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667B1 - 센서 부착 기구 - Google Patents

센서 부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667B1
KR101103667B1 KR1020100113235A KR20100113235A KR101103667B1 KR 101103667 B1 KR101103667 B1 KR 101103667B1 KR 1020100113235 A KR1020100113235 A KR 1020100113235A KR 20100113235 A KR20100113235 A KR 20100113235A KR 101103667 B1 KR101103667 B1 KR 101103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holder
rod
sensor holder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국희
강동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13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부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고전압이 흐르는 진단 대상물에 센서를 부착하거나 탈거함에 있어서 안전거리만큼 거리를 두고 센서홀더에 수납된 상태의 센서를 길이신축형 기구를 이용하여 진단 대상물에 근접시킨 뒤 부착하거나 탈거시킬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진단 대상물로부터 작업자의 완벽한 절연상태를 제공하여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게 되는 센서 부착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센서 부착 기구{Sensor attachment mechanism}
본 발명은 센서 부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압 감전 등의 위험이 있는 진단 대상물에 AE 센서 등 진단 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센서를 부착함에 있어서 진단 대상물로부터 작업자의 완벽한 절연상태를 제공하여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센서 부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콘덴서, 변압기 등과 같이 고전압 운전을 요하는 각종 부품이나 설비, 그리고 플라즈마 처리장치 등과 같은 제조업 분야나 기타 산업현장의 다양한 장치들이 필요에 따라 점차 대용량화되고 초고압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부품이나 설비, 각종 장치 등에 대해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안전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사고의 발단이 되는 이상 징후를 사전에 감지하고 진단하기 위한 각종 감시 장치나 진단 장치의 개발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콘덴서나 변압기, 플라즈마 처리장치 등에 있어서 운전상태로 절연 파괴를 상시 측정하기 위한 감시 장치나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진단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특히 고전압이 인가되는 부품이나 설비, 장치 등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그 파급 효과가 광범위하고 경제적 손실 및 심리적 불안이 막대하기 때문에,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절연 진단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변압기의 경우, 외함에 변압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하여 절연성을 갖는 절연 냉각유가 채워져 있고, 고온 운전에 따른 열적 열화, 외부 단락에 따른 열적 열화, 기계적 손상 및 부분 방전에 따른 방전 열화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기계적 강도 저하, 진동 증가, 가연성 가스 발생 등으로 인한 절연 파괴의 진전이 이루어지는 바, 변압기의 절연 파괴는 변압기의 폭발, 단전 사고 등 많은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진단 장치나 감시 장치에서는 이상 발생 및 진전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의 유형을 판단하기 위하여 센서를 진단 대상물에 부착하게 되는데, 이상 징후가 진전하여 위험할 경우에는 운전을 정지하고 대책을 강구하기 위한 예방진단시스템을 가동하게 된다.
즉, 진단 대상물에 센서를 부착한 뒤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각종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징후의 발생 여부 및 이상의 유형을 판단하고 위험 여부를 판단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운전을 정지하는 등 사고 발생을 막기 위한 각종 대응을 하는 것이다.
최근 고전압 진단 대상물의 절연 결함, 즉 부분 방전 및 이상 방전의 발생을 검출하고 이상 발생의 위치 등을 추정하기 위하여 AE(Acoustic Emission) 센서 등 초음파 검출 센서를 활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는데(등록특허 제919785호, 제530688호 등), 고전압 진단 대상물에 다수의 초음파 검출 센서를 부착한 뒤 이들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음향 신호를 분석하여 이상 여부를 사전에 진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부분 방전 및 이상 방전 등의 진단을 위해서는 센서를 고전압이 인가되는 진단 대상물에 부착하는 작업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지만, 절연 결함이 있을 수 있는 고전압 진단 대상물에 센서를 부착함에 있어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센서를 부착할 때 진단 대상물에 절연 이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이에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전압 감전 등의 안전사고 위험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센서의 부착 및 탈거시에 작업자와 센서 간, 작업자와 대상물 간에 완벽한 절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나, 종래에는 센서의 외부를 절연재질로 구성하여 단순 부착하는 방식이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으며, 이에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고전압 감전 등의 위험이 있는 진단 대상물에 AE 센서 등 진단 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센서를 부착함에 있어서 진단 대상물로부터 작업자의 완벽한 절연상태를 제공하여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센서 부착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센서를 수납한 상태로 부착수단에 의해 진단 대상물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센서홀더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일단부에는 센서홀더와 결합되는 홀더결합부가, 타단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를 잡고 길이 조절된 상태 및 센서홀더가 상기 홀더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로 센서홀더를 진단 대상물로 이동 및 부착시키는데 이용되는 길이신축형 기구;를 포함하는 센서 부착 기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홀더는 전기절연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부착수단은 자력에 의해 센서홀더가 