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140B1 - 안정적 전력 배전을 위한 가공배전라인 분기장치 - Google Patents

안정적 전력 배전을 위한 가공배전라인 분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140B1
KR102377140B1 KR1020210107080A KR20210107080A KR102377140B1 KR 102377140 B1 KR102377140 B1 KR 102377140B1 KR 1020210107080 A KR1020210107080 A KR 1020210107080A KR 20210107080 A KR20210107080 A KR 20210107080A KR 102377140 B1 KR102377140 B1 KR 102377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sleeve
line
suppor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숙
Original Assignee
코어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어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코어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210107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92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with support means for ends of the slee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ocating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 전력 배전을 위한 가공배전라인 분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안착홈(11a1)이 슬리브본체부(11)의 원주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분기선(DL)이 안착홈(11a1)에 감겨 고정되는 중앙부(11a)와, 슬리브본체부(1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2가압부(11b,11c)를 갖추며, 일측이 좌우 방향을 따라 절개된 원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어, 본선(ML)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게 삽입되는 슬리브본체부(11);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을 이루어 서로 이웃하는 안착홈(11a1)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제1가이드부(12);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을 이루어, 슬리브본체부(11)의 양측에 위치한 안착홈(11a1)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2,3가이드부(13,14); 안착홈(11a1)의 내면에 외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외측첨단부(15); 제1,2가압부(11b,11c)의 내부 내면에 내방으로 각각 돌출되게 구비되는 내측첨단부(16);로 구성되어, 분기선(DL)이 안착홈(11a1)에 감길 시 분기선(DL)의 가압력에 의해 본선(ML)과 밀착고정되는 금속 및 도전 재질의 분기슬리브(10)와;
하측이 개구되고, 분기슬리브(10)가 수용되는 슬리브수용홈(21); 커버(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본선(ML)이 통과하는 제1,2통과홀(22,23); 커버(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측이 제1,2통과홀(22,23)과 각각 연통되는 제1,2절개홀(24,25); 커버(20)의 내부 상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슬리브본체부(11)의 안착홈(11a1)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삽입홈(26);을 갖춘 탄성 및 절연 재질의 커버(20)와;
양단이 서로 착탈가능하되 외경이 분기슬리브(10)의 외경보다 큰 링 형상을 이루어, 내측이 슬리브본체부(11)의 안착홈(11a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외측이 커버(20)의 삽입홈(26)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분기슬리브(10)가 커버(20)의 내면과 이격되면서 커버(20)에 수용되도록 하는 탄성 및 절연 재질인 링 형상의 고정링부재(30)와;
분기슬리브(10)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전주(P)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고정대(41); 고정대(41)의 외측에 고정대(41)의 둘레를 따라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지지대(42,43); 제1지지대(42) 또는 제2지지대(43)에 설치되어, 분기슬리브(10)로부터의 분기선(DL)을 지지하는 지지애자(44);를 갖춘 분기선지지기구(40)와;
제2지지대(43) 또는 제1지지대(42)에 설치되고 분기선(DL)이 연결되는 컷아웃스위치(C)와;
컷아웃스위치(C)에 설치되는 연결대(50)와;
연결대(50)에 설치되어, 컷아웃스위치(C)와 변압기(T)를 연결하는 연결선(CL)의 이상 전류를 감지하는 이상전류감지센서(60)와;
연결대(50)에 설치되고, 이상전류감지센서(60)로부터 이상전류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되는 이상표시등(70)과;
연결대(50)에 설치되고, 이상전류감지센서(60)로부터 이상전류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외부로 경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정적 전력 배전을 위한 가공배전라인 분기장치{Branch Equipment Of Overhead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안정적 전력 배전을 위한 가공배전라인 분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를 매개로 가설되는 가공배전선로를 통해 가공배전이 이루어져, 각 수용가로 전력이 공급된다.
그리고, 가공배전선로의 본선에서 변압기(주상 변압기)로 전력을 분기하는 경우, 본선과 분기선이 분기 슬리브를 매개로 접속된다.
