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612Y1 -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 - Google Patents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612Y1
KR200443612Y1 KR2020080016238U KR20080016238U KR200443612Y1 KR 200443612 Y1 KR200443612 Y1 KR 200443612Y1 KR 2020080016238 U KR2020080016238 U KR 2020080016238U KR 20080016238 U KR20080016238 U KR 20080016238U KR 200443612 Y1 KR200443612 Y1 KR 200443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hole
groove
pair
suspension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2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경
Original Assignee
박종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경 filed Critical 박종경
Priority to KR2020080016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6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6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8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9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forming a crossed-over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주에 배선된 전선케이블에 처짐이 발생시 현수애자가 설치된 애자설치봉을 소정각도 회전시켜 현수애자를 통해 전선케이블이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전선케이블의 처짐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시공자가 애자설치봉 및 연결바의 각도를 시공자가 용이하게 조절하여 현수애자의 위치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케이블 간의 접촉을 피해 현수애자를 안착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전주의 상단에 안착고정할 수 있도록 하부에 상기 전주의 상단이 삽입연결되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하부 외면에 삽입홈에 삽입된 전주를 가압고정하기 위한 조임나사가 체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부에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단부에 너트가 체결되는 설치공이 마련되며, 상단에 절개홈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덮개;
상기 절개홈에 삽입되어 고정볼트를 통해 설치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에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마련되고, 각 단부에 힌지공을 갖는 한 쌍의 힌지편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H형설치프레임;
상기 H형설치프레임의 각 단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어 힌지핀에 의해 힌지회동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며, 상단에 체결홀을 갖는 회동편이 연결핀에 의해 힌지회동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고, 일측면에 제1 요철부를 갖는 다수개의 반원홈이 마련된 복수개의 연결바;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연결바 사이의 상단 폭을 조절하여 연결바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체결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볼트체결되며, 중간에 조절손잡이가 마련된 한 쌍의 양방향폭조절볼트;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연결바 사이에 다수개가 연결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반원홈에 삽입되어 제1 요철부와 치합을 이루는 한 쌍의 제2 요철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요철부의 인접한 일측에 현수애자를 설치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애자체결공이 마련된 애자설치봉 및
상기 애자설치봉을 연결바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바의 반원홈이 형성된 부위에 각각 설치되며, 내측에 전방과 상하로 개구되어 연결바가 삽입되는 유입공이 마련되고, 양측면에 상기 애자설치봉이 삽입되어 제2 요철부와 치합을 이루는 반원형 제3 요철부를 갖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배면에 상기 제2 요철부와 제3 요철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가 체결되는 결합홀이 마련된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R2020080016238
현수애자, 연결바, 고정구, 전선케이블

Description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Suspension insulator member for electric Pole}
본 고안은 안착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에 배선된 전선케이블에 처짐이 발생시 현수애자가 설치된 애자설치봉을 소정각도 회전시켜 현수애자를 통해 전선케이블이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전선케이블의 처짐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시공자가 애자설치봉 및 연결바의 각도를 시공자가 용이하게 조절하여 현수애자의 위치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케이블간의 접촉을 피해 현수애자를 안착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케이블을 이용하여 각지역으로공급하게 되는 배전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때, 일반 수용가에 대한 전력공급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주를 통해 공급하게 되며, 각 전주에서의 전선 케이블의 연결은 점퍼선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즉, 전주에 설치된 현수애자 안착대에 현수애자가 설치되고, 이와 같이 설치 된 현수애자에 전선 케이블이 연결된다. 이후, 상기 현수애자와 또다른 현수애자 사이는 점퍼선이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현수애자 안착대는 실사용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현수애자에 연결된 전선케이블은 시공 후 소정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긴장되어 있던 장력이 약해져 처짐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기 위한 보수공사가 주기적으로 시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보수공사 시행시 처짐이 발생한 전선케이블은 일정구간을 절단한 후 다시 결선해야 하는 복잡한 작업과정을 통해서만 보정이 가능하여 작업에 불편함 및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현수애자 안착대는 현수애자를 한 방향만을 향하도록 고정설치해야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현수애자를 설치하기 위한 주변에 전선케이블이 복잡하게 배선된 경우 전선케이블이 현수애자 설치공간을 침범하여 현수애자 설치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현수애자 안착대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주에 배선된 전선케이블에 처짐이 발생시 현수애자가 설치된 애자설치봉을 소정각도 회전시켜 현수애자를 통해 전선케이블이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전선케이블의 처짐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한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애자설치봉 및 연결바의 각도를 시공자가 용이하게 조절하여 현수애자의 위치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케이블간의 접촉을 피해 현수애자를 안착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은
