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314B1 - 케이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314B1
KR102243314B1 KR1020190126684A KR20190126684A KR102243314B1 KR 102243314 B1 KR102243314 B1 KR 102243314B1 KR 1020190126684 A KR1020190126684 A KR 1020190126684A KR 20190126684 A KR20190126684 A KR 20190126684A KR 102243314 B1 KR102243314 B1 KR 102243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upport
frame
cabl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인
박현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26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F16B21/18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circlips or like resilient retaining devices, i.e. resilient in the plane of the ring or the like; Details
    • F16B21/183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circlips or like resilient retaining devices, i.e. resilient in the plane of the ring or the like; Details internal, i.e. with spread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명에 따르면, 전주의 완철에 간편하게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어, 케이블 고정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CABLE }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의 완철에 간편하게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 선로를 통해 고압 전력으로 각 변전소에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송전된 전력을 변압하여 각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선 케이블에 의해 각 지역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일반 수용가에 대한 전력 공급은 전주에 설치된 배전선로를 통해 공급하게 된다.
통상 전주를 통한 배전선로 연결은 공중에서 완철로 지지하고 점퍼선을 통해 연결한다. 그리고 특정 전주에서는 배전선로를 개폐기의 리드선과 연결하여 전력을 개방/연결하기도 한다.
도 1에는 종래 완철에 전선 케이블을 고정하는 브라켓(3)이 도시되어 있다. 도 1를 참고하면, 종래 브라켓(3)은 케이블고정부(6)를 형성하는 제1 브라켓바디(4a)와 제2 브라켓바디(4b)로 이뤄지고, 각각 고정세트(5c,5d)로 고정하여 케이블을 압박 고정한다. 그리고 제1 브라켓바디(4a)는 고정세트(5a,5b)에 의해 완철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전주에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브라켓(3)은 각각 볼트, 너트, 와셔 등으로 이뤄진 고정세트(5a,5b,5c,5d)로 브라켓(3)을 완철에 고정하고 케이블을 고정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걸려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주의 완철에 간편하게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어 전선 케이블 고정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부는 완철의 장홀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 케이블안착부 밑 제1 체결부가 형성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힌지결합되고 제1 케이블안착부 및 제1 체결부를 바라보는 측에 제2 케이블안착부 및 제2 체결부가 형성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2 체결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2 케이블안착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부는, 상기 장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연결되고, 상기 장홀에 삽입되고 회전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완철에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지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블록의 길이(D3)은 상기 장홀의 단길이(D2)보다는 길고, 상기 장홀의 장길이(D1)보다는 짧게 이뤄지고, 상기 지지블록이 상기 장홀에 삽입 회전되면,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장홀의 장길이(D1)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2 체결부에 삽입되는 핀바디; 및 상기 핀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핀바디가 상기 제1,2 체결부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체결부의 상부에 접촉되어 배치되는 단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핀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는 체결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스프링은, 상기 제1,2 체결부에 통과할 때는 상기 핀바디의 길이방향으로 휘어지며 통과하고, 통과 후에는 상기 핀바디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각도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핀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스프링이 삽입되는 함몰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케이블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측부는 완철의 장홀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 케이블안착부 밑 제1 체결부가 형성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힌지결합되고 제1 케이블안착부 및 제1 체결부를 바라보는 측에 제2 케이블안착부 및 제2 체결부가 형성된 제2 프레임; 상기 제1,2 체결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2 케이블안착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체결유닛; 및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장홀에 고정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볼트홀에 삽입되는 지지볼트; 상기 지지볼트에 결합되는 지지너트;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스프링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볼트와 상기 지지너트 사이에 배치되는 장력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볼트에는 상기 장홀에 삽입되고 회전되며 배치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D3)은 상기 장홀의 단길이(D2)보다는 길고, 상기 장홀의 장길이(D1)보다는 짧게 이뤄지고, 상기 지지볼트가 상기 장홀에 삽입되고 회전되면,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장홀의 장길이(D1)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볼트홀은 사각 단면 형상으로 이뤄지고,