이때, 분기선은 변압기로 향할 시, 변압기의 배치 위치가 분기 슬리브에서 멀면 분기선이 늘어질 수 있어, 바람 등에 의해 분기선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변압기로의 안정적 전력 공급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본선과 분기선은 분기 슬리브를 매개로 횡방향으로 배치되게 접속되고, 분기 슬리브를 가압하여 본선과 분기선을 분리 슬리브에 고정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본선을 분기 슬리브에 가압 고정하더라도 외력에 의해 분기 슬리브가 벌어지면서 본선과 분기 슬리브의 접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분기선으로부터의 전류가 컷아웃 스위치를 경유하여 변압기로 향하는 데, 변압기로 이상 전류가 흐를 시 컷아웃 스위치가 전류의 흐름을 차단한다.
하지만, 상기 이상 전류가 컷아웃 스위치가 작동할 정도의 이상 전류가 아닐 시, 변압기로는 이상 전류가 흐르지만 이를 신속하게 확인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601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변압기로 흐르는 이상 전류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고, 분기선을 변압기로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분기선을 분기슬리브에 용이하게 연결하면서 본선이 분기슬리브에 견고히 연결되도록 하고, 본선 및 분기선을 분기슬리브에 연결 시 본선 및 분기선이 분기슬리브에 밀착접촉되도록 하며, 분기선의 길이에 따라 분기선과 분기슬리브의 접속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분기선과 분기슬리브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고, 분기슬리브를 보호하는 커버가 분기슬리브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면서 분기슬리브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안착홈(11a1)이 슬리브본체부(11)의 원주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분기선(DL)이 안착홈(11a1)에 감겨 고정되는 중앙부(11a)와, 슬리브본체부(1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2가압부(11b,11c)를 갖추며, 일측이 좌우 방향을 따라 절개된 원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어, 본선(ML)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게 삽입되는 슬리브본체부(11);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을 이루어 서로 이웃하는 안착홈(11a1)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제1가이드부(12);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을 이루어, 슬리브본체부(11)의 양측에 위치한 안착홈(11a1)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2,3가이드부(13,14); 안착홈(11a1)의 내면에 외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외측첨단부(15); 제1,2가압부(11b,11c)의 내부 내면에 내방으로 각각 돌출되게 구비되는 내측첨단부(16);로 구성되어, 분기선(DL)이 안착홈(11a1)에 감길 시 분기선(DL)의 가압력에 의해 본선(ML)과 밀착고정되는 금속 및 도전 재질의 분기슬리브(10)와;
하측이 개구되고, 분기슬리브(10)가 수용되는 슬리브수용홈(21); 커버(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본선(ML)이 통과하는 제1,2통과홀(22,23); 커버(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측이 제1,2통과홀(22,23)과 각각 연통되는 제1,2절개홀(24,25); 커버(20)의 내부 상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슬리브본체부(11)의 안착홈(11a1)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삽입홈(26);을 갖춘 탄성 및 절연 재질의 커버(20)와;
양단이 서로 착탈가능하되 외경이 분기슬리브(10)의 외경보다 큰 링 형상을 이루어, 내측이 슬리브본체부(11)의 안착홈(11a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외측이 커버(20)의 삽입홈(26)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분기슬리브(10)가 커버(20)의 내면과 이격되면서 커버(20)에 수용되도록 하는 탄성 및 절연 재질인 링 형상의 고정링부재(30)와;
분기슬리브(10)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전주(P)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고정대(41); 고정대(41)의 외측에 고정대(41)의 둘레를 따라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지지대(42,43); 제1지지대(42) 또는 제2지지대(43)에 설치되어, 분기슬리브(10)로부터의 분기선(DL)을 지지하는 지지애자(44);를 갖춘 분기선지지기구(40)와;
제2지지대(43) 또는 제1지지대(42)에 설치되고 분기선(DL)이 연결되는 컷아웃스위치(C)와;
컷아웃스위치(C)에 설치되는 연결대(50)와;
연결대(50)에 설치되어, 컷아웃스위치(C)와 변압기(T)를 연결하는 연결선(CL)의 이상 전류를 감지하는 이상전류감지센서(60)와;
연결대(50)에 설치되고, 이상전류감지센서(60)로부터 이상전류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되는 이상표시등(70)과;
연결대(50)에 설치되고, 이상전류감지센서(60)로부터 이상전류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외부로 경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변압기(T)로 흐르는 전류가 컷아웃스위치(C)의 작동을 위한 이상 전류보다 낮게 흐를 시, 이를 외부에 알려, 상기 이상 전류에 대해 적절한 대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가공배전라인에서 안정적으로 전력 배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압기(T)가 분기슬리브(10)로부터 멀게 위치하여, 긴 길이의 분기선(DL)을 사용해야 할 시, 분기선지지기구(40)를 매개로 분기선(DL)을 안전하게 지지하여, 변압기로의 분기선(DL)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선(DL)을 분기슬리브(10)에 걸어 고정하여, 분기선(DL) 및 분기슬리브(1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면서, 분기선(DL)을 매개로 분기슬리브(1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분기선(DL), 