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719A - 활선고도 제한 장치 - Google Patents

활선고도 제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719A
KR20170022719A KR1020150118060A KR20150118060A KR20170022719A KR 20170022719 A KR20170022719 A KR 20170022719A KR 1020150118060 A KR1020150118060 A KR 1020150118060A KR 20150118060 A KR20150118060 A KR 20150118060A KR 20170022719 A KR20170022719 A KR 20170022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determined position
hole
main body
protrusion
l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은
Original Assignee
강태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은 filed Critical 강태은
Priority to KR1020150118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2719A/ko
Publication of KR20170022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또는 토목에 사용되는 중장비들의 높이 부재(크레인 등)가 송전선로로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활선고도 제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는 내부가 관통되고, 측면 하부의 소정 위치에 제 1 관통공(120)이 형성되어 있는 봉 형상의 제 1 본체(100)와, 내부가 관통되고, 측면 상부의 소정 위치에 제 1 돌출부(210)가 형성되며, 측면 하부의 소정 위치에 제 2 관통공(220)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본체(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는 봉 형상의 제 2 본체(200)와, 측면 상부의 소정 위치에 제 2 돌출부(310)가 형성되고, 측면 하부의 소정 위치에 복수 개의 제 3 관통공(320)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본체(2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되 상기 제 2 돌출부(310)와 상기 제 3 관통공(320) 사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단차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는 봉 형상의 받침 부재(300)와, 상기 제 1 본체(100)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하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측면 상부는 나사결합되도록 제 1 나사산 및 제 1 나사골(410)로 이루어지며, 상단에는 캡(430)에 의해 연결되는 볼록부(420)를 갖되, 상기 제 1 나사산 및 제 1 나사골(410)로 이루어진 상기 측면 상부와 측면 하부는 단차를 이루는 상부 부재(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활선고도 제한 장치{HOT LINE HEIGHT RESTRI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활선고도 제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또는 토목에 사용되는 중장비들의 높이 부재(크레인 등)가 송전 선로로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활선고도 제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전 선로는 일반적으로 2회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전소와 변전소, 변전소와 변전소간 구성된 선로이다. 송전선의 안전 이격 거리를 유지하지 못하여 매년 10여건 이상의 고장 사고와 인명 사고로 인해 수십억의 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사항으로 안전 이격 거리만 유지하면 예방할 수 있는 사고이다.
도 1은 종래의 활선 구분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섬유질에 도안이나 글 등을 표기하여 철탑의 암 주주재에 활선 구분 장치를 줄로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현재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형태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설치 및 철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설치 후 바람에 의해, 섬유질이나 줄이 철탑의 앵글에 감기는 등 안전장치의 역할에 미흡한 면이 있었다.
또한, 이 외에도, 특별 고압의 활선과 건축 또는 토목에 사용되는 중장비에 각각 센서를 부착한 후, 중장비들의 높이 부재(크레인 등)가 송전 선로로의 접근시 경광등과 부저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중장비들의 높이 부재(크레인 등)가 활선으로의 접근을 미연에 방지하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센서가 고장시 경광등이나 부저가 작동하지 않음으로써, 고압의 전력선으로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휴대가 간편하면서, 송전 선로의 전기 충전 구역에 쉽게 설치하고 철거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편리한 활선고도 제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건축 또는 토목 공사에 사용되는 중장비들의 높이 부재(크레인 등)가 송전 선로로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활선고도 제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는 내부가 관통되고, 측면 하부의 소정 위치에 제 1 관통공(120)이 형성되어 있는 봉 형상의 제 1 본체(100)와, 내부가 관통되고, 측면 상부의 소정 위치에 제 1 돌출부(210)가 형성되며, 측면 하부의 소정 위치에 제 2 관통공(220)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본체(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는 봉 형상의 제 2 본체(200)와, 측면 상부의 소정 위치에 제 2 돌출부(310)가 형성되고, 측면 하부의 소정 위치에 복수 개의 제 3 관통공(320)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본체(2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되 상기 제 2 돌출부(310)와 상기 제 3 관통공(320) 사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단차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는 봉 형상의 받침 부재(300)와, 상기 제 1 본체(100)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하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측면 상부는 나사결합되도록 제 1 나사산 및 제 1 나사골(410)로 이루어지며, 상단에는 캡(430)에 의해 연결되는 볼록부(420)를 갖되, 상기 제 1 나사산 및 제 1 나사골(410)로 이루어진 상기 측면 상부와 측면 하부는 단차를 이루는 