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342B1 -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342B1
KR102087342B1 KR1020200000234A KR20200000234A KR102087342B1 KR 102087342 B1 KR102087342 B1 KR 102087342B1 KR 1020200000234 A KR1020200000234 A KR 1020200000234A KR 20200000234 A KR20200000234 A KR 20200000234A KR 102087342 B1 KR102087342 B1 KR 102087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holder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산
Original Assignee
(주)극동아이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극동아이피엘씨 filed Critical (주)극동아이피엘씨
Priority to KR1020200000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84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voltage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과 점프선을 통하여 배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점프선에 연결된 전압계가 전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전압 측정에 따라 적정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전압 측정에 따른 전압상태표시램프의 점등에 따라 정상전압상태나, 비정상전압상태에 대한 확인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monitoring system for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과 점프선을 통하여 배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점프선에 연결된 전압계가 전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전압 측정에 따라 적정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전압 측정에 따른 전압상태표시램프의 점등에 따라 정상전압상태나, 비정상전압상태에 대한 확인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기는 1차 변전소에서 송전에 적합한 초고압(154 kV 내지 745 kV)으로 승압하여 송전계통을 통해 송전하고, 다시 2차 변전소에서 특고압(22.9 kV)로 강압하여 수용가의 주변까지 배전한 후 전주에 설치된 주상변압기에 의하여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용전압(230kV 또는 380kV)으로 강압하여 전주에 가설된 배전계통을 통해 배전하게 된다.
배전계통은 전주에 지지되는 가공배전선 또는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을 통해 배전된다.
이러한 상용전압의 상용전기를 배전하는 배전선로에서는 수용부하의 증감에 따라 전압이 승강하게 되어 수용가의 전자전기기기의 사용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배전선로의 전압을 감시하여 배전선로의 전압을 정상전압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02369호(2016.03.10.)에는 '배전선로 전압 감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전선로 전압 감시 시스템은 전압계의 전압 측정에 따른 전압상태표시램프의 점등 상태가 햇빛 등에 의해 방해되면서 확인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02369호(2016.03.10.) '배전선로 전압 감시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배전선과 점프선을 통하여 배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점프선에 연결된 전압계가 전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전압 측정에 따라 적정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전압 측정에 따른 전압상태표시램프의 점등에 따라 정상전압상태나, 비정상전압상태에 대한 확인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전주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완철에 양측 배전선을 현수애자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하고, 양측 배전선을 점프선으로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완철 상면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는 지지대; 절연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점프선의 중앙 외주면 상반부를 감싸며 하방으로 개방된 공간부와 양단에 점프선의 외주면 상반부를 조이는 상부조임부를 가지는 상부홀더와, 상기 점프선의 중앙 외주면 하반부를 감싸며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부와 양단에 점프선의 외주면 하반부를 조이는 하부조임부를 가지는 하부홀더를 포함하는 점프선홀더; 상기 상부홀더의 공간부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점프선의 외주면 상반부를 누르는 누름편; 상기 하부홀더의 공간부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좌우로 이격된 위치에서 점프선의 도체의 하반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점;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전장케이스; 상기 전장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접점에 리드선으로 연결되는 전압계; 상기 상부홀더의 상면에 설치되는 전압상태표시램프; 상기 배전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 그리고 상기 전압계와 전압상태표시램프 및 장력조절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홀더와 하부홀더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를 관통하는 볼트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하여 결합함과 아울러 조임부가 점프선의 외주면을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누름편은 상부홀더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부홀더에 매설됨과 아울러 하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접점은 하부홀더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하단부가 하부홀더에 매설됨과 아울러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는 엘이디램프와, 상기 상부홀더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엘이디램프를 보호하는 투명캡으로 구성하고,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중공형 모터축을 가지는 구동모터와, 상기 모터축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가지며, 상단이 상기 하부홀더의 하면에 결합되는 승강스크루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와 승강스크루를 보호하는 더스트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더스트커버는 신축 가능한 고무재질의 주름관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단을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하부홀더의 하면에 형성된 연결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접합하고, 하단을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접합하여 그 내부가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장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전압계의 전압측정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에 대한 전압상태표시명령과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 대한 