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507B1 -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 - Google Patents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507B1
KR101392507B1 KR1020140038244A KR20140038244A KR101392507B1 KR 101392507 B1 KR101392507 B1 KR 101392507B1 KR 1020140038244 A KR1020140038244 A KR 1020140038244A KR 20140038244 A KR20140038244 A KR 20140038244A KR 101392507 B1 KR101392507 B1 KR 101392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cover
close
moving plate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병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40038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6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 H01B7/368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being a sleeve, ferrule, tag, clip, label or short length stri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5Boxes split perpendicularly to main cable dir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02G7/08Members clamped to the supporting wire or to the line or cable

Landscapes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고압 가공전선과 분기선의 분기부를 우수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유지보수 등의 작업시 넓은 작업공간을 제공하여 커버를 분리하지 않고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분리선이 꺽임없이 부드럽게 배선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는, 각각 특고압 가공전선(1)을 감싸는 반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마주하는 단부가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어 내부에 길이방향의 양측이 개방된 배선홀을 제공하여 상기 특고압 가공전선이 배선되는 제1,2커버편(110,120)과; 상기 제1,2커버편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특고압 가공전선에 분기되는 분기선(2)이 내부에 배선되는 분기 슬리브(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커버편은, 각각 반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제1,2커버편 몸체(111,121), 상기 제1,2커버편 몸체에 각각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2작업공(112,122), 상기 제1,2커버편의 외부에 상단이 경첩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2작업공을 개폐하는 제1,2개폐판(117,127), 상기 제1,2커버편의 길이방향 양측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제1,2커버편 몸체에 지지되면서 상기 특고압 가공전선을 지지하되 마주하는 단부에 서로 끼워지는 돌기와 홈이 형성되어 서로 끼워 결합되는 제1,2스페이서(116,126), 상기 제1,2커버편 몸체의 저부에 서로 이어지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개방 형성되는 제1,2슬리브 연결장공(114,124), 상기 제1,2커버편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제1,2슬리브 연결장공을 따라 형성되는 제1,2레일(115,125)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 슬리브는 상기 제1,2커버편의 제1,2레일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통공이 구비된 이동판(131), 상기 이동판의 저부에 상기 통공과 연통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분기선이 배선되는 슬리브(132), 상기 이동판에 나사 체결되며 단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커버편 몸체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이동판이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볼트형 고정구(133), 상기 이동판의 양측에 각각 신축 내지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제1,2커버편의 제1,2슬리브 연결장공을 밀폐하는 차폐판(13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A insulating cover structure for a working without power stoppage for a special high-voltage electric wire}
본 발명은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고압 가공전선과 분기선의 분기부를 우수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유지보수 등의 작업시 넓은 작업공간을 제공하여 커버를 분리하지 않고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분리선이 꺽임없이 부드럽게 배선되도록 한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은 발전소로부터 송전철탑 등을 사용한 송전선로를 통해 변전소로 전송되어 여러 단계의 변압 과정을 거친 후 전주의 배전선로를 따라 일반 수용가(가정)로 공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정전에 의해 생산과정에 많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작업체계에서는 공장라인, 배선 등의 추가적 설치 시에도 무정전 작업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 있는데, 이러한 무정전 작업은 특고압 가공전선의 일부 피복을 제거하여 이 부위에 클램프로 바이패스 케이블 헤드를 연결하여 진행되며, 무정전 작업 완료 후에는 피복 제거한 부위에 분기슬리브 커버를 설치하여 특고압 가공전선의 피복 제거된 부분을 절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무정전 작업 시 특고압 가공전선의 임의의 장소에 피복을 제거한 후 커버를 설치하기 때문에, 무정전 작업의 증가에 따라 특고압 가공전선의 피복제거가 무분별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작업방식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정전 