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040B1 -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040B1
KR101625040B1 KR1020160033339A KR20160033339A KR101625040B1 KR 101625040 B1 KR101625040 B1 KR 101625040B1 KR 1020160033339 A KR1020160033339 A KR 1020160033339A KR 20160033339 A KR20160033339 A KR 20160033339A KR 101625040 B1 KR101625040 B1 KR 101625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fixing
connecting member
open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자
Original Assignee
김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자 filed Critical 김순자
Priority to KR1020160033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에 관한 것으로,
점퍼선(2)을 지지하기 위해 완금(1)에 설치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에 있어서,
상기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는,
전주(3)의 좌측에 설치된 완금(1)의 우측에 설치되는 애자부(A1a) 및; 상기 애자부(A1a)의 우측에 우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체결부(A1b)를 구비한 제1애자기구(A1)와:
전주(3)의 우측에 설치된 완금(1)의 좌측에 설치되는 애자부(A2a) 및; 상기 애자부(A2a)의 좌측에 좌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제1애자기구(A1)의 체결부(A1b)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는 체결부(A2b)를 구비한 제2애자기구(A2)와:
내부에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된 내부체결부(A4a1)가 구비되고, 외부에 좌우방으로 형성된 외부체결부(A4a2)가 구비되며, 내부체결부(A4a1)가 제1애자기구(A1)의 체결부(A1b) 및 제2애자기구(A2)의 체결부(A2b)에 좌우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이음체(A4a) 및;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되며 제1이음체(A4a)의 외부체결부(A4a2)에 좌우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부(A4b1)와,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A4b1)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삽입부(A4b2) 및,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A4b1)보다 하부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볼트부(A4b3)를 구비한 제2이음체(A4b)를 갖춘 이음기구(A4)와:
이음기구(A4)의 제2이음체(A4b)의 삽입부(A4b2)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체결부(A5a)와; 상기 체결부(A5a)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A5b) 및; 표면에 반사지가 부착되며 회전부(A5b)의 상부에 구비되는 반사패널(A5c)을 갖춘 반사기구(A5) 및:
상부에 구비되며, 제2이음체(A4b)의 볼트부(A4b3)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체결부(14); 내부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되, 둘레면이 원형을 이루는 삽입부(11);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12a)와, 일측이 상기 개구부(12a)와 연통되며 고정부재(10)의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는 연통부(12b) 및, 일측이 상기 연통부(12b)의 타측과 연통되며 하방으로 형성되는 걸림부(12c)를 구비하되, 상기 삽입부(11)와 연통되도록 외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고정부(12); 고정부재(10)의 외부 둘레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12)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나사산부(13)를 갖춘 절연재질의 고정부재(10)와; 내부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되, 둘레면이 원형을 이루는 삽입부(21a1)와,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21a2a), 일측이 상기 개구부(21a2a)와 연통되며 연결체(21a)의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는 연통부(21a2b), 일측이 상기 연통부(21a2b)의 타측과 연통되며 하방으로 형성되는 걸림부(21a2c)를 구비하되, 상기 삽입부(21a1)와 연통되도록 외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고정부(21a2) 및, 연결체(21a)의 외부 둘레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21a2)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나사산부(21a3)를 갖춘 연결체(21a); 상부에 구비되며 고정부재(10)의 삽입부(1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거나, 또 다른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의 삽입부(21a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부(21b1) 및, 고정부재(10)의 고정부(12)의 개구부(12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돌출부(21b1)가 회전 시 고정부재(10)의 고정부(12)의 연통부(12b)를 경유하여 고정부재(10)의 고정부(12)의 걸림부(12c)에 삽입 안착되거나, 또 다른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개구부(21a2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돌출부(21b1)가 회전 시 상기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연통부(21a2b)를 경유하여 상기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걸림부(21a2c)에 삽입 안착되는 돌기(21b2)를 갖춘 삽입체(21b)를 갖추고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부재(21)를 구비하며, 연결부재(21)중 가장 상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는 고정부재(10)에 연결되는 절연재질의 연결기구(20)와; 하부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수용부(31a)가 구비되고, 상단이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삽입부(21a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체(31); 상기 삽입체(31)의 둘레부에 외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개구부(21a2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삽입체(31)가 회전 시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연통부(21a2b)를 경유하여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걸림부(21a2c)에 삽입 안착되는 돌기(32)를 갖춘 절연재질의 지지기구(30)와; 지지기구(30)의 삽입체(31)의 수용부(31a)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패널(41); 상기 이동패널(41)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지기구(30)의 삽입체(31)의 수용부(31a)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하단에 점퍼선(2)이 설치되는 연장체(42); 지지기구(30)의 삽입체(31)의 수용부(31a)에 수용되며, 상기 이동패널(41)을 하방으로 탄발지지하는 탄발체(43)를 갖춘 완충기구(40)와;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나사산부(51); 제1나사산부(51)의 외측방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보조절연체(50)의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다수의 제2나사산부(52)를 갖추고서, 상기 제1나사산부(51)를 통해 고정부재(10)의 나사산부(13) 또는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나사산부(21a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널 형상의 다수의 보조절연체(50)와; 상하방으로 위치하는 다수의 보조절연체(50)의 제2나사산부(52)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지지체(60) 및; 지지체(60)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이동체(71); 측방으로 개구된 수용부(72a)를 구비하며, 이동체(71)의 측방에 구비되는 수용체(72); 수용체(72)의 수용부(72a)에 측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패널(73); 상기 이동패널(73)의 측부에 구비되고, 수용체(72)의 수용부(72a)의 측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측단이 라운드 진 돌출체(74); 수용체(72)의 수용부(72a)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패널(73)을 측방으로 탄발지지하는 탄발체(75)를 갖추고서, 보조절연체(50)와 보조절연체(50)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푸싱부재(70)를 갖춘 제3애자기구(A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INSULATOR APPARATUS FOR AERIAL LINE}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배전선을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게 되는 배전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가공배전선은 전주에 연결되어 변전소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각 수용가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주에는 완금이 설치되고, 완금에 설치된 애자 및 점퍼선을 통해 가공배전라인이 연결된다.
