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724B1 -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 Google Patents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724B1
KR101948724B1 KR1020160151213A KR20160151213A KR101948724B1 KR 101948724 B1 KR101948724 B1 KR 101948724B1 KR 1020160151213 A KR1020160151213 A KR 1020160151213A KR 20160151213 A KR20160151213 A KR 20160151213A KR 101948724 B1 KR101948724 B1 KR 101948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upport
power cable
power
by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3977A (ko
Inventor
박상민
이정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앤피
Priority to KR1020160151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7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53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36Load-engag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에 근접 설치되어 전력 케이블을 인상하는 전력 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는, 지면에 대하여 지지되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로대가 설치된 제2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의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입설되는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에 대하여 유압력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단부가 상기 가로대에 고정되는 유압 로드;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단 프레임 하면에 매달려 설치되는 인상용 도르레; 상기 전력 케이블이 거치되는 케이블 거치대;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지지대 상단 프레임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인상용 도르레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고정되는 체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 동력과 체인 동력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단지 하나의 도르레만으로 지지대를 구성함으로써 인상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고, 인력을 적게 들이면서도 도심지 등과 같은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도 전력 케이블의 인상 작업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하여 바이패스 케이블을 인상하여 교체 구간의 배전선로를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POWER CABLE LIFTING APPARATUS AND DISTRIBUTION LINE BYPASS METHOD USING THAT}
본 발명은 전주에 근접 설치되어 전력 케이블을 인상하는 전력 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이 탑재된 가선 차량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며 구조를 간소화하여 협소 공간에서도 작업이 용이한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주(10) 상에 가공 전력선(20)이 현가되어 배전선로 계통을 이루고 있다. 배전선로를 신설하거나 교체하는 경우 작업자는 각 전주마다 전력선을 전주(10) 상부로 끌어 올려 전주(10) 상에 설치된 애자에 취부하는 것으로 가선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종래 전력선의 인상 작업은 주상으로 올라간 작업자가 로프를 내리면 지상의 작업자가 로프에 전력선을 연결하고, 주상 작업자가 다시 로프를 끌어올려 전력선을 인상하는 수작업으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상당한 중량의 전력선을 인력으로 끌어 올리는 것이 힘들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3553호는 간격유지용 절연 가이더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을 제안하고 있다. 동 선행문헌을 참조하면, 3상 전력선에 대응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3조를 간격유지용 절연 가이더를 이용하여 이격 배치하여 배전선로의 가공전선을 무정전 바이패스 시키는 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3조의 바이패스 케이블을 주상으로 인상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효용성이 떨어진다.
또한, 차량 및 크레인 등의 대형 장비를 이용하여 바이패스 케이블을 인상할 수 있지만, 도심지 등과 같이 주변에 건축 구조물이 복잡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 장비를 이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도 2는 종래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예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는 전주(10)에 근접하여 지면에 대하여 지지되는 제1 지지대(30)와, 제1 지지대(30)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지지대(40)로 구성된다. 도 2의 상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30)의 중간 프레임에 제1 도르레(32)가 설치되고, 상단 프레임의 하면에 제2 도르레(34)가 설치된다. 제2 지지대(40)의 하단 프레임 상면에 제3 도르레(42)가 설치되고, 상단 프레임의 하면에 제4 도르레(44)가 설치된다. 각 도르레(32, 34, 42, 44)를 경유하여 체인(50)이 연결되고 체인(50)의 말단에는 전력 케이블(70)이 거치되는 케이블 거치대(60)가 취부된다. 체인(50)의 일단부를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는 경우 도 2의 하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지지대(40)가 상승하면서 케이블 거치대(60)가 더 큰 폭으로 상승하여 전력 케이블(70)을 주상으로 인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에 예시한 종래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는 4개의 도르레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중량의 전력 케이블을 인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도르레들이 적당하게 이격되어야 하므로 지지대의 수평 방향 폭이 커져야 하며, 이에 따라 인상 장치의 크기가 커지므로 여전히 제한된 공간에서의 전력 케이블 인상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3553호
본 발명은 크레인이 탑재된 가선 차량을 이용할 필요가 없고 유압 동력과 체인 동력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지지대의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도심지 등과 같은 협소 공간에서도 전력 케이블의 인상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에 전주 장력 안전도 감시 기능을 부가하여 전력선을 신설하거나 교체작업 하는 도중에 전력 케이블에 의해 발생되는 장력을 사전에 확인하여 전주 장력 안전도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안한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하여 바이패스 케이블을 인상하고 공중에서 배전선로의 교체 구간에 바이패스 케이블을 설치하여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는, 전주 인근에 설치되어 전주 상부로 전력 케이블을 인상시키기 위한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대하여 지지되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로대가 설치된 제2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의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입설되는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에 