전주의 상단에 안착고정할 수 있도록 하부에 상기 전주의 상단이 삽입연결되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하부 외면에 삽입홈에 삽입된 전주를 가압고정하기 위한 조임나사가 체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부에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단부에 너트가 체결되는 설치공이 마련되며, 상단에 절개홈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덮개;
상기 절개홈에 삽입되어 고정볼트를 통해 설치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에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마련되고, 각 단부에 힌지공을 갖는 한 쌍의 힌지편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H형설치프레임;
상기 H형설치프레임의 각 단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어 힌지핀에 의해 힌지회 동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며, 상단에 체결홀을 갖는 회동편이 연결핀에 의해 힌지회동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고, 일측면에 제1 요철부를 갖는 다수개의 반원홈이 마련된 복수개의 연결바;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연결바 사이의 상단 폭을 조절하여 연결바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체결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볼트체결되며, 중간에 조절손잡이가 마련된 한 쌍의 양방향폭조절볼트;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연결바 사이에 다수개가 연결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반원홈에 삽입되어 제1 요철부와 치합을 이루는 한 쌍의 제2 요철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요철부의 인접한 일측에 현수애자를 설치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애자체결공이 마련된 애자설치봉 및
상기 애자설치봉을 연결바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바의 반원홈이 형성된 부위에 각각 설치되며, 내측에 전방과 상하로 개구되어 연결바가 삽입되는 유입공이 마련되고, 양측면에 상기 애자설치봉이 삽입되어 제2 요철부와 치합을 이루는 반원형 제3 요철부를 갖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배면에 상기 제2 요철부와 제3 요철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가 체결되는 결합홀이 마련된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주에 배선된 전선케이블에 처짐이 발생시 현수애자가 설치된 애자설치봉을 소정각도 회전시켜 현수애자를 통해 전선케이블이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전선케이블의 처짐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애자설치봉 및 연결바의 각도를 시공자가 용이하게 조절하여 현수애자의 위치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케이블간의 접촉을 피해 현수애자를 안착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100)는 전주(10)의 상단에 안착고정되는 고정덮개(110)와, 상기 고정덮개(110)에 설치고정되는 H형설치프레임(120)과, 상기 H형설치프레임(120)의 각 단부에 힌지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바(130)와,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130)의 상단 폭을 조절하기 위한 양방향폭조절볼트(140)와, 상기 연결바(130)에 설치된 애자설치봉(150) 및 상기 애자설치봉(150)을 연결바(13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덮개(110)는 전주(10)의 상단에 안착고정할 수 있도록 하부에 상기 전주(10)의 상단이 삽입연결되는 삽입홈(111)이 마련되고, 하부 외면에 삽입홈(111)에 삽입된 전주(10)를 가압고정하기 위한 조임나사(113)가 체결되는 연결공(115)이 형성되며, 상부에 고정볼트(116)가 삽입되어 단부에 너트가 체결되는 설치공(117)이 마련되며, 상단에 절개홈(118)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H형설치프레임(120)은 상기 절개홈(118)에 삽입되어 고정볼 트(116)를 통해 설치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에 상기 고정볼트(116)가 삽입되는 관통공(121)이 마련되고, 각 단부에 한 쌍의 힌지편(125)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 힌지편(125)은 그 내측에 힌지핀(131)이 삽입연결되는 힌지공(12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130)는 상기 H형설치프레임(120)의 각 단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어 힌지핀(131)에 의해 힌지회동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바(130)는 상기 한 쌍의 힌지편(125) 사이에 개재되어 힌지핀(131)에 의해 힌지연결되며, 그 상단에 회동편(135)이 연결핀(136)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고, 일측면에 상기 제1 요철부(137)를 갖는 다수개의 반원홈(138)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회동편(135)은 그 내측에 체결홀(133)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양방향폭조절볼트(140)는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연결바(130) 사이의 상단 폭을 조절하여 연결바(130)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편(135)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양방향폭조절볼트(140)는 그 양단이 상기 체결홀(133)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볼트체결되며, 중간에 조절손잡이(141)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애자설치봉(150)은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연결바(130) 사이에 다수개가 연결설치된다.