한편, 바람이 불 경우, 점퍼선은 쉽게 날려 가공배전라인이 단선되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완금에 애자 타입의 지지대를 설치하여 점퍼선을 지지하지만, 종래에는 상기 지지대의 위치를 조절하여 주변 전선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점퍼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었으며, 점퍼선이 풍력에 의한 충격에 취약했다.
또한, 종래에는 점퍼선을 지지하기 위해 애자 타입의 지지대를 사용할 시, 이러한 애자 타입의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어려워, 사용처에 따라 길이가 다른 별물의 애자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조류가 애자 타입의 지지대에 접근할 경우, 조류가 점퍼선 및 상기 지지대를 손상시켜, 점퍼선이 안정적으로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기 어려웠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1754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위치 조절을 통해 주변 전선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며, 가공배전선로 상의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조류 접근을 차단하여 가공배전선로 상의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점퍼선(2)을 지지하기 위해 완금(1)에 설치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에 있어서,
상기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는,
전주(3)의 좌측에 설치된 완금(1)의 우측에 설치되는 애자부(A1a) 및; 상기 애자부(A1a)의 우측에 우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체결부(A1b)를 구비한 제1애자기구(A1)와:
전주(3)의 우측에 설치된 완금(1)의 좌측에 설치되는 애자부(A2a) 및; 상기 애자부(A2a)의 좌측에 좌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제1애자기구(A1)의 체결부(A1b)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는 체결부(A2b)를 구비한 제2애자기구(A2)와:
내부에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된 내부체결부(A4a1)가 구비되고, 외부에 좌우방으로 형성된 외부체결부(A4a2)가 구비되며, 내부체결부(A4a1)가 제1애자기구(A1)의 체결부(A1b) 및 제2애자기구(A2)의 체결부(A2b)에 좌우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이음체(A4a) 및;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되며 제1이음체(A4a)의 외부체결부(A4a2)에 좌우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부(A4b1)와,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A4b1)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삽입부(A4b2) 및,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A4b1)보다 하부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볼트부(A4b3)를 구비한 제2이음체(A4b)를 갖춘 이음기구(A4)와:
이음기구(A4)의 제2이음체(A4b)의 삽입부(A4b2)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체결부(A5a)와; 상기 체결부(A5a)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A5b) 및; 표면에 반사지가 부착되며 회전부(A5b)의 상부에 구비되는 반사패널(A5c)을 갖춘 반사기구(A5) 및:
상부에 구비되며, 제2이음체(A4b)의 볼트부(A4b3)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체결부(14); 내부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되, 둘레면이 원형을 이루는 삽입부(11);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12a)와, 일측이 상기 개구부(12a)와 연통되며 고정부재(10)의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는 연통부(12b) 및, 일측이 상기 연통부(12b)의 타측과 연통되며 하방으로 형성되는 걸림부(12c)를 구비하되, 상기 삽입부(11)와 연통되도록 외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고정부(12); 고정부재(10)의 외부 둘레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12)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나사산부(13)를 갖춘 절연재질의 고정부재(10)와; 내부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되, 둘레면이 원형을 이루는 삽입부(21a1)와,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21a2a), 일측이 상기 개구부(21a2a)와 연통되며 연결체(21a)의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는 연통부(21a2b), 일측이 상기 연통부(21a2b)의 타측과 연통되며 하방으로 형성되는 걸림부(21a2c)를 구비하되, 상기 삽입부(21a1)와 연통되도록 외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고정부(21a2) 및, 연결체(21a)의 외부 둘레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21a2)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나사산부(21a3)를 갖춘 연결체(21a); 상부에 구비되며 고정부재(10)의 삽입부(1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거나, 또 다른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의 삽입부(21a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부(21b1) 및, 고정부재(10)의 고정부(12)의 개구부(12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돌출부(21b1)가 회전 시 고정부재(10)의 고정부(12)의 연통부(12b)를 경유하여 고정부재(10)의 고정부(12)의 걸림부(12c)에 삽입 안착되거나, 또 다른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개구부(21a2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돌출부(21b1)가 회전 시 상기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연통부(21a2b)를 경유하여 상기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걸림부(21a2c)에 삽입 안착되는 돌기(21b2)를 갖춘 삽입체(21b)를 