대하여 유압력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단부가 상기 가로대에 고정되는 유압 로드;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단 프레임 하면에 매달려 설치되는 인상용 도르레; 상기 전력 케이블이 거치되는 케이블 거치대;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지지대 상단 프레임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인상용 도르레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고정되는 체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는, 상기 제1 지지대의 하부에는 상기 전주에 체결되는 제1 지지대 고정밴드가 결합되고, 상기 제1 지지대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지면에 대하여 앙카 볼트가 취부되는 지지 와이어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는, 상기 전주의 둘레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밴드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회동 축이 구비된 클램프 장치; 상기 클램프 장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대 측으로 연장되는 클램프 연장 고정부; 일단부는 상기 회동 축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전주와 대향하는 상기 제1 지지대의 대향면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 장력 연동 가동부; 및 상기 클램프 연장 고정부와 상기 장력 연동 가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전력 케이블에 의한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는, 상기 장력계는 측정된 장력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는, 상기 장력계는 측정된 장력 값을 외부 기기로 무선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은,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주 사이에 연결된 배전선로를 바이패스 시키는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에 있어서, (a) 상기 복수의 전주 각각에 근접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제1 지지대를 지면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각각의 케이블 거치대를 지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케이블 거치대에 바이패스 케이블을 거치하는 단계; (c) 상기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각각의 상기 유압 실린더를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제2 지지대 각각을 상승시키는 단계; (d) 상기 유압 실린더 각각의 동작을 정지하여 상기 제2 지지대를 공중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전 선로의 교체 구간에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을 결속하는 단계; (e)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의 결속 지점에서 상기 배전 선로의 가공전선 구간을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로 절체하는 단계; 및 (f) 상기 가공전선 구간의 양단을 절단하여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은 단일 케이블 내에 3상 전력선 및 조가선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은, 상기 단계(c)는 상기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각각의 상기 제2 지지대의 높이를 동기화 하여 진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은, 상기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각각은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c)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간에 통신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 각각의 구동 높이를 동기화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은, 상기 단계(c)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대를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제3항에 기재된 상기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의 상기 장력계를 이용하여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의 결속 지점 양단에서 장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에 따르면, 유압 동력과 체인 동력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단지 하나의 도르레만으로 지지대를 구성함으로써 인상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고, 인력을 적게 들이면서도 도심지 등과 같은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도 전력 케이블의 인상 작업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상에 전력 케이블을 인상시키는 과정에서 전력 케이블이 전주에 설치된 상태와 동일한 환경 및 조건 하에 전력 케이블에 의해 발생되는 장력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전도가 불량한 경우 전력 케이블의 가설 전에 장력 완화 장치를 부설할 수 있고 전주의 장력 안전도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선로의 교체 구간에서 각 전주에 배치되는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의 제2 지지대를 동기화하여 상승시키고, 공중에서 기존의 배전선로에 접속한 후 교체될 배전선로를 철거함으로써,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전주 상에 가공 전력선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예시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예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 전력 케이블이 인상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전력 케이블을 인상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전주 상부로 전력 케이블이 인상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장력 안전도 감시 기능이 부가된 케이블 인상 장치를 예시한 평면도, 및
도 8은 도 7의 동작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과 상대적인 척도는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이나 당해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예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는 제1 지지대(100)와, 제2 지지대(200)와, 유압 실린더(110)와, 유압 로드(120)와, 인상용 도르레(220)와, 체인(300)과, 케이블 거치대(400)로 구성된다.
제1 지지대(100)는 바닥면이 지면에 대하여 지지되며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 제1 지지대(100)의 개구된 상부로는 제2 지지대(200)가 제1 지지대(100)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지지대(200)는 제1 지지지대(200)와 마찬가지로 중공의 박스 형상을 갖는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로대(210)가 구비된다.
유압 실린더(110)는 제1 지지대(100)의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다. 유압 실린더(110) 내에 유압력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유압 로드(120)는 그 상단부가 제2 지지대(200)의 가로대(210) 저면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유압력에 의해 유압 로드(120)를 밀어 올릴 경우, 가로대(210)의 저면을 밀어 올려 제1 지지대(100)에 대하여 제2 지지대(200)가 상승한다.