절연커버가 제안되고 있으나,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또한, 분기선이 배선되는 분기 슬리브의 위치가 고정이기 때문에 분기선의 꺽임 등이 발생되어 단선의 우려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677649호 등록특허 제10-088045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고압 가공전선과 분기선의 분기부를 우수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유지보수 등의 작업시 넓은 작업공간을 제공하여 커버를 분리하지 않고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분리선이 꺽임없이 부드럽게 배선되도록 한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는, 각각 특고압 가공전선을 감싸는 반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마주하는 단부가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어 내부에 길이방향의 양측이 개방된 배선홀을 제공하여 상기 특고압 가공전선이 배선되는 제1,2커버편과; 상기 제1,2커버편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특고압 가공전선에 분기되는 분기선이 내부에 배선되는 분기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커버편은, 각각 반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제1,2커버편 몸체, 상기 제1,2커버편 몸체에 각각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2작업공, 상기 제1,2작업공에 설치되어 상기 배선홀을 개폐하는 제1,2방수덮개, 상기 제1,2커버편의 길이방향 양측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제1,2커버편 몸체에 지지되면서 상기 특고압 가공전선을 지지하되 마주하는 단부에 서로 끼워지는 돌기와 홈이 형성되어 서로 끼워 결합되는 제1,2스페이서, 상기 제1,2커버편 몸체의 저부에 서로 이어지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개방 형성되는 제1,2슬리브 연결장공, 상기 제1,2커버편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제1,2슬리브 연결장공을 따라 형성되는 제1,2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 슬리브는 상기 제1,2커버편의 제1,2레일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통공이 구비된 이동판, 상기 이동판의 저부에 상기 통공과 연통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분기선이 배선되는 슬리브, 상기 이동판에 나사 체결되며 단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커버편 몸체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이동판이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볼트형 고정구, 상기 이동판의 양측에 각각 신축 내지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제1,2커버편의 제1,2슬리브 연결장공을 밀폐하는 차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개폐판은 하나의 레버에 의해 개폐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2작업공을 개폐하는 제1,2방수덮개가 설치되어 제1,2작업공의 수밀성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에 의하면, 제1,2커버편, 제1,2스페이서, 제1,2개폐판 및 제1,2방수덮개 등에 의해 특고압 가공전선과 분기선이 분기되는 절연커버의 내부를 완벽하게 수밀하게 조성하여 분기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절연커버의 양쪽에 제1,2작업공을 구성하고 제1,2작업공을 개방하여 넓은 작업공간을 제공하여 작업자가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보수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분기 슬리브가 이동되어 분기선의 배선 방향에 맞춰 분리 슬리브를 셋팅하여 분기선의 꺽임 및 이로 인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에 제1,2개폐판이 적용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에 적용된 제1,2개폐판이 개방된 사시도.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100)는, 특고압 가공전선(1)(이하 "가공전선"이라 약칭함)의 분기부를 감싸 보호하는 제1,2커버편(110,120), 제1,2커버편(110,120)에 연결되며 내부에 가공전선(1)에 분기되는 분기선(2)이 배선되는 분기 슬리브(130)로 구성되며, 이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2커버편(110,120)은 동일한 구조의 제품이며 즉 하나의 제품이 좌우 대칭으로 배열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되며 내부에 가공전선(1)이 배선되고 분기선(2)이 분기되는 공간인 배선홀을 제공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2커버편(110,120)은 각각 반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제1,2커버편 몸체(111,121), 제1,2커버편 몸체에 각각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2작업공(112,122), 제1,2작업공(112,122)에 설치되어 상기 배선홀을 개폐하는 제1,2방수덮개(113,123)로 구성된다.
즉 제1,2커버편 몸체(111,121)에 형성된 제1,2작업공(112,122)에 의해 가공전선(1)과 분기선(2)의 분기부가 외부로 개방되고 특히 분기부의 양측에 각각 작업공을 확보함에 따라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하다. 물론, 제1,2작업공(112,122)은 제1,2방수덮개(113,123)에 의해 폐쇄됨에 따라 이물질과 우수에 의한 분기부의 손상 및 전력 계통의 이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제1,2방수덮개(113,123)는 일측 예를 들어 상부가 제1,2작업공(112,122)의 상부에 고정되며 하부의 자유단부가 제1,2작업공(112,122)의 하부에 록킹(끼움식 등)되어 제1,2작업공(112,122)을 수밀하게 폐쇄하는 구조로서 유연성이 있는 시트 또는 주름막 구조 등이 가능하고, 하부의 자유단부는 후술하는 제1,2개폐판(117,127)에 걸려 제1,2작업공(112,122)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1,2작업공의 수밀성의 증대를 위하여 제1,2작업공(112,122)과 제1,2방수 덮개(113,123) 중 일측 이상의 테두리에는 고무 패킹이 적용된다. 제1,2방수덮개(113,123)는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된다.