상기 지지볼트에는 상기 볼트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사각형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장력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볼트와 상기 지지너트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판의 일측부에는 상기 장력스프링의 장력에 따른 상기 지지판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돌기된 제1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부에는 상기 한 쌍의 돌기된 제1 가이드의 중앙측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볼트홀에 삽입되는 지지볼트; 상기 지지볼트에 결합되는 지지너트;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스프링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볼트와 상기 지지너트 사이에 배치되는 장력스프링; 및 상기 장력스프링과 상기 지지너트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볼트에는 상기 장홀에 삽입되고 회전되며 배치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D3)은 상기 장홀의 단길이(D2)보다는 길고, 상기 장홀의 장길이(D1)보다는 짧게 이뤄지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장홀의 장길이(D1)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볼트홀은 사각 단면 형상으로 이뤄지고,상기 지지볼트에는 상기 볼트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사각형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2 체결부에 삽입되는 핀바디; 및 상기 핀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체결부의 상부에 접촉되어 배치되는 단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핀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는 체결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스프링은 상기 제1,2 체결부에 통과할 때, 상기 핀바디의 길이방향으로 휘어지며 통과하고, 통과 후에는 상기 핀바디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각도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핀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스프링이 삽입되는 함몰홈부;를 더 포함할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주의 완철에 간편하게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케이블 고정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케이블 고정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인 체결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인 케이블 고정장치의 제1 실시예에서 케이블을 고정하는 상태일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인 케이블 고정장치의 제1 실시예가 완철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인 케이블 고정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개시된 발명에서 제1,2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에 개시된 발명에서 지지볼트, 지지너트, 지지판 및 장력스프링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인 케이블 고정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개시된 발명에서 지지볼트, 지지너트, 와셔 및 장력스프링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8에 개시된 발명의 실제 제품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종래 케이블 고정용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인 케이블 고정장치(10)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인 체결유닛(5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케이블 고정장치(10)의 제1 실시예에서 케이블을 고정하는 상태일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케이블 고정장치(10)의 제1 실시예가 완철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케이블 고정장치(10)의 제1 실시예는 제1 프레임(20), 제2 프레임(30) 및 체결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20)은, 일측부는 완철(1)의 장홀(2)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 케이블안착부(25) 밑 제1 체결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프레임바디(22)가 몸체를 형성하고, 제1 프레임바디(22)의 일측부에 삽입부(21a) 및 지지블록(2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21)은 제1 프레임바디(22)의 상하방향으로 신장된 형태로 이뤄질 수 있으며, 작업자는 상기 지지블록(21)을 상기 장홀(2)에 삽입하고 회전하여 상기 제1 프레임(20)이 완철(1)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장홀(2)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부분을 장길이(D1)와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는 부분을 단길이(D2)라고 정의하면, 상기 지지블록(21)의 길이(D3)은 상기 장홀(2)의 단길이(D2)보다는 길고, 상기 장홀(2)의 장길이(D1)보다는 짧게 이뤄지고, 상기 지지블록(21)이 상기 장홀(2)에 삽입되고 회전되면 상기 장홀(2)의 장길이(D1)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1a)는 상기 제1 프레임바디(22)와 상기 지지블록(2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1a)는 상기 장홀(2)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21)이 상기 장홀(2)에 삽입되고 회전되면, 상기 삽입부(21a)가 상기 장홀(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프레임(30)은, 상기 제1 프레임(20)과 힌지결합되고 제1 케이블안착부(25) 및 제1 체결부(23)를 바라보는 측에 제2 케이블안착부(35) 및 제2 체결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프레임바디(32)가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프레임바디(32)에서 상기 제1 프레임바디(22)를 바라보는 측에 제2 케이블안착부(35) 및 제2 체결부(3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 프레임(20,30)은 힌지결합되는데, 제1 프레임(20)에 형성된 제1 힌지부(24)와 제2 프레임(30)에 형성된 제2 힌지부(34)가 힌지핀(40)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제1,2 케이블안착부(25,35)는 각각 반원통 형상으로 이뤄지고, 그 내부에 전선 케이블이 안착되고 고정 지지된다.
