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675Y1 - 현수막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현수막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675Y1
KR200489675Y1 KR2020170006856U KR20170006856U KR200489675Y1 KR 200489675 Y1 KR200489675 Y1 KR 200489675Y1 KR 2020170006856 U KR2020170006856 U KR 2020170006856U KR 20170006856 U KR20170006856 U KR 20170006856U KR 200489675 Y1 KR200489675 Y1 KR 200489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wall
vertical member
fix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755U (ko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6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675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7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7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6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서는 벽체에 결합되는 벽체 체결부; 및 벽체 체결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현수막이 설치되는 현수막 고정부;를 포함하는, 현수막 거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안전하고 용이하게 현수막을 게시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현수막 거치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a banner}
본 고안은 현수막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면 현수막 게시작업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현수막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현수막은 게시대를 설치하여 게시하거나 건물 외벽에 못과 같은 고정체를 이용하여 현수막 양끝단에 철사 등으로 고정하는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이 경우, 게시대 설치나 고정체의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현수막을 교체도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현수막을 건물 외벽면에 게시하기 위해서는 사다리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설치자가 현수막 설치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사다리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현수막을 게시하는 경우는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고소작업시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30104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건물 외벽면 현수막 게시작업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고소작업에 따른 안전 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현수막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장치는, 벽체에 결합되는 벽체 체결부; 및 벽체 체결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현수막이 설치되는 현수막 고정부;를 포함한다.
벽체 체결부는, 내측 벽체에 접하는 제1수직부재와, 제1수직부재의 상측단과 일단이 연결되고, 수평방향으로 내측 벽체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부재와, 수평부재의 타측단과 일단이 연결되고, 외측 벽체에 접하도록 수직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수직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수직부재와 제2수직부재의 이격거리는, 벽체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현수막 고정부는, 제2수직부재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 끼움부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수직부재는, 상부 끼움부의 하측에는 하부 끼움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현수막 고정부는, 현수막의 일단이 로프에 의해 고정되도록 고정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현수막 고정부는, 봉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끼움부는, 봉형의 현수막 고정부가 끼워지도록 링형이며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현수막 고정부는, 일측 외주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고정핀에 의해 제2수직부재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고정부는, 상측단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장치에 포함된 제1 및 제2수직부재와 수평부재는, 벽체에 볼트로 장착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ㄷ'형의 벽체 체결부를 구비하고 현수막 고정부를 체결함으로써 현수막 게시작업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현수막 고정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길이의 현수막을 게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장치가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장치에 구비된 현수막 고정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장치에 현수막이 게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장치가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장치에 구비된 현수막 고정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장치에 현수막이 게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장치(100)는, 벽체에 결합되는 벽체 체결부(110)와, 벽체 체결부(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현수막이 설치되는 현수막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벽체 체결부(110)는, 옥상에 형성된 수직 벽체에 상측에서 끼워져 체결되도록 대략 'ㄷ'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이 하측방향으로 벽체에 삽입되게 된다.
일실시예로서, 벽체 체결부(110)는, 내측 벽체에 접하는 제1수직부재(111)와, 외측 벽체에 접하는 제2수직부재(115)와, 제1수직부재(111) 및 제2수직부재(115)의 상측단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부재(113)을 포함한다.
제1수직부재(111)는, 볼트에 의해 내측 벽체에 접하며 설치되고, 상측단은 수평부재(113)의 일측단과 연결된다.
수평부재(113)는, 제1수직부재(111)의 상측단과 일단이 연결되고, 수평방향으로 내측 벽체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볼트 체결부(113a)가 구비되어 벽체 상측면에 설치된다.
제2수직부재(115)는, 수평부재(113)의 타측단과 일단이 연결되고, 수직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볼트에 의해 벽체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수직부재(111)와 제2수직부재(115)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이격거리는, 벽체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벽체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장치에 포함된 현수막 고정부(120)는, 현수막의 양측단이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벽체 체결부(110)의 일측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수직부재(115)는 상측에 상부 끼움부(117)가 구비되고, 상부 끼움부(117)의 하측에는 하부 끼움부(118)가 구비되어 현수막 고정부(120)가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상기 결합구조의 일실시예를 살펴본다.
현수막 고정부(120)는, 현수막의 일단이 로프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링(123)이 구비된다.
또한, 현수막 고정부(120)는, 봉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끼움부(117) 및 하부 끼움부(118)는, 봉형의 현수막 고정부(120)가 끼워지도록 링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끼움부(117)이며 일측이 개방되도록 개방슬릿(117a)가 구비되는데, 봉형의 현수막 고정부(120)의 하측단이 먼저 링형의 상부 끼움부(117)에 끼워져 하강하면서 고정링(123)이 부착된 위치가 개방슬릿(117a)를 통과하며 더 하강할 수 있게 되며 하측 고정링(123)이 하부 끼움부(118)에 맞닿으면서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부 끼움부(117)에만 개방슬릿(117a)이 형성되고 하부 끼움부(118)는 개방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수막 고정부(120)가 삽입후 정지되며 안착되게 된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현수막 고정부(120)가 봉형으로 형성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의 현수막(210)을 게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현수막 고정부(120)는, 현수막의 길이에 맞게 회전한 다음 위치를 고정할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수막 고정부(120)의 일측 외주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제2수직부재(115)에도 삽입홈을 구비하여 고정핀(미도시)을 고정홈과 삽입홈을 관통시켜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는, 하부 끼움부(118)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슬롯(미도시)을 형성하고 현수막 고정부(120)가 소정각도로 회전한 다음 현수막 고정부(120)의 하측 고정링(123)을 소정위치의 수직슬롯(미도시)에 삽입함으로써 현수막 고정부(120)가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고정부(120)는, 상측단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121)가 형성되어 상부 끼움부(117) 및 하부 끼움부(118)에 끼우는 동작이나 현수막 고정부(120)의 회전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장치(100)는, 벽체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ㄷ' 형상의 벽체 체결부(110)가 구비되고, 봉형의 현수막 고정부(120)가 간편하게 벽체 체결부(110)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현수막 게시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봉형의 현수막 고정부(120)를 회전시켜 소정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길이의 현수막을 게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현수막 거치장치
110: 벽체 체결부
111: 제1수직부재
113: 수평부재
115: 제2수직부재
117: 상부 끼움부
117a: 개방슬릿
118: 하부 끼움부
120: 현수막 고정부
123: 고정링