승강구동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전압상태표시명령에 따라 전압상태표시램프에 전압표시구동신호를 송출하는 램프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승강구동명령에 따라 구동모터에 승강구동신호를 송출하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의 점등 상태에 대한 확인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확인유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확인유도부는, 상,하부가 개방되며, 내측으로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가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홀더에 연결되고, 투명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에서 발생되는 빛이 투과되는 케이싱;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회전반사판; 상기 회전반사판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회전축을 매개로 연결된 회전날개; 개방된 상기 케이싱의 상부를 차단하는 한편, 햇빛을 차단하여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에 대한 점등 상태의 확인이 원활하도록 유도하는 차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에서 발생되는 빛이 외부로 확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렌즈가 구비되며, 상기 차양수단은,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케이싱의 상부 외측으로 결합되고 중앙부가 상부로 돌출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 차양캡; 및 상기 차양캡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차양판을 포함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전선과 점프선을 통하여 배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점프선에 연결된 전압계가 전압을 측정할 수 있음으로써 전압 측정에 따른 적정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압 측정에 따른 전압상태표시램프의 점등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정상전압상태인지, 비정상전압상태인지에 대한 확인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전압 감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에서 제어수단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에서 확인유도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602369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602369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602369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배전선로 전압 감시 시스템'은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으로 대체하고, 전압상태표시램프의 점등 상태에 대한 확인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602369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은 전주(10)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완철(20)에 양측 배전선(30)을 현수애자(40)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하고, 양측 배전선(30)을 점프선(50)으로 연결하는 구조의 가공 배전선로에 적용한 예를 보인 것이다.
상기 완철(20)은 완철밴드와 볼트/너트에 의하여 전주(10)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였으나 이에대한 도면부호는 생략한다.
상기 배전선로 전압 감지장치는 전주(10)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완철(20) 상면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는 지지대(100), 절연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점프선(50)의 중앙 외주면 상반부를 감싸며 하방으로 개방된 공간부(211)와 양단에 점프선(50)의 외주면 상반부를 조이는 상부조임부(212)를 가지는 상부홀더(210)와, 상기 점프선(50)의 중앙 외주면 하반부를 감싸며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부(221)와 양단에 점프선(50)의 외주면 하반부를 조이는 하부조임부(222)를 가지는 하부홀더(220)를 포함하는 점프선홀더(200), 상기 상부홀더(210)의 공간부(211)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점프선(50)의 외주면 상반부를 누르는 누름편(300), 상기 하부홀더(220)의 공간부(221)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좌우로 이격된 위치에서 점프선(50)의 도체(51)의 하반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점(400), 상기 지지대(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전장케이스(500), 상기 전장케이스(50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접점(400)에 리드선(610)으로 연결되는 전압계(600), 상기 상부홀더(2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전압상태표시램프(700), 상기 배전선(3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800), 상기 전압계(600)와 전압상태표시램프(700) 및 장력조절수단(80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00)는 완철(20)의 상면에 걸쳐진 상태에서 지지대(100)와 완철(20)을 관통하는 볼트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하여 완철(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점프선홀더(200)를 구성하는 상부홀더(210)와 하부홀더(220)는 통상적으로 애자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상부홀더(210)와 하부홀더(220)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213,223)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213,223)를 관통하는 볼트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하여 결합함과 아울러 조임부(212,222)가 점프선(50)의 외주면을 조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홀더(210)의 조임부(212)의 하면은 점프선(50)의 외주면 상반부에 대응하는 원호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하부홀더(220)의 조임부(222)의 하면은 점프선(50)의 외주면 하반부에 대응하는 원호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임부(212,222)의 원호면의 내경은 점프선(5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부홀더(210)와 하부홀더(220)를 볼트와 너트로 조였을 때 조임부(212,222)가 점프선(50)의 절연피복(52)을 조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홀더(210)와 하부홀더(220)의 플랜지부(213,223)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킷(미도시)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누름편(300)은 상부홀더(21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부홀더(210)에 매설됨과 아울러 하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접점(400)은 하부홀더(22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하단부가 하부홀더(220)에 매설됨과 아울러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누름편(300)은 탄성력이 양호하고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 할 수 있다.