진단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센서홀더에 부착되는 영구자석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신축형 기구는 복수개의 봉이 다단으로 중첩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로 구비되어 전체 길이가 조절 가능하면서 상기 일단부에는 센서홀더의 봉결합부에 결합되는 홀더결합부가 형성된 다단 부착봉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홀더의 봉결합부는 상기 다단 부착봉의 홀더결합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봉결합홀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홀더와 다단 부착봉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다단 부착봉에 의해 진단 대상물에 부착된 센서홀더의 탈거가 가능하도록, 상기 홀더결합부로서 다단 부착봉의 맨 앞쪽 봉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홀더의 봉결합홀에는 다단 부착봉의 돌출부가 삽입된 뒤 다단 부착봉의 회전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걸리어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신축형 기구는 X 자형으로 결합된 링크를 포함하면서 길이 연장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센서홀더가 클램핑되어 결합되는 클램프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는 X 자형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링크들을 가지는 다단 접철식의 길이신축형 집게가 될 수 있고, 상기 다단 접철식 집게의 일단부에는 센서홀더를 물어줌으로써 센서홀더와 결합되는 홀더결합부가, 상기 다단 접철식 집게의 타단부에는 작업자가 오므리거나 벌릴 수 있도록 조작하게 되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X 자형으로 결합된 2개의 링크를 가지는 가위형 집게이고, 상기 가위형 집게의 링크 일단부에는 센서홀더를 물어줌으로써 센서홀더와 결합되는 홀더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위형 집게의 링크 타단부에는 작업자가 오므리거나 벌릴 수 있도록 조작하게 되는 손잡이가 조립되고, 상기 링크와 손잡이 사이에 길이 조절을 위한 연장봉이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결합부에서 센서홀더를 물어주는 면에는 절연패드가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센서홀더의 후단부에는 상기 집게의 홀더결합부가 걸릴 수 있는 돌출턱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길이신축형 기구는 진단 대상물과의 절연을 위하여 전체 또는 일부가 전기절연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길이신축형 기구의 일측에는 지면으로 접지되는 접지선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착 기구에 의하면, 작업자가 고전압이 흐르는 진단 대상물에 센서를 부착하거나 탈거함에 있어서 안전거리만큼 거리를 두고 센서홀더에 수납된 상태의 센서를 길이신축형 기구를 이용하여 진단 대상물에 근접시킨 뒤 부착하거나 탈거시킬 수 있게 되는 바, 진단 대상물로부터 작업자의 완벽한 절연상태를 제공하여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착 기구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센서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부착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센서 부착 기구를 이용하여 센서를 진단 대상물에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부착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부착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센서 부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고전압 감전 등의 위험이 있는 진단 대상물에 AE 센서 등 진단 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센서를 부착함에 있어서 진단 대상물로부터 작업자의 완벽한 절연상태를 제공하여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센서 부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진단 대상물은 센서를 통해 절연 결함(부분 방전 및 이상 방전) 등의 이상 발생을 검출하고 진단하는 진단 대상의 부품이나 설비, 각종 장치가 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콘덴서나 변압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진단 대상물에 부착되는 센서의 일례로는, 부분 방전 및 이상 방전 등 진단 대상물의 이상 발생 여부를 진단하고 이상 발생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진단 대상물에 부착하여 음향 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하는 AE 센서를 들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착 기구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센서홀더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은 센서홀더(110)의 전면 사시도를, 도 2는 센서홀더(110)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도면부호 2는 센서홀더(110)에 수납된 상태의 센서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부착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센서 부착 기구를 이용하여 센서를 진단 대상물에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다단 부착봉을 이용하여 센서홀더를 절연 대상물에 부착시킨 상태를, 도 4b는 센서 부착 후 다단 부착봉을 센서홀더와 분리한 상태를, 도 4c는 센서 탈거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착 기구(100)는 AE 센서 등 진단 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센서(2)를 진단 대상물(1)에 안전하게 부착하기 위한 기구로서, 고전압이 흐르는 진단 대상물(1)로부터 작업자가 소정의 안전거리를 두고 떨어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절연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진단 대상물(1)에 센서(2)를 부착하는데 이용하게 되는 기구이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부착 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부착 기구(100)는, 센서(2)를 수납한 상태로 부착수단에 의해 진단 대상물(1)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센서홀더(110)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일단부에는 센서홀더(110)와 결합되는 홀더결합부(122)가, 타단부에는 손잡이(123)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123)를 잡고 길이 조절된 상태 및 센서홀더(110)가 상기 홀더결합부(122)에 결합된 상태로 센서홀더(110)를 진단 대상물(1)로 이동 및 부착시키는데 이용되는 길이신축(伸縮)형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센서홀더(110)는 내부에 센서(2)가 삽입되어 수납된 상태로 고정되는 케이스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센서(2)가 수납된 상태로 길이신축형 기구의 홀더결합부(122)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구성부이다.