갖추고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부재(21)를 구비하며, 연결부재(21)중 가장 상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는 고정부재(10)에 연결되는 절연재질의 연결기구(20)와; 하부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수용부(31a)가 구비되고, 상단이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삽입부(21a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체(31); 상기 삽입체(31)의 둘레부에 외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개구부(21a2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삽입체(31)가 회전 시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연통부(21a2b)를 경유하여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걸림부(21a2c)에 삽입 안착되는 돌기(32)를 갖춘 절연재질의 지지기구(30)와; 지지기구(30)의 삽입체(31)의 수용부(31a)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패널(41); 상기 이동패널(41)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지기구(30)의 삽입체(31)의 수용부(31a)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하단에 점퍼선(2)이 설치되는 연장체(42); 지지기구(30)의 삽입체(31)의 수용부(31a)에 수용되며, 상기 이동패널(41)을 하방으로 탄발지지하는 탄발체(43)를 갖춘 완충기구(40)와;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나사산부(51); 제1나사산부(51)의 외측방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보조절연체(50)의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다수의 제2나사산부(52)를 갖추고서, 상기 제1나사산부(51)를 통해 고정부재(10)의 나사산부(13) 또는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나사산부(21a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널 형상의 다수의 보조절연체(50)와; 상하방으로 위치하는 다수의 보조절연체(50)의 제2나사산부(52)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지지체(60) 및; 지지체(60)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이동체(71); 측방으로 개구된 수용부(72a)를 구비하며, 이동체(71)의 측방에 구비되는 수용체(72); 수용체(72)의 수용부(72a)에 측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패널(73); 상기 이동패널(73)의 측부에 구비되고, 수용체(72)의 수용부(72a)의 측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측단이 라운드 진 돌출체(74); 수용체(72)의 수용부(72a)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패널(73)을 측방으로 탄발지지하는 탄발체(75)를 갖추고서, 보조절연체(50)와 보조절연체(50)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푸싱부재(70)를 갖춘 제3애자기구(A3)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치 조절을 통해 주변 전선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며, 충분한 지지력 확보를 통해 가공배전선로 상의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조류 접근을 차단하여 가공배전선로 상의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점퍼선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X-X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0 및 도 21은 도 19의 일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X-X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점퍼선(2)을 지지하기 위해 완금(1)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제1애자기구(A1)와, 제2애자기구(A2)와, 이음기구(A4)와, 반사기구(A5) 및, 제3애자기구(A3)를 포함한다.
제1애자기구(A1)는 애자부(A1a) 및, 체결부(A1b)를 갖춘다.
제1애자기구(A1)의 애자부(A1a)는 전주(3)의 좌측에 설치된 완금(1)의 우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애자부(A1a)는 일반적인 가공배전 분야에서 완금에 설치되는 절연재질의 애자 기술이 적용된다.
제1애자기구(A1)의 체결부(A1b)는, 제1애자기구(A1)의 애자부(A1a)의 우측에 우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A1b)는 둘레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긴 바 형상을 이룬다.
제2애자기구(A2)는 애자부(A2a) 및, 체결부(A2b)를 갖춘다.
제2애자기구(A2)의 애자부(A2a)는 전주(3)의 우측에 설치된 완금(1)의 좌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애자부(A2a)는 일반적인 가공배전 분야에서 완금에 설치되는 절연재질의 애자 기술이 적용된다.
제2애자기구(A2)의 체결부(A2b)는 제2애자기구(A2)의 애자부(A2a)의 좌측에 좌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제1애자기구(A1)의 체결부(A1b)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A2b)는 둘레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긴 바 형상을 이룬다.
이음기구(A4)는 제1이음체(A4a) 및, 제2이음체(A4b)를 갖춘다.
제1이음체(A4a)는, 내부에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된 내부체결부(A4a1)가 구비되고, 외부에 좌우방으로 형성된 외부체결부(A4a2)가 구비되며, 내부체결부(A4a1)가 제1애자기구(A1)의 체결부(A1b) 및 제2애자기구(A2)의 체결부(A2b)에 좌우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제2이음체(A4b)는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되며 제1이음체(A4a)의 외부체결부(A4a2)에 좌우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부(A4b1)와,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A4b1)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삽입부(A4b2) 및,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A4b1)보다 하부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볼트부(A4b3)를 갖춘다.