분기슬리브(10), 본선(ML)이 물리적, 전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연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슬리브(10)에 외측첨단부(15) 및 내측첨단부(16)가 구비되어, 본선(ML) 및 분기슬리브(10)가 견고하게 결속되면서 정밀하게 접촉되고, 분기선(DL) 및 분기슬리브(10)가 견고하게 결속되면서 정밀하게 접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선(DL)과 분기슬리브(10)의 접속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절단되어 미리 준비된 분기선(DL)의 길이에 상관없이, 분기선(DL)과 분기슬리브(1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20)가 고정링부재(30)에 의해 분기슬리브(1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면서 분기슬리브(10)에서 쉽게 이탈(특히 횡방향으로 이탈)하지 않아, 전기가 통하는 분기슬리브(10)에 의해 커버(20)가 손상되지 않으면서 커버(20)가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선(DL)과의 연결을 위해 구비된 분기슬리브(10)의 안착홈(11a1)을 활용하여 고정링부재(30)를 설치할 수 있어, 분기슬리브(10)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고정링부재(30)는, 분기슬리브(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손상시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기선지지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분기슬리브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분기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기선지지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분기슬리브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분기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 상에서 좌측 및 우측을 좌방 및 우방으로 하고, 상측 및 하측을 상방 및 하방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방향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라인 분기장치는 분기슬리브(10)와, 커버(20)와, 고정링부재(30)와, 분기선지지기구(40)와, 컷아웃스위치(C)와, 연결대(50)와, 이상전류감지센서(60)와, 이상표시등(70) 및, 송신기(80)를 포함하여, 가공배전선로 본선(ML)에서 분기되어 컷아웃스위치(C)와 연결되는 분기선(DL) 또는, 컷아웃스위치(C)와 변압기(T)를 연결하는 연결선(CL)에 흐르는 이상 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분기선(DL)이 변압기(TR)이 용이하게 연결되며, 분기선(DL)을 매개로 본선(ML)과 분기슬리브(10)가 견고히 고정되면서, 본선(ML)과 분기슬리브(10) 간의 접속, 분기선(DL)과 분기슬리브(10) 간의 접속이 정밀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분기슬리브(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본체부(11)와, 제1가이드부(12)와, 제2,3가이드부(13,14)와, 외측첨단부(15) 및, 내측첨단부(16)를 갖춘다.
상기 슬리브본체부(11)는 중앙부(11a)와, 제1,2가압부(11b,11c)를 갖추며, 일측이 좌우 방향을 따라 절개된 원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어, 본선(ML)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게 삽입된다.
상기 중앙부(11a)는, 다수의 안착홈(11a1)이 슬리브본체부(11)의 원주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분기선(DL)이 안착홈(11a1)에 감겨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선(DL)의 단부를 슬리브본체부(11)에 견고히 감은 후, 별도의 고정체(F)를 매개로 분기선(DL)의 단부를 분기선(DL) 본체에 고정함으로써, 분기선(DL)을 슬리브본체부(11)에 감아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부(11a)의 안착홈(11a1)에 감긴 분기선(DL)은 슬리브본체부(11)와 통전가능하게 접속하면서, 일측이 개구된 슬리브본체(11)가 외력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2가압부(11b,11c)는, 슬리브본체부(1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제1,2가압부(11b,11c)는 외력에 의해 본선(ML)과 맞물린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본선(ML)은 피복이 씌어지고, 분기선(DL)은 피복이 씌어지지 않은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선(ML) 및 분기선(DL)은 필요에 따라 피복이 씌어지거나 피복이 씌어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12)는,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을 이루어 서로 이웃하는 안착홈(11a1) 사이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제1가이드부(12)는 다수 개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제1가이드부(12)는 슬리브본체부(11)의 안착홈(11a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3가이드부(13,14)는,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을 이루어, 슬리브본체부(11)의 양측에 위치한 안착홈(11a1)의 외측에 각각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제2,3가이드부(12)는 슬리브본체부(11)의 안착홈(11a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외측첨단부(15)는, 안착홈(11a1)의 내면에 외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외측첨단부(15)는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내측첨단부(16)는, 제1,2가압부(11b,11c)의 내부 내면에 내방으로 각각 돌출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내측첨단부(16)는 다수 개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분기슬리브(10)는, 금속 및 도전 재질로 이루어져, 분기선(DL)이 안착홈(11a1)에 감길 시 분기선(DL)의 가압력에 의해 본선(ML)과 밀착고정된다.