본 발명의 센서 부착 기구(100)를 이용함에 있어서, 작업자는 안전을 위하여 진단 대상물(1)로부터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센서(2)를 부착해야 하는 바, 작업자가 센서(2)를 수납한 상태의 센서홀더(110)를 길이신축형 기구의 홀더결합부(122)에 결합한 뒤, 안전거리만큼의 거리를 두고 상기 길이신축형 기구를 진단 대상물(1)을 향해 길게 연장한 상태로 센서(2)를 수납한 센서홀더(110)를 목표위치, 즉 진단 대상물(1)의 센서 부착 위치에 정확히 부착시키게 된다.
상기 센서홀더(110)는 내부에 센서(2)가 삽입 및 수납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된 케이스 구조로 제작되며, 바람직하게는 진단 대상물(1)과의 절연이 가능하도록 전기절연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플라스틱을 센서가 수납될 수 있는 케이스 형상으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센서홀더(110)에는 내부에 센서(2)를 수납한 상태로 진단 대상물(1)의 외함 외부 표면에 부착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부착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부착수단으로서 진단 대상물(1)의 외함 외부 표면에 부착되는 전면 부분, 즉 센서홀더(110)의 부착면에 영구자석(111)이 고정 설치된다.
즉, 센서홀더(110)를 진단 대상물(1)의 외함 외부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영구자석(111)의 자력을 이용하는 자석부착방식이 적용되는 것으로, 센서홀더(110)의 부착면에 고정 설치된 영구자석(111)이 진단 대상물(1)의 외함 외부 표면에 부착되면서 센서홀더(110)가 센서(2)와 함께 진단 대상물(1)의 센서 부착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착 기구(100)를 구성하는 센서홀더(110)의 다양한 구현예를 볼 수 있는데, 도 3, 도 4a ~ 도 4c의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센서홀더는 도 1의 (b) 및 2의 (a)로 나타낸 센서홀더가 되며, 센서홀더(110)의 후면에 길이신축형 기구의 홀더결합부(122)가 결합되는 봉결합부(113)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도면부호 112는 센서홀더(110)의 내부에 수납된 센서와 연결되는 케이블(112a)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로서, 상기 센서(2)와 연결되는 케이블(112a)로는 센서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는 케이블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 출력용 케이블과 더불어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용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길이신축형 기구는 작업자가 일단부의 홀더결합부(122)에 센서(2)가 수납된 센서홀더(110)를 결합시킨 뒤 진단 대상물(1)로부터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타단부의 손잡이(123)를 잡고 상기 홀더결합부(122)에 결합된 센서홀더(110)를 진단 대상물(1)로 접근시켜 부착하는데 이용하는 도구로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a ~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길이가 조절 가능한, 즉 길이 연장이 가능한 신축형 다단 부착봉(120)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다단 부착봉(120)은 낚시대나 다단 등산 스틱(예, 3단 또는 4단 등산 스틱)과 같이 복수개의 봉(121)이 연결되어 조립 구성되는 길이 가변형 다단 봉으로서, 예컨대 3개 내지 4개의 봉이 낚시대나 등산 스틱과 같이 다단으로 중첩 가능하게 결합되어 3단 내지 4단 형태로 구성되는 봉이 될 수 있다.
상기 다단 부착봉(120)은 상호 중첩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봉(121)을 인출시켜 길게 뽑아주면 길이가 연장되고, 반대로 일측의 봉을 타측의 봉 안쪽으로 넣어주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봉을 차례로 밀어서 넣어주면 길이가 축소되게 된다.
이렇게 센서(2) 및 센서홀더(110)를 진단 대상물(1)에 부착할 때는 각 봉(121)을 길게 뽑아주어 길이를 연장시킨 뒤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각 봉(121)을 연결된 다른 봉 안쪽으로 밀어넣어서 휴대하기가 편하도록 길이를 축소시키게 된다.