상부 부재(4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는, 상기 제 2 본체(200)의 제 1 돌출부(210)는 상기 제 1 본체(100)의 제 1 관통홀(120)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 1 본체(200)와 상기 제 2 본체(200) 사이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받침 부재(300)의 제 2 돌출부(310)는 상기 제 2 본체(200)의 제 2 관통홀(220)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 2 본체(200)와 상기 받침 부재(300) 사이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는, 상기 상부 부재(400)의 상기 제 1 나사산 및 제 1 나사골(410)로 이루어진 상기 측면 상부와 나사결합되는 후크 형상의 걸이 부재(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걸이 부재(500)의 하부의 일 측면에는 내부가 관통된 통 형상의 나사 연결 부재(510)를 가지며, 상기 나사 연결 부재(510)의 내부는 상기 제 1 나사산 및 제 1 나사골(410)과 나사결합되도록 제 2 나사산 및 제 2 나사골(5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이 부재(500)와 상기 상부 부재(400)를 나사결합하여 위치 조정한 후 상기 캡(430)과 상기 걸이 부재(500)의 볼록부(420)를 나사결합함으로써 활선의 두께에 따라 활선으로의 걸림을 조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는, 상기 받침 부재(300)의 제 2 돌출부(310)와 상기 받침 부재(300)의 단차 사이에는 내부가 관통되며 외 측면의 소정 위치에 로프가 연결되도록 복수 개의 제 1 링(610)을 갖는 제 1 로프 연결 부재(6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는, 내부가 관통되고, 측면 하부의 소정 위치에 제 4 관통공(720)이 형성되어 있는 봉 형상의 제 1 바디(711)와, 일 측면 상부의 소정 위치에 제 3 돌출부(710)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바디(71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는 봉 형상의 제 2 바디(721)를 갖는 제 2 로프 연결 부재(7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바디(721)의 타 측면에는 로프가 연결되도록 제 2 링(730)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는, 상기 받침 부재(320)의 복수 개의 제 3 관통공(320)에 상기 제 2 로프 연결 부재(700)의 제 1 바디(711)가 각각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는, 상기 제 1 로프 연결 부재(600)의 복수 개의 제 1 링(610)과 복수 개의 상기 제 2 로프 연결 부재(700)의 제 2 링(730)은 로프가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 또는 토목에 사용되는 중장비들의 높이 부재(크레인 등)가 송전 선로로의 접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의 조립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의 분해된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의 하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의 상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에 4개의 와이어가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에 3개의 와이어가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가 실제 사용된 사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의 조립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의 분해된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1000)는 내부가 관통되고, 측면 하부의 소정 위치에 제 1 관통공(120)이 형성되어 있는 봉 형상의 제 1 본체(100)와, 내부가 관통되고, 측면 상부의 소정 위치에 제 1 돌출부(210)가 형성되며, 측면 하부의 소정 위치에 제 2 관통공(220)이 형성되되, 제 1 본체(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는 봉 형상의 제 2 본체(200)와, 측면 상부의 소정 위치에 제 2 돌출부(310)가 형성되고, 측면 하부의 소정 위치에 복수 개의 제 3 관통공(320)이 형성되며, 제 2 본체(2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되 제 2 돌출부(310)와 제 3 관통공(320) 사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단차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는 봉 형상의 받침 부재(300)와, 제 1 본체(100)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하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측면 상부는 나사결합되도록 제 1 나사산 및 제 1 나사골(410)로 이루어지며, 상단에는 캡(430)에 의해 연결되는 볼록부(420)를 갖되, 제 1 나사산 및 제 1 나사골(410)로 이루어진 측면 상부와 측면 하부는 단차를 이루는 상부 부재(4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1000)는, 제 2 본체(200)의 제 1 돌출부(210)는 제 1 본체(100)의 제 1 관통홀(120)과 결합함으로써 제 1 본체(200)와 제 2 본체(200) 사이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받침 부재(300)의 제 2 돌출부(310)는 제 2 본체(200)의 제 2 관통홀(220)과 결합함으로써 제 2 본체(200)와 받침 부재(300) 사이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1000)의 제 1 본체(100)는 내부가 관통되고, 측면 하부의 소정 위치에 제 1 관통공(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제 2 본체(200)가 삽입되는 내부의 일 측면만 관통될 수도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제 2 본체(200)가 제 1 본체(100) 내부를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 제 2 본체(200)는 내부가 관통되고, 측면 상부의 소정 위치에 제 1 돌출부(210)가 형성되며, 측면 하부의 소정 위치에 제 2 관통공(220)이 형성된다. 여기서도, 받침 부제(300)가 삽입되는 내부의 일 측면만 관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2 본체(200)는 제 1 본체(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받침 부재(300)는 측면 상부의 소정 위치에 제 2 돌출부(310)가 형성되고, 측면 하부의 소정 위치에 복수 개의 제 3 관통공(3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러한 받침 부재(300)의 상부는 제 2 본체(2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되, 제 2 돌출부(310)와 제 3 관통공(320) 사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단차에 의해 이동이 저지된다.
