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1104A -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1104A
KR20120021104A KR1020100085157A KR20100085157A KR20120021104A KR 20120021104 A KR20120021104 A KR 20120021104A KR 1020100085157 A KR1020100085157 A KR 1020100085157A KR 20100085157 A KR20100085157 A KR 20100085157A KR 20120021104 A KR20120021104 A KR 20120021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pylon
support
spheric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6495B1 (ko
Inventor
김승환
김세원
강성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00085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4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E04H12/348Arrangements for demolition tower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42Rigid mas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n a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철탑과 신철탑을 연결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에 있어서, 신철탑 주주재의 외곽을 감싸는 신철탑측 고정부; 구철탑 주주재의 외곽을 감싸는 구철탑측 고정부; 신철탑측 고정부와 연결되어 신철탑 주주재를 고정시키는 신철탑측 지지부; 구철탑측 고정부와 연결되어 구철탑 주주재를 고정시키는 구철탑측 지지부; 및 신철탑측 고정부와 구철탑측 고정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일측이 신철탑측 지지부와 결합되며 타측이 구철탑측 지지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CONNECTION SUPPORT APPARATUS FOR CHANGING PYLON}
본 발명은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철탑의 높이를 증설하거나 철탑을 교체하기 위해 신철탑과 구철탑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탑은 철골이나 철주를 소재로 한 탑으로 주로 송전 선로의 지지물로 사용된다. 철탑의 형태는 선로의 송전 전력, 전압, 지형 등에 따라 다르다. 만들어진 탑을 말한다.
철탑의 높이는 60m나 되는 것도 있고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로 100m 이상이 되는 것도 있다. 철탑의 재료는 단면이 L 형상인 강재이며, 수평 단면이 정사각형인 것이 많다. 철탑의 기초는 정사각형의 정점(頂點)에 콘크리트로 굳혀서 만든다.
송전 선로의 철탑은 보통 3상 2회선, 즉 6개의 전선을 애자로 지지하고 있다. 철탑 사이의 거리는 300 ~ 400m이고, 철탑에 가설된 전선의 지표로부터 최저 높이는 전기 설비 기술에 의해 지형별로 안전 이격 거리를 더하여 정해진다.
철탑은 60 ~ 70년대 경제개발 도약기에 건설되어 송전선 하부의 수목 성장과 건축물의 신증축 등 주변 개발로 안전 이격 거리가 부족한 철탑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철탑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에는 설비의 고장과 인축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게 되므로 철탑을 교체하거나 높이를 증가해야 한다.
이때, 송전 선로와 지상 간의 안전 이격 거리 확보를 위한 철탑 교체 방법은 대부분의 송전 선로 전부를 휴전하거나 전력을 계속 공급하기 위해 공사 구간을 우회하는 선로를 임시로 설치한 후에 해당 철탑을 교체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철탑 교체 방법은 막대한 건설 비용이 소요되며, 철탑 용지난 심화로 정확한 시기에 철탑을 교체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이미 설치된 기존의 철탑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공법활선계탑공법을 적용하는데 신철탑의 절반만 조립하는 과정에서 신철탑의 주주재가 흔들림이 발생한다. 종래의 철탑을 교체하거나 높이를 증설하는 방법은 철탑의 주주재에 철사로 묶어 고정해서 교체하여 고정부가 흔들리고 장악력이 부족하여 철탑을 교체하는데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철탑에서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 또는 진동 등에 흔들리지 않도록 철탑의 주주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풍압하중 및 철탑자중을 견딜 수 있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철탑과 신철탑을 연결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철탑과 신철탑을 연결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에 있어서, 신철탑 주주재의 외곽을 감싸는 신철탑측 고정부; 구철탑 주주재의 외곽을 감싸는 구철탑측 고정부; 상기 신철탑측 고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신철탑 주주재를 고정시키는 신철탑측 지지부; 상기 구철탑측 고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철탑 주주재를 고정시키는 구철탑측 지지부; 및 상기 신철탑측 고정부와 상기 구철탑측 고정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일측이 신철탑측 지지부와 결합되며 타측이 구철탑측 지지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신철탑측 지지부는 절곡되어 형성되며, 제1 지탱면과 제1 이탈 방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철탑측 지지부는 절곡되어 형성되며 제2 지탱면과 제2 이탈 방지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신철탑측 지지부 및 상기 구철탑측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봉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봉의 일측은 상기 제1 지탱면과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봉의 타측은 상기 제2 지탱면의 일측과 결합되고, 상기 제2 연결봉의 일측은 상기 제1 연결봉의 일측과 인접하게 상기 제1 지탱면과 결합되며, 상기 제2 연결봉의 타측은 상기 제2 지탱면의 타측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봉의 일측 각각은 상기 제1 지탱면과 볼트 결합한다.