상기 다단 부착봉(120)은 진단 대상물(1)과의 절연 및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전체 또는 일부가 전기절연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 바, 일부가 전기절연재질로 구성되는 경우의 예로는 센서홀더(110)와 결합되는 맨 앞쪽의 봉을 전기절연재질로 제작하거나 맨 뒤쪽의 봉에 해당하는 손잡이(123)를 전기절연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다단 부착봉(120) 중 맨 앞쪽 봉(121)과 맨 뒤쪽 봉인 손잡이(123) 모두를 전기절연재질로 제작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손잡이(123)를 전기절연재로 피복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길이신축형 기구로서 전체가 전기절연재질로 제작된 3단 절연봉을 예시한 것으로, 다단 부착봉(120)을 구성하는 봉(121)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예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봉(121)을 사용한 3단 절연봉 대신에, 4개 또는 5개의 봉을 사용한 4단 또는 5단 절연봉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길이신축형 기구의 홀더결합부(122)는 센서홀더(110)의 후면에 형성된 봉결합부(113)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홀더결합부(122)와 봉결합부(113)의 결합 방식으로는 암수결합방식의 채택이 가능하다.
즉, 센서홀더(110)의 후면에 봉결합부(113)로서 길이신축형 기구의 홀더결합부(122)(다단 부착봉의 맨 앞쪽 봉에 형성된 홀더결합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봉결합홀(114)을 형성하고, 상기 봉결합홀(114)에 홀더결합부(122)를 삽입하여 다단 부착봉(120)과 센서홀더(110)를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길이신축형 기구의 홀더결합부(122)를 센서홀더(110)의 봉결합홀(114)에 결합하는 방식으로는, 홀더결합부(122)를 봉결합홀(114)에 억지끼워 결합하는 억지끼움방식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길이신축형 기구, 즉 상기한 다단 부착봉(120)을 센서 탈거시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홀더결합부(122)가 봉결합홀(114)에 삽입된 후 걸림턱 구조로 걸리어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걸림턱결합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결합방식의 일례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홀더(110)의 탈거시 센서홀더(110)와 다단 부착봉(120)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다단 부착봉(120)에 의해 센서홀더(110)의 탈거가 가능하도록, 상기 다단 부착봉(120)의 맨 앞쪽 봉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된 구조의 돌출부(124)를 형성하고, 상기 센서홀더(110) 후면의 봉결합홀(114)에는 돌출부(124)가 삽입된 뒤 다단 부착봉(120)의 회전상태에서 상기 돌출부(124)가 걸리도록 형성되어 돌출부(124)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걸림턱(115)을 형성한 구조가 실시 가능하다.
이 경우, 다단 부착봉(120)의 돌출부(124)를 부착봉의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124)를 센서홀더(110)의 봉결합홀(114)에 삽입한 뒤 다단 부착봉(120) 전체를 회전시켜 돌출부(124)가 센서홀더(110)의 봉결합홀(114) 내에서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돌출부(124)가 회전된 위치에서 봉결합홀(114)의 걸림턱(115)에 걸리어 빠지지 않게 되고, 결국 다단 부착봉(120)의 홀더결합부(122)(돌출부)와 센서홀더(110)의 봉결합부(113)(봉결합홀)가 일체로 결합되게 된다.
센서(2)가 수납된 센서홀더(110)를 진단 대상물(1)에 부착할 때에는 다단 부착봉(120)의 홀더결합부(122)를 센서홀더(110)의 봉결합부(113)(봉결합홀)에 결합한 상태로 다단 부착봉(120)의 길이를 연장시켜 진단 대상물(1)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시키고(돌출부를 봉결합홀 내에 삽입 후 회전시킴), 이어 센서(2)를 포함한 센서홀더(110)만 진단 대상물(1)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 있도록 다단 부착봉(120)을 센서홀더(110)로부터 당겨서 완전히 분리해주게 된다(돌출부를 봉결합홀에서 반대로 회전시킨 후 당김).
반면, 센서(2)의 사용을 마친 후 센서를 수납한 센서홀더(110)를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 다단 부착봉(120)의 홀더결합부(122)를 센서홀더(110)의 봉결합부(113)에 다시 결합한 뒤 다단 부착봉(120)을 강하게 당겨주어 센서홀더(110)의 영구자석(111)이 진단 대상물(1)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센서홀더(110)를 다단 부착봉(120)에 결합시킨 일체의 상태로 탈거하게 된다.
이때, 다단 부착봉(120)의 홀더결합부(122)와 센서홀더(110)의 봉결합부(113)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단 부착봉(120)의 돌출부(124)를 센서홀더(110)의 봉결합홀(114)에 삽입한 뒤 다단 부착봉(120) 전체를 살짝 돌려주어야 하고, 이에 돌출부(124)가 봉결합홀(114) 내에서 회전된 상태로 걸림턱(115)에 바깥쪽 방향으로 걸릴 수 있게 한다.