상기 제1,2 힌지부의 반대측에서 제1 프레임(20)에는 제1 체결부(23)가 형성되고, 제2 프레임(30)에는 제2 체결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유닛(50)은, 상기 제1,2 체결부(23,33)에 결합되며 상기 제1,2 케이블안착부(25,35)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유닛(50)은, 핀바디(51), 단턱부(52), 체결스프링(55) 및 함몰홈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핀바디(51)는 상기 제1,2 체결부(23,33)에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턱부(52)는 상기 핀바디(51)가 상기 제1,2 체결부(23,33)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체결부(23)의 상부에 접촉되어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다음 상기 체결스프링(55)은 상기 핀바디(5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을 참고하면, 상기 체결스프링(55)은 상기 제1,2 체결부(23,33)에 통과할 때는, 상기 핀바디(51)의 길이방향으로 휘어지며 통과하고, 통과 후에는 상기 핀바디(51)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며 상기 체결유닛(50)이 상기 제1,2 체결부(23,33)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몰홈부(53)가 상기 핀바디(51)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스프링(55)이 휘어질 때, 삽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체결유닛(50)을 상기 제1,2 체결부(23,33)에서 분리할 때는, 상기 체결스프링(55)이 하방향으로 휘어지므로, 이 경우에는 별도의 함몰홈부(53)와 같은 부분이 필요없다.
상술한 구조를 바탕으로 작업방법을 설명하면, 작업자는 우선 완철(1)의 장홀(2)에 상기 지지블록(21)을 삽입하고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블록(21)의 길이(D3)가 상기 상홀의 장길이(D1)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케이블 고정장치(10)를 완철(1)에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1,2 케이블안착부(25,35)에 전선 케이블을 안착하고 제1,2 체결부(23,33)에 체결유닛(50)을 삽입하면, 체결스프링(55)이 제1,2 체결부(23,33)에 삽입될 때는, 자연적으로 휘어지고, 삽입된 후에는 다시 펴지면서 전선 케이블을 압박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인 케이블 고정장치(10)의 제1 실시예는 상술한 구조로 이뤄지고, 이러한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도 11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일일이 볼트체결하며 전선케이블을 고정하던 것에 비해, 작업자는 전선 케이블의 고정은 휘어지는 체결스프링(55)이 장착된 체결유닛(50)을 끼움으로써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종래 브라켓(3)을 볼트체결하며 완철(1)에 고정하던 것에 비해, 본 발명인 케이블 고정장치(10)는 완철(1)의 장홀(2)에 지지블록(21)을 삽입하고 회전시켜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작업자는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케이블 고정장치(10)를 완철(1)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인 케이블 고정장치(10)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개시된 발명에서 제1,2 프레임(20,30)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5에 개시된 발명에서 지지볼트(63), 지지너트(61), 지지판(65) 및 장력스프링(62)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케이블 고정장치(10)의 제2 실시예는 제1 프레임(20), 제2 프레임(30), 체결유닛(50) 및 지지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20)은, 일측부는 완철(1)의 장홀(2)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 케이블안착부(25) 밑 제1 체결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프레임(30)은, 상기 제1 프레임(20)과 힌지결합되고 제1 케이블안착부(25) 및 제1 체결부(23)를 바라보는 측에 제2 케이블안착부(35) 및 제2 체결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프레임(20,30)은 힌지결합되는데, 제1 프레임(20)에 형성된 제1 힌지부(24)와 제2 프레임(30)에 형성된 제2 힌지부(34)가 힌지핀(40)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제1,2 케이블안착부(25,35)는 각각 반원통 형상으로 이뤄지고, 그 내부에 전선 케이블이 안착되고 고정 지지된다.