한편, 상기 구철탑측 지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봉가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연결봉의 타측은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지탱면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신철탑측 고정부는 횡단면이 L 형상인 상기 신철탑 주주재의 제1 측면과 접촉하는 제1 신철탑측 접촉봉 및 상기 신철탑 주주재의 제2 측면과 접촉하는 제2 신철탑측 접촉봉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신철탑측 접촉봉과 상기 제2 신철탑측 접촉봉은 제1 접촉부와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 신철탑측 접촉봉의 일측은 상기 제1 접촉부를 관통하여 제1 체결 너트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제2 신철탑측 접촉봉의 일측은 상기 제1 접촉부에 형성된 제1 체결홈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이탈 방지면에는 상기 제1 신철탑측 접촉봉 및 상기 제2 신철탑측 접촉봉 각각이 삽입되는 제1 신철탑측 삽입홀 및 제2 신철탑측 삽입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신철탑측 접촉봉 및 상기 제2 신철탑측 접촉봉 각각의 타측은 상기 제1 신철탑측 삽입홀 및 상기 제2 신철탑측 삽입홀 각각을 관통하여 조절 너트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신철탑측 접촉봉 및 제2 신철탑측 접촉봉의 타측은 나사선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신철탑 주주재의 크기에 따라 조절 너트가 체결된다.
한편, 상기 구철탑측 고정부는 횡단면이 L 형상인 상기 구철탑 주주재의 제1 측면과 접촉하는 제1 구철탑측 접촉봉 및 상기 구철탑 주주재의 제2 측면과 접촉하는 구철탑측 접촉봉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구철탑측 접촉봉과 상기 제2 구철탑측 접촉봉은 제2 접촉부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구철탑측 접촉봉의 일측은 상기 제2 접촉부를 관통하여 제2 체결 너트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제2 구철탑측 접촉봉의 일측은 상기 제2 접촉부에 형성된 제2 체결홈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이탈 방지면에는 상기 제1 구철탑측 접촉봉 및 제2 구철탑측 접촉봉 각각이 삽입되는 제1 구철탑측 삽입홀 및 제2 구철탑측 삽입홀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구철탑측 접촉봉 및 상기 제2 구철탑측 접촉봉 각각의 타측은 상기 제1 구철탑측 삽입홀 및 상기 제2 구철탑측 삽입홀 각각을 관통하여 조절 너트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 구철탑측 접촉봉 및 제2 구철탑측 접촉봉의 타측은 나사선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구철탑 주주재의 크기에 따라 조절 너트가 체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는 송전 선로의 전압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되는 철탑에서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는 바람 또는 진동 등에 흔들리지 않도록 철탑의 주주재를 고정하므로 장악력이 우수하여 용이하게 철탑을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는 신철탑과 구철탑 간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는 풍압하중 및 철탑하중을 견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가 신철탑 주주재 및 구철탑 주주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의 고정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의 신철탑측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의 결합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의 연장부, 체결부, 결합 볼트 및 결합 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의 구철탑측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가 신철탑 주주재 및 구철탑 주주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100)는 구철탑에서 신철탑으로 교체하기 위해 구철탑 주주재(50) 및 신철탑 주주재(30)와 체결되어 구철탑 주주재(50) 및 신철탑 주주재(30)의 간격을 유지한다. 이를 위해,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100)는 신철탑측 고정부(110), 신철탑측 지지부(160), 결합부(200), 구철탑측 고정부(310) 및 구철탑측 지지부(360)를 포함한다.
신철탑측 고정부(110)는 신철탑 주주재(30)의 외곽을 감싸며 형성한다. 이를 위해, 신철탑측 고정부(110)는 제1 신철탑측 접촉봉(120), 제1 접촉부(140) 및 제2 신철탑측 접촉봉(130)을 포함한다.
