프 바디(12)에 중첩되어 너트부(16)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조임부(14)는 전력선 하부의 겉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것으로, 클램프 바디(12)의 라운드 형상과 조임부(14)의 라운드 형상은 서로 대칭일 수 있다. 조임부(14)는 스크류(17)와 결합되어 스크류(17)의 직선운동에 따라 클램프 바디(12)의 라운드진 부분에 가까워지도록 승강하거나 멀어지도록 하강한다.
따라서, 전력선이 클램프 바디(12)의 상단에 커버되도록 전력선이 클램프 바디(12) 측으로 가이드된 후에, 스크류(17)의 직선운동에 따라 조임부(14)가 승강하는 경우에, 클램프 바디(12)의 내측으로 가이드된 전력선은 조임부(14)에 의해 클램프 바디(12)의 내측면에 클램핑될 수 있다.
너트부(16)는 클램프 바디(12)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스크류(17)의 일 단부는 너트부(16)의 홀에 체결되어 너트부(16)에 나사 결합되는 동시에 조임부(14)의 하단에 고정된다. 또한, 스크류(17)의 타 단부는 스크류 캡(18)에 결합된다. 스크류 캡(18)은 고정판(19)을 사이에 두고 중공형의 활선 스틱(11)에 체결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절연스틱(11)이 회전하는 경우에, 절연스틱(11)의 회전운동이 스크류(17)에 전달되어 스크류(17)에 체결된 조임부(14)가 승강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절연스틱(11)을 파지하고, 절연스틱(11)을 핸들링하여 전력선을 클램프 바디(12) 측으로 가이드 한 후에, 절연스틱(11)을 회전하여 전력선을 클램핑부(10)에 클램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전력선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전력선을 클램핑부(10)에 클램핑할 수 있다.
제1 패드(13)는 클램프 바디(12)의 내측면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패드(15)는 조임부(14)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패드(13)와 제2 패드(15)의 각각은 절연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바와 같이, 클램프 바디(12)와 조임부(14)에 의해 전력선이 클램핑되는 과정에서, 전력선의 피복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전력선이 클램프 바디(12)와 조임부(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a는 도 2b에 도시된 제1 씰링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된 탑스틱과 미들스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제1 씰링 연결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c는 도 5a의 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탑스틱(TST)은 제1 씰링 연결부(30A)를 매개로 미들스틱(MST)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탑스틱(TST)과 미들스틱(MST)의 연결 시, 제1 씰링 연결부(30A)는 탑스틱(TST)과 미들스틱(MST) 연결 부위로 외부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탑스틱(TST)과 미들스틱(MST) 간의 조립강도를 강화시킨다.
이하, 제1 씰링 연결부(30A)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는 제2 씰링 연결부(도 2b의 30B)의 구조는 후술될 제1 씰링 연결부(30A)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제2 씰링 연결부(도 2의 30B)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씰링 연결부(30A)가 미들스틱(MST)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미들스틱(MST)의 절연스틱의 선단부에 잠금체(60)가 결합될 수 있다. 잠금체(60)는 미들스틱(MST)의 중공형의 형상을 갖는 절연스틱 내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잠금체(60)의 하단부는 미들스틱(MST)의 내부에 삽입되며, 잠금체(60)의 상단부는 미들스틱(MST)의 외부에 노출된다. 또한, 잠금체(60)가 미들스틱(MST)에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된 잠금체(60)의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씰링 핸들(34)과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나사홈(SC)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씰링 연결부(30A)는 씰링체(31), 다수의 오링(33) 및 씰링 핸들(34)을 포함한다.
