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975A -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975A
KR20190058975A KR1020170156446A KR20170156446A KR20190058975A KR 20190058975 A KR20190058975 A KR 20190058975A KR 1020170156446 A KR1020170156446 A KR 1020170156446A KR 20170156446 A KR20170156446 A KR 20170156446A KR 20190058975 A KR20190058975 A KR 20190058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ransmission line
obstacle
stick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0123B1 (ko
Inventor
김희권
박기용
임상열
정광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156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12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8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은, 송전선로 아래에 설치 가능한 절연 스틱, 상기 절연 스틱에 설치되고, 주변에 방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전송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방해물이 미리 설정된 안전 범위 내로 접근한 것을 판단하여, 주변 기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TRANSMISSION LINE FOR DETECTING APPROACH OF HEAVY EQUIPMENT}
본 발명은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의 질이 향상되면서 전기의 품질 및 공급 신뢰도 향상에 대한 요구는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그에 반해 도심지의 확대에 따른 개발 행위가 일반 평지를 벗어나 야산지에 위치한 송전선로 인근까지 확대되면서 고장 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설비 관리의 필요성을 요구 받고 있는 실정이다.
특고압 송전선로의 주요 고장 원인으로는 중장비의 접근, 수목, 기타 이물질 접촉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중장비의 접근에 의한 송전선로 고장이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한다. 중장비의 송전선로 접근에 의한 고장은 계통의 불안정은 물론 사람의 생명에 커다란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이의 예방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적용시키고 있다.
송전선로 모바일 감시 시스템은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감시하고자 하는 영역에서 송전선로와 근접한 물체를 감지하여, 인근 작업자에게 위험을 표시할 수 있는 경고 메세지를 발송하고 원격에서 송전선로에 작업 사항이 발생함을 모니터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철탑 상에 레이저 센서를 설치하여 일정 구역 안에 다른 물체가 진입하였을 시 반응하도록 하므로, 공사 현장이 철탑과 원거리이거나 산, 건조물 등 다른 방해물이 있을 경우 적용하기가 불리할 뿐 아니라 감시 구역 안에 중장비 외에 일반 자동차, 구조물 등 송전선로에 위해가 없는 시설물에 대해서도 일일이 반응할 수 있는 취약점이 있다. 또한, 설치에 따른 인력 투입, 시간의 장기간 소모 등 소규모 공사현장에 대하여 곧바로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송전선로 지능형 중장비 접근감시 시스템은 공사현장 인근의 철탑 위에 HD 급 고화질 CCTV를 설치하여 200m 범위내의 화면상 송전선로 아래의 영상 패턴(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한다. 인식한 패턴을 바탕으로 싸이렌 등을 동작하여 작업 현장 내의 작업자에게 송전선로 근접 위험을 알려줌과 동시에 SMS를 통하여 원거리 작업 관계자에게 송전선로 선하에서의 작업사항을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전원(220V)이 필요하고, 보안 검토 및 시스템 연계 등 설치 기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싸이렌 등이 작업자와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위험을 인지하기 어렵고 고가의 비용이 수반되어 창고, 야적장, 조경수 식재 현장 등 소규모의 공사현장에 적기에 적용 시키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은 이동과 설치가 편리한 절연 스틱을 사용함으로써, 공사 현장의 송전선로 선하지에 직접 장치를 설치하여 중장비의 인위적인 접근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설치 시간 및 설치 인원을 최소화하며, 설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은, 송전선로 아래에 설치 가능한 절연 스틱, 상기 절연 스틱에 설치되고, 주변에 방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전송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방해물이 미리 설정된 안전 범위 내로 접근한 것을 판단하여, 주변 기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방법은, 송전선로에 설치되는 절연 스틱과, 상기 절연 스틱에 설치되어 주변의 방해물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방법으로서, 상기 센서에 의해 주변에 방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방해물에 따른 감지 신호를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에서 전송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방해물이 미리 설정된 안전 범위 내로 접근한 것을 판단하여, 주변 기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이동과 설치가 편리한 절연 스틱을 사용함으로써, 공사 현장의 송전선로 선하지에 직접 장치를 설치하여 중장비의 인위적인 접근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설치 시간 및 설치 인원을 최소화하며, 설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을 설치도를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의 평상시 감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의 중간에 방해물이 존재할 때의 감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이 방해물을 감지하여 주변 기기로 알림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a는 센서가 설치된 절연 스틱이 반사판이 설치된 절연 스틱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의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5b는 반사판이 설치된 절연 스틱이 센서가 설치된 절연 스틱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의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서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 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1)은 절연 스틱(10), 센서(20) 및 제어 장치(30)를 포함한다.