인상용 도르레(2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지지대(200)의 상단 프레임 하면에 매달려 설치된다. 체인(300)은 그 일단부가 제1 지지대(100)의 상단 프레임 상면에 고정되며, 인상용 도르레(220)를 경유하여 연장되고, 그 타단부가 케이블 거치대(400)에 고정된다. 케이블 거치대(400) 상에는 전력 케이블(500)이 거치된다. 전력 케이블(500)은 예컨대, 바이패스 케이블이며, 단일의 케이블 내에 3상 전력선 및 조가선이 모두 수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전력 케이블이 인상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3과 같은 구성에서 유압 실린더(110)에 유압력을 가할 경우 도 4와 같이 유압 로드(120)가 상승하면서 가로대(210)를 밀어 올리고, 제2 지지대(200)가 제1 지지대(100)로부터 상승한다.
이때, 체인(300)의 일단부가 제1 지지대(100)의 상단 프레임 상에 고정된 상태이며, 인상용 도르레(220)는 제2 지지대(200)의 상단 프레임 하면에 매달려 설치된 상태이므로, 제2 지지대(200)의 상승과 함께 케이블 거치대(400) 역시 주상으로 상승하게 된다.
즉, 유압 동력과 체인 동력을 복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단 하나의 인상용 도르레(220)를 이용하여 전력 케이블(500)을 인상할 수 있게 되므로, 복수의 도르레를 이용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제1 지지대(100) 및 제2 지지대(200)의 너비를 크게 축소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전력 케이블을 인상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전주 상부로 전력 케이블이 인상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은 전술한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만약, 배전선로의 교체 구간이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전주(10) 사이에서 수행된다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교체 구간 내에 위치한 전주(10) 각각에 인접하여 설치한다. 여기서, 도 5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배전 선로의 교체 구간에는 더 많은 전주(10)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우선, 각각의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중 제1 지지대(100)를 지면에 대하여 고정 설치한다. 이때, 제1 지지대(100)의 하부에는 전주의 하부에 체결되는 제1 지지대 고정밴드(160)가 결합된다. 제1 지지대 고정밴드(160)는 전력 케이블(500)의 인상 과정 중 제1 지지대(100)가 장력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전주(10)의 반대 방향 또는 전주(10)의 방향으로 제1 지지대(100)가 쓰러지는 것도 방지한다. 또한, 제1 지지대(100)의 양측방에는 지면에 대하여 앙카 볼트가 취부되는 지지 와이어(150)가 설치된다. 지지 와이어(150)는 제1 지지대(100)가 바이패스 케이블(500)의 장력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교체 구간 전체에 대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 3에서와 같이 케이블 거치대(400) 상에 바이패스 케이블(500)을 거치시킨다. 제2 지지대(200)가 제1 지지대(100) 내에 수용된 상태이므로, 케이블 거치대(400)는 지면에 가깝게 위치하며, 작업자는 지상에서 손쉽게 바이패스 케이블(500)을 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서와 같이 각각의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에서 유압 실린더를 상승 동작시킨다. 이때, 교체 구간 내의 모든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에서 유압 실린더(110)를 동시에 구동하여 제2 지지대(200)가 동일한 높이로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에 무선 통신 모듈(도시 안됨)이 구비되고, 유압 실린더(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서 무선 통신 모듈로 통신을 수행하여 유압 실런더(110) 각각의 구동 높이를 동기화 하는 것으로 제2 지지대(200)를 동일한 높이로 상승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제2 지지대(200)의 높이를 동기화 시키면 바이패스 케이블(500)의 불균형 장력에 의한 이탈 및 처짐 현상을 방지하면서, 교체 구간 전체에 대하여 바이패스 케이블(500)을 동일한 높이로 하여 주상으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바이패스 케이블(500)이 주상으로 상승되면, 각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의 제2 지지대(20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주상으로 올라가 가공 전력선(20)의 양단부 피복을 벗겨 바이패스 케이블(500)을 결속한다. 그리고 바이패스 케이블(500)의 결속 지점에서 개폐기를 이용하여 철거될 가공 전력선(20)으로부터 바이패스 케이블(500)로 배전선로의 연결을 절체한다. 그리고 나서 가공전선 구간의 양단을 절단하여 철거한다.