이때, 상기 애자설치봉(150)은 그 외주면에 상기 반원홈(138)에 삽입되어 제1 요철부(137)와 치합을 이루는 한 쌍의 제2 요철부(151)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요 철부(151)의 인접한 일측에 현수애자(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애자체결공(153)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고정구(160)는 상기 애자설치봉(150)을 연결바(13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바(130)의 반원홈(138)이 형성된 부위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160)는 그 내측에 전방과 상하로 개구되어 연결바(130)가 삽입되는 유입공(161)이 마련되고, 양측면에 상기 애자설치봉(150)이 삽입되는 가이드홀(165)이 마련되며, 배면에 결합홀(169)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홀(165)에는 그 일측 내면에 상기 제2 요철부(151)와 치합을 이루는 반원형 제3 요철부(163)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169)에는 제2 요철부(151)와 제3 요철부(16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167)가 체결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는 전주에 배선된 전선케이블에 처짐이 발생시 현수애자가 설치된 애자설치봉을 소정각도 회전시켜 현수애자를 통해 전선케이블이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전선케이블의 처짐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시공자가 애자설치봉 및 연결바의 각도를 시공자가 용이하게 조절하여 현수애자의 위치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케이블간의 접촉을 피해 현수애자를 안착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설치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고정덮개(110)의 삽입홈(111)에 전주(10)의 상단을 삽입연결한다.
이후, 상기 연결공(115)에 조임나사(113)를 체결하여 상기 조임나사(113)의 단부가 전주(10)를 가압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덮개(110)는 전주(10)의 상단에 견고하게 안착고정된다.
이후, 상기 고정덮개(110)의 절개홈(118)에 H형설치프레임(120)을 설치고정한다. 이때, 상기 H형설치프레임(120)의 관통공(121)은 설치공(117)과 연통되어 고정볼트(116)가 삽입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H형설치프레임(120)은 고정볼트(116)를 통해 고정덮개(110)에 견고히 설치고정된다.
이후, 상기 한 쌍의 힌지편(125) 사이에 연결바(130)를 개재한 후 힌지편(125)의 힌지공(123)에 힌지핀(131)삽입연결한다. 이때, 상기 힌지핀(131)은 상기 연결바(130)가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그 단부가 연결바(130)에 힌지연결된다.
이후, 상기 연결바(130)의 상단에 연결핀(136)을 이용하여 회동편(135)을 힌지회동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이후,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연결바(130)의 회동편(135)과 회동편(135) 사이에 양방향폭조절볼트(140)를 체결한다.