반사기구(A5)는 체결부(A5a)와, 회전부(A5b) 및, 반사패널(A5c)을 갖춘다.
반사기구(A5)의 체결부(A5a)는 이음기구(A4)의 제2이음체(A4b)의 삽입부(A4b2)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회전부(A5b)는, 반사기구(A5)의 체결부(A5a)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반사패널(A5c)은, 표면에 반사지가 부착되며 회전부(A5b)의 상부에 구비된다.
제3애자기구(A3)는 절연재질의 고정부재(10)와, 절연재질의 연결기구(20)와, 절연재질의 지지기구(30) 및, 절연재질의 완충기구(40)를 갖춘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제3애자기구(A3)를 구성하는 구성은 비금속,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소재로 제조되며, 절연 기능을 갖추는 것이면 다양하게 소재로 제조가 가능하다.
고정부재(10)는 체결부(14)와, 삽입부(11) 및, 고정부(12)를 갖추고서, 이음기구(A4)의 제2이음체(A4b)의 하부에 설치된다.
고정부재(10)의 체결부(14)는, 상부에 구비되며, 제2이음체(A4b)의 볼트부(A4b3)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0)는 상기 체결부(14)를 통해 이음기구(A4)의 제2이음체(A4b)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지만, 고정부재(10)와 제2이음체(A4b)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고정부재(10)의 삽입부(11)는 내부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되, 둘레면이 원형을 이룬다.
고정부재(10)의 고정부(12)는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12a)와, 일측이 상기 개구부(12a)와 연통되며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는 연통부(12b) 및, 일측이 상기 연통부(12b)의 타측과 연통되며 하방으로 형성되는 걸림부(12c)를 구비하되, 고정부재(10)의 삽입부(11)와 연통되도록 외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연결기구(20)는 상하방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부재(21)를 구비하며, 연결부재(21)중 가장 상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는 고정부재(10)의 하부에 연결된다.
연결부재(21)는 연결체(21a) 및, 삽입체(21b)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1)는 일반적인 애자에 사용되는 자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는 삽입부(21a1) 및, 고정부(21a2)를 갖춘다.
연결체(21a)의 삽입부(21a1)는 내부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되, 둘레면이 원형을 이룬다.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는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21a2a)와, 일측이 상기 개구부(21a2a)와 연통되며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는 연통부(21a2b)와, 일측이 상기 연통부(21a2b)의 타측과 연통되며 하방으로 형성되는 걸림부(21a2c)를 구비하되, 연결체(21a) 삽입부(21a1)와 연통되도록 외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연결부재(21)의 삽입체(21b)는 돌출부(21b1) 및, 돌기(21b2)를 갖춘다.
연결부재(21)의 삽입체(21b)의 돌출부(21b1)는 상부에 구비되며 고정부재(10)의 삽입부(1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거나, 또 다른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의 삽입부(21a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된다.
연결부재(21)의 삽입체(21b)의 돌기(21b2)는 고정부재(10)의 고정부(12)의 개구부(12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연결부재(21)의 삽입체(21b)의 돌출부(21b1)가 회전 시 고정부재(10)의 고정부(12)의 연통부(12b)를 경유하여 고정부재(10)의 고정부(12)의 걸림부(12c)에 삽입 안착되거나, 또 다른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개구부(21a2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연결부재(21)의 삽입체(21b)의 돌출부(21b1)가 회전 시 상기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연통부(21a2b)를 경유하여 상기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걸림부(21a2c)에 삽입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1)의 전체 형상은 원통형으로 하였지만, 원통형의 둘레부가 외측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할 수도 있다.
지지기구(30)는 삽입체(31) 및, 돌기(32)를 갖춘다.
지지기구(30)의 삽입체(31)는 하부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수용부(31a)가 구비되고, 상단이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삽입부(21a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된다.
지지기구(30)의 돌기(32)는 지지기구(30)의 삽입체(31)의 둘레부에 외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개구부(21a2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삽입체(31)가 회전 시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연통부(21a2b)를 경유하여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걸림부(21a2c)에 삽입 안착된다.
완충기구(40)는 이동패널(41)과, 연장체(42) 및, 탄발체(43)를 갖춘다.
완충기구(40)의 이동패널(41)은 지지기구(30)의 삽입체(31)의 수용부(31a)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완충기구(40)의 연장체(42)는 완충기구(40)의 이동패널(41)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지기구(30)의 삽입체(31)의 수용부(31a)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하단에 점퍼선(2)이 설치된다.