제1,2커버편 몸체(111,121)에는 분기 슬리브(130)의 장착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1,2커버편 몸체(111,121)의 저부에는 결합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서로 이어지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개방 형성되는 제1,2슬리브 연결장공(114,124)이 형성된다. 즉 제1,2슬리브 연결장공(114,124)에 의해 하나의 슬리브 연결장공이 형성되고 분리 슬리브(130)의 이동을 감안하여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제1,2커버편 몸체(111,121)에는 분기 슬리브(130)의 안정적인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1,2레일(115,125)이 형성된다.
제1,2커버편 몸체(111,121)는 가공전선(1)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아울러 이물질과 우수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제1,2스페이서(116,126)가 적용된다.
제1,2스페이서(116,126)는 각각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고무 등의 탄성체이며 가공전선(1)의 둘레부를 탄력적으로 밀착 지지하여 가공전선(1)이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분기부의 단선 등을 방지한다. 제1,2커버편 몸체(111,121)가 결합될 때 이들의 이음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제1,2스페이서(116,126)는 마주하는 단부에 서로 끼워지는 돌기와 홈의 요철부(116a,126a)가 구비된다.
분기 슬리브(130)는 제1,2레일(115,125)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분기선(2)의 배선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며, 제1,2레일(115,125)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분기선(2)이 통과하는 통공이 구비된 이동판(131), 이동판(131)의 저부에 상기 통공과 연통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분기선(2)이 배선되는 슬리브(132)로 구성된다.
분기 슬리브(130)가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볼트형 고정구(133)가 적용될 수 있다. 볼트형 고정구(133)는 이동판(131)에 나사 체결되며 단부가 제1 또는 제2커버편 몸체(111,121)의 외주면에 밀착 지지되어 이동판(131)이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분기 슬리브(130)의 위치에 상관없이 슬리브 연결장공(114,124)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판(134)이 적용된다.
차폐판(134)은 이동판(131)의 원주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일측은 이동판(131)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1,2레일(115,125)의 단부에 고정되는 것이고 신축 내지 절첩이 가능한 구조이다.
제1,2작업공(112,122)을 개폐하는 제1,2개폐판(117,127)이 적용된다.
제1,2개폐판(117,127)은 제1,2커버편 몸체(111,121)의 외부에 상단이 경첩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한편 하부가 제1,2커버편 몸체(111,121)에 록킹장치(고리, 끼움 등)를 통해 록킹되어 제1,2작업공(112,122)을 개폐하며, 수밀성 확보를 위하여 안쪽면 테두리부에는 패킹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2개폐판(117,127)의 폭방향 양측에는 양측을 차양하기 위한 차양막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차양막은 유연성이 있는 방수 시트 또는 주름막의 방수 시트로 구성되며 양측이 제1,2개폐판(117,127)과 제1,2커버편 몸체(111,121)에 각각 고정되어 제1,2개폐판(117,127)의 개폐시 펼쳐지거나 접히는 구조이다.
제1,2개폐판(117,127)은 하나의 개폐 레버(119)를 통해 함께 개폐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이 더욱 용이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1,2개폐판(117,127)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2개폐 레일(118,128), 제1,2개폐 레일(118,128)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2키홈(118a,128a)이 포함된다.
레버(119)는 폭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양측에 각각 제1,2개폐 레일(118,12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더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는 제1,2개폐 레일(118,128)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레버(119)의 상승시 제1,2개폐판(117,127)을 열림 동작하도록 하고 레버(119)의 하강시 닫힘 동작하도록 한다. 물론, 레버(119)의 승강시 상기 슬라이더가 제1,2개폐 레일(118,128)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더와 제1,2개폐 레일(118,128)은 더브테일 등의 구조로 구성된다. 레버(119)의 승강에 의해 제1,2개폐판(117,127)이 승강되도록 레버(119)는 신축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거나 제1,2개폐판(117,127)의 외부면은 도면에 도시된 곡선형이 아니라 직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제1,2개폐 레일(118,128)의 상단부에서 레버(119)에 의해 전진하여 제1,2키홈(118a,128a)에 끼워짐으로써 레버(119)를 고정하여 제1,2개폐판(117,127)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평상시 무정전 절연커버(100)의 제1,2커버편(110,120)의 내부에는 가공전선(1)이 배선되며, 가공전선(1)에는 분기선(2)이 분기된 후 분기 슬리브(130)를 통해 분기 배선된다.