상기 커버(20)는, 도 3, 도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수용홈(21)과, 제1,2통과홀(22,23)과, 제1,2절개홀(24,25) 및, 삽입홈(26)을 갖추고, 탄성 및 절연 재질을 이룬다.
상기 슬리브수용홈(21)은, 하측이 개구되고, 분기슬리브(10)가 수용된다.
상기 제1,2통과홀(22,23)은, 커버(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본선(ML)이 통과한다.
상기 제1,2절개홀(24,25)는, 커버(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측이 제1,2통과홀(22,23)과 각각 연통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2절개홀(24,25)을 통해 분기슬리브(10)을 커버(20) 내부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6)은, 커버(20)의 내부 상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슬리브본체부(11)의 안착홈(11a1)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삽입홈(26)은 다수 개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삽입홈(26)은 호 형상을 이룬다.
상기 고정링부재(30)는,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서로 착탈가능하되 외경이 분기슬리브(10)의 외경보다 큰 링 형상을 이루어, 내측이 슬리브본체부(11)의 안착홈(11a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외측이 커버(20)의 삽입홈(26)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분기슬리브(10)가 커버(20)의 내면과 이격되면서 커버(20)에 수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고정링부재(30)는 탄성 및 절연 재질로 링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고정링부재(30)는 커버(20)를 위치고정시키면서 커버(20)가 분기슬리브(1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고정링부재(30)는, 양단이 서로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지만, 상기 양단이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된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상기 분기선지지기구(40)는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41)와, 제1,2지지대(42,43) 및 지지애자(44)를 갖춘다.
상기 고정대(41)는, 링 형상을 이루어, 분기슬리브(10)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전주(P)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고정대(41)는 전주(P)에 삽입설치된다.
상기 제1,2지지대(42,43)는, 고정대(41)의 외측에 고정대(41)의 둘레를 따라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제1,2지지대(42,43)는,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를 매개로, 고정대(41)에 회전가능하면서 일정 위치에 위치고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애자(44)는, 제1지지대(42) 또는 제2지지대(43)에 설치되어, 분기슬리브(10)로부터의 분기선을 지지한다. 본 발명에서 지지애자(44)는 제1지지대(42)에 설치되고, 제2지지대(43)에는 컷아웃스위치(C)가 설치된다.
상기 컷아웃스위치(C)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대(43) 또는 제1지지대(42)에 설치되고 분기선(DL)이 연결된다. 상기 컷아웃스위치(C)는, 퓨즈를 매개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2지지대(43)에 설치된다.
상기 연결대(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아웃스위치(C)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연결대(50)는 컷아웃스위치(C)에 설치되지만, 제1지지대(42) 또는 제2지지대(43)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이상전류감지센서(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50)에 설치되어, 컷아웃스위치(C)와 변압기(T)를 연결하는 연결선(CL)의 이상 전류를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 이상전류감지센서(60)는, 컷아웃스위치(C)의 퓨즈가 끊어지는 전류보다는 약하지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이상 전류를 감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상전류감지센서(60)는 연결선(C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연결선(CL)의 이상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이상표시등(7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50)에 설치되고, 이상전류감지센서(60)로부터 이상전류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된다. 본 발명에서 이상표시등(70)은 이상전류감지신호에 따라 점등될 수 있으면, 그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설계변경될 수 있다.
상기 송신기(8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50)에 설치되고, 이상전류감지센서(60)로부터 이상전류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외부로 경고신호를 송출한다. 본 발명에서 송신기(80)는 상기 경고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으면, 그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설계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송신기(80)는 상기 경고신호를 별도의 관리센터에 무선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이상전류 발생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에서 분기선의 길이에 따른 분기선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서 변압기의 위치에 따른 분기선지지기구의 위치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컷아웃스위치(C)가 작동하기에는 이상전류의 값이 낮지만, 컷아웃스위치(C)에서 인출되는 연결선(CL)으로 유의미한 이상전류가 흐를 시, 이상전류감지센서(60)는 이를 감지하여 이상전류감지신호를 이상표시등(70) 및 송신기(80)로 출력한다.