상기 제1,2 힌지부의 반대측에서 제1 프레임(20)에는 제1 체결부(23)가 형성되고, 제2 프레임(30)에는 제2 체결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상기 체결유닛(50)은, 상기 제1,2 체결부(23,33)에 결합되며 상기 제1,2 케이블안착부(25,35)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유닛(50)은, 핀바디(51), 단턱부(52), 체결스프링(55) 및 함몰홈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핀바디(51)는 상기 제1,2 체결부(23,33)에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턱부(52)는 상기 핀바디(51)가 상기 제1,2 체결부(23,33)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체결부(23)의 상부에 접촉되어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다음 상기 체결스프링(55)은 상기 핀바디(5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을 참고하면, 상기 체결스프링(55)은 상기 제1,2 체결부(23,33)에 통과할 때는, 상기 핀바디(51)의 길이방향으로 휘어지며 통과하고, 통과 후에는 상기 핀바디(51)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며 상기 체결유닛(50)이 상기 제1,2 체결부(23,33)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몰홈부(53)가 상기 핀바디(51)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스프링(55)이 휘어질 때, 삽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체결유닛(50)을 상기 제1,2 체결부(23,33)에서 분리할 때는, 상기 체결스프링(55)이 하방향으로 휘어지므로, 이 경우에는 별도의 함몰홈부(53)와 같은 부분이 필요없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재(60)는 상기 제1 프레임(20)을 상기 장홀(2)에 고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재(60)는, 지지볼트(63), 지지너트(61), 장력스프링(62) 및 지지판(6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볼트(63)는 상기 제1 프레임(20)에 형성된 볼트홀(68)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볼트(63)에는 상기 장홀(2)에 삽입되고 회전되며 배치되는 플랜지부(6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64)의 길이(D3)은 상기 장홀(2)의 단길이(D2;도 4 참조)보다는 길고, 상기 장홀(2)의 장길이(D1;도 4 참조)보다는 짧게 이뤄지고, 상기 지지볼트(63)가 상기 장홀(2)에 삽입되고 회전되면, 상기 플랜지부(64)는 상기 장홀(2)의 장길이(D1)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조는 도 4에 개시된 제1 실시예의 결합구조를 통해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홀(68)은 사각 단면 형상으로 이뤄지고, 상기 지지볼트(63)에는 상기 볼트홀(68)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사각형상부(64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사각형상부(64a)가 상기 볼트홀(68)에 맞춤 끼움됨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64)가 완철(1)의 장홀(2)에 고정되었을 때, 지지볼트(63)의 임의적인 회전에 따른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7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너트(61)는 상기 지지볼트(63)의 나사산에 결합되고, 상기 장력스프링(62)은 상기 제1 프레임(20)에 형성된 스프링안착홈(69a)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볼트(63)와 상기 지지판(6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65)에도 상기 장력스프링(62)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65)의 일측부에는 상기 장력스프링(62)의 장력에 따른 상기 지지판(65)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돌기된 제1 가이드(6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20)의 일측부에는 상기 한 쌍의 돌기된 제1 가이드(66)의 중앙측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6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가이드는 도 5에 게시된 것과 같이, 서로 맞물려 지지판(65)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바탕으로 작업방법을 설명하면, 작업자는 우선 완철(1)의 장홀(2) 일측에 상기 지지볼트(63)를 삽입하고, 완철(1)의 장홀(2) 타측에 제1 프레임(20)을 배치하되, 제1 프레임(20)의 볼트홀(68)에 지지볼트(63)가 삽입되도록 배치한다.
다음 작업자는 지지볼트(63)의 플랜지부(64)를 회전시켜 플랜지부(64)의 길이(D3)가 장홀(2)의 장길이(D1;도 4 참조)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사각형상부(64a)가 사각 단면 형상의 볼트홀(68)에 맞춤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장력스프링(62)을 제1 프레임(20)의 스프링안착홈(69a)에 배치되고, 지지판(65)을 지지볼트(63)에 삽입한다. 이때 지지판(65)에도 스프링안착홈(69b)이 형성되어 있어, 장력스프링(62)의 위치를 잡아준다.