제1,2커버편(110,120), 제1,2스페이서(116,126), 제1,2개폐판(117,127) 및 제1,2방수덮개(113,123)를 통해 내부의 배선홀이 수밀성을 유지함에 따라 우천시 우수가 상기 배선홀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므로 가공전선(1)과 분기선(2)의 분기부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분기 슬리브(130)를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분기선(2)을 분기하고 분기선(2)의 분기가 완료되면 분기 슬리브(130)를 분기선(2)의 배선 방향에 맞도록 이동한 후 고정구(133)를 통해 고정한다. 즉 분기선(2)이 분기부와 분기 슬리브(130)에서 꺽이지 않고 배선되므로 분기부의 단선을 막을 수 있다.
한편, 분기부의 보수 작업 등이 필요한 경우 제1,2작업공(112,122)을 개방하며, 먼저 레버(119)를 들어 올리면 레버(119)가 제1,2개폐 레일(118,119)을 따라 상승하고, 이와 같은 레버(119)의 상승에 의해 제1,2개폐판(117,127)이 회전에 의해 열림 동작하고 레버(119)의 상승 완료 후 레버(119)를 제1,2키홈(118a,119a)에 끼우면 레버(119)가 하강하지 않게 되어 제1,2개폐판(117,127)이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제1,2방수 덮개(113,123)를 열면 제1,2작업공(112,122)이 개방된다.
이와 같이 양측의 제1,2작업공(112,122)을 개방하면 분기부의 양측이 개방됨에 따라 작업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양쪽에서 분기부의 작업을 할 수 있다.
작업이 완료된 후 제1,2방수 덮개(113,123)를 닫고, 레버(119)를 제1,2키홈(118a,119a)에서 제1,2개폐 레일(118,128)로 이동한 후 내리면 제1,2개폐판(117,127)이 닫힘 동작하여 제1,2작업공(112,122)을 폐쇄한다. 이로써 작업이 완료된다.
110,120 : 제1,2커버편, 111,121 : 제1,2커버편 몸체
112,122 : 제1,2작업공, 113,123 : 제1,2방수덮개
114,124 : 제1,2슬리브 연결장공,
115,125 : 제1,2레일, 116,126 : 제1,2스페이서
117,127 : 제1,2개폐판, 118,128 : 제1,2개폐 레일
119 : 레버, 130 : 분기 슬리브
131 : 이동판, 132 : 슬리브
133 : 고정구, 134 : 차폐판

Claims (3)

  1. 각각 특고압 가공전선(1)을 감싸는 반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마주하는 단부가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어 내부에 길이방향의 양측이 개방된 배선홀을 제공하여 상기 특고압 가공전선이 배선되는 제1,2커버편(110,120)과;
    상기 제1,2커버편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특고압 가공전선에 분기되는 분기선(2)이 내부에 배선되는 분기 슬리브(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커버편은, 각각 반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제1,2커버편 몸체(111,121), 상기 제1,2커버편 몸체에 각각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2작업공(112,122), 상기 제1,2커버편의 외부에 상단이 경첩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2작업공을 개폐하는 제1,2개폐판(117,127), 상기 제1,2커버편의 길이방향 양측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제1,2커버편 몸체에 지지되면서 상기 특고압 가공전선을 지지하되 마주하는 단부에 서로 끼워지는 돌기와 홈이 형성되어 서로 끼워 결합되는 제1,2스페이서(116,126), 상기 제1,2커버편 몸체의 저부에 서로 이어지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개방 형성되는 제1,2슬리브 연결장공(114,124), 상기 제1,2커버편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제1,2슬리브 연결장공을 따라 형성되는 제1,2레일(115,125)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 슬리브는 상기 제1,2커버편의 제1,2레일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통공이 구비된 이동판(131), 상기 이동판의 저부에 상기 통공과 연통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분기선이 배선되는 슬리브(132), 상기 이동판에 나사 체결되며 단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커버편 몸체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이동판이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볼트형 고정구(133), 상기 이동판의 양측에 각각 신축 내지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제1,2커버편의 제1,2슬리브 연결장공을 밀폐하는 차폐판(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개폐판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2개폐 레일(118,128), 상기 제1,2개폐 레일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2키홈(118a,128a), 양측이 상기 제1,2개폐판의 제1,2개폐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2개폐판을 함께 개폐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제1,2키홈에 걸려 상기 제1,2개폐판이 함께 개폐 동작한 후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개폐 레버(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작업공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2작업공을 개폐하는 제1,2방수덮개(113,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