절연 스틱(10)은 송전선로 아래에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절연 스틱은 송전선로 선하지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그 위에 센서나 반사판(후술함)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절연 스틱(10) 자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전력선의 높이에 따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절연 스틱의 단부에는 도 1과 같이 연결부(11)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전력선에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센서(20)는 절연 스틱(10)에 설치되고, 주변에 방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센서(20)는 반사판(도 2에는 미도시)에 레이저를 지속적으로 송출하여,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중간에 방해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20)는 송전선로 선하지의 측정 범위 내에 방해물이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면 감지된 신호를 제어 장치(30)로 전송하게 된다.
제어 장치(30)는 센서(20)로부터 전송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방해물이 미리 설정된 안전 범위 내로 접근한 것을 판단하여, 주변 기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 장치(30)는 센서(20) 및 주변 기기들과 지속적으로 통신을 하면서 센서(20)에 의해 감지된 방해물이 안전 이격 거리 내에 진입한 것이 판명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현장 내에 배치된 경보 장치, 중장비 운전석에 설치된 경보등, 미리 지정된 휴대폰 등으로 경고 알람을 송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을 설치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먼저, 절연 스틱(10)을 설치하고자 하는 송전선로 선하지 위치에 절연 스틱 거치대(50)를 설치한다. 절연 스틱 거치대(50)는 절연 스틱(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의 결합부를 포함한 구조로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절연 스틱 거치대(50)를 원하는 위치의 지표면 상에 배치시킨 후, 절연 스틱(10)을 결합부 안에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력선 높이 측정기(40)를 이용하여 지표면으로부터 전력선까지의 높이를 측정한다. 이 때, 전력선 높이 측정기(40)는 절연 스틱(10)의 말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연 스틱(10)의 길이를 전력선이 있는 높이까지 늘리면, 전력선 높이 측정기(40)는 늘어난 절연 스틱(10)의 길이를 측정하여 현재 설치하고자 하는 전력선에 대한 높이 값이 나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 스틱(10)의 단부에 연결부를 구비하여 전력선에 직접 걸어서 결합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절연 스틱(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절연 스틱(10) 상의 적절한 위치(예를 들면, 안전 이격 거리)에 센서를 설치한다. 예를 들면, 154kV의 송전선로의 경우에는 전력선으로부터 약 5m 높이에 설치하고, 345kV의 송전선로의 경우에는 전력선으로부터 약 8m 높이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센서(20)를 절연 스틱(10) 상에 직접 삽입하는 형태로 설치하는 방식을 예시로 들고 있으나, 절연 스틱(10)에 센서(20)를 직접 부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반사판의 경우에도 센서(20)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의 평상시 감시 상태를 나타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의 중간에 방해물이 존재할 때의 감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센서(20)에서 송출된 레이저(광 신호)가 중간에 아무런 방해물 없이 반사판(60)에 반사되어 다시 센서(20)로 되돌아오는 경우에는 그 감지 신호를 제어 장치(30)에 전송한다. 이 때, 제어 장치(30)는 감지 신호에 따라 현재 정상적인 상태로 판단하여, 방해물에 의한 이상 발생시까지 계속적인 감시를 시행하게 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중간에 방해물(중장비 등의 외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센서에서 송출된 레이저는 반사판(60)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어, 다시 센서(20)로 되돌아 오지 않는다. 따라서, 센서에서 제어 장치(30)로 전송되는 감지 신호가 끊기게 되고, 일정 시간 동안 신호의 끊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30)는 주변 기기 등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중장비가 송전 선로에 접근하고 있음을 알린다. 이 때, 감지 신호의 끊김 현상 대신 센서(20)가 직접 제어 장치(30)로 중간에 방해물이 존재한다는 취지의 감지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이 방해물을 감지하여 주변 기기로 알림을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의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은 경보 장치(70)를 더 포함하고 있다.