이와 같이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을 수행하고 나면, 가공 전력선(20)을 철거하여도 배전선로는 정상적인 전력 공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이패스 케이블(5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일의 케이블 내에 3상 전력선 및 조가선이 모두 수용된 구조를 가지므로, 바이패스 공법을 실시하기 위해 별도의 조가선을 설치하거나 3상 전력선 간에 절연 가이드를 설치하는 등의 복잡한 공법은 필요치 않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장력 안전도 감시 기능이 부가된 케이블 인상 장치를 예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동작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케이블 인상 장치에 전주 장력 안전도 감시 장치가 부가된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6에서와 같이 제1 지지대(100)가 전주(10)에 가설된 가공 전력선(20)과 수직 방향으로 전주에 근접하여 설치되므로, 제1 지지대(100)와 전주(10)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가공 전력선(20)과 수직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1 지지대(100)에 거치되는 바이패스 케이블(500)은 가공 전력선(20)과 나란하게 위치된다. 도 6에서와 같이 바이패스 케이블(500)을 주상으로 인상시킨 상태를 위에서 바라보면 도 7과 같이 예시할 수 있다.
전주(10)의 둘레에는 밴드 형태를 갖는 클램프 장치(610)가 체결되며,클램프 장치(610)의 일측에는 회동 축(620)이 구비된다. 클램프 장치(610)에서 제1 지지대(100) 측으로 클램프 연장 고정부(630)가 연장 형성된다. 클램프 연장 고정부(630)는 클램프 장치(610)와 일체를 이루어 고정된 상태에 놓여진다.
회동 축(620)에는 장력 연동 가동부(640)가 연결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장력 연동 가동부(640)의 일단부는 클램프 장치(610)의 회동 축(620)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전주(10)와 대향하는 제1 지지대(100)의 대향면에 고정된다. 즉, 제1 지지대(100)는 전주(10)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에 놓여진다.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 연장 고정부(630)와 장력 연동 가동부(640) 사이에 장력계(650)가 설치된다. 장력계(650)는 아날로그 방식의 검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방식으로 구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력계(650)는 내부에 측정된 장력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 수단은 예컨대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장력계(650)는 측정된 장력 값을 외부 기기로 무선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예컨대 지상의 작업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모듈이나 와이파이(Wi-Fi)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무선 통신 모듈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모듈과 같은 이동통신 모듈일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전주(10) 사이에서 바이패스 케이블(500)이 주상으로 인상되어 교체 구간에서 설치된다면, 2개의 케이블 인상장치 사이에는 바이패스 케이블(500)에 의한 장력이 인가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케이블(500)의 장력이 발생되는 방향으로 제1 지지대(100)가 약간 끌려갈 수 있다. 도 8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과장되게 도시하였지만, 제1 지지대(100)가 장력 방향으로 끌려가면서 장력 연동 가동부(640)가 회동 축(62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며, 장력계(650)로 바이패스 케이블(500)에 의한 장력이 측정된다.
장력의 측정 작업은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각각의 유압 실린더(110)를 동작시켜 제2 지지대(200)를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수행되며, 바이패스 케이블(500)을 완전히 주상으로 올린 상태에서 추가로 장력 측정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지지대(200)를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장력 측정 작업을 수행하므로, 각각의 제1 지지대(100)에 가해지는 케이블 장력을 동일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안전한 인상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측정된 장력 값은 주상의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지상의 작업자 단말기로 무선 전송될 것이다. 따라서 바이패스 케이블(500)을 설치하는 공정에서 장력을 측정할 수 있어, 전주(10) 상에 전력 케이블이 신설되는 상태와 동일한 환경 및 조건으로 전주(10)의 장력 안전도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전주(10)의 장력 안전도가 불량한 것으로 확인된다면 전력 케이블의 신설 전에 장력 완화 장치를 부설할 수 있어 전주의 장력 안전도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구성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한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전주 20 : 가공 전력선
100 : 제1 지지대 110 : 유압 실린더
120 : 유압 로드 150 : 지지 와이어
160 : 제1 지지대 고정밴드 200 : 제2 지지대
210 : 가로대 220 : 인상용 도르레
300 : 체인 400 : 케이블 거치대
500 : 전력 케이블(바이패스 케이블)
610 : 클램프 장치 620 : 회동 축
630 : 클램프 연장 고정부 640 : 장력 연동 가동부
650 : 장력계

Claims (10)

  1. 전주 인근에 설치되어 전주 상부로 전력 케이블을 인상시키기 위한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대하여 지지되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로대가 설치된 제2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의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입설되는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에 대하여 유압력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단부가 상기 가로대에 고정되는 유압 로드;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단 프레임 하면에 매달려 설치되는 인상용 도르레;
    상기 전력 케이블이 거치되는 케이블 거치대;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지지대 상단 프레임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인상용 도르레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고정되는 체인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대의 하부에는 상기 전주에 체결되는 제1 지지대 고정밴드가 결합되고, 상기 제1 지지대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지면에 대하여 앙카 볼트가 취부되는 지지 와이어가 설치되는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의 둘레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밴드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회동 축이 구비된 클램프 장치;