그러면, 도 7과 같이 이상표시등(70)이 작동하면서 주변에 이상전류가 발생한 위치를 알리고, 송신기(80)는 경고신호를 별도의 관리센터로 무선송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각 구성을 조립하여 도 3과 같이 가공배전선로 본선(ML), 분기슬리브(10), 가공배전선로 분기선(DL)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 각 구성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분기슬리브(10)와 접촉되는 가공배전선로 본선(ML) 부분의 피복을 벗긴 후, 분기슬리브본체부(11)를 본선(ML)에 삽입한다.
이후, 슬리브본체부(11)의 제1,2가압부(11b,11c)를 가압하면, 내측첨단부(16)가 본선(ML)에 박히면서 본선(ML)과 분기슬리브본체부(11)가 견고히 고정접촉된다.
이후, 피복이 벗겨진 분기선(DL)을 슬리브본체부(11)의 안착홈(11a1)에 감아, 분기선(DL)을 슬리브본체부(11)에 가압고정한다.
이때, 외측첨단부(15)가 분기선(DL)에 박히면서 분기선(DL)과 분기슬리브본체부(11)가 견고히 고정접촉된다.
이어서, 분기선(DL)이 감기지 않은 안착홈(11a1)에 고정링부재(30)를 삽입한 후, 커버(20)를 벌려 분기슬리브(10)가 커버(2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링부재(30)의 외측은, 커버(20)의 삽입홈(26)에 삽입되어, 고정링부재(30)에 의해 커버(20)의 내면과 분기슬리브(10)의 외면이 이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분기선(DL)을 분기슬리브(10)에 설치할 시, 준비된 분기선(DL)의 길이에 따라 분기선(DL)과 분기슬리브(10)의 연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준비된 분기선(DL)이 예상보다 조금 짧을 경우, 도 8 및 도 9과 같이 슬리브본체부(11)의 좌측에 분기선(DL)을 고정연결하고, 고정링부재(30)를 슬리브본체부(11)의 우측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0과 같이 변압기(T)의 위치가 분기슬리브(10)에서 멀 경우, 제1지지대(42) 또는 제2지지대(43)의 위치를 조절하여, 분기선(DL)이 지지애자(44)에 안전하게 지지되면서, 컷아웃스위치(C)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연결대(50), 이상전류감지센서(60), 이상표시등(70), 송신기(80)는, 제2지지대(43)을 따라 이동하여 도 10과 같이 컷아웃스위치(C)에 이웃하게 위치한다. 또한 컷아웃스위치(C)에는 연결선(CL)이 연결되고, 연결선(CL)은 변압기(T)와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변압기(T)로 흐르는 전류가 컷아웃스위치(C)의 작동을 위한 이상 전류보다 낮게 흐를 시, 이를 외부에 알려, 상기 이상 전류에 대해 적절한 대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가공배전라인에서 안정적으로 전력 배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압기(T)가 분기슬리브(10)로부터 멀게 위치하여, 긴 길이의 분기선(DL)을 사용해야 할 시, 분기선지지기구(40)를 매개로 분기선(DL)을 안전하게 지지하여, 변압기로의 분기선(DL)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선(DL)을 분기슬리브(10)에 걸어 고정하여, 분기선(DL) 및 분기슬리브(1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면서, 분기선(DL)을 매개로 분기슬리브(1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분기선(DL), 분기슬리브(10), 본선(ML)이 물리적, 전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연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슬리브(10)에 외측첨단부(15) 및 내측첨단부(16)가 구비되어, 본선(ML) 및 분기슬리브(10)가 견고하게 결속되면서 정밀하게 접촉되고, 분기선(DL) 및 분기슬리브(10)가 견고하게 결속되면서 정밀하게 접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선(DL)과 분기슬리브(10)의 접속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절단되어 미리 준비된 분기선(DL)의 길이에 상관없이, 분기선(DL)과 분기슬리브(1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20)가 고정링부재(30)에 의해 분기슬리브(1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면서 분기슬리브(10)에서 쉽게 이탈(특히 횡방향으로 이탈)하지 않아, 전기가 통하는 분기슬리브(10)에 의해 커버(20)가 손상되지 않으면서 커버(20)가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선(DL)과의 연결을 위해 구비된 분기슬리브(10)의 안착홈(11a1)을 활용하여 고정링부재(30)를 설치할 수 있어, 분기슬리브(10)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고정링부재(30)는, 분기슬리브(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손상시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공배전라인이 분기되도록 하는 구성에, 가공배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 등 가공배전을 위한 다양한 구성을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안정적 전력 배전을 위한 가공배전라인 분기장치'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가공배전라인 분기장치'로 정의한다.