상기 누름편(300)의 하단부는 점프선(50)의 외주면 상반부에 대응하는 원호형 누름면(310)으로 형성하고, 상기 접점(400)의 상단부는 점프선(50)의 외주면 하반부에 대응하는 원호형 접촉칼날부(410)로 형성하여 점프선(50)을 사이에 두고 상부홀더(210)와 하부홀더(22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원호형 접촉칼날부(410)가 점프선(50)의 절연피복(52)을 뚫고 들어가서 도체(51)에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장케이스(500)는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가장자리에는 플랜지부(510)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100)와 플랜지부(510)를 관통하는 볼트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하여 지지대(100)의 하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전압계(600)는 통상적인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는 엘이디램프(710)와, 상기 상부홀더(2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엘이디램프(710)를 보호하는 투명캡(72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투명캡(720)은 상기 상부홀더(210)에 형성된 램프설치공(214)에 삽입함과 아울러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는 배전선(30)에 흐르는 전류의 전압이 정상전압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소등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녹색으로 점등되고, 배전선(30)에 흐르는 전류의 전압이 정상전압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점멸하거나 적색으로 점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수단(800)은 상기 지지대(100)의 상면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821)가 형성된 중공형 모터축(820)을 가지는 구동모터(810)와, 상기 모터축(820)의 암나사부(821)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831)를 가지며 상단이 상기 하부홀더(220)의 하면에 결합되는 승강스크루(8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810)는 하단부에 플랜지부(811)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부(811)와 지지대(100)를 관통하는 볼트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하여 지지대(100)의 상면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승강스크루(830)의 상단은 상기 하부홀더(220)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224)에 매설되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810)와 승강스크루(830)는 더스트커버(840)에 의하여 풍우와 이물질의 침입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기 더스트커버(840)는 신축 가능한 고무재질의 주름관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단을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하부홀더(220)의 하면에 형성된 연결부(224)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접합하고, 하단을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100)의 상면에 접합하여 그 내부가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압계(600)의 리드선(610)은 상기 연결부(224)를 관통하고 상기 더스트커버(840)의 내부를 통과하며 지지대(100)를 관통하여 전장케이스(500)로 인입되어 전압계(6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리드선(6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전장케이스(500) 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S)와, 상기 전압계(600)의 전압측정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에 대한 정상전압상태표시명령 또는 비정상전압상태표시명령과 상기 온도센서(S)의 온도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810)에 대한 승강구동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910)와, 상기 제어부(910)의 전압상태표시명령에 따라 전압상태표시램프(700)에 전압표시구동신호를 송출하는 램프구동부(920)와, 상기 제어부(910)의 승강구동명령에 따라 구동모터(810)에 승강구동신호를 송출하는 모터구동부(930)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센서(S)의 리드선(미도시)도 상기 전압계(600)의 리드선(610)과 같은 경로를 통해 전장케이스(500) 내로 인입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장케이싱(500)의 내부에는 배전선(30)의 전류를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배터리(B)를 내장하여 전압계(600), 전압상태표시램프(700), 제어부(910), 램프구동부(920), 모터구동부(93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900)에는 근거리통신망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를 구비하고, 전주(10)에 통신장치(940)를 설치하여 전압상태와 장력상태를 지역관리센서 또는 중앙관리센터의 관리서버에 통신망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전선(30)과 점프선(50)을 통하여 배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점프선(50)에 한 쌍의 접점(400)과 리드선(610)을 통해 연결된 전압계(600)가 전압을 측정하게 된다.