제1 신철탑측 접촉봉(120)은 신철탑 주주재(30)의 일측과 접촉한다. 제1 신철탑측 접촉봉(120)은 신철탑 주주재(30)의 크기에 따라 제1 조절 너트(127)를 조절하여 신철탑측 지지부(160)를 통해 신철탑 주주재(30)를 고정시킨다.
제1 접촉부(140)는 제1 신철탑측 접촉봉(120)과 제2 신철탑측 접촉봉(130)을 결합한다. 즉, 제1 신철탑측 접촉봉(120)은 제1 접촉부(140)의 일측을 관통하여 제1 체결 너트(149)가 체결되어 제1 접촉부(140)와 결합된다. 제2 신철탑측 접촉봉(130)은 제1 접촉부(140)의 타측에 삽입되어 제1 접촉부(140)와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신철탑측 접촉봉(120)과 제2 신철탑측 접촉봉(130)은 제1 접촉부(140)를 통해 결합된다.
제2 신철탑측 접촉봉(130)은 신철탑 주주재(30)의 타측과 접속하여 제2 조절 너트(137)를 조절하여 신철탑측 지지부(160)와 신철탑 주주재(30)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신철탑측 고정부(110)는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신철탑측 지지부(160)는 신철탑측 고정부(110)를 통해 신철탑 주주재(30)를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신철탑측 지지부(160)는 신철탑측 고정부(110) 및 결합부(200)의 일측과 연결된다. 신철탑측 지지부(160)는 절곡되어 제1 지탱면(180) 및 제1 이탈 방지면(170)으로 이루어진다. 즉, 신철탑측 지지부(160)의 제1 지탱면(180)는 결합부(200)의 일측과 결합되며, 제1 이탈 방지면(170)은 신철탑측 고정부(110)가 관통하여 신철탑측 고정부(110)와 결합된다. 신철탑측 지지부(160)와 신철탑측 고정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L 형상인 신철탑 주주재(30)를 고정하기 위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신철탑측 지지부(160)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결합부(200)는 구철탑에서 신철탑으로 교체하기 위해 구철탑 주주재(50)와 신철탑 주주재(30)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철탑 주주재(50)와 신철탑 주주재(30) 사이에 형성된다. 결합부(200)는 신철탑측 지지부(160)와 구철탑측 지지부(360)와 연결되는 제1 연결봉(210) 및 제2 연결봉(230)을 포함한다. 제1 연결봉(210)의 일측은 제2 연결봉(230)의 일측과 인접하게 형성된다. 제1 연결봉(210) 및 제2 연결봉(230)의 일측은 신철탑측 지지부(160)의 제1 지탱면(180)과 결합된다.
이때, 제1 연결봉(210) 및 제2 연결봉(230)의 일측을 제1 지탱면(180)과 결합시키기 위해 결합부(200)는 제1 및 제2 결합 볼트(183, 187) 및 제1 및 제2 결합 너트(185, 189)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결합 볼트(183, 187) 각각은 제1 지탱면(180)을 관통하여 제1 및 제2 결합 너트(185, 189) 각각과 결합된다. 제1 및 제2 결합 볼트(183, 187) 각각은 제1 및 제2 연장부(191, 195) 각각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연장부(191, 195)와 제1 지탱면(180)을 결합시킨다.
제1 연장부(191)와 제1 체결부(193)는 제1 연결 볼트(241) 및 제1 연결 너트(243)를 통해 체결되고, 제2 연장부(195)와 제2 체결부(197)는 제2 연결 볼트(245) 및 제2 연결 너트(247)를 통해 체결된다. 제1 체결부(193)는 제1 연결봉(210)의 일측과 결합되며, 제2 체결부(197)는 제2 연결봉(230)의 타측과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연결봉(210)은 제1 지탱면(180)과 제1 연장부(191) 및 제1 체결부(193)를 통해 결합되며 제2 연결봉(230)은 제2 지탱면(380)과 제2 연장부(195) 및 제2 체결부(197)를 통해 결합된다.