10: 분기슬리브 11: 슬리브본체부
12: 제1가이드부 13: 제2가이드부
14: 제3가이드부 15: 외측첨단부
16: 내측첨단부 20: 커버
21: 슬리브수용홈 22: 제1통과홀
23: 제2통과홀 24: 제1절개홀
25: 제2절개홀 26: 삽입홈
30: 고정링부재 40: 분기선지지기구
41: 고정대 42: 제1지지대
43: 제2지지대 44: 지지애자
50: 연결대 60: 이상전류감지센서
70: 이상표시등 80: 송신기
ML: 본선 DL: 분기선
CL: 연결선

Claims (1)

  1. 다수의 안착홈(11a1)이 슬리브본체부(11)의 원주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분기선(DL)이 안착홈(11a1)에 감겨 고정되는 중앙부(11a)와, 슬리브본체부(1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2가압부(11b,11c)를 갖추며, 일측이 좌우 방향을 따라 절개된 원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어, 본선(ML)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게 삽입되는 슬리브본체부(11);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을 이루어 서로 이웃하는 안착홈(11a1)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제1가이드부(12);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을 이루어, 슬리브본체부(11)의 양측에 위치한 안착홈(11a1)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2,3가이드부(13,14); 안착홈(11a1)의 내면에 외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외측첨단부(15); 제1,2가압부(11b,11c)의 내부 내면에 내방으로 각각 돌출되게 구비되는 내측첨단부(16);로 구성되어, 분기선(DL)이 안착홈(11a1)에 감길 시 분기선(DL)의 가압력에 의해 본선(ML)과 밀착고정되는 금속 및 도전 재질의 분기슬리브(10)와;
    하측이 개구되고, 분기슬리브(10)가 수용되는 슬리브수용홈(21); 커버(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본선(ML)이 통과하는 제1,2통과홀(22,23); 커버(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측이 제1,2통과홀(22,23)과 각각 연통되는 제1,2절개홀(24,25); 커버(20)의 내부 상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슬리브본체부(11)의 안착홈(11a1)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삽입홈(26);을 갖춘 탄성 및 절연 재질의 커버(20)와;
    양단이 서로 착탈가능하되 외경이 분기슬리브(10)의 외경보다 큰 링 형상을 이루어, 내측이 슬리브본체부(11)의 안착홈(11a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외측이 커버(20)의 삽입홈(26)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분기슬리브(10)가 커버(20)의 내면과 이격되면서 커버(20)에 수용되도록 하는 탄성 및 절연 재질인 링 형상의 고정링부재(30)와;
    분기슬리브(10)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전주(P)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고정대(41); 고정대(41)의 외측에 고정대(41)의 둘레를 따라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지지대(42,43); 제1지지대(42) 또는 제2지지대(43)에 설치되어, 분기슬리브(10)로부터의 분기선(DL)을 지지하는 지지애자(44);를 갖춘 분기선지지기구(40)와;
    제2지지대(43) 또는 제1지지대(42)에 설치되고 분기선(DL)이 연결되는 컷아웃스위치(C)와;
    컷아웃스위치(C)에 설치되는 연결대(50)와;
    연결대(50)에 설치되어, 컷아웃스위치(C)와 변압기(T)를 연결하는 연결선(CL)의 이상 전류를 감지하는 이상전류감지센서(60)와;
    연결대(50)에 설치되고, 이상전류감지센서(60)로부터 이상전류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되는 이상표시등(70)과;
    연결대(50)에 설치되고, 이상전류감지센서(60)로부터 이상전류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외부로 경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라인 분기장치.