KR1020140038244A 2014-03-31 2014-03-31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 KR101392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244A KR101392507B1 (ko) 2014-03-31 2014-03-31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244A KR101392507B1 (ko) 2014-03-31 2014-03-31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507B1 true KR101392507B1 (ko) 2014-05-07

Family

ID=50893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244A KR101392507B1 (ko) 2014-03-31 2014-03-31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5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615B1 (ko) * 2017-06-29 2017-12-20 함문상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
KR101901336B1 (ko) * 2018-03-21 2018-09-21 주식회사 엘에스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보호용 절연장치
CN110009809A (zh) * 2019-04-01 2019-07-12 广州巨米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售货机的联动出货货道
KR102041292B1 (ko) * 2019-04-15 2019-11-06 제룡산업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라인포스트 애자 절연커버
KR102377140B1 (ko) * 2021-08-13 2022-03-23 코어엔지니어링(주) 안정적 전력 배전을 위한 가공배전라인 분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052B1 (ko) 2008-01-16 2008-04-18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100850304B1 (ko) 2008-01-11 2008-08-04 이이순 분기 슬리브용 절연커버
KR100880450B1 (ko) 2008-10-30 2009-01-29 (주)하나전력기술단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101154025B1 (ko) 2012-03-13 2012-06-07 주식회사 천지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304B1 (ko) 2008-01-11 2008-08-04 이이순 분기 슬리브용 절연커버
KR100823052B1 (ko) 2008-01-16 2008-04-18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100880450B1 (ko) 2008-10-30 2009-01-29 (주)하나전력기술단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101154025B1 (ko) 2012-03-13 2012-06-07 주식회사 천지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615B1 (ko) * 2017-06-29 2017-12-20 함문상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
KR101901336B1 (ko) * 2018-03-21 2018-09-21 주식회사 엘에스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보호용 절연장치
CN110009809A (zh) * 2019-04-01 2019-07-12 广州巨米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售货机的联动出货货道
CN110009809B (zh) * 2019-04-01 2023-11-14 广州巨米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售货机的联动出货货道
KR102041292B1 (ko) * 2019-04-15 2019-11-06 제룡산업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라인포스트 애자 절연커버
KR102377140B1 (ko) * 2021-08-13 2022-03-23 코어엔지니어링(주) 안정적 전력 배전을 위한 가공배전라인 분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507B1 (ko) 특고압 가공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
CN202353170U (zh) 电缆分支箱
US20160241002A1 (en) Integrated electrical assembly for housing modular units and related components thereof
KR200478412Y1 (ko) 분전반용 케이스 조립체
KR20100092156A (ko)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KR101416847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CN107508237A (zh) 上合式地线融冰自动接线装置
SE463288B (sv) Skarvanordning foer sammankoppling av en laagspaenningsluftledning med en underjordsledning
KR102315996B1 (ko) 변전소의 송배전 선로 연결장치
KR100991120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JP5016714B2 (ja) ブスバー端部接続部を密封するための安全プラグ
CN102386568A (zh) 一种配电柜
CN204904940U (zh) 一种卡扣式绝缘罩
KR20150138770A (ko) 절연커버
CN209298815U (zh) 一种便于维护的10kv高压分接装备
CN206524604U (zh) 上合式地线融冰自动接线装置
RU178371U1 (ru) Блок контактных зажимов для коммутации и ответвления силовых кабелей до 380 в и кабелей осветительных цепей
CN215817474U (zh) 一种电缆中间接头防水防爆盒
KR200408996Y1 (ko) 고전압 개폐기의 외함 조립구조
EP0877460B1 (en) Bar groupings device to tranport and distribute electricity
JP2007189758A (ja) 変圧器ケーブル設置方法及び変圧器設備
KR101266503B1 (ko) 전신주에 결합되는 송배전 케이블용 탄성받침부재
KR20160131689A (ko) 이동형 전기회로 보호기기 세트
CN220823515U (zh) 一种矿用防爆箱
CN202197019U (zh) 用于变压器中性点组合电器装置的运动机构防护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