제1 연결봉(210) 및 제2 연결봉(230)의 타측은 구철탑측 지지부(360)의 제2 지탱면(380)과 결합된다. 제1 연결봉(210) 및 제2 연결봉(230)의 타측은 제2 지탱면(380)과 제1 및 제2 돌출부(383, 385)를 통해 결합된다. 이때, 제1 및 제2 돌출부(383, 385) 각각은 제2 지탱면(380)과 결합되기 위해 제2 지탱면(380)과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봉(210)의 타측은 제2 지탱면(380)의 일측과 결합되며, 제2 연결봉(230)의 타측은 제2 지탱면(380)이 타측과 결합된다. 즉, 제1 연결봉(210) 및 제2 연결봉(230)은 이격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봉(210), 제2 연결봉(230) 및 구철탑측 지지부(360)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200)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구철탑측 고정부(310)는 구철탑 주주재(50)의 외곽을 감싸며 제1 구철탑측 접촉봉(320), 제2 접촉부(340) 및 제2 구철탑측 접촉봉(330)을 포함한다.
제1 구철탑측 접촉봉(320)은 구철탑 주주재(50)의 일측과 접촉하며, 제2 구철탑측 접촉봉(330)은 구철탑 주주재(50)의 타측과 접촉한다.
제1 구철탑측 접촉봉(320) 및 제2 구철탑측 접촉봉(330)은 구철탑 주주재(50)의 크기에 따라 제3 조절 너트(327) 및 제4 조절 너트(337)를 조절하여 구철탑측 지지부(360)를 통해 구철탑 주주재(50)를 고정시킨다.
제1 구철탑측 접촉봉(320)은 제2 구철탑측 접촉봉(330)과 제2 접촉부(340)를 통해 결합된다. 제1 구철탑측 접촉봉(320)의 일측은 제2 접촉부(340)를 관통하여 제2 체결 너트를 통해 결합되며, 제2 구철탑측 접촉봉(330)의 일측은 제2 접촉부(340)에 삽입외어 제2 접촉부(340)와 결합된다.
구철탑측 지지부(360)는 구철탑 주주재(50)를 고정하기 위해 결합부(200) 및 구철탑측 고정부(310)와 연결된다. 구철탑측 지지부(360)는 절곡되어 제2 지탱면(380) 및 제2 이탈 방지면(370)으로 이루어진다. 구철탑측 지지부(360)의 제2 지탱면(380)은 결합부(200)의 타측과 결합되며, 제2 이탈 방지면(370)은 구철탑측 고정부(310)가 관통하여 결합된다. 구철탑측 지지부(360)와 구철탑측 고정부(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철탑 주주재(50)를 고정하기 위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철탑측 고정부(310)는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100)는 구철탑을 신철탑으로 교체하는 방법 중 하나인 활선계탑공법에서 사용하여 용이하게 구철탑을 신첩탑으로 교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의 고정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신철탑측 고정부(110)는 제1 신철탑측 접촉봉(120), 제1 접촉부(140) 및 제2 신철탑측 접촉봉(130)을 포함한다.
제1 신철탑측 접촉봉(120)은 신철탑 주주재(30)의 일측면(43)과 접촉한다. 이때, 신철탑 주주재(30)의 횡단면은 L 형상이다.
제1 신철탑측 접촉봉(120)의 양측은 나사선 형태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1 신철탑측 접촉봉(120)의 일측(123)은 제1 접촉부(140)와 결합하기 위해 제1 접촉부(140)의 제 1체결홀(143)을 이용하여 관통하고 제1 체결 너트(149)를 통해 결합된다. 이때, 제 1체결홀(143)은 제1 신철탑측 접촉봉(120)의 일측(123)이 체결되기 위해 나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신철탑측 접촉봉(120)의 타측(125)에는 제1 이탈 방지면(170)의 제1 신철탑측 삽입홀(173, 도 5를 참조)이 체결되고 제1 이탈 방지면(170)을 고정시키기 위해 나사선 형태로 형성된 제1 신철탑측 접촉봉(120)의 타측(125)을 제1 조절 너트(127)를 체결하여 신철탑 주주재(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신철탑측 접촉봉(130)은 신철탑 주주재(30)의 타측면(45)과 접촉한다. 제2 신철탑측 접촉봉(130)의 양측은 나사선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2 신철탑측 접촉봉(130)의 일측(133)은 제1 접촉부(140)와 결합하기 위해 제1 접촉부(140)의 제1 체결홈(145)에 체결된다. 이때, 제1 체결홈(145)은 나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신철탑측 접촉봉(130)의 타측(135)에는 제1 이탈 방지면(170)의 제2 신철탑측 삽입홀(175, 도 5를 참조)이 체결되고, 제2 신철탑측 삽입홀(175)의 이탈을 방지하고, 신철탑 주주재(30)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2 조절 너트(137)가 체결된다.
