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5907A -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5907A
KR20150055907A KR1020130138467A KR20130138467A KR20150055907A KR 20150055907 A KR20150055907 A KR 20150055907A KR 1020130138467 A KR1020130138467 A KR 1020130138467A KR 20130138467 A KR20130138467 A KR 20130138467A KR 20150055907 A KR20150055907 A KR 20150055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clamp
present
nut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준
김정암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8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5907A/ko
Publication of KR20150055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된 "U"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2개의 봉을 포함하는 고리부 및, 상기 봉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리부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MARINE LADDER LIGHTWEIGHT CLAMP}
본 발명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블록 난간 또는 액세스 홀 등에 연결되어 작업용 사다리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소 등에서 대형 선박을 건조하기 위한 선체 블록을 제조할 경우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체 블록의 제작에 필요한 대형 철판들을 컨베이어 상에 올려놓고 공정별로 컨베이어를 구동시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선체 블록은 대개 폭과 높이가 수 미터에 달할 정도로 그 규모가 커서 선체 블록 내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선체 블록의 층간을 이동하기 위해서는 선체 블록의 곳곳에 작업용 사다리를 설치해둔다.
그런데, 종래에는 작업용 사다리를 선체 블록에 설치할 경우 작업용 사다리를 세워 선체 블록의 상단에 가설된 난간 등에 걸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므로, 작업용 사다리의 설치 상태가 불안정하여 작업자가 오르내리는데 불안감이 있으며, 추락사고 등과 같은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56148호(1998.10.1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체 블록의 난간 또는 액세스 홀 등에 상기 작업용 사다리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는,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된 "U"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2개의 봉을 포함하는 고리부 및, 상기 봉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리부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봉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2개의 너트와, 상기 너트에 삽입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2개의 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봉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너트 및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봉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볼트와 서로 마주보면서 긴밀하게 밀착하여 상기 고리부의 개구부를 차단토록 하는 스톱퍼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에 의하면, 선체 블록의 상단에 가설된 난간 또는 액세스 홀 등에 상기 작업용 사다리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 가능하도록 작업용 사다리와, 난간 또는 액세스 홀을 함께 수용하기 위한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의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리부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체결하는 체결부로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오르내리는데 안정감이 있으며, 추락사고 등과 같은 위험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고리부의 일측 단부에만 하나의 너트와 볼트가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할 경우, 작업 사다리의 결속 작업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선체 블록에 가설된 난간에 설치된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를 나타내는 설치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액세스 홀에 설치된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를 나타내는 설치 상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는, 선박에서 사용하는 작업용 사다리(L)를 세워 선체 블록의 상단에 가설된 난간(rail, R) 또는 액세스 홀(access hole, H) 등에 걸친 후 작업용 사다리(L)와, 난간(R) 또는 액세스 홀(H)을 하나로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는, 작업용 사다리(L)와 선체 블록의 상단에 가설된 난간(R) 또는 액세스 홀(H)을 함께 수용하기 위한 고리부(100)와, 상기 고리부(100)의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리부(100)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나사 체결되는 체결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리부(100)는,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된 "U"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개방된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2개의 봉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업용 사다리(L)를 선체 블록의 상단에 가설된 난간(R)에 설치 작업 시, 선체 블록의 난간(R)에 상기 작업용 사다리(L)에 구비된 발판(S)을 걸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발판(S)과 난간(R)을 상기 고리부(100)의 내측 공간에 감싸는 형태로 수용한다.
한편, 상기 고리부(100)는, 상기 작업용 사다리(L)를 액세스 홀(H)의 둘레 면에 설치하는 작업 시에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액세스 홀(H)의 둘레 면에 상기 작업용 사다리(L)에 구비된 발판(S)을 걸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발판(S)과 액세스 홀(H)의 천장 면 일부를 고리부(100)의 내측 공간에 수용한다.
이와 같은 고리부(100)의 형상은 작업용 사다리(L)에 구비된 발판(S)과 선체 블록의 난간(R) 또는 액세스 홀(H)의 천장 면 일부가 삽입되는 과정이 보다 쉽게 설명될 수 있도록 설명상 일 예를 보여주는 것에 불과할 뿐, 반드시 도면에 도시한 구조와 같이 구성될 필요가 없으며, 선체 블록의 난간(R) 또는 액세스 홀(H)에 작업용 사다리(L)의 발판(S)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조로 구성되더라도 무방하다. 예컨대, "ㄷ"자형, 말굽 형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200)는, 상기 고리부(100)의 단부에 형성되며 내측 둘레 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210)와, 상기 너트(210)에 나사 결합되는 별도의 볼트(220)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선체 블록의 난간(R)에 상기 작업용 사다리(L)에 구비된 발판(S)을 걸쳐 고정하고, 상기 클램프의 고리부(100)를 상기 난간(R)과 발판(S)에 밀어 넣어 이들을 수용한 상태에서, 체결부(200)를 구성하는 너트(210)에 볼트(220)를 체결하여 상기 고리부(100)의 개구부(110)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선체 블록의 난간(R)에 작업용 사다리(L)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특히,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세스 홀(H)에 작업용 사다리(L)를 세워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리부(100)의 내측 공간에 상기 발판(S)과 상기 액세스 홀(H)의 천장 면 일부를 나란하게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액세스 홀(H)의 천장 면에 고리부(100)의 개구부(110)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체결부(200)를 구성하는 볼트(220)를 체결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200)는 일반적인 볼트(220)와 너트(21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고리부(100)의 개구부(110)를 차단하여 고정될 수 있다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200)는, 상기 고리부(100)의 개방된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2개의 너트(210)와, 상기 너트(210)에 삽입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2개의 볼트(22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너트(210)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볼트(220)가 서로 마주보면서 긴밀하게 밀착하게 됨에 따라, 상기 고리부(100)의 개구부(110)를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200')는, 상기 고리부(10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너트(210') 및 상기 너트(210')에 체결되는 볼트(220')와, 상기 고리부(10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볼트(220')와 서로 마주보면서 긴밀하게 밀착하여 상기 고리부(100)의 개구부(110)를 차단토록 하는 스톱퍼(23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부(200)와 달리, 제2실시예에 따른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의 체결부(200')는, 고리부(100)의 일측 단부에만 하나의 너트(210')와 볼트(220')가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리부(100)의 개구부(110)를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 사다리(L)의 결속 작업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고리부 110 : 개구부
200 : 체결부 210 : 너트
220 : 볼트 230 : 스톱퍼