다음 작업자는 지지너트(61)를 지지볼트(63)의 나사산에 결합시키고, 지지너트(61)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장력스프링(62)의 장력으로 완철(1)에 제1 프레임(20)이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작업자가 지지너트(61)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때, 상기 제1,2 가이드가 서로 맞물려 있어 상기 지지판(65)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함에 따라, 장력스프링(62)의 장력은 제1 프레임(20)과 완철(1)에 접합면으로 집중되어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종래 여러개의 볼트세트를 개별적으로 조여 완철(1)에 브라켓을 고정하던 것과 달리, 상기 지지부재(60) 하나만을 조절함으로써, 케이블 고정장치(10)를 완철(1)에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장력스프링(6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완철(1)과 케이블 고정장치(10)간의 결합력도 조절할 수 있어, 종래 브라켓 구조에 비해 개선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1,2 케이블안착부(25,35)에 전선 케이블을 안착하고 제1,2 체결부(23,33)에 체결유닛(50)을 삽입하면, 체결스프링(55)이 제1,2 체결부(23,33)에 삽입될 때는, 자연적으로 휘어지고, 삽입된 후에는 다시 펴지면서 전선 케이블을 압박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인 케이블 고정장치(10)의 제2 실시예는 상술한 구조로 이뤄지고, 이러한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도 11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일일이 볼트체결하며 전선케이블을 고정하던 것에 비해, 작업자는 전선 케이블의 고정은 휘어지는 체결스프링(55)이 장착된 체결유닛(50)을 끼움으로써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종래 브라켓(3)을 볼트체결하며 완철(1)에 고정하던 것에 비해, 완철(1)의 장홀(2)에 지지부재(60)를 결합하고 지지너트(61)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장력스프링(62)의 장력을 이용하여 지지볼트(63)의 플랜지부(64)와 완철(1)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작업자는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케이블 고정장치(10)를 완철(1)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인 케이블 고정장치(10)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개시된 발명에서 지지볼트(63), 지지너트(61), 와셔(65) 및 장력스프링(62)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에 개시된 발명의 실제 제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인 케이블 고정장치(10)의 제3 실시예는 제1 프레임(20), 제2 프레임(30), 체결유닛(50) 및 지지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20)은, 일측부는 완철(1)의 장홀(2)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 케이블안착부(25) 밑 제1 체결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프레임(30)은, 상기 제1 프레임(20)과 힌지결합되고 제1 케이블안착부(25) 및 제1 체결부(23)를 바라보는 측에 제2 케이블안착부(35) 및 제2 체결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프레임(20,30)은 힌지결합되는데, 제1 프레임(20)에 형성된 제1 힌지부(24)와 제2 프레임(30)에 형성된 제2 힌지부(34)가 힌지핀(40)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제1,2 케이블안착부(25,35)는 각각 반원통 형상으로 이뤄지고, 그 내부에 전선 케이블이 안착되고 고정 지지된다.