이렇게 제1 조절 너트(127) 및 제2 조절 너트(137)를 제1 신철탑측 접촉봉(120) 및 제2 신철탑측 접촉봉(130)에 체결하므로 신철탑 주주재(30)에 제1 이탈 방지면(17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구철탑측 고정부(310)는 구철탑 주주재(50)와 고정되는 것을 제외하고 신철탑측 고정부(110)와 동일한 구조 및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구철탑측 고정부(3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의 신철탑측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신철탑측 지지부(160)는 절곡되어 제1 지탱면(180) 및 제1 이탈 방지면(170)으로 이루어진다.
제1 지탱면(180)은 신철탑 주주재(30)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1 신철탑측 접촉봉(120) 및 제2 신철탑측 접촉봉(130)이 삽입되는 제1 신철탑측 고정홀(163) 및 제2 신철탑측 고정홀(165)이 형성된다. 제1 신철탑측 접촉봉(120) 및 제2 신철탑측 접촉봉(130)이 신철탑 주주재(30)의 크기에 따라 이동하므로 제1 신철탑측 고정홀(163) 및 제2 신철탑측 고정홀(165)은 제1 신철탑측 접촉봉(120) 및 제2 신철탑측 접촉봉(1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제1 신철탑측 접촉봉(120) 및 제2 신철탑측 접촉봉(130)이 신철탑 주주재(30)의 크기에 따라 좌우로 움직이도록 제1 신철탑측 고정홀(163) 및 제2 신철탑측 고정홀(165)은 제1 신철탑측 고정홀(163) 및 제2 신철탑측 고정홀(165)의 직경 보다 좌우로 크게 형성된다.
제1 이탈 방지면(170)은 제1 연결봉(210)과 결합하기 위해 제1 결합 볼트(183)가 관통하는 제1 신철탑측 삽입홀(173)이 형성되며, 제2 연결봉(230)과 결합하기 위해 제2 결합 볼트(187)가 관통하는 제2 신철탑측 삽입홀(175)이 형성된다. 이때, 제1 결합 볼트(183)는 제1 신철탑측 삽입홀(173)을 관통하여 제1 결합 너트(185)와 결합되며, 제2 결합 볼트(187)는 제2 신철탑측 삽입홀(175)을 관통하여 제2 결합 너트(189)와 결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의 결합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결합부(200)는 제1 연결봉(210) 및 제2 연결봉(230)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제1 연결봉(21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2 연결봉(230)은 제1 연결봉(210)과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연결봉(210)의 양측은 나사선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봉(210)의 일측(213)은 제1 지탱면(180)과 연결되기 위해 제1 체결부(193)의 결합홈(203)에 나사선 결합된다. 즉, 제1 체결부(193)의 결합홈(203)은 나사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연결봉(210)의 일측(213)과 결합된다.
제1 체결부(19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191)와 볼트 결합된다. 즉, 제1 체결부(193)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은 제1 연장부(191)에 형성된 제2 관통홀에 제1 연결 볼트(241)가 체결되고 제1 연결 볼트(241)에 제1 연결 너트(243)가 체결된다. 이에 따라, 제1 체결부(193)는 제1 연결 볼트(241) 및 제1 연결 너트(243)를 통해 제1 연장부(191)와 결합된다.
제1 연장부(191)의 하단부에는 제1 지탱면(180)과 결합되기 위해 제1 삽입홈(209)이 형성된다. 제1 삽입홈(209)에는 제1 결합 볼트(183)가 삽입되어 제1 연장부(191)와 제1 지탱면(180)이 결합된다. 이때, 제1 지탱면(180)은 제1 고정홀(173)을 통해 제1 결합 볼트(183)와 제1 결합 너트(185)가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연결봉(210)의 일측(213)은 제1 체결부(193), 제1 연장부(191), 제1 결합 볼트(183) 및 제1 결합 너트(185)에 의해 제1 지탱면(180)과 결합된다.