전압계(600)에서 측정된 전압은 제어부(910)에 전달되고, 제어부(910)는 설정된 전압설정값(V0)과 전압측정값(V1)을 비교하여 전압측정값(V1)이 전압설정값(V2) 범위 내에 있는 경우(V1 = V0)에는 정상전압상태표시명령을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910)의 정상전압상태표시명령에 따라 램프구동부(920)가 전압상태표시램프(700)에 정상전압상태표시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전압상태표시램프(700)는 소등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녹색으로 점등되어 정상전압상태임을 표시하게 된다.
반대로, 전압계(600)에서 측정된 전압측정값이 전압설정값 범위를 벗어난 경우(V1 < V0 < V1)에는 제어부(910)는 비정상전압상태표시명령을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910)의 비정상전압상태표시명령에 따라 램프구동부(920)가 전압상태표시램프(700)에 비정상전압상태표시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전압상태표시램프(700)는 점멸하거나 적색으로 점등되어 비정상전압상태임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제어수단(900)에 통신부를 구비하고 전주(10)에 통신장치(940)를 설치한 경우에는 전압계(600)에 의하여 측정된 전압측정값이 지역관리센서 또는 중앙관리센터의 관리서버로 송신되어 원격지에서 배전선의 전압상태를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점프선(50)은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수축하면서 장력이 커지게 되고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신장하면서 장력이 작아지게 되는바, 온도센서(S)에 의하여 측정된 온드측정값이 제어부(910)에 전달되면, 제어부(910)는 온도측정값(T1)이 온도설정값(T0)을 비교하여 온도측정값(T1)이 온도설정값(T0) 범위 내에 있는 경우(T1 = T0)에는 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하지 않아 점프선홀더(200)는 승강하지 않는다.
온도측정값(T1)이 온도설정값(T0) 범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어부(910)가 하강구동명령을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910)의 하강구동명령에 따라 모터구동부(930)가 구동모터(810)에 하강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구동모터(810)가 하강구동 방향으로 작동하여 모터축(820)의 암나사부(821)와 승강스크루(830)의 수나사부(831)의 나사 작용에 의하여 승강스크루(830)가 하강하게 되고, 승강스크루(83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점프선홀더(200)이 하강하게 되어 점프선(50)의 장력을 저감시키게 된다.
온도측정값(T1)이 온도설정값(T0) 범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어부(910)가 상승구동명령을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910)의 상승구동명령에 따라 모터구동부(930)가 구동모터(810)에 상승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구동모터(810)가 상승구동 방향으로 작동하여 모터축(820)의 암나사부(821)와 승강스크루(830)의 수나사부(831)의 나사 작용에 의하여 승강스크루(830)가 상승하게 되고, 승강스크루(83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점프선홀더(20))가 상승하게 되어 점프선(50))의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점프선에 대한 장력조절작용에 의하여 점프선(50)은 항상 설정된 장력을 유지하게 되어 배전선로가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점프선(50)을 별도의 라인포스트애자를 사용하여 지지하지 않고, 지지대(100), 점프선홀더(200)와 구동모터(810), 승강스크루(830)에 의하여 지지하여 전압감시와 장력조절을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점프선(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의 점등상태에 대한 확인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확인유도부(10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즉, 상기 확인유도부(1000)는 햇빛이나, 우수 등에 의한 방해를 최대한 차단하여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의 점등에 따라 정상전압상태인지, 비정상전압상태인지에 대한 확인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확인유도부(1000)는 상,하부가 개방되며 내측으로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가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홀더(210)에 연결되고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에서 발생되는 빛이 투과되는 케이싱(1010),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싱(101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회전반사판(1020), 상기 회전반사판(102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회전축(1031)을 매개로 연결된 회전날개(1030) 및 개방된 상기 케이싱(1010)의 상부를 차단하여 외부로부터의 우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한편, 햇빛을 차단하여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에 대한 점등 상태의 확인이 원활하도록 유도하는 차양수단(104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010)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에서 조명되는 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도록 하며, 상,하부가 개방되는 원통 형태를 이룬다.