Claims (3)

  1.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된 "U"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2개의 봉을 포함하는 고리부 및,
    상기 봉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리부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봉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2개의 너트와,
    상기 너트에 삽입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2개의 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봉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너트 및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봉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볼트와 서로 마주보면서 긴밀하게 밀착하여 상기 고리부의 개구부를 차단토록 하는 스톱퍼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




KR1020130138467A 2013-11-14 2013-11-14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 KR20150055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467A KR20150055907A (ko) 2013-11-14 2013-11-14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467A KR20150055907A (ko) 2013-11-14 2013-11-14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907A true KR20150055907A (ko) 2015-05-22

Family

ID=53391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467A KR20150055907A (ko) 2013-11-14 2013-11-14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59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4654A (en) Scaffold safety system
US10138681B2 (en) Ladder tie off system
ITMI20010803A1 (it) Dispostivo antinfortunistico per l'edilizia per la protezione individuale anticaduta degli operatori addetti al camminamento in quota su edi
KR20160019717A (ko) 가설구조물용 수직재와 횡재의 연결구조
KR101552951B1 (ko) 건축용 수직 안전망
KR20150055907A (ko)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
KR200482903Y1 (ko) 생명선 설치용 지주
IT201900009066A1 (it) Dispositivo per il fissaggio di pannelli in rete metallica di sicurezza
KR20210146693A (ko) 낙하 방지용 바벨트
JP2002174027A (ja) 足場板隙間カバー
KR20200059815A (ko) 자재 연결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안전장치
KR101803640B1 (ko) 원터치 클램프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레일링 장치
KR200419382Y1 (ko)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
KR200480447Y1 (ko) 연결강화형 작업발판
KR101654163B1 (ko) 인양용 체결구
JP2014114624A (ja) 床板材用吊り金具
KR20140005121U (ko) 안전 난간대
KR200482196Y1 (ko) 족장판 클램프
KR200314561Y1 (ko) 라운드형 안전망 구조틀
KR200277868Y1 (ko) 낙하 방호틀
KR200465603Y1 (ko) 선박 건조용 족장
JP2022164252A (ja) 支点取付具及び支点取付具の取付方法
KR100460230B1 (ko) 건축용 발판부재 지지장치
KR200208793Y1 (ko) 다리 점검용 난간
KR20150059426A (ko) 일체형 안전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