제1 연결봉(210)의 타측(215)은 제2 지탱면(380)과 결합되기 위해 제2 지탱면(380)에 형성된 제1 돌출부(383)와 결합된다. 제1 연결봉(210)의 타측(215)은 제1 지탱면(180)이 구철탑 주주재(50)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1 돌출부(383)와 제1 고정 너트(253)를 통해 결합된다. 또한, 제1 연결봉(210)은 구철탑측 지지부(360)가 움직이는 방지하기 위해 제2 지탱면(380)에 형성된 제1 돌출부(383)를 사이에 형성되고, 제1 고정 너트(253) 및 제3 고정 너트(255)가 결합된다. 따라서, 제2 지탱면(380)에 형성된 제1 돌출부(383)는 제1 고정 너트(253)와 제3 고정 너트(255)에 의해 고정되므로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철탑측 지지부(360)는 제1 연결봉(210)에 의해 결합되므로 구철탑 주주재(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의 구철탑측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구철탑측 지지부(360)는 절곡되어 제2 지탱면(380) 및 제2 이탈 방지면(370)을 포함한다.
제2 지탱면(380)은 구철탑 주주재(50)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1 구철탑측 접촉봉(320) 및 제2 구철탑측 접촉봉(330)이 삽입되는 제1 구철탑측 고정홀(387) 및 제2 구철탑측 고정홀(389)이 형성된다. 제1 구철탑측 접촉봉(320) 및 제2 구철탑측 접촉봉(330)이 구철탑 주주재(50)의 크기에 따라 좌우로 이동해야 하므로 제1 구철탑측 고정홀(387) 및 제2 구철탑측 고정홀(389)은 제1 구철탑측 고정홀(387) 및 제2 구철탑측 고정홀(389)의 직경 보다 좌우로 크게 형성된다.
제2 이탈 방지면(370)에는 제1 구철탑식 삽입홀(373) 및 제2 구철탑식 삽입홀(375)이 형성된다. 이때, 제1 구철탑식 삽입홀(373) 및 제2 구철탑식 삽입홀(375)은 제1 연결봉(210) 및 제2 연결봉(230)을 제2 이탈 방지면(370)에 고정하기 위하여 제1 연결봉(210) 및 제2 연결봉(230)와 결합되는 제1 및 제2 돌출부(383, 385)를 고정시키기는 볼트가 삽입된다. 그리고, 제1 구철탑식 삽입홀(373)은 제2 이탈 방지면(370)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2 구철탑식 삽입홀(375)은 제2 이탈 방지면(370)의 타측에 형성된다. 이렇게 제2 이탈 방지면(370)의 일측에 제1 구철탑식 삽입홀(373)이 형성되고, 제2 이탈 방지면(370)의 타측에 제2 구철탑식 삽입홀(375)이 형성되는 이유는 제1 연결봉(210) 및 제2 연결봉(230)을 이격하여 형성시키기 위함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0 : 신철탑 주주재
50 : 구철탑 주주재
100: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110 : 신철탑측 고정부
160 : 신철탑측 지지부
200 : 결합부
310 : 구철탑측 고정부
360 : 구철탑측 지지부

Claims (19)

  1. 구철탑과 신철탑을 연결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에 있어서,
    신철탑 주주재의 외곽을 감싸는 신철탑측 고정부;
    구철탑 주주재의 외곽을 감싸는 구철탑측 고정부;
    상기 신철탑측 고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신철탑 주주재를 고정시키는 신철탑측 지지부;
    상기 구철탑측 고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철탑 주주재를 고정시키는 구철탑측 지지부; 및
    상기 신철탑측 고정부와 상기 구철탑측 고정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일측이 신철탑측 지지부와 결합되며 타측이 구철탑측 지지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철탑측 지지부는 절곡되어 형성되며, 제1 지탱면과 제1 이탈 방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철탑측 지지부는 절곡되어 형성되며 제2 지탱면과 제2 이탈 방지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신철탑측 지지부 및 상기 구철탑측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봉의 일측은 상기 제1 지탱면과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봉의 타측은 상기 제2 지탱면의 일측과 결합되고, 상기 제2 연결봉의 일측은 상기 제1 연결봉의 일측과 인접하게 상기 제1 지탱면과 결합되며, 상기 제2 연결봉의 타측은 상기 제2 지탱면의 타측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봉의 일측 각각은 상기 제1 지탱면과 볼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철탑측 지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봉가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용 연결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봉의 타측은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지탱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철탑측 고정부는 횡단면이 L 형상인 상기 신철탑 주주재의 제1 측면과 접촉하는 제1 신철탑측 접촉봉 및 상기 신철탑 주주재의 제2 측면과 접촉하는 제2 신철탑측 접촉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철탑측 접촉봉과 상기 제2 신철탑측 접촉봉은 제1 접촉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철탑측 접촉봉의 일측은 상기 제1 접촉부를 관통하여 제1 체결 너트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제2 신철탑측 접촉봉의 일측은 상기 제1 접촉부에 형성된 제1 체결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탈 방지면에는 상기 제1 신철탑측 접촉봉 및 상기 제2 신철탑측 접촉봉 각각이 삽입되는 제1 신철탑측 삽입홀 및 제2 신철탑측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철탑측 접촉봉 및 상기 제2 신철탑측 접촉봉 각각의 타측은 상기 제1 신철탑측 삽입홀 및 상기 제2 신철탑측 삽입홀 각각을 관통하여 조절 너트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철탑측 접촉봉 및 제2 신철탑측 접촉봉의 타측은 나사선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신철탑 주주재의 크기에 따라 조절 너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14. 제9 항에 있어,