KR1020210107080A 2021-08-13 2021-08-13 안정적 전력 배전을 위한 가공배전라인 분기장치 KR102377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080A KR102377140B1 (ko) 2021-08-13 2021-08-13 안정적 전력 배전을 위한 가공배전라인 분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080A KR102377140B1 (ko) 2021-08-13 2021-08-13 안정적 전력 배전을 위한 가공배전라인 분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140B1 true KR102377140B1 (ko) 2022-03-23

Family

ID=80963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080A KR102377140B1 (ko) 2021-08-13 2021-08-13 안정적 전력 배전을 위한 가공배전라인 분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1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814B1 (ko) * 2023-03-27 2023-08-01 주식회사 대웅이엔지 고정성이 향상된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2586056B1 (ko) * 2023-03-06 2023-10-10 이연기술단 주식회사 안전한 전력 배전이 가능한 가공배전선 분기장치
KR102590561B1 (ko) * 2023-03-27 2023-10-19 주식회사 대웅이엔지 가공배전선간의 안전한 연결을 위한 가공배전기기
KR102590560B1 (ko) * 2023-03-27 2023-10-19 주식회사 대웅이엔지 분기기능을 갖춘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932B1 (ko) * 2007-02-07 2007-08-13 (주)종합엔지니어링다인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0816282B1 (ko) * 2008-01-31 2008-03-27 주식회사 신원기술단 배전 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1392507B1 (ko) * 2014-03-31 2014-05-07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
KR101686013B1 (ko) 2016-01-27 2016-12-13 이재필 배전선로접속용 분기 슬리브의 이질판 고정장치
KR101787354B1 (ko) * 2017-08-16 2017-10-18 주식회사 삼호기술단 가공배전선로 연결용 분기슬리브장치
KR102153691B1 (ko) * 2020-03-13 2020-09-09 주식회사 거성기술단 위험요소를 줄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932B1 (ko) * 2007-02-07 2007-08-13 (주)종합엔지니어링다인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0816282B1 (ko) * 2008-01-31 2008-03-27 주식회사 신원기술단 배전 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1392507B1 (ko) * 2014-03-31 2014-05-07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
KR101686013B1 (ko) 2016-01-27 2016-12-13 이재필 배전선로접속용 분기 슬리브의 이질판 고정장치
KR101787354B1 (ko) * 2017-08-16 2017-10-18 주식회사 삼호기술단 가공배전선로 연결용 분기슬리브장치
KR102153691B1 (ko) * 2020-03-13 2020-09-09 주식회사 거성기술단 위험요소를 줄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056B1 (ko) * 2023-03-06 2023-10-10 이연기술단 주식회사 안전한 전력 배전이 가능한 가공배전선 분기장치
KR102561814B1 (ko) * 2023-03-27 2023-08-01 주식회사 대웅이엔지 고정성이 향상된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2590561B1 (ko) * 2023-03-27 2023-10-19 주식회사 대웅이엔지 가공배전선간의 안전한 연결을 위한 가공배전기기
KR102590560B1 (ko) * 2023-03-27 2023-10-19 주식회사 대웅이엔지 분기기능을 갖춘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7140B1 (ko) 안정적 전력 배전을 위한 가공배전라인 분기장치
KR102377142B1 (ko) 변압기로의 전선 연결이 용이한 가공배전설비
KR101915252B1 (ko)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KR101787359B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
KR101941106B1 (ko) 안전한 가공배전선로 수리를 위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1787358B1 (ko)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기구
EP2128631A1 (en) Faraday optical current sensor arrangement
US7403372B2 (en) Multiple fused junction with blown fuse indication
US5267880A (en) Waterproof fusible breakaway electrical connector
US20190262601A1 (en) Connection Piece For Producing A Liquid Connection Between Liquid-Conveying Lines, And Medical Appliance With Such A Connection Piece
JP2008226621A (ja) 分岐付ケーブル
KR101889759B1 (ko) 단자대 커버형 인디케이터
GB2189356A (en) Coaxial cable transmission system
JP2007212318A (ja) 無停電工具およびその検査治具
US20110032108A1 (en) Large current carrying capacitor having a thermal disconnect with a light indicator
US11183800B2 (en) Pin and sleeve device with indication
US5594404A (en) Fuse orientation device
JP2008159361A (ja) 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KR102382980B1 (ko)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클램핑장치
AU2013404504B2 (en) Cutout for use in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
KR102382976B1 (ko) 가공배전라인 안전지지를 위한 고정기구
JP7022388B2 (ja) ヒューズ筒支持具
KR20230074398A (ko) 무선파워 트랙을 위한 단선감지형 정션박스
GB2316810A (en) A current transformer and terminal housing assembly
KR102530357B1 (ko) 전력선통신 검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