결국, 돌출부(124)가 봉결합홀(114) 내에서 걸림턱(115)에 의해 걸려 있게 되면서 홀더결합부(122)와 봉결합부(113)의 일체 결합이 이루어지는 바, 이 상태로 다단 부착봉(120)을 당겨줄 경우 돌출부(124)가 봉결합홀(114)의 걸림턱(115) 부분에 걸린 상태로 센서홀더(110) 전체를 당겨주게 되고, 결국 진단 대상물(1)에 부착된 영구자석(111)의 자력을 이기고 센서홀더(110)가 다단 부착봉(120)과 함께 딸려오게 되면서 진단 대상물(1)로부터 완전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부착 기구(100)에서는, 작업자가 센서(2)가 수납된 센서홀더(110)를 다단 부착봉(120)의 홀더결합부(122)에 결합하고, 이어 작업자가 진단 대상물(1)로부터 안전거리만큼 거리를 두고 위치한 뒤, 다단 부착봉(120)을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전개시켜 길이를 연장시킴으로써 센서홀더(110)를 진단 대상물(1)의 원하는 센서 부착 위치에 이동 및 부착할 수 있는 바, 작업자는 진단 대상물(1)로부터 완벽한 절연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결국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확실히 예방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센서(2)의 이용 후 탈거시에도 다단 부착봉(120)을 이용하여 진단 대상물(1)과 완전히 절연을 유지한 상태로 센서를 탈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길이신축형 기구로 상술한 바와 같은 다단 부착봉(120) 대신 길이 연장이 가능하고 센서홀더(110)가 클램핑되어 결합되는 클램프의 사용이 가능하다. 도 5는 센서홀더(110)에 후술하는 돌출턱(116)을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클램프로는 복수개의 링크(126)가 X 자형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다단 접철식의 길이신축형 집게(lazy tongs)(125)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 부착을 위한 집게(125)는 일단부에 센서홀더(110)를 물어줌으로써 센서홀더(110)와 결합되는 홀더결합부(127)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작업자가 오므리거나 벌릴 수 있도록 조작하게 되는 손잡이(128)가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예시한 다단 접철식의 집게(125)는 2단 접철식의 집게로서, 손잡이(128)를 조작함에 따라 2단 접철식의 링크(126) 전체가 동시에 움직이면서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센서부착용 집게(125)에서는 작업자가 손잡이(128)를 오므려주거나 벌려주는 조작을 할 때 손잡이(128)에 연결된 X 자형 링크(126) 전체가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X 자형 링크 선단부에 구비된 홀더결합부(127)가 오므려지거나 벌어지게 되는 바, 손잡이(128)를 오므려주어 홀더결합부(127)가 오므려지는 경우 센서홀더(110)를 물어줄 수 있게 되고, 손잡이(128)를 벌려주어 홀더결합부(127)가 벌어지는 경우 센서홀더(110)로부터 떨어지면서 결합이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5 및 도 6에서 2단 접철식을 예시하고 있으나, 링크(126)의 수를 늘려 3단이나 4단 또는 그 이상의 단수로 접철이 가능하도록 집게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착용 집게(125)에서 상호 결합되어 손잡이(128)의 조작에 따라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링크(126)와 링크 사이에는 집게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하여 링크와 링크 사이를 잡아주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스프링(129)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29)은 링크(126)와 링크 사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링크(126)가 갑자기 오므려지거나 벌려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로써 집게(125)가 갑자기 길이 연장되거나 길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129)은 링크(126)가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작업자가 손잡이(128)를 벌려줄 경우 링크(126)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연동하여 집게(125)의 전체 길이가 축소되고, 손잡이(128)를 오므려줄 경우 링크(126)가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연동하여 집게(125)의 전체 길이가 연장되는 바, 이때 상기 스프링(129)이 양측의 링크(126)를 당겨주도록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작업자가 손잡이(128)에 아무런 힘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129)의 힘에 의해 링크(126)가 서로 당겨져 집게(125)의 전체 길이가 연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센서홀더(110)를 물어주게 될 홀더결합부(127)는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 작업자가 힘을 가하여 손잡이(128)를 벌려주는 경우 스프링(129)이 인장되면서 양측의 링크(126)가 벌어지게 되고, 이때 홀더결합부(127)가 물림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벌어지는 동시에 집게(125)의 전체 길이는 축소되어지게 된다.