    상기 구철탑측 고정부는 횡단면이 L 형상인 상기 구철탑 주주재의 제1 측면과 접촉하는 제1 구철탑측 접촉봉 및 상기 구철탑 주주재의 제2 측면과 접촉하는 구철탑측 접촉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철탑측 접촉봉과 상기 제2 구철탑측 접촉봉은 제2 접촉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철탑측 접촉봉의 일측은 상기 제2 접촉부를 관통하여 제2 체결 너트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제2 구철탑측 접촉봉의 일측은 상기 제2 접촉부에 형성된 제2 체결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탈 방지면에는 상기 제1 구철탑측 접촉봉 및 제2 구철탑측 접촉봉 각각이 삽입되는 제1 구철탑측 삽입홀 및 제2 구철탑측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철탑측 접촉봉 및 상기 제2 구철탑측 접촉봉 각각의 타측은 상기 제1 구철탑측 삽입홀 및 상기 제2 구철탑측 삽입홀 각각을 관통하여 조절 너트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철탑측 접촉봉 및 제2 구철탑측 접촉봉의 타측은 나사선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구철탑 주주재의 크기에 따라 조절 너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KR1020100085157A 2010-08-31 2010-08-31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KR101206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157A KR101206495B1 (ko) 2010-08-31 2010-08-31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157A KR101206495B1 (ko) 2010-08-31 2010-08-31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104A true KR20120021104A (ko) 2012-03-08
KR101206495B1 KR101206495B1 (ko) 2012-11-30

Family

ID=4612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157A KR101206495B1 (ko) 2010-08-31 2010-08-31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4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5272A (zh) * 2019-12-04 2020-03-24 国网天津市电力公司 一种铁塔辅材更换支撑装置
CN114575662A (zh) * 2022-03-11 2022-06-03 青海送变电工程有限公司 一种输电铁塔塔腿辅助更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8364Y2 (ko) 1975-11-20 1979-09-1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5272A (zh) * 2019-12-04 2020-03-24 国网天津市电力公司 一种铁塔辅材更换支撑装置
CN114575662A (zh) * 2022-03-11 2022-06-03 青海送变电工程有限公司 一种输电铁塔塔腿辅助更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495B1 (ko) 201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8603B2 (en) Lightning protection system
KR101364045B1 (ko) 현수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851432B1 (ko) 송·배전용 철탑의 현수애자
KR200431182Y1 (ko) 송배전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CA2968035C (en) Link-plate connection for monopole reinforcing bars
KR100322053B1 (ko) 전선 케이블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101166307B1 (ko)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RU2461937C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электросеть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й электросети
KR101077083B1 (ko) 가공지선 겸용 중성선 설치 멀티캡
KR101206495B1 (ko)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KR20210048308A (ko)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KR100709097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CN109449867A (zh) ±1100kv直流线路耐张塔避雷器装置及拆装方法
CN216109881U (zh) 高压线防护装置
KR100788048B1 (ko) 송배전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100667627B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KR200446267Y1 (ko) 전선케이블 연결을 위한 경완금 연결장치
RU2400897C1 (ru) Барабан для крепления муфт с шлейфом 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KR20010084955A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WO2022042263A1 (zh) 一种变电构架
CN114808794A (zh) 一种高压线防护支撑系统
KR100907433B1 (ko)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CN202513504U (zh) 一种门塔机锚固式电缆转向保护装置
CN203352074U (zh) 一种固线器
KR20130024561A (ko) 조류 착지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