씰링체(31)는 잠금체(60)에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씰링체(31)의 내부에는 다수의 고정핀들(32)이 배치되어 외부로 돌출되며, 다수의 고정핀들(32)은 잠금체(60)의 상측에 형성된 다수의 홀들에 각각 삽입되어 씰링체(31)의 하단부가 잠금체(60)의 상단부에 체결된다. 또한, 씰링체(31)의 상단부는 탑스틱(TST)의 중공형 형상을 갖는 절연스틱의 내부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탑스틱(TST)의 절연스틱에 결합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씰링 핸들(34)은 환형의 형상을 갖도록 씰링 핸들(34)의 중앙에는 홀이 형성되며, 씰링 핸들(34)의 홀에 씰링체(31). 탑스틱(TST) 및 잠금체(60)가 삽입되어 씰링 핸들(34)이 씰링 핸들(34)의 씰링체(31)의 외주면, 탑스틱(TFT)의 외주면 및 잠금체(6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씰링 핸들(34)에 형성된 홀을 정의하는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들과 나사홈들은 잠금체(6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나사홈(SC)에 나사 결합된다.
다수의 오링들(33)은 씰링체(31)의 내측면과 탑스틱(TST)의 절연스틱의 사이에 개재된다. 다수의 오링들(33)은 씰링 핸들(34)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도 2b에 도시된 미들스틱(MST)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 및 도 6을 참조하면, 미들스틱(MST)은 절연스틱(61) 및 잠금체(6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절연스틱(61)은 절연체로 형성된 중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앞서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잠금체(60)는 미들스틱(MST)의 절연스틱 내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잠금체(60)의 하단부는 미들스틱(MST)의 내부에 삽입되며, 잠금체(60)의 상단부는 미들스틱(MST)의 외부에 노출된다. 또한, 잠금체(60)가 미들스틱(MST)에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된 잠금체(60)의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씰링 핸들(34)과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들과 나사홈들이 배치된다. 따라서, 앞서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외부에 노출된 잠금체(60)의 외주면과 제1 씰링 연결부(도 5b의 30A)에 구비된 씰링 핸들의 내주면이 상호 간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미들스틱(MST)의 하단부에는 제2 씰링 연결부(30B)가 체결된다. 제2 씰링 연결부(30B)는 미들스틱(MST)을 바텀스틱(도 7의 BST)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전술된 제1 씰링 연결부(도 5b의 30A)와 유사하게, 제2 씰링 연결부(30B)는 미들스틱(MST)과 바텀스틱(도 7의 BST) 연결 부위로 외부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미들스틱(MST)과 바텀스틱(도 7의 BST) 간의 조립강도를 강화시킨다.
도 7은 도 2b에 도시된 바텀스틱(BST)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 및 도 7을 참조하면, 바텀스틱(BST)은 절연스틱(71), 잠금체(70) 및 커넥트 바디(55)를 포함한다. 잠금체(70)는 절연스틱(71)의 일 단부에 체결되며, 커넥트 바디(55)는 절연스틱(71)의 타 단부에 체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절연스틱(71)은 절연체로 형성된 중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잠금체(70)는 바텀스틱(BST)의 절연스틱(61)의 내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체결되며, 잠금체(70)는 제2 씰링 연결부(도 6의 30B)와 체결된다. 바텀스틱(BST)의 잠금체(70)와 제2 씰링 연결부(도 6의 30B)가 체결되는 방식은, 앞서 도 5b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된 미들스틱(도 5b의 MST)의 잠금체(도 5b의 60)와 제1 씰링 연결부(도 5b의 30A)가 체결되는 방식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커넥트 바디(55)는 절연스틱(61)의 둘레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절연스틱(7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넥트 바디(55)는 바디부(BP)에 결합되며, 커넥트 바디(55)에는 다수의 수평스틱(HST)과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홀(HL)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1 보강스틱 결합부(50)가 바텀스틱(BST)의 절연스틱(7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보강스틱 결합부(50)는 보강스틱(LST)을 수직스틱(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보강스틱 결합부(50)가 바텀스틱(BST)의 절연스틱(71)에 결합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보강스틱 결합부(50)는 미들스틱(도 6의 MST)의 절연스틱(도 6의 61)에 결합되어 보강스틱(LST)이 수직스틱(100)에 고정되는 높이가 높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a는 도 2b에 도시된 바디부와 이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들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바디부와 이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들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8a와 도 8b를 참조하면, 바디부(BP)는 수직스틱(도 2b의 100)의 바텀스틱(BST), 다수의 수평스틱들(HST), 다수의 알람부들(AL) 및 센서부(SE)와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바디부(BP)는 제1 장착부(H1), 제2 장착부(H2) 및 제3 장착부(H3)를 포함한다. 