완충기구(40)의 탄발체(43)는 지지기구(30)의 삽입체(31)의 수용부(31a)에 수용되며, 완충기구(40)의 이동패널(41)을 하방으로 탄발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발체(43)는 스프링이 사용되며, 스프링이 아니더라도 탄성을 갖는 것이면 탄성 패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0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제1애자기구(A1) 및 제2애자기구(A2) 및 제3애자기구(A3)의 설치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10과 같이 제1애자기구(A1) 및 제2애자기구(A2)가 전주(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완금(1)에 각각 설치되고, 제1애자기구(A1)의 체결부(A1b)에 이음기구(A4)의 제1이음체(A4a)가 설치된 상태에서, 도 11과 같이 이음기구(A4)의 제2이음체(A4b)를 제1애자기구(A1) 및 제2애자기구(A2) 사이에 배치한다.
그리고, 도 12와 같이 이음기구(A4)의 제1이음체(A4a)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제2이음체(A4b)의 고정부(A4b1)에 삽입하여, 제1이음체(A4a)의 양단이 제1애자기구(A1)의 체결부(A1b) 및 제2애자기구(A2)의 체결부(A2b)에 각각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도 13과 같이 이음기구(A4)의 제2이음체(A4b)를 좌측으로 이동하여, 이음기구(A4)의 제1이음체(A4a)에 삽입한 후, 도 14와 같이 이음기구(A4)의 제1이음체(A4a)를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1이음체(A4a)의 양단이 제1애자기구(A1)의 체결부(A1b) 및 제2애자기구(A2)의 체결부(A2b)에 각각 체결되도록 한다.
그러면, 이음기구(A4)의 제2이음체(A4b)의 배치를 제1애자기구(A1)와 제2애자기구(A2) 사이의 정중앙이 아닌 제1애자기구(A1) 쪽으로 치우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1애자기구(A1) 및 제2애자기구(A2) 사이에 위치하는 이음기구(A4)의 제2이음체(A4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 15와 같이 제1애자기구(A1) 및 제2애자기구(A2) 사이의 정중앙으로 전선(L)이 통과해야할 경우, 이음기구(A4)와 전선(L)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음기구(A4)의 제2이음체(A4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점퍼선(2)이 설치되는 완충기구(40)의 연장체(42)와 이웃하는 전선 간에 간섭이 발생할 경우, 완충기구(4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완충기구(40)와 이웃하는 전선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완충기구(40)가 점퍼선(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 16과 같이 반사기구(A5)를 이음기구(A4)의 제2이음체(A4b)에 설치한다. 그러면 조류가 제1애자기구(A1)와 제2애자기구(A2)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제1애자기구(A1) 및 제2애자기구(A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애자기구(A1) 및 제2애자기구(A2) 및 이음기구(A4)가 설치되면, 이음기구(A4)에 제3애자기구(A3)의 고정부재(10)를 설치하고, 제3애자기구(A3)의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를 고정부재(10)에 설치한다.
이때, 작업자는 도 17과 같이 연결부재(21)의 삽입체(21b)를 고정부재(10)의 삽입부(11)에 삽입하면서, 연결부재(21)의 삽입체(21b)의 돌기(21b2)를 고정부재(10)의 고정부(12)의 개구부(12a)에 삽입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연결부재(21)를 회전시킨 후 내려놓으면, 연결부재(21)의 삽입체(21b)의 돌기(21b2)는 고정부재(10)의 고정부(12)의 연통부(12b)를 경유하여 도 18과 같이 고정부재(10)의 고정부(12)의 걸림부(12c)에 안착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도 17에서, 연결부재(21)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와 연결부재(21)가 회전한 상태를 도시할 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폭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도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폭을 같게 도시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연결부재(21)의 하부에 또 다른 연결부재(21)을 연결한다.
이때, 작업자는 또 다른 연결부재(21)의 삽입체(21b)를 고정부재(10)의 하부에 연결된 연결부재(21)의 삽입부(21a1)에 삽입하면서, 상기 또 다른 연결부재(21)의 삽입체(21b)의 돌기(21b2)를 고정부재(10)의 하부에 연결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개구부(21a2a)에 삽입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연결부재(21)를 회전시킨 후 내려놓으면, 연결부재(21)의 삽입체(21b)의 돌기(21b2)는 상기 또 다른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연통부(21a2b)를 경유하여 상기 또 다른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걸림부(21a2c)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10)의 하부에 연결된 연결부재(21)와, 상기 또 다른 연결부재(21)의 설치 방식으로, 다수의 연결부재(21)는 상하방으로 설치된다.
이후, 작업자는 다수의 연결부재(21)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하부에 지지기구(30)를 연결한다.
이때, 작업자는 지지기구(30)의 삽입체(31)를 상기 가장 하부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삽입부(21a1)에 삽입하면서, 지지기구(30)의 돌기(32)를 상기 가장 하부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개구부(21a2a)에 삽입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지지기구(30)를 회전시킨 후 내려놓으면, 지지기구(30)의 돌기(32)는 상기 가장 하부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연통부(21a2b)를 경유하여 상기 가장 하부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걸림부(21a2c)에 안착된다.