결국, 센서가 수납된 센서홀더(110)를 진단 대상물에 부착하기 위하여 집게(125)를 사용해 센서홀더(110)를 물어주고자 할 경우, 길이가 연장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잡이(128)를 살짝 벌려 홀더결합부(127)가 벌어지도록 한 뒤 벌어진 홀더결합부(127)에 센서홀더(110)를 끼워주고, 이어 손잡이(128)를 반대로 오므려주어 홀더결합부(127)에 센서홀더(110)가 물릴 수 있게 한다.
이 상태로 손잡이(128)를 꽉 오므려준 뒤 집게(125)를 이동시켜 센서홀더(110)를 진단 대상물에 부착시키고, 이후 다시 손잡이(128)를 살짝 벌려 홀더결합부(127)가 벌어지도록 한 뒤 벌어진 홀더결합부(127)에서 센서홀더(110)를 빼내주게 되면, 진단 대상물에 부착된 상태의 센서홀더(110)에서 집게((125)를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센서를 사용 후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 집게(125)의 홀더결합부(127)를 센서홀더 주변으로 위치시킨 뒤 손잡이(128)를 살짝 벌려 홀더결합부(127)가 벌어지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홀더결합부(127) 사이에 센서홀더(110)를 끼워준 뒤 손잡이(128)를 반대로 오므려주어 홀더결합부에 센서홀더가 다시 물리도록 한다.
이 상태로 작업자가 집게(125)를 강하게 당겨주게 되면 센서홀더(110)를 진단 대상물로부터 떼어줄 수 있으며, 결국 센서홀더(110)를 진단 대상물로부터 완전하게 탈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센서부착용 집게(125)는 센서 탈거를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센서 부착 및 탈거시 진단 대상물과의 완전한 절연 및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서, 상기 센서부착용 집게(125) 역시 전체 또는 일부가 전기절연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일부를 전기절연재질로 하는 예로서 홀더결합부(127)나 손잡이(128), 또는 이들 모두에 전기절연재질의 피복재를 씌워 절연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일부의 링크(126), 즉 손잡이(128)나 홀더결합부(127)를 전기절연재질로 제작하거나 홀더결합부(127)에서 센서홀더(110)를 물어주는 면에 절연패드(127a)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센서홀더(110)의 후단부에 집게(125)의 홀더결합부(127)가 걸릴 수 있는 돌출턱(116)을 돌출 형성시키는 것이 실시 가능하다.
이 경우, 집게(125)의 홀더결합부(127)가 센서홀더(110)를 물고 있는 상태에서 센서홀더의 탈거시 돌출턱(116)에 의해 홀더결합부(127)로부터 센서홀더(110)가 빠지지 않게 되며, 돌출턱(116)에 의해 홀더결합부(127)가 탈거방향으로 걸리게 되면서 집게(125)를 당겨주는 것으로 센서홀더(110)가 진단 대상물로부터 쉽게 탈거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센서부착용 집게(125)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은 상태, 즉 전체 길이를 축소시킨 상태로 간편히 휴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링크(126)와 링크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각 스프링(129)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는 링크(126)로부터 쉽게 해체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각 스프링(129)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가 링크(126)와 쉽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각 스프링(129)의 타단부가 일측의 링크(126)에 힌지 결합되어 고정된다고 할 때, 각 스프링(129)의 일단부는 타측의 링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5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스프링(129)의 일단부를 볼트로 링크(126)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길이신축형 기구로서, 복수개의 링크를 사용하여 다단 접철식으로 접혀지는 집게 대신, X 자형으로 결합된 2개의 링크(132)가 단순 회동하여 센서홀더(110)를 물어주거나 물림 해제하는 단순 회동식의 가위형 집게(131)가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가위형 집게(131)는 도 7a 및 도 7b에 예시한 바와 같다.
상기 가위형 집게(131)의 링크(132) 일단부에는 센서홀더(110)를 물어줌으로써 센서홀더(110)와 결합되는 홀더결합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가위형 집게(131)의 링크(132) 타단부에는 작업자가 오므리거나 벌릴 수 있도록 조작하게 되는 손잡이(134)가 조립되는데, 상기 링크(132)와 손잡이(134) 사이에는 길이 조절을 위한 다양한 길이의 연장봉(136)이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연장봉(136)은 나사체결방식으로 링크(132)와 손잡이(134)에 각각 체결되어 조립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길이 조절을 위하여 각 링크(132)와 손잡이(134) 사이에 각각 연장봉(136)이 복수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연장봉(136)과 연장봉 간에도 나사체결방식으로 조립되도록 한다.