상기 상부홀더(210)는 상부에 상기 케이싱(1010)의 하부가 인입되는 인입홈(21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10)은 상기 인입홈(210a)으로 인입되는 한편,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상부홀더(2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확인유도부(1000)는 상기 케이싱(1010)과 상기 인입홈(210a)을 이루는 둘레를 기밀하는 패킹링(10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링(1050)은 상기 케이싱(1010)과 상기 인입홈(210a)을 이루는 둘레 간을 기밀하여 그 사이로 인입될 수 있는 우수 등을 차단함으로써 누전 등의 사고를 방지한다.
상기 케이싱(1010)은 외주면에 복수의 렌즈(10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렌즈(1011)는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에서 발생되는 빛이 외부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의 점등 상태에 대한 확인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싱(1010)은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031)을 지지하는 지지돌기(10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반사판(1020)은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에서 발생되는 빛을 반사하여 외부에서의 점등 상태 확인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반사판(1020)은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곡면 형태를 이루는 한편, 상부가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에서 발생되는 빛이 상기 렌즈(1011)를 통해 외부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반사판(1020)의 상부에는 회전축(1031)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1031)의 상단에는 회전날개(10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날개(1030)는 바람에 의해서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반사판(102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회전반사판(1020)은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에서 발생되는 빛이 반사되면서 멀리에서도 점등 상태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반사판(1020)은 상기 회전날개(103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의 빛이 가려지거나, 투광될 수 있도록 하여 점멸효과를 통한 주위 시선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확인유도부(1000)는 상기 회전날개(1030)의 회전에 따른 상기 회전반사판(10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의 빛이 반사되면서 외부 작업자 등에 의한 빠른 인지를 통한 확인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양수단(1040)은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케이싱(1010)의 상부로 결합되는 차양캡(1041) 및 상기 차양캡(104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차양판(1042)을 포함한다.
상기 차양캡(1041)은 불투명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면 중앙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돌출되게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중앙에는 회전축(1031)이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1031)의 단부에는 회전날개(1030)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싱(1010)은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차양캡(1041)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케이싱(1010)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차양캡(1041)의 분리에 따른 상기 구동모터(1030)의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차양판(1042)은 불투명으로 이루어지면서 햇빛을 차단한다.
상기 차양판(1042)은 상기 차양캡(104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양수단(1040)은 상기 차양캡(1041)의 외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으로 상기 차양판(1042)이 구비되는 가이드관(10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양캡(1041)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관(1043)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차양캡(104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양캡(1041)은 상,하부에 상기 가이드관(104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상,하부방지턱(1041a,104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부방지턱(1041a,1041b)은 상기 차양캡(1041)의 외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방지턱(1041a,1041b) 중 적어도 하나의 방지턱은 상기 가이드관(1043)이 상기 차양캡(1041)의 외측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양수단(1040)은 상기 가이드관(1043)의 회전을 통해 상기 차양캡(1041)의 적정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차양수단(1040)은 상기 차양캡(1041)의 상부 둘레를 따라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확장판(10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확장판(1044)은 절첩부재(1045)에 의해 상기 차양판(1042)의 상부 외측에 접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각 확장판(1044)은 상기 차양판(1042)의 상부로 접이된 상태로부터 펼침에 따라 상기 차양판(1042)의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거나,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이에 따라 상기 차양판(1042)의 상부로 접이된다.