한편, 상부 부재(400)는 제 1 본체(100)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하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측면 상부는 나사결합되도록 제 1 나사산 및 제 1 나사골(41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부 부재(400)의 오목부 내에는 제 1 본체(100)의 상부가 삽입된다. 이러한 오목부 내로 제 1 본체(1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오목부 내면과 제 1 본체(100)의 외면이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산 및 나사골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부 부재(400)의 상단에는 캡(430)에 의해 연결되는 볼록부(420)를 가지며, 제 1 나사산 및 제 1 나사골(410)로 이루어진 측면 상부와 측면 하부는 단차를 이룬다. 이와 같은 단차 상부에는 제 1 나사산 및 제 1 나사골(410)로 이루어지며, 단차 하부는 제 1 본체(100)의 상부가 삽입되기 위해 오목부가 형성된다.
또한,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와, 받침 부재(300)는 스틸, 세라믹,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와, 받침 부재(300)가 본 실시예에서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 형상, 오각 형상, 육각 형상 등의 다각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의 하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1000)는, 받침 부재(300)의 제 2 돌출부(310)와 받침 부재(300)의 단차 사이에, 내부가 관통되며 외 측면의 소정 위치에 로프가 연결되도록 복수 개의 제 1 링(610)을 갖는 제 1 로프 연결 부재(600)를 포함한다. 도 3에서는 이러한 제 1 로프 연결 부재(600)를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4개를 사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의 복수 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1000)는, 내부가 관통되고, 측면 하부의 소정 위치에 제 4 관통공(720)이 형성되어 있는 봉 형상의 제 1 바디(711)와, 일 측면 상부의 소정 위치에 제 3 돌출부(710)가 형성되며, 제 1 바디(71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는 봉 형상의 제 2 바디(721)를 갖는 제 2 로프 연결 부재(7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로프 연결 부재(600)와 제 2 로프 연결 부재(700)는 스틸, 세라믹,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바디(721)의 타 측면에는 로프가 연결되도록 제 2 링(730)을 가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링(610)과 제 2 링(730)은 로프에 의해 연결된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의 상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1000)는, 상부 부재(400)의 제 1 나사산 및 제 1 나사골(410)로 이루어진 측면 상부와 나사결합되는 후크 형상의 걸이 부재(500)를 더 포함하되, 걸이 부재(500)의 하부의 일 측면에는 내부가 관통된 통 형상의 나사 연결 부재(510)를 가진다.
이러한, 나사 연결 부재(510)의 내부는 제 1 나사산 및 제 1 나사골(410)과 나사결합되도록 제 2 나사산 및 제 2 나사골(520)로 이루어지며, 걸이 부재(500)와 상부 부재(400)를 나사결합하여 위치 조정한 후 캡(430)과 걸이 부재(500)의 볼록부(420)를 나사결합함으로써 활선의 두께에 따라 활선으로의 걸림을 조정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걸이 부재(500)의 나사 연결 부재(510)를 상부 부재(400)의 볼록부(420)에 나사결합하고, 캡(420)을 상부 부재(400)의 볼록부(420)에 나사결합하게 된다. 즉, 상부 부재(400)의 볼록부(420)에 걸이 부재(500)의 나사 연결 부재(510)와, 캡(420)을 순차적으로 나사결합한다. 이후, 걸이 부재(500)를 활선에 걸고, 활선의 두께에 따라 나사 연결 부재(510)와, 캡(420)의 나사조절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이때, 걸이 부재(500)의 후크 형상이 활선에 걸려있기 때문에, 상부 부재(400)를 회전시키면서 상부 부재(400)의 볼록부(420)와, 나사 연결 부재(510) 및 캡(420)과의 나사결합 위치 조정을 하게 된다. 또는, 캡(420)이 상부 부재(400)의 볼록부(420)에 완전히 밀착결합 시킨 상태에서 나사 연결 부재(510)만을 회전시키면서 활선의 두께에 따라 활선으로의 걸림을 조정할 수도 있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에 4개의 와이어가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에 3개의 와이어가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1000)는, 받침 부재(320)의 복수 개의 제 3 관통공(320)에 제 2 로프 연결 부재(700)의 제 1 바디(711)가 각각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1000)는, 제 1 로프 연결 부재(600)의 복수 개의 제 1 링(610)과 복수 개의 제 2 로프 연결 부재(700)의 제 2 링(730)은 로프가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각각 연결된다.