이후, 점퍼선(2)은 지지기구(30)에 설치된 완충기구(40)의 연장체(42)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가 설치되면, 점퍼선(2)는 완충기구(40)에 의해 완충을 받아, 풍력이 작용할 시 점퍼선(2)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충하여, 점퍼선(2)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연결부재(21)가 개별적으로 다수 개 구비되어, 다수의 연결부재(21) 중 일부가 손상시 손상된 연결부재(21)만 교체가 가능하다.
더불어, 본 실시예는 연결부재(21)가 개별적으로 다수 개 구비되어, 점퍼선(2)의 하중, 통과시키는 배전량 등 점퍼선(2)의 조건에 따라 연결부재(21)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다수의 연결부재(21)를 연결할 수 있어,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10)의 고정부(12)와 연결부재(21)의 고정부(21a2)가 단수로 구비되는 것을 예시로 하였지만, 구조적 안전성을 위해서는 다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부재(21)의 돌기(21b2)와 지지기구(30)의 돌기(32) 또한 다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연결부재(21)의 돌기(21b2)와 지지기구(30)의 돌기(32)에 고무 패킹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0 및 도 21은 도 19의 일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구조에서 일부 구성이 추가 또는 변형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0)는 외부 둘레부에 구비되며, 고정부재(10)의 고정부(12)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나사산부(13)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0)의 나사산부(13)는 고정부재(10)의 외부 둘레부에 구비되되 고정부재(10)의 고정부(12) 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구비되지만, 고정부재(10)의 외부 둘레부 전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는 외부 둘레부에 구비되며,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나사산부(21a3)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나사산부(21a3)는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외부 둘레부에 구비되며,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구비되지만, 연결체(21a)의 외부 둘레부 전체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고정부재(10) 및 연결부재(21)에 설치되는 절연재질의 다수의 보조절연체(50)와, 보조절연체(50)에 설치되는 절연재질의 지지체(60) 및, 지지체(60)에 설치되는 절연재질의 다수의 푸싱부재(70)를 더 갖춘다.
보조절연체(50)는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나사산부(51) 및, 제1나사산부(51)의 외측방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다수의 제2나사산부(52)를 갖추고서, 상기 제1나사산부(51)를 통해 고정부재(10)의 나사산부(13) 또는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나사산부(21a3)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절연체(50)는 전체적으로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둘레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라운드 진 형상을 이룬다.
지지체(60)는 상하방으로 위치하는 다수의 보조절연체(50)의 제2나사산부(52)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체(60)는 상하방으로 위치하며, 지지체(60)의 상단 및 하단에는 너트가 구비되어 지지체(60)가 다수의 보조절연체(5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한다.
푸싱부재(70)는 지지체(60)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이동체(71)와, 측방으로 개구된 수용부(72a)를 구비하며, 이동체의 측방에 구비되는 수용체(72)와, 수용체(72)의 수용부(72a)에 측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패널(73)과, 상기 이동패널(73)의 측부에 구비되고, 수용체(72)의 수용부(72a)의 측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측단이 라운드 진 돌출체(74) 및, 수용체(72)의 수용부(72a)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패널(73)을 측방으로 탄발지지하는 탄발체(75)를 갖추고서, 보조절연체(50)와 보조절연체(50)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발체(75)는 스프링이 사용되며, 스프링이 아니더라도 탄성을 갖는 것이면 탄성 패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제3애자기구(A3)를 구성하는 구성은 비금속,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소재로 제조되며, 절연 기능을 갖추는 것이면 다양하게 소재로 제조가 가능하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 보조절연체(50)와 지지체(60)와 푸싱부재(70)의 설치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조절연체(50)를 본 실시예의 고정부재(10)와 연결기구(20)에 설치한 상태에서, 제1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본 실시예의 고정부재(10)와 연결기구(20)와 지지기구(30)를 연결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지지체(60)를 다수의 보조절연체(50)의 제2나사산부(52)에 삽입 설치한다. 이때 작업자는 지지체(60)를 가장 하부에 위치한 보조절연체(50)부터 삽입하며, 지지체(60)를 삽입할 시 보조절연체(50)와 보조절연체(50) 사이에서 푸싱부재(70)를 삽입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실시예의 제3애자기구(A3)는 보조절연체(50)를 통해 절연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으며, 보조절연체(50)의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제3애자기구(A3)는 지지체(60)를 통해 구성 간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서는 상기와 같이 푸싱부재(70)가 설치될 시, 조류 등이 제3애자기구(A3)에 접근하여 보조절연체(50)에 안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조류에 의해 제3애자기구(A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보조절연체(50) 사이로 조류가 접근하여, 푸싱부재(70)의 돌출체(74)에 충돌하면, 도 23와 같이 푸싱부재(70)는 푸싱부재(70)의 탄발체(75)를 통해 충격을 완화하면서 조류가 뒤로 살짝 밀리게 한다. 그러면 조류는 다치지 않으면서 제3애자기구(A3)로의 접근이 차단된다. 이때 푸싱부재(70)는 지지체(60)에 나사산 체결되기 때문에 회전을 통해 푸싱부재(70)의 돌출체(74)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조류의 제3애자기구(A3) 접근을 차단하면서 조류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완금 2; 점퍼선