경보 장치(70)는 제어 장치(30)에 의해 방해물이 안전 범위 내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어 장치(3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작업 중인 중장비가 전력선으로부터의 안전 이격 거리 내에 접근한 경우로서, 센서(20)로부터 송출된 신호가 중장비로 인해 반사판(60)에 의해 도달하여 반사되지 못함에 따라 신호가 다시 센서(20)에서 검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20)는 방해물(중장비)이 안전 범위 내에 접근하였다는 취지의 신호를 제어 장치(30)로 전송한다.
이 때, 제어 장치(30)는 방해물이 안전 범위 내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장치(70) 또는 주변 기기 등에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싸이렌 등의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하거나, 시스템의 사용자나 중장비의 작업자에게 경고 알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a는 센서(20)가 설치된 절연 스틱(10a)이 반사판이 설치된 절연 스틱(10b)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며, 도 5b는 반사판이 설치된 절연 스틱(10b)이 센서가 설치된 절연 스틱(10a)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5a를 참조하면, 절연 스틱(10) 중 어느 하나에는 반사판(60)이 설치되고, 절연 스틱(10) 중 다른 복수 개에는 센서(20)가 설치되어, 센서가 설치된 복수 개의 절연 스틱(10a)은 반사판이 설치된 절연 스틱(10b)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측에 배치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절연 스틱(10) 중 어느 하나에는 센서(20)가 설치되고, 절연 스틱(10) 중 다른 복수 개에는 반사판(60)이 설치되어, 센서가 설치된 복수 개의 절연 스틱(10a)은 반사판이 설치된 절연 스틱(10b)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측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센서(20)의 감지 범위가 50m 내외이며, 송전선로간 표준 간격이 300m이고 작업장의 반경이 100m 내외임을 감안할 때, 도 5a 및 5b와 같이 센서(20) 및 반사판(60)을 각각 양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중장비의 송전전로 접근에 의한 고장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에 따른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방법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연 스틱을 송전선로에 설치하고 센서(또는 반사판)를 절연 스틱에 부착한 형태의 시스템 상에서 수행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방법은 절연 스틱에 설치되어 주변의 방해물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송전선로 주변에 방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100). 다음으로, 감지된 방해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S200). 이 때, 송전선로 주변의 방해물에 대한 감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 신호를 송출하는 센서와 이를 반사시키는 반사판으로 구성된 시스템 상에서 광 신호의 검출 여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센서로부터 전송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방해물이 미리 설정된 안전 범위 내로 접근한 것을 판단하여 주변 기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300). 예를 들면, 이 때의 안전 범위는 전력선으로부터의 안전 이격 거리일 수 있다. 만약 방해물이 안전 범위 내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경보 장치로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사용자 단말 등에 경고 알람 메시지를 제공한다(S4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이동과 설치가 편리한 절연 스틱을 사용함으로써, 공사 현장의 송전선로 선하지에 직접 장치를 설치하여 중장비의 인위적인 접근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설치 시간 및 설치 인원을 최소화하며, 설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10: 절연 스틱
10a: 센서가 설치된 절연 스틱
10b: 반사판이 설치된 절연 스틱
11: 연결부 20: 센서
30: 제어 장치 40: 전력선 높이 측정기
50: 절연 스틱 거치대 60: 반사판
70: 경보 장치

Claims (12)

  1. 송전선로 아래에 설치 가능한 절연 스틱;
    상기 절연 스틱에 설치되고, 주변에 방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전송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방해물이 미리 설정된 안전 범위 내로 접근한 것을 판단하여, 주변 기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 스틱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 스틱은 상기 송전선로에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 스틱에 설치되고, 광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광신호를 상기 반사판으로 송출하고, 상기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는 상기 광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주변에 방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방해물이 상기 안전 범위 내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 장치를 더 포함하는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방해물이 상기 안전 범위 내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알람 메시지를 제공하는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연 스틱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반사판이 설치되고,
    상기 절연 스틱 중 다른 복수 개에는 상기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센서가 설치된 복수 개의 상기 절연 스틱은 상기 반사판이 설치된 절연 스틱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측에 배치되는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연 스틱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절연 스틱 중 다른 복수 개에는 상기 반사판이 설치되며,
    상기 반사판이 설치된 복수 개의 상기 절연 스틱은 상기 센서가 설치된 절연 스틱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측에 배치되는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9. 송전선로에 설치되는 절연 스틱과, 상기 절연 스틱에 설치되어 주변의 방해물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방법으로서,
    상기 센서에 의해 주변에 방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방해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에서 전송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방해물이 미리 설정된 안전 범위 내로 접근한 것을 판단하여, 주변 기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절연 스틱에는 반사판이 설치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주변에 방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의해 상기 반사판으로 광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는 광 신호를 다시 검출함으로써 주변에 방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방해물이 상기 안전 범위 내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방해물이 상기 안전 범위 내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알람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전선로 중장비 접근 감지 방법.