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가 실제 사용된 사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1000)는, 송전 선로 1회선의 하단 선에 6m 간격으로 설치하고 2회선도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하며, 예를 들어 고소 공사 현장 반경이 10m일 경우, 경구 6m 간격으로 3개씩 설치 송전 선로 밑 부분에 방사형 그물망처럼 설치하여 밑면과 측방에서 사용하는 크레인 등의 고소 장비가 전력선에 근접하지 뭇 하도록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선고도 제한 장치(100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와, 받침 부재(300)와, 상부 부재(400)를 순차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받침 부재(300)의 제 2 돌출부(310)와 받침 부재(300)의 단차 사이에, 제 1 로프 연결 부재(600)를 함게 연결한다. 다음, 상부 부재(400)의 볼록부(420)에 걸이 부재(500)의 나사 연결 부재(510)와, 캡(420)을 순차적으로 나사결합한다. 이후, 걸이 부재(500)를 활선에 걸고, 활선의 두께에 따라 나사 연결 부재(510)와, 캡(420)의 나사조절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또는 캡(420)이 상부 부재(400)의 볼록부(420)에 완전히 밀착결합 시킨 상태에서 나사 연결 부재(510)만을 회전시키면서 활선의 두께에 따라 활선으로의 걸림을 조정한다. 이후, 제 2 로프 연결 부재(700)를 복수 개의 제 3 관통공(320)에 각각 연결하고, 제 1 로프 연결 부재(600)의 복수 개의 제 1 링(610)과 복수 개의 제 2 로프 연결 부재(700)의 제 2 링(730)을 로프가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각각 연결함으로써 사용하게 된다. 물론, 우선적으로, 제 2 로프 연결 부재(700)를 복수 개의 제 3 관통공(320)에 각각 연결하고, 제 1 로프 연결 부재(600)의 복수 개의 제 1 링(610)과 복수 개의 제 2 로프 연결 부재(700)의 제 2 링(730)을 로프가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각각 연결한 후, 상부 부재(400)의 볼록부(420)에 걸이 부재(500)의 나사 연결 부재(510)와, 캡(420)을 순차적으로 나사결합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건축 또는 토목 공사에 사용되는 중장비들의 높이 부재(크레인 등)가 송전선로로의 접근시 제 2 로프 연결 부재(700)에 의해 접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 1 본체
120 : 제 1 관통공
200 : 제 2 본체
210 : 제 1 돌출부
220 : 제 2 관통공
300 : 받침 부재
310 : 제 2 돌출부
320 : 제 3 관통공
400 : 상부 부재
410 : 제 1 나사산 및 제 1 나사골
420 : 볼록부
430 : 캡
500 : 걸이 부재
510 : 나사 연결 부재
520 : 제 2 나사산 및 제 2 나사골
600 : 제 1 로프 연결 부재
610 : 제 1 링
700 : 제 2 로프 연결 부재
710 : 제 3 돌출부
711 : 제 1 바디
720 : 제 4 관통공
721 : 제 2 바디
730 : 제 2 링
1000 : 활선고도 제한 장치

Claims (7)

  1. 내부가 관통되고, 측면 하부의 소정 위치에 제 1 관통공(120)이 형성되어 있는 봉 형상의 제 1 본체(100)와,
    내부가 관통되고, 측면 상부의 소정 위치에 제 1 돌출부(210)가 형성되며, 측면 하부의 소정 위치에 제 2 관통공(220)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본체(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는 봉 형상의 제 2 본체(200)와,
    측면 상부의 소정 위치에 제 2 돌출부(310)가 형성되고, 측면 하부의 소정 위치에 복수 개의 제 3 관통공(320)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본체(2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되 상기 제 2 돌출부(310)와 상기 제 3 관통공(320) 사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단차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는 봉 형상의 받침 부재(300)와,
    상기 제 1 본체(100)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하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측면 상부는 나사결합되도록 제 1 나사산 및 제 1 나사골(410)로 이루어지며, 상단에는 캡(430)에 의해 연결되는 볼록부(420)를 갖되, 상기 제 1 나사산 및 제 1 나사골(410)로 이루어진 상기 측면 상부와 측면 하부는 단차를 이루는 상부 부재(400)를 포함하는 활선고도 제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200)의 제 1 돌출부(210)는 상기 제 1 본체(100)의 제 1 관통홀(120)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 1 본체(200)와 상기 제 2 본체(200) 사이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받침 부재(300)의 제 2 돌출부(310)는 상기 제 2 본체(200)의 제 2 관통홀(220)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 2 본체(200)와 상기 받침 부재(300) 사이의 길이 조정이 가능한 활선고도 