3; 전주 A1; 제1애자기구
A2; 제2애자기구 A3; 제3애자기구
A4; 이음기구 A5; 반사기구

Claims (1)

  1. 점퍼선(2)을 지지하기 위해 완금(1)에 설치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에 있어서,
    상기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는,
    전주(3)의 좌측에 설치된 완금(1)의 우측에 설치되는 애자부(A1a) 및; 상기 애자부(A1a)의 우측에 우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체결부(A1b)를 구비한 제1애자기구(A1)와:
    전주(3)의 우측에 설치된 완금(1)의 좌측에 설치되는 애자부(A2a) 및; 상기 애자부(A2a)의 좌측에 좌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제1애자기구(A1)의 체결부(A1b)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는 체결부(A2b)를 구비한 제2애자기구(A2)와:
    내부에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된 내부체결부(A4a1)가 구비되고, 외부에 좌우방으로 형성된 외부체결부(A4a2)가 구비되며, 내부체결부(A4a1)가 제1애자기구(A1)의 체결부(A1b) 및 제2애자기구(A2)의 체결부(A2b)에 좌우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이음체(A4a) 및;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되며 제1이음체(A4a)의 외부체결부(A4a2)에 좌우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부(A4b1)와,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A4b1)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삽입부(A4b2) 및,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A4b1)보다 하부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볼트부(A4b3)를 구비한 제2이음체(A4b)를 갖춘 이음기구(A4)와:
    이음기구(A4)의 제2이음체(A4b)의 삽입부(A4b2)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체결부(A5a)와; 상기 체결부(A5a)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A5b) 및; 표면에 반사지가 부착되며 회전부(A5b)의 상부에 구비되는 반사패널(A5c)을 갖춘 반사기구(A5) 및:
    상부에 구비되며, 제2이음체(A4b)의 볼트부(A4b3)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체결부(14); 내부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되, 둘레면이 원형을 이루는 삽입부(11);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12a)와, 일측이 상기 개구부(12a)와 연통되며 고정부재(10)의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는 연통부(12b) 및, 일측이 상기 연통부(12b)의 타측과 연통되며 하방으로 형성되는 걸림부(12c)를 구비하되, 상기 삽입부(11)와 연통되도록 외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고정부(12); 고정부재(10)의 외부 둘레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12)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나사산부(13)를 갖춘 절연재질의 고정부재(10)와; 내부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되, 둘레면이 원형을 이루는 삽입부(21a1)와,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21a2a), 일측이 상기 개구부(21a2a)와 연통되며 연결체(21a)의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는 연통부(21a2b), 일측이 상기 연통부(21a2b)의 타측과 연통되며 하방으로 형성되는 걸림부(21a2c)를 구비하되, 상기 삽입부(21a1)와 연통되도록 외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고정부(21a2) 및, 연결체(21a)의 외부 둘레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21a2)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나사산부(21a3)를 갖춘 연결체(21a); 상부에 구비되며 고정부재(10)의 삽입부(1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거나, 또 다른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의 삽입부(21a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부(21b1) 및, 고정부재(10)의 고정부(12)의 개구부(12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돌출부(21b1)가 회전 시 고정부재(10)의 고정부(12)의 연통부(12b)를 경유하여 고정부재(10)의 고정부(12)의 걸림부(12c)에 삽입 안착되거나, 또 다른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개구부(21a2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돌출부(21b1)가 회전 시 상기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연통부(21a2b)를 경유하여 상기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걸림부(21a2c)에 삽입 안착되는 돌기(21b2)를 갖춘 삽입체(21b)를 갖추고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부재(21)를 구비하며, 연결부재(21)중 가장 상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는 고정부재(10)에 연결되는 절연재질의 연결기구(20)와; 하부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수용부(31a)가 구비되고, 상단이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삽입부(21a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체(31); 상기 삽입체(31)의 둘레부에 외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개구부(21a2a)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삽입체(31)가 회전 시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연통부(21a2b)를 경유하여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고정부(21a2)의 걸림부(21a2c)에 삽입 안착되는 돌기(32)를 갖춘 절연재질의 지지기구(30)와; 지지기구(30)의 삽입체(31)의 수용부(31a)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패널(41); 상기 이동패널(41)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지기구(30)의 삽입체(31)의 수용부(31a)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하단에 점퍼선(2)이 설치되는 연장체(42); 지지기구(30)의 삽입체(31)의 수용부(31a)에 수용되며, 상기 이동패널(41)을 하방으로 탄발지지하는 탄발체(43)를 갖춘 완충기구(40)와;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나사산부(51); 제1나사산부(51)의 