이로 인해, 상기 차양수단(1040)은 햇빛에 의한 방해 정도에 따라 상기 확장판(1044)을 펼치거나, 접음으로써 적정한 햇빛 차단을 통해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의 점등 상태를 원활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10 : 전주 20 : 완철
30 : 배전선 40 : 현수애자
50 : 점프선 100 : 지지대
200 : 점프선홀더 210 : 상부홀더
212 : 상부조임부 220 : 하부홀더
300 : 누름편 400 : 접점
500 : 전장케이싱 600 : 전압계
700 : 전압상태표시램프 710 : 엘이디
800 : 장력조절수단 810 : 구동모터
820 : 모터축 900 : 제어수단
910 : 제어부 920 : 램프구동부
1000 : 확인유도부 1010 : 케이싱
1011 : 렌즈 1020 : 회전반사판
1030 : 회전날개 1040 : 차양수단
1041 : 차양캡 1042 : 차양판
1043 : 가이드관 1044 : 확장판
1045 : 절첩부재 1050 : 패킹링

Claims (1)

  1. 전주(10)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완철(20)에 양측 배전선(30)을 현수애자(40)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하고, 양측 배전선(30)을 점프선(50)으로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완철(20) 상면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는 지지대(100);
    절연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점프선(50)의 중앙 외주면 상반부를 감싸며 하방으로 개방된 공간부(211)와 양단에 점프선(50)의 외주면 상반부를 조이는 상부조임부(212)를 가지는 상부홀더(210)와, 상기 점프선(50)의 중앙 외주면 하반부를 감싸며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부(221)와 양단에 점프선(50)의 외주면 하반부를 조이는 하부조임부(222)를 가지는 하부홀더(220)를 포함하는 점프선홀더(200);
    상기 상부홀더(210)의 공간부(211)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점프선(50)의 외주면 상반부를 누르는 누름편(300);
    상기 하부홀더(220)의 공간부(221)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좌우로 이격된 위치에서 점프선(50)의 도체(51)의 하반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점(400); 상기 지지대(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전장케이스(500);
    상기 전장케이스(50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접점(400)에 리드선(610)으로 연결되는 전압계(600);
    상기 상부홀더(2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전압상태표시램프(700); 상기 배전선(3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800);
    그리고 상기 전압계(600)와 전압상태표시램프(700) 및 장력조절수단(80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홀더(210)와 하부홀더(220)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213, 223)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213, 223)를 관통하는 볼트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하여 결합함과 아울러 상, 하부 조임부(212, 222)가 점프선(50)의 외주면을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누름편(300)은 상부홀더(21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부홀더(210)에 매설됨과 아울러 하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접점(400)은 하부홀더(22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하단부가 하부홀더(220)에 매설됨과 아울러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는 엘이디램프(710)와, 상기 상부홀더(2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엘이디램프(710)를 보호하는 투명캡(720)으로 구성하고,
    상기 장력조절수단(800)은 상기 지지대(100)의 상면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821)가 형성된 중공형 모터축(820)을 가지는 구동모터(810)와, 상기 모터축(820)의 암나사부(821)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831)를 가지며,
    상단이 상기 하부홀더(220)의 하면에 결합되는 승강스크루(83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810)와 승강스크루(830)를 보호하는 더스트커버(8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더스트커버(840)는 신축 가능한 고무재질의 주름관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단을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하부홀더(220)의 하면에 형성된 연결부(224)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접합하고, 하단을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100)의 상면에 접합하여 그 내부가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900)은 상기 전장케이스(500) 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S)와, 상기 전압계(600)의 전압측정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에 대한 전압상태표시명령과 상기 온도센서(S)의 온도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810)에 대한 승강구동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910)와, 상기 제어부(910)의 전압상태표시명령에 따라 전압상태표시램프(700)에 전압표시구동신호를 송출하는 램프구동부(920)와, 상기 제어부(910)의 승강구동명령에 따라 구동모터(810)에 승강구동신호를 송출하는 모터구동부(9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의 점등 상태에 대한 확인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확인유도부(10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확인유도부(1000)는,
    상,하부가 개방되며, 내측으로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가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홀더(210)에 연결되고, 투명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에서 발생되는 빛이 투과되는 케이싱(1010);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싱(101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회전반사판(1020);
    상기 회전반사판(102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회전축(1031)을 매개로 연결된 회전날개(1030);
    개방된 상기 케이싱(1010)의 상부를 차단하는 한편, 햇빛을 차단하여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에 대한 점등 상태의 확인이 원활하도록 유도하는 차양수단(104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1010)은,
    상기 전압상태표시램프(700)에서 발생되는 빛이 외부로 확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렌즈(1011)가 구비되며,
    상기 차양수단(1040)은,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케이싱(1010)의 상부 외측으로 결합되고 중앙부가 상부로 돌출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 차양캡(1041); 및 상기 차양캡(104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차양판(10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전압 감시장치.