KR1020170156446A 2017-11-22 2017-11-22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020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46A KR102020123B1 (ko) 2017-11-22 2017-11-22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46A KR102020123B1 (ko) 2017-11-22 2017-11-22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975A true KR20190058975A (ko) 2019-05-30
KR102020123B1 KR102020123B1 (ko) 2019-09-10

Family

ID=6667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446A KR102020123B1 (ko) 2017-11-22 2017-11-22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1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548A (ko) * 2019-04-04 2020-10-14 한국전력공사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CN115693495A (zh) * 2022-11-11 2023-02-03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超高压分公司 一种架空线路安全距离告警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986A (ja) * 1991-07-31 1993-02-12 Sumitomo Electric Ind Ltd 送電線への重機接近監視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986A (ja) * 1991-07-31 1993-02-12 Sumitomo Electric Ind Ltd 送電線への重機接近監視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548A (ko) * 2019-04-04 2020-10-14 한국전력공사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CN115693495A (zh) * 2022-11-11 2023-02-03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超高压分公司 一种架空线路安全距离告警装置及其使用方法
CN115693495B (zh) * 2022-11-11 2024-03-26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超高压分公司 一种架空线路安全距离告警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123B1 (ko) 201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63174B (zh) 一种基于分布式光纤传感的管道线路安全预警系统
KR101941667B1 (ko) 옥외 전력설비 근접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GB2382708A (en) Detection of foreign objects on surfaces
KR101212630B1 (ko) 송전선로 모바일 감시시스템
KR20170061968A (ko) 로봇을 이용한 감시 및 보안 시스템
US11699338B2 (en) Safety warning system
KR101034644B1 (ko) 비접촉식 안전용 검전기
CN102092640B (zh) 起重机的安全监控装置、方法以及包括该装置的起重机
CN110208645A (zh) 一种输电线路的监测保护系统
KR102020123B1 (ko)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93478A (ko) 지중전력케이블의 이동변위 감지·경보 장치 및 그 방법
CN102001346B (zh) 用于探测铁路异物侵限的装置
CN107741553A (zh) 一种物联网高压线路警示定障系统
JP2001134851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を利用した侵入監視センサ
KR102459887B1 (ko) IoT 기반 장비 부착형 누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N202816098U (zh) 基于线路施工安全防护的多功能安全报警系统
KR102263890B1 (ko) 타워크레인의 통합 관리 운영 시스템
JP6769821B2 (ja) 作業現場監視装置
KR101718762B1 (ko) Ble기반 시설물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09746B1 (ko)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KR102091348B1 (ko) 무선 주파수 방식을 이용한 통합 경보시스템
KR101659480B1 (ko) Ble기반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배전선로 도난감시 및 추적시스템
KR20210042068A (ko) IoT 기반 장비 부착형 누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N106384477B (zh) 塔机防台风监测系统及监测方法
KR101258905B1 (ko) Rtls를 이용하는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