상기 가위형 집게(131) 역시 전체 또는 일부(손잡이, 홀더결합부, 피복재 등)를 전기절연재질로 제작할 수 있고, 절연패드(133a)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홀더결합부(133)에서 센서홀더(110)를 물어주는 방식은 다단 접철식의 집게(125)에서와 차이가 없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길이신축형 기구의 이용에 있어서, 보다 확실한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길이신축형 기구, 즉 다단 부착봉(120)이나 클램프(집게)(125,131)의 일측에 지면으로 접지되는 접지선(미도시)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착 기구에서는 작업자가 고전압이 흐르는 진단 대상물에 센서를 부착하거나 탈거함에 있어서 안전거리만큼 거리를 두고 센서홀더에 수납된 상태의 센서를 길이신축형 기구를 이용하여 진단 대상물에 근접시킨 뒤 부착하거나 탈거시킬 수 있게 되는 바, 진단 대상물로부터 작업자의 완벽한 절연상태를 제공하여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 센서 부착 기구 110 : 센서홀더
120 : 다단 부착봉 125 : 다단 접철식의 집게
131 : 가위형 집게

Claims (13)

  1. 센서(2)를 수납한 상태로 부착수단에 의해 진단 대상물(1)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센서홀더(110)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일단부에는 센서홀더(110)와 결합되는 홀더결합부(122,127,133)가, 타단부에는 손잡이(123,128,138)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123,128,138)를 잡고 길이 조절된 상태 및 센서홀더(110)가 상기 홀더결합부(122,127,133)에 결합된 상태로 센서홀더(110)를 진단 대상물(1)로 이동 및 부착시키는데 이용되는 길이신축형 기구;
    를 포함하는 센서 부착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홀더(110)는 전기절연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부착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자력에 의해 센서홀더(110)가 진단 대상물(1)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센서홀더(110)에 부착되는 영구자석(111)인 것 특징으로 하는 센서 부착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길이신축형 기구는 복수개의 봉(121)이 다단으로 중첩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로 구비되어 전체 길이가 조절 가능하면서 상기 일단부에는 센서홀더(110)의 봉결합부(113)에 결합되는 홀더결합부(122)가 형성된 다단 부착봉(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부착 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센서홀더(110)의 봉결합부(113)는 상기 다단 부착봉(120)의 홀더결합부(122)가 끼워져 고정되는 봉결합홀(1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부착 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서홀더(110)와 다단 부착봉(120)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다단 부착봉(120)에 의해 진단 대상물(1)에 부착된 센서홀더(110)의 탈거가 가능하도록, 상기 홀더결합부(122)로서 다단 부착봉(120)의 맨 앞쪽 봉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홀더(110)의 봉결합홀(114)에는 다단 부착봉(120)의 돌출부(124)가 삽입된 뒤 다단 부착봉(120)의 회전상태에서 상기 돌출부(124)가 걸리어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걸림턱(1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부착 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길이신축형 기구는 X 자형으로 결합된 링크(126,132)를 포함하면서 길이 연장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센서홀더(110)가 클램핑되어 결합되는 클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부착 기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가 X 자형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링크(126)들을 가지는 다단 접철식의 길이신축형 집게(125)이고, 상기 다단 접철식 집게(125)의 일단부에는 센서홀더(110)를 물어줌으로써 센서홀더(110)와 결합되는 홀더결합부(127)가, 상기 다단 접철식 집게(125)의 타단부에는 작업자가 오므리거나 벌릴 수 있도록 조작하게 되는 손잡이(128)가 구비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부착 기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가 X 자형으로 결합된 2개의 링크(132)를 가지는 가위형 집게(131)이고, 상기 가위형 집게(131)의 링크(132) 일단부에는 센서홀더(110)를 물어줌으로써 센서홀더(110)와 결합되는 홀더결합부(133)가 형성되며, 상기 가위형 집게(131)의 링크(132) 타단부에는 작업자가 오므리거나 벌릴 수 있도록 조작하게 되는 손잡이(134)가 조립되고, 상기 링크(132)와 손잡이(134) 사이에 길이 조절을 위한 연장봉(136)이 연결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부착 기구.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홀더결합부(127,133)에서 센서홀더(110)를 물어주는 면에는 절연패드(127a,133a)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부착 기구.
  11.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센서홀더(110)의 후단부에는 상기 집게(125,131)의 홀더결합부(127,133)가 걸릴 수 있는 돌출턱(116)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부착 기구.
  12. 청구항 1, 청구항 4, 및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신축형 기구는 진단 대상물(1)과의 절연을 위하여 전체 또는 일부가 전기절연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부착 기구.
  13. 청구항 1, 청구항 4, 및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신축형 기구의 일측에는 지면으로 접지되는 접지선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부착 기구.