외측방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보조절연체(50)의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다수의 제2나사산부(52)를 갖추고서, 상기 제1나사산부(51)를 통해 고정부재(10)의 나사산부(13) 또는 연결기구(20)의 연결부재(21)의 연결체(21a)의 나사산부(21a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널 형상의 다수의 보조절연체(50)와; 상하방으로 위치하는 다수의 보조절연체(50)의 제2나사산부(52)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지지체(60) 및; 지지체(60)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이동체(71); 측방으로 개구된 수용부(72a)를 구비하며, 이동체(71)의 측방에 구비되는 수용체(72); 수용체(72)의 수용부(72a)에 측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패널(73); 상기 이동패널(73)의 측부에 구비되고, 수용체(72)의 수용부(72a)의 측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측단이 라운드 진 돌출체(74); 수용체(72)의 수용부(72a)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패널(73)을 측방으로 탄발지지하는 탄발체(75)를 갖추고서, 보조절연체(50)와 보조절연체(50)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푸싱부재(70)를 갖춘 제3애자기구(A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
KR1020160033339A 2016-03-21 2016-03-21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 KR101625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339A KR101625040B1 (ko) 2016-03-21 2016-03-21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339A KR101625040B1 (ko) 2016-03-21 2016-03-21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040B1 true KR101625040B1 (ko) 2016-05-27

Family

ID=5610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339A KR101625040B1 (ko) 2016-03-21 2016-03-21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0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973B1 (ko) * 2017-05-17 2017-11-01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
KR102027222B1 (ko) 2019-04-23 2019-10-01 대한기술단(주) 전신주와 배전선로의 애자 연결장치
KR102047360B1 (ko) * 2019-07-03 2019-11-21 주식회사 부창전기 전주에 안정적 고정이 가능한 가공배전선로용 고정기구
KR102265394B1 (ko) 2020-11-02 2021-06-15 (주)토우엔지니어링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744Y1 (ko) 2001-11-21 2002-03-25 정종한 펄스변압기 발진의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조류의 효율적퇴치장치
JP2013073767A (ja) 2011-09-28 2013-04-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接地短絡器具及び接地短絡器具統合体
KR101440275B1 (ko) 2014-05-23 2014-09-17 (주)삼화종합기술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744Y1 (ko) 2001-11-21 2002-03-25 정종한 펄스변압기 발진의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조류의 효율적퇴치장치
JP2013073767A (ja) 2011-09-28 2013-04-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接地短絡器具及び接地短絡器具統合体
KR101440275B1 (ko) 2014-05-23 2014-09-17 (주)삼화종합기술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973B1 (ko) * 2017-05-17 2017-11-01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
KR102027222B1 (ko) 2019-04-23 2019-10-01 대한기술단(주) 전신주와 배전선로의 애자 연결장치
KR102047360B1 (ko) * 2019-07-03 2019-11-21 주식회사 부창전기 전주에 안정적 고정이 가능한 가공배전선로용 고정기구
KR102265394B1 (ko) 2020-11-02 2021-06-15 (주)토우엔지니어링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042B1 (ko)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장치
KR101625040B1 (ko)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
US5601455A (en) Quadriplex receptacle
US8106297B1 (en) Grounded conduit bushing
US20080237227A1 (en) Electrical junction assemblies for coupling electrical fixtures to suspending ceiling grids
US20020197910A1 (en) Quick connect device with easy installation features including a plug and spring
AU2002344831A1 (en) Quick connect device with easy installation features including a plug and spring
US8796546B2 (en) High voltage cable and insulator shield with flexible arm connector
US20200185181A1 (en) Fuse cutout cover with wide angle opening for loadbreak tool
KR100864963B1 (ko) 가공송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구조
CN111684676A (zh) 电气盒电缆连接器
KR102348864B1 (ko) 피뢰기능을 갖춘 안전형 가공배전용 고정기구
US20240039463A1 (en) Cable hanger
KR100860978B1 (ko) 송전가공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KR102238112B1 (ko) 가공배전라인 간의 충돌 방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KR101149840B1 (ko) 특고압 가공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
KR101624723B1 (ko) 가공배전선의 완충식 연결장치
KR102493929B1 (ko) 피뢰기능을 탑재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KR101767616B1 (ko)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US20230013994A1 (en) Grounding system
KR101419492B1 (ko) 케이블 고정구
KR100681733B1 (ko) 연합케이블을 이용한 가공 송배전 선로장치
KR101773854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US20210408777A1 (en) Joint-use bracket for installing communication lines on utility pole
KR102243314B1 (ko) 케이블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