제1 장착부(H1)의 상단에는 커넥트 바디(55)가 장착되며, 제1 장착부(H1)의 하단에는 커넥트핀(58)에 의해 센서부(SE)가 장착된다. 또한, 제2 장착부(H2)와 제3 장착부(H3)의 각각에는 알람부(AL)가 장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센서부(SE)는 약 3미터 내로 근접하는 중장비와 같은 외물을 감지한다. 또한, 알람부(AL)는 센서부(SE)로부터 센싱된 신호들을 제공받아 이를 근거로 외물의 근접정보를 외부에 알린다. 이 실시예에서는 알람부(AL)는 시각적으로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광등과 청각적으로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센서부(SE)와 알람부(AL) 각각은 태양광 발전 소자를 내장하여 배터리와 같은 별도의 전원공급장치 없이 구동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센서부(SE)가 외물의 근접 정도를 센싱하고, 센서부(SE)에서 센싱된 정보가 알람부(AL)를 통해 주변에 알려질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운전하는 작업자는 알람부(AL)를 통해 제공되는 시각적인 알람신호와 청각적인 알람신호를 인지하여 현재의 크레인의 위치가 전력선에 근접하였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500: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100: 수직스틱
HST: 수평스틱 LST: 보강스틱
10: 클램핑부 BP: 바디부
AL: 알람부 SE: 센서부
30A: 제1 씰링 연결부 MST: 미들스틱
BST: 바텀스틱

Claims (13)

  1. 전력선에 설치되어 전력선 측으로 외물이 근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에 있어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어 전력선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수직스틱;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스틱과 상기 수직스틱에 인접한 다른 수직스틱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스틱;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외물의 근접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외물근접정보를 외부에 알리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외물근접정보에 대응하여 알람소리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외물근접정보에 대응하여 알람표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스틱은,
    상기 전력선을 그립하는 탑스틱;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바텀스틱;
    상기 탑스틱과 상기 바텀스틱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탑스틱과 상기 바텀스틱에 연결되는 미들스틱;
    상기 탑스틱과 상기 미들스틱에 결합되어 상기 탑스틱을 상기 미들스틱에 연결하는 제1 씰링 연결부; 및
    상기 바텀스틱과 상기 미들스틱에 결합되어 상기 바텀스틱을 상기 미들스틱에 연결하는 제2 씰링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스틱은,
    절연스틱; 및
    상기 절연스틱의 선단에 체결되어 전력선을 클램핑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전력선의 상부가 안착되는 클램프 바디;
    전력선의 하부가 안착되며, 상기 클램프 바디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조임부;
    상기 클램프 바디에 고정된 너트부; 및
    상기 너트부와 볼트 너트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의 일단부는 상기 조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의 타 단부는 상기 탑스틱의 절연스틱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조임부가 상기 클램프 바디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바디에서 전력선의 상부가 안착되는 부분과 상기 조임부에서 전력선의 하부가 안착되는 부분은 상기 전력선의 겉면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클램프 바디에서 전력선이 안착되는 부분 위에 배치된 제1 패드; 및
    상기 조임부에서 전력선이 안착되는 부분 위에 배치된 제2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씰링 연결부는,
    상기 미들스틱의 절연스틱의 내부에 삽입된 잠금체에 삽입되는 핀들을 구비하여 상기 잠금체에 결합되는 씰링체;
    평면상에서 환형의 형상을 갖도록 내부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씰링체와 결합되는 씰링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씰링 핸들의 홀에 상기 씰링체, 상기 탑스틱 및 상기 잠금체가 삽입되어 상기 씰링 핸들은 상기 씰링체의 외주면, 상기 탑스틱의 외주면 및 상기 잠금체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상기 씰링 핸들에 형성된 홀을 정의하는 내주면은 상기 씰링체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스틱은,