    상기 클램프 장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대 측으로 연장되는 클램프 연장 고정부;
    일단부는 상기 회동 축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전주와 대향하는 상기 제1 지지대의 대향면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 장력 연동 가동부; 및
    상기 클램프 연장 고정부와 상기 장력 연동 가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전력 케이블에 의한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계
    를 더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계는 측정된 장력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계는 측정된 장력 값을 외부 기기로 무선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주 사이에 연결된 배전선로를 바이패스 시키는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에 있어서,
    (a) 상기 복수의 전주 각각에 근접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제1 지지대를 지면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각각의 케이블 거치대를 지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케이블 거치대에 바이패스 케이블을 거치하는 단계;
    (c) 상기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각각의 상기 유압 실린더를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제2 지지대 각각을 상승시키는 단계;
    (d) 상기 유압 실린더 각각의 동작을 정지하여 상기 제2 지지대를 공중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전 선로의 교체 구간에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을 결속하는 단계;
    (e)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의 결속 지점에서 상기 배전 선로의 가공전선 구간을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로 절체하는 단계; 및
    (f) 상기 가공전선 구간의 양단을 절단하여 철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은 단일 케이블 내에 3상 전력선 및 조가선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각각의 상기 제2 지지대의 높이를 동기화 하여 진행되는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각각은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c)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간에 통신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 각각의 구동 높이를 동기화 하는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대를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제3항에 기재된 상기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의 상기 장력계를 이용하여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의 결속 지점 양단에서 장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KR1020160151213A 2016-11-14 2016-11-14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KR101948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213A KR101948724B1 (ko) 2016-11-14 2016-11-14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213A KR101948724B1 (ko) 2016-11-14 2016-11-14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977A KR20180053977A (ko) 2018-05-24
KR101948724B1 true KR101948724B1 (ko) 2019-02-15

Family

ID=6229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213A KR101948724B1 (ko) 2016-11-14 2016-11-14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7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961B1 (ko) 2020-01-13 2020-09-25 이정국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
KR102266535B1 (ko) 2021-01-20 2021-06-18 이원석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7757B (zh) * 2019-08-16 2024-03-15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电线杆抱箍的电动提升装置
CN112653016B (zh) * 2021-01-07 2022-05-03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用于临时架高电缆的设备
CN116470461B (zh) * 2023-04-18 2023-11-24 新昌县新明实业有限公司 通过移动对电力电缆进行上拉吊挂的悬吊金具及上拉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961B1 (ko) 2020-01-13 2020-09-25 이정국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
KR102266535B1 (ko) 2021-01-20 2021-06-18 이원석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977A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724B1 (ko)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US11092139B2 (en) Rotor blade replacement system
KR102246336B1 (ko)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KR20130121398A (ko) 승강구동장치를 이용한 배전활선 장주 교체공법
JP2016152698A (ja) ケーブル吊り上げ器およびケーブル布設方法
CN108462117B (zh) 一种高层建筑电缆敷设装置及其使用方法
CN105162036A (zh) 电力维护平台
KR101825615B1 (ko) 레그 작업용 플랫폼
JP2015019482A (ja) 高所作業車および高所作業車による装柱工法
US8297410B2 (en) Elevating workshop pit platform
KR101496226B1 (ko)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 작업용 곤도라
KR102225739B1 (ko) 크레인의 페스툰 행거레일 교체용 대차 및 이를 이용한 페스툰 행거레일 교체방법
KR20120070304A (ko)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JP2004282984A (ja) 電線の架線工法
KR20100098175A (ko) 와이어지지용 활차를 구비하는 무대장치
JP2011068458A (ja) エレベータのレール吊り装置
KR20150014187A (ko) 크레인용 트롤리 회전장치
KR100987530B1 (ko) 현수 애자 장치 긴선 작업 전선 인상용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긴선 작업 공정
JP2017073842A (ja) 移動用ケーブル架台
JP2010150039A (ja) 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方法および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装置
JP3692120B2 (ja) 杭抜装置
KR101451344B1 (ko) 송전선 압축기 고정장치
CN206000146U (zh) 一种网架安装移动操作平台
KR20140078828A (ko) 현수애자련 인상장치
JP2015174755A (ja) エレベータ、及びその追加機器の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