상기 제1,2 힌지부의 반대측에서 제1 프레임(20)에는 제1 체결부(23)가 형성되고, 제2 프레임(30)에는 제2 체결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상기 체결유닛(50)은, 상기 제1,2 체결부(23,33)에 결합되며 상기 제1,2 케이블안착부(25,35)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유닛(50)은, 핀바디(51), 단턱부(52), 체결스프링(55) 및 함몰홈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핀바디(51)는 상기 제1,2 체결부(23,33)에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턱부(52)는 상기 핀바디(51)가 상기 제1,2 체결부(23,33)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체결부(23)의 상부에 접촉되어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다음 상기 체결스프링(55)은 상기 핀바디(5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을 참고하면, 상기 체결스프링(55)은 상기 제1,2 체결부(23,33)에 통과할 때는, 상기 핀바디(51)의 길이방향으로 휘어지며 통과하고, 통과 후에는 상기 핀바디(51)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며 상기 체결유닛(50)이 상기 제1,2 체결부(23,33)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몰홈부(53)가 상기 핀바디(51)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스프링(55)이 휘어질 때, 삽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체결유닛(50)을 상기 제1,2 체결부(23,33)에서 분리할 때는, 상기 체결스프링(55)이 하방향으로 휘어지므로, 이 경우에는 별도의 함몰홈부(53)와 같은 부분이 필요없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재(60)는 상기 제1 프레임(20)을 상기 장홀(2)에 고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재(60)는, 지지볼트(63), 지지너트(61), 장력스프링(62) 및 와셔(6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볼트(63)는 상기 제1 프레임(20)에 형성된 볼트홀(68)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볼트(63)에는 상기 장홀(2)에 삽입되고 회전되며 배치되는 플랜지부(6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64)의 길이(D3)은 상기 장홀(2)의 단길이(D2;도 4 참조)보다는 길고, 상기 장홀(2)의 장길이(D1;도 4 참조)보다는 짧게 이뤄지고, 상기 지지볼트(63)가 상기 장홀(2)에 삽입되고 회전되면, 상기 플랜지부(64)는 상기 장홀(2)의 장길이(D1)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조는 도 4에 개시된 제1 실시예의 결합구조를 통해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홀(68)은 사각 단면 형상으로 이뤄지고, 상기 지지볼트(63)에는 상기 볼트홀(68)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사각형상부(64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사각형상부(64a)가 상기 볼트홀(68)에 맞춤 끼움됨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64)가 완철(1)의 장홀(2)에 고정되었을 때, 지지볼트(63)의 임의적인 회전에 따른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너트(61)는 상기 지지볼트(63)의 나사산에 결합되고, 상기 장력스프링(62)은 상기 제1 프레임(20)에 형성된 스프링안착홈(69a)에 안착되며, 상기 지지볼트(63)와 상기 와셔(6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바탕으로 작업방법을 설명하면, 작업자는 우선 완철(1)의 장홀(2) 일측에 상기 지지볼트(63)를 삽입하고, 완철(1)의 장홀(2) 타측에 제1 프레임(20)을 배치하되, 제1 프레임(20)의 볼트홀(68)에 지지볼트(63)가 삽입되도록 배치한다.
다음 작업자는 지지볼트(63)의 플랜지부(64)를 회전시켜 플랜지부(64)의 길이(D3)가 장홀(2)의 장길이(D1;도 4 참조)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사각형상부(64a)가 사각 단면 형상의 볼트홀(68)에 맞춤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장력스프링(62)을 제1 프레임(20)의 스프링안착홈(69a)에 배치되고, 와셔(65)를 지지볼트(63)에 삽입한다.