Claims (10)

  1. 벽체에 결합되는 벽체 체결부; 및
    벽체 체결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현수막이 설치되는 현수막 고정부;를 포함하고,
    벽체 체결부는,
    내측 벽체에 접하는 제1수직부재와,
    제1수직부재의 상측단과 일단이 연결되고, 수평방향으로 내측 벽체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부재와,
    수평부재의 타측단과 일단이 연결되고, 외측 벽체에 접하도록 수직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제1수직부재와 제2수직부재의 이격거리는,
    벽체의 두께에 대응되고,
    현수막 고정부는,
    제2수직부재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 끼움부에 삽입 설치되고,
    제2수직부재는,
    상부 끼움부의 하측에는 하부 끼움부가 구비되며,
    현수막 고정부는,
    현수막의 일단이 로프에 의해 고정되도록 고정링이 더 구비되는, 현수막 거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현수막 고정부는,
    봉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끼움부는,
    봉형의 현수막 고정부가 끼워지도록 링형이며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현수막 거치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현수막 고정부는,
    일측 외주면에 고정홈이 더 형성되고,
    고정핀에 의해 제2수직부재에 고정되는, 현수막 거치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현수막 고정부는,
    상측단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가 더 형성되는, 현수막 거치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및 제2수직부재와 수평부재는,
    벽체에 볼트로 장착되는, 현수막 거치장치.
KR2020170006856U 2017-12-29 2017-12-29 현수막 거치장치 KR200489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856U KR200489675Y1 (ko) 2017-12-29 2017-12-29 현수막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856U KR200489675Y1 (ko) 2017-12-29 2017-12-29 현수막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55U KR20190001755U (ko) 2019-07-09
KR200489675Y1 true KR200489675Y1 (ko) 2019-10-01

Family

ID=6722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856U KR200489675Y1 (ko) 2017-12-29 2017-12-29 현수막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67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497Y1 (ko) 1999-05-03 2000-05-15 박진우 현수막 걸이장치
US20020170217A1 (en) 2001-05-15 2002-11-21 Nelson Ned H. Banner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104Y1 (ko) 2006-06-12 2006-11-13 김재규 현수막 거치대
KR101010303B1 (ko) * 2008-10-15 2011-01-25 이의근 안테나 지지용 기구
KR101232227B1 (ko) * 2010-11-30 2013-02-12 한신안전산업(주) 안전네트 유닛
KR200480893Y1 (ko) * 2015-11-24 2016-07-21 배영진 난간 또는 가드레일의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497Y1 (ko) 1999-05-03 2000-05-15 박진우 현수막 걸이장치
US20020170217A1 (en) 2001-05-15 2002-11-21 Nelson Ned H. Banner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55U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435979U (zh) 一种电力设施的安装保护装置
CN104895400A (zh) 一种将刚性栅栏固定在支柱上的固定装置
CN203808591U (zh) 升降式电缆承重架
KR200489675Y1 (ko) 현수막 거치장치
CN203079194U (zh) 一种皮带机与防尘罩连接结构
CN204703480U (zh) 一种建筑用组合支撑结构
RU167281U1 (ru) Траверса опоры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CN106305692A (zh) 多用途吓鸟装置
CN204732114U (zh) 一种升降式广告牌
CN106241625A (zh) 安装圆盘瞭望台的塔式起重机
CN105863192B (zh) 一种阳台护栏
KR20120095092A (ko) 송전 철탑 인상 장치
KR20100103177A (ko) 타워 크레인 작업 지지 장치
KR20130129151A (ko) 건설용 시스템서포트의 클램프
CN209402118U (zh) 街码
CN208749149U (zh) 一种便于拆装的工具式楼梯
CN206376885U (zh) 一种隧道钢拱架定位装置
CN105257966A (zh) 输配电设备台架
CN105703271A (zh) 一种更换架空地线悬垂线夹及金具的专用工具
CN203963856U (zh) 施工现场用大灯灯架
CN104652836B (zh) 一种快装式楼边防护栏固定装置及其防护栏施工方法
CN208561404U (zh) 扶梯的外盖板支撑支架
CN203880641U (zh) 一种草坪灯的安装架
CN110005195B (zh) 一种用于混凝土模板快速安装拆卸的支撑机构
CN204345208U (zh) 一种球形摄像机安装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