KR1020100113235A 2010-11-15 2010-11-15 센서 부착 기구 KR101103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235A KR101103667B1 (ko) 2010-11-15 2010-11-15 센서 부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235A KR101103667B1 (ko) 2010-11-15 2010-11-15 센서 부착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667B1 true KR101103667B1 (ko) 2012-01-11

Family

ID=4561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235A KR101103667B1 (ko) 2010-11-15 2010-11-15 센서 부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66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377B1 (ko) 2012-08-24 2014-10-06 한라엔컴 주식회사 모듈형 온습도 센서
KR200480066Y1 (ko) 2014-09-17 2016-04-07 김형열 염분계 센서봉의 구조
KR20170037324A (ko) * 2015-09-25 2017-04-04 한국전력공사 송전용 불량애자 검출 장치
CN107064710A (zh) * 2017-01-17 2017-08-18 王建伟 巡查杆及电力设备巡查装置
GB2572405A (en) * 2018-03-29 2019-10-02 Vollspark Ltd Attachment device for monitoring power systems
KR20200117548A (ko) * 2019-04-04 2020-10-14 한국전력공사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563A (ko) * 2001-10-26 2003-05-09 손경식 은판이 구비된 매트용 패드, 그를 이용한 매트 및 매트의제조방법
KR200334563Y1 (ko) 2003-09-04 2003-11-28 김현식 크레인용 와이어 홀딩장치
JP2007068251A (ja) 2005-08-29 2007-03-1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作業棒用装着具
KR20100054610A (ko) * 2008-11-14 2010-05-25 한국전력공사 고전압 전력기기용 극초단파 부분방전 어레이 센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563A (ko) * 2001-10-26 2003-05-09 손경식 은판이 구비된 매트용 패드, 그를 이용한 매트 및 매트의제조방법
KR200334563Y1 (ko) 2003-09-04 2003-11-28 김현식 크레인용 와이어 홀딩장치
JP2007068251A (ja) 2005-08-29 2007-03-1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作業棒用装着具
KR20100054610A (ko) * 2008-11-14 2010-05-25 한국전력공사 고전압 전력기기용 극초단파 부분방전 어레이 센서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377B1 (ko) 2012-08-24 2014-10-06 한라엔컴 주식회사 모듈형 온습도 센서
KR200480066Y1 (ko) 2014-09-17 2016-04-07 김형열 염분계 센서봉의 구조
KR20170037324A (ko) * 2015-09-25 2017-04-04 한국전력공사 송전용 불량애자 검출 장치
KR102433211B1 (ko) * 2015-09-25 2022-08-18 한국전력공사 송전용 불량애자 검출 장치
CN107064710A (zh) * 2017-01-17 2017-08-18 王建伟 巡查杆及电力设备巡查装置
GB2572405A (en) * 2018-03-29 2019-10-02 Vollspark Ltd Attachment device for monitoring power systems
KR20200117548A (ko) * 2019-04-04 2020-10-14 한국전력공사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KR102654539B1 (ko) 2019-04-04 2024-04-05 한국전력공사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667B1 (ko) 센서 부착 기구
CN103133743B (zh) 用于线性致动器故障保护装置
JP5964346B2 (ja) 間接活線工具用検電器
US10086504B2 (en) Method of using a meter puller
CN112763899B (zh) 手持伸缩检测装置
JP2008148401A (ja) 遠隔操作棒の先端連結工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遠隔操作取付工法
JP5897628B2 (ja) 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JP5094185B2 (ja) スライド式防護管及びその装着方法
CN111094969A (zh) 线缆管理组件
JP2018074716A (ja) 間接活線工事用切断工具
JP2007295726A (ja) 電線仮支持具及びその取扱方法
JP2016171655A (ja) 間接活線工事用端末キャップ
KR102085306B1 (ko) 라인 결합 연결체 및 방풍 가드를 포함하는 결합 연결 장치
JP2014003867A (ja) 電線防護管取付け用器具
JP5911833B2 (ja) 操作棒連結具および電線支持方法
JP6565659B2 (ja) 間接活線工事用圧縮スリーブ
JP2017117680A (ja) メガリングフィルタ用接地工具
JP5960205B2 (ja) 間接活線工事用端末キャップ
JP5008586B2 (ja) 検電器具、及び検電方法
JP6458508B2 (ja) 先端工具
US8579026B2 (en) Safety structure for downhole power unit testing
CN204207841U (zh) 视频腔镜手术工具
CN220772093U (zh) 一种剥线钳钳口检测装置
CN207946451U (zh) 一种用于高频电流传感器的绝缘操作杆
JP2010220311A (ja) テストプラグ用短絡具及びテストプラグの短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