KR1020200000234A 2020-01-02 2020-01-02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 KR102087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234A KR102087342B1 (ko) 2020-01-02 2020-01-02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234A KR102087342B1 (ko) 2020-01-02 2020-01-02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342B1 true KR102087342B1 (ko) 2020-05-15

Family

ID=70678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234A KR102087342B1 (ko) 2020-01-02 2020-01-02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3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410B1 (ko) * 2020-09-02 2020-12-29 주식회사 광성이엔지 가공 배전선로의 감시시스템
KR102534029B1 (ko) 2023-03-17 2023-05-30 주식회사 한강기술 가공배전선로의 이상 유무 감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1094A (ko) * 2012-09-27 2014-04-04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의 전압 감시 장치
KR101592001B1 (ko) * 2015-10-27 2016-02-05 김호이앤씨(주) 배전선로의 전압 예측 시스템
KR101602369B1 (ko) 2015-10-02 2016-03-10 서천전기공사(주) 배전선로 전압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1094A (ko) * 2012-09-27 2014-04-04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의 전압 감시 장치
KR101602369B1 (ko) 2015-10-02 2016-03-10 서천전기공사(주) 배전선로 전압 감시 시스템
KR101592001B1 (ko) * 2015-10-27 2016-02-05 김호이앤씨(주) 배전선로의 전압 예측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410B1 (ko) * 2020-09-02 2020-12-29 주식회사 광성이엔지 가공 배전선로의 감시시스템
KR102534029B1 (ko) 2023-03-17 2023-05-30 주식회사 한강기술 가공배전선로의 이상 유무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369B1 (ko) 배전선로 전압 감시 시스템
KR102217142B1 (ko)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시스템
KR101710347B1 (ko) 배전선로 전압 감시장치
KR102087342B1 (ko)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
US20210041090A1 (en) Low voltage security lighting systems for perimeter fences
US6872883B2 (en) Mast lighting system
CA2862024C (en) Low voltage security lighting systems for perimeter fences
US9648688B2 (en) Security lighting systems for perimeter security including infrared and LED lights and light intensity controllers
KR102195410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감시시스템
KR102027743B1 (ko) 전력 케이블 접속부의 통전 및 온도 통합 감시 시스템
US6303857B1 (en) Mast lighting system
KR101296371B1 (ko) 엘이디 모듈 및 컨버터의 과전압, 과전류, 써지 보호기능을 갖는 전기안전 커넥터형 엘이디 조명 장치
KR101764325B1 (ko)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 시스템
KR101785024B1 (ko) 쌍극자피뢰침(BCAT: Bipolar Conventional Air Terminal)를 이용한 낙뢰경보시스템
KR101778212B1 (ko) 배전선로의 고압용 전원공급장치
KR101451867B1 (ko)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장치
JP2002214254A (ja) アレスタ型送配電線電流電圧計測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送配電線電流電圧計測システム
KR102404289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고장구간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KR101119409B1 (ko) 배선용 방수차단기
KR100933936B1 (ko) 가공배전선용 절연형 배전체
KR102215919B1 (ko) 누전 경고 기능이 탑재되는 볼트 절연 모듈
CN206990121U (zh) 高压电力电缆绕线式温度探测装置
JP2016129104A (ja) 標識灯
KR101794301B1 (ko)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
KR200464098Y1 (ko) 가로등 단자함이 포함된 가로등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