다음 작업자는 지지너트(61)를 지지볼트(63)의 나사산에 결합시키고, 지지너트(61)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장력스프링(62)의 장력으로 완철(1)에 제1 프레임(20)이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종래 여러개의 볼트세트를 개별적으로 조여 완철(1)에 브라켓(3)을 고정하던 것과 달리, 상기 지지부재(60) 하나만을 조절함으로써, 케이블 고정장치(10)를 완철(1)에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장력스프링(6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완철(1)과 케이블 고정장치(10)간의 결합력도 조절할 수 있어, 종래 브라켓 구조에 비해 개선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1,2 케이블안착부(25,35)에 전선 케이블을 안착하고 제1,2 체결부(23,33)에 체결유닛(50)을 삽입하면, 체결스프링(55)이 제1,2 체결부(23,33)에 삽입될 때는, 자연적으로 휘어지고, 삽입된 후에는 다시 펴지면서 전선 케이블을 압박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인 케이블 고정장치(10)의 제2 실시예는 상술한 구조로 이뤄지고, 이러한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도 11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일일이 볼트체결하며 전선케이블을 고정하던 것에 비해, 작업자는 전선 케이블의 고정은 휘어지는 체결스프링(55)이 장착된 체결유닛(50)을 끼움으로써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종래 브라켓(3)을 볼트체결하며 완철(1)에 고정하던 것에 비해, 완철(1)의 장홀(2)에 지지부재(60)를 결합하고 지지너트(61)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장력스프링(62)의 장력을 이용하여 지지볼트(63)의 플랜지부(64)와 완철(1)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작업자는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케이블 고정장치(10)를 완철(1)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사항은 케이블 고정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완철 2:장홀
3:브라켓 4a:제1 브라켓바디
4b:제2 브라켓바디 5a,5b,5c,5d:고정세트
6:케이블고정부
[제1 실시예]
10:케이블 고정장치 20:제1 프레임
21:지지블록 21a:삽입부
22:제1 프레임바디
23:제1 체결부 24:제1 힌지부
25:제1 케이블안착부 30:제2 프레임
32:제2 프레임바디 33:제2 체결부
34:제2 힌지부 35:제2 케이블안착부
40:힌지핀 50:체결유닛
51;핀바디 52:단턱부
53:함몰홈부 55:체결스프링
[제2 실시예]
10:케이블 고정장치 20:제1 프레임
22:제1 프레임바디 23:제1 체결부
24:제1 힌지부 25:제1 케이블안착부
30:제2 프레임 32:제2 프레임바디
33:제2 체결부 34:제2 힌지부
35:제2 케이블안착부 40:힌지핀
50:체결유닛 51;핀바디
52:단턱부 53:함몰홈부
55:체결스프링 60:지지부재
61:지지너트 62:장력스프링
63:지지볼트 64:플랜지부
64a:사각형상부 65:지지판
66:제1 가이드 67:제2 가이드
68:볼트홀 69a.69b:스프링 안착홈
[제3 실시예]
10:케이블 고정장치 20:제1 프레임
22:제1 프레임바디 23:제1 체결부
24:제1 힌지부 25:제1 케이블안착부
30:제2 프레임 32:제2 프레임바디
33:제2 체결부 34:제2 힌지부
35:제2 케이블안착부 40:힌지핀
50:체결유닛 51;핀바디
52:단턱부 53:함몰홈부
55:체결스프링 60:지지부재
61:지지너트 62:장력스프링
63:지지볼트 64:플랜지부
64a:사각형상부 65:와셔
68:볼트홀 69a:스프링 안착홈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일측부는 완철의 장홀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 케이블안착부 밑 제1 체결부가 형성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힌지결합되고 제1 케이블안착부 및 제1 체결부를 바라보는 측에 제2 케이블안착부 및 제2 체결부가 형성된 제2 프레임;
    상기 제1,2 체결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2 케이블안착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체결유닛; 및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장홀에 고정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볼트홀에 삽입되는 지지볼트; 및
    상기 지지볼트에 결합되는 지지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홀은 사각 단면 형상으로 이뤄지고,
    상기 지지볼트에는 상기 볼트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사각형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스프링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볼트와 상기 지지너트 사이에 배치되는 장력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볼트에는 상기 장홀에 삽입되고 회전되며 배치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D3)은 상기 장홀의 단길이(D2)보다는 길고, 상기 장홀의 장길이(D1)보다는 짧게 이뤄지고,
    상기 지지볼트가 상기 장홀에 삽입되고 회전되면,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장홀의 장길이(D1)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장력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볼트와 상기 지지너트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일측부에는 상기 장력스프링의 장력에 따른 상기 지지판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돌기된 제1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부에는 상기 한 쌍의 돌기된 제1 가이드의 중앙측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스프링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볼트와 상기 지지너트 사이에 배치되는 장력스프링; 및