제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400)의 상기 제 1 나사산 및 제 1 나사골(410)로 이루어진 상기 측면 상부와 나사결합되는 후크 형상의 걸이 부재(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걸이 부재(500)의 하부의 일 측면에는 내부가 관통된 통 형상의 나사 연결 부재(510)를 가지며, 상기 나사 연결 부재(510)의 내부는 상기 제 1 나사산 및 제 1 나사골(410)과 나사결합되도록 제 2 나사산 및 제 2 나사골(5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이 부재(500)와 상기 상부 부재(400)를 나사결합하여 위치 조정한 후 상기 캡(430)과 상기 걸이 부재(500)의 볼록부(420)를 나사결합함으로써 활선의 두께에 따라 활선으로의 걸림을 조정하는 활선고도 제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부재(300)의 제 2 돌출부(310)와 상기 받침 부재(300)의 단차 사이에는 내부가 관통되며 외 측면의 소정 위치에 로프가 연결되도록 복수 개의 제 1 링(610)을 갖는 제 1 로프 연결 부재(600)를 포함하는 활선고도 제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되고, 측면 하부의 소정 위치에 제 4 관통공(720)이 형성되어 있는 봉 형상의 제 1 바디(711)와,
    일 측면 상부의 소정 위치에 제 3 돌출부(710)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바디(71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는 봉 형상의 제 2 바디(721)를 갖는 제 2 로프 연결 부재(7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바디(721)의 타 측면에는 로프가 연결되도록 제 2 링(730)을 갖는 활선고도 제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부재(320)의 복수 개의 제 3 관통공(320)에 상기 제 2 로프 연결 부재(700)의 제 1 바디(711)가 각각 연결되는 활선고도 제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프 연결 부재(600)의 복수 개의 제 1 링(610)과 복수 개의 상기 제 2 로프 연결 부재(700)의 제 2 링(730)은 로프가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각각 연결되는 활선고도 제한 장치.
KR1020150118060A 2015-08-21 2015-08-21 활선고도 제한 장치 KR20170022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060A KR20170022719A (ko) 2015-08-21 2015-08-21 활선고도 제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060A KR20170022719A (ko) 2015-08-21 2015-08-21 활선고도 제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719A true KR20170022719A (ko) 2017-03-02

Family

ID=5842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060A KR20170022719A (ko) 2015-08-21 2015-08-21 활선고도 제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27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548A (ko) * 2019-04-04 2020-10-14 한국전력공사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548A (ko) * 2019-04-04 2020-10-14 한국전력공사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9374B2 (en) System with a suspension device and a rail
US20210148532A1 (en) Elevated structure-mounted lighting system
CN104482374A (zh) 监控摄像机用安装装置
US9199830B2 (en) Hois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2348452B1 (ko)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CN205654060U (zh) 一种可伸缩高空施工通道
KR20170022719A (ko) 활선고도 제한 장치
US8158882B1 (en) Electrical box hanger
DE202013101217U1 (de) Gerüstanker
US8076573B1 (en) Electrical box hanger
CN207228650U (zh) 结构物的临时孔洞盖板
JP6459111B2 (ja) 支持脚
KR20120095092A (ko) 송전 철탑 인상 장치
KR20100103177A (ko) 타워 크레인 작업 지지 장치
CN207053113U (zh) 一种用于桥架的支撑装置
KR200489675Y1 (ko) 현수막 거치장치
KR20120021104A (ko)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CN206099128U (zh) 一种改进的变电站底座
CA2818649A1 (en) Removable crane boom lifeline system
CN105540459A (zh) 一种塔式起重机附着伸缩撑杆
CN107785802A (zh) 一种变电站底座及其制造方法
KR20150055907A (ko)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
ITVA20110018U1 (it) Palo di ancoraggio universale per tetti
NO334502B1 (no) Opphengsanordning for lysarmatur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