    절연스틱; 및
    상기 절연스틱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에 체결되는 커넥트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트 바디에는 상기 수평스틱에 결합되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스틱과 상기 수평스틱에 연결된 보강스틱;
    상기 수직스틱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스틱을 상기 수직스틱에 연결하는 제1 보강스틱 결합부; 및
    상기 수평스틱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스틱을 상기 수평스틱에 연결하는 제2 보강스틱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스틱은 상기 수직스틱과 상기 수평스틱을 상기 수직스틱과 상기 수평스틱 각각에 대한 사선 방향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스틱 결합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보강스틱 결합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KR1020190039812A 2019-04-04 2019-04-04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KR102654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812A KR102654539B1 (ko) 2019-04-04 2019-04-04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812A KR102654539B1 (ko) 2019-04-04 2019-04-04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548A true KR20200117548A (ko) 2020-10-14
KR102654539B1 KR102654539B1 (ko) 2024-04-05

Family

ID=7284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812A KR102654539B1 (ko) 2019-04-04 2019-04-04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5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667B1 (ko) * 2010-11-15 2012-01-11 한국전기연구원 센서 부착 기구
KR101594333B1 (ko) * 2014-11-20 2016-02-16 정혜진 활선 상태의 충전부 접근 시 감전예방을 위한 근접경보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KR20170022719A (ko) * 2015-08-21 2017-03-02 강태은 활선고도 제한 장치
KR101912558B1 (ko) * 2018-03-05 2018-10-29 한국전력공사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
KR20190058975A (ko) * 2017-11-22 2019-05-30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667B1 (ko) * 2010-11-15 2012-01-11 한국전기연구원 센서 부착 기구
KR101594333B1 (ko) * 2014-11-20 2016-02-16 정혜진 활선 상태의 충전부 접근 시 감전예방을 위한 근접경보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KR20170022719A (ko) * 2015-08-21 2017-03-02 강태은 활선고도 제한 장치
KR20190058975A (ko) * 2017-11-22 2019-05-30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912558B1 (ko) * 2018-03-05 2018-10-29 한국전력공사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539B1 (ko) 202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7788Y2 (ja) 架空送配電設備の監視装置
US5653559A (en) Underground housing for telecommunication device
KR101602369B1 (ko) 배전선로 전압 감시 시스템
KR101916333B1 (ko) 변전설비의 낙뢰 방지시스템
KR102348450B1 (ko)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KR102539981B1 (ko) 변압기용 전신주의 고정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654539B1 (ko)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KR102087342B1 (ko)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
US20030011354A1 (en) Grounding clamp with high voltage detection device
KR102215919B1 (ko) 누전 경고 기능이 탑재되는 볼트 절연 모듈
KR20100001822U (ko) 송전선로용 폴리머 피뢰기의 설치대
KR102492787B1 (ko) 가공배전선로용 안전기능 탑재 가공점퍼선 지지기구
KR102334002B1 (ko) 배전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KR200457895Y1 (ko) 관로 설치용 케이블 보호구
JP6126973B2 (ja) 頂部設備取付け装置
JPH0639445Y2 (ja) 碍子支持形変流器
KR200255970Y1 (ko) 선박의 엔진룸의 러너바 장치
CN114486042A (zh) 一种码头缆桩受缆绳拉力监测装置及系统
FI121691B (fi) Päällystettyjen ilmajohtojen liitin
KR20150005792A (ko) 점퍼 지지장치
CN110206796A (zh) 电气设备的固定装置及其固定方法
JP2019133782A (ja) 避雷器の取付用介在器具
JPH0654617B2 (ja) 避雷機能を具備する絶縁支持装置
JPH076645A (ja) アークホーン支持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