    상기 장력스프링과 상기 지지너트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볼트에는 상기 장홀에 삽입되고 회전되며 배치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D3)은 상기 장홀의 단길이(D2)보다는 길고, 상기 장홀의 장길이(D1)보다는 짧게 이뤄지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장홀의 장길이(D1)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15. 삭제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2 체결부에 삽입되는 핀바디; 및
    상기 핀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체결부의 상부에 접촉되어 배치되는 단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핀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는 체결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스프링은 상기 제1,2 체결부에 통과할 때, 상기 핀바디의 길이방향으로 휘어지며 통과하고, 통과 후에는 상기 핀바디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핀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스프링이 삽입되는 함몰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KR1020190126684A 2019-10-14 2019-10-14 케이블 고정장치 KR102243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684A KR102243314B1 (ko) 2019-10-14 2019-10-14 케이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684A KR102243314B1 (ko) 2019-10-14 2019-10-14 케이블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314B1 true KR102243314B1 (ko) 2021-04-22

Family

ID=7573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684A KR102243314B1 (ko) 2019-10-14 2019-10-14 케이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3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123B1 (ko) * 2022-10-13 2022-12-09 한국이미지시스템(주) 교량용 조명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6575U (ko) * 1988-10-14 1990-04-24
KR920006928U (ko) * 1990-09-05 1992-04-22 주식회사 에스케이씨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KR920006929Y1 (ko) * 1990-07-20 1992-09-28 배달환 지하 매설용 케이블 고정구
JPH08149668A (ja) * 1994-11-16 1996-06-07 Kyowa:Kk 架線用機材の取付装置
KR20080048583A (ko) * 2006-11-29 2008-06-03 (주)부한전력기술단 케이블 선로 가변기능을 갖는 송전탑
KR101195845B1 (ko) * 2011-07-18 2012-10-30 주식회사 엘브이에스 엘이디 형광등용 소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6575U (ko) * 1988-10-14 1990-04-24
KR920006929Y1 (ko) * 1990-07-20 1992-09-28 배달환 지하 매설용 케이블 고정구
KR920006928U (ko) * 1990-09-05 1992-04-22 주식회사 에스케이씨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JPH08149668A (ja) * 1994-11-16 1996-06-07 Kyowa:Kk 架線用機材の取付装置
KR20080048583A (ko) * 2006-11-29 2008-06-03 (주)부한전력기술단 케이블 선로 가변기능을 갖는 송전탑
KR101195845B1 (ko) * 2011-07-18 2012-10-30 주식회사 엘브이에스 엘이디 형광등용 소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123B1 (ko) * 2022-10-13 2022-12-09 한국이미지시스템(주) 교량용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6808A (en) Ground contactor
KR100753957B1 (ko) 변전소 피뢰기 브라켓 방향조정장치
US20040092142A1 (en) Clamping apparatus for connecting ground wire to grounding member
KR102243314B1 (ko) 케이블 고정장치
KR102333251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2024667B1 (ko)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US6454591B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comprising it
KR100749386B1 (ko) 전선케이블형 경완금 연결장치
KR101809179B1 (ko)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
KR101636554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애자 구조
KR102089508B1 (ko)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
KR20090060028A (ko) 송·배전용 전선케이블 연결장치
CN109616989B (zh) 一种柱上分支箱
KR100960153B1 (ko) 특고압 송전용 가공선 고정애자
KR102493929B1 (ko) 피뢰기능을 탑재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KR101413169B1 (ko)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
KR200443612Y1 (ko)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
JP4550121B2 (ja) 配電機器を収納した外箱におけるケーブルブラケットの取り付け構造
KR100817887B1 (ko) 부스바 케이스
KR101262640B1 (ko)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1989354B1 (ko)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CN212183039U (zh) 一种线缆锁紧装置及包括该线缆锁紧装置的电器设备
KR102527273B1 (ko) 배전선로 인장 클램프
KR102524133B1 (ko) 변압기로의 전선 분기를 위한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KR102491367B1 (ko) 분기기능이 마련된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