이때, 상기 양방향폭조절볼트(140)는 그 단부가 회동편(135)의 체결홀(133) 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볼트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양방향폭조절볼트(14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양방향폭조절볼트(140)는 연결바(130)의 상단을 외측으로 밀어 연결바(130)의 하단이 전주(10) 측으로 모이도록 하며, 양방향폭조절볼트(14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양방향폭조절볼트(140)는 연결바(130)의 상단을 조절손잡이(141) 측으로 당겨 연결바(130)의 하단을 전주(10) 바깥 측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양방향폭조절볼트(140)의 회전방향에 따라 연결바(13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시공자가 편의에 따라 연결바(130)의 각도를 조절하면, 상기 연결바(130)는 애자설치봉(150)의 각도를 가변하여, 애자설치봉(150)에 현수애자(3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각 연결바(130)의 반원홈(138)에 고정구(160)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각 고정구(160)는 유입공(161)에 연결바(130)를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연결바(130)가 유입된 후에 돌출된 가이드홀(165)의 단부에는 상기 애자설치봉(150)을 삽입연결한다.
이때, 상기 연결바(130)의 제1 요철부(137)에는 애자설치봉(150)의 제2 요철부(151)가 치합을 이루게 되며, 상기 제2 요철부(151)와 가이드홀(165)의 제3 요철부(163)는 선택적으로 치합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애자설치봉(150)에 형성된 애자체결공(153)에는 시공자가 필요에 따라 현수애자(30)를 체결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160)와 유기적은 결합관계를 이루고 있는 애자설치 봉(150)의 각도 가변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4b 및 4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4a,4b 및 4c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애자설치봉(150)의 각도를 가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조절볼트(167)를 고정구(16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조절볼트(167)가 고정구(160) 외측으로 돌출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홀(165)이 폭이 넓어져 애자설치봉(150)이 가이드홀(165) 내에서 위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서로 치합을 이루고 있는 제1 요철부(137)와 제2 요철부(151)를 이탈시키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애자설치봉(150)은 회전각도를 가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애자설치봉(150)의 회전각도 가변이 이루어지면 상기 조절볼트(167)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볼트(167)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가이드홀(165)은 고정구(160) 내측으로 돌출되는 조절볼트(167)에 의해 그 폭이 좁아져 제1 요철부(137)와 제2 요철부(151)는 서로 치합된다.
또한, 상기 제2 요철부(151)와 제3 요철부(163)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치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요철부(137)와 제2 요철부(151) 및 제3 요철부(163)가 서로 치합을 이루게 되면, 상기 애자설치봉(150)은 각도가 고정된 상태로 연결 바(13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는 전선케이블의 처짐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시공자가 애자설치봉 및 연결바의 각도를 시공자가 용이하게 조절하여 현수애자의 위치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케이블간의 접촉을 피해 현수애자를 안착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및
도 4a,4b 및 4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를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주 20 : 전선케이블
30 : 현수애자 110 : 고정덮개
120 : H형설치프레임 130 : 연결바
140 : 양방향폭조절볼트 150 : 애자설치봉
160 : 고정구

Claims (1)

  1. 전주(10)의 상단에 안착고정할 수 있도록 하부에 상기 전주(10)의 상단이 삽입연결되는 삽입홈(111)이 마련되고, 하부 외면에 삽입홈(111)에 삽입된 전주(10)를 가압고정하기 위한 조임나사(113)가 체결되는 연결공(115)이 형성되며, 상부에 고정볼트(116)가 삽입되어 단부에 너트가 체결되는 설치공(117)이 마련되며, 상단에 절개홈(118)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덮개(110);
    상기 절개홈(118)에 삽입되어 고정볼트(116)를 통해 설치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에 상기 고정볼트(116)가 삽입되는 관통공(121)이 마련되고, 각 단부에 힌지공(123)을 갖는 한 쌍의 힌지편(125)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H형설치프레임(120);
    상기 H형설치프레임(120)의 각 단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어 힌지핀(131)에 의해 힌지회동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며, 상단에 체결홀(133)을 갖는 회동편(135)이 연결핀(136)에 의해 힌지회동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고, 일측면에 제1 요철부(137)를 갖는 다수개의 반원홈(138)이 마련된 복수개의 연결바(130);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연결바(130) 사이의 상단 폭을 조절하여 연결바(130)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체결홀(133)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볼트체결되며, 중간에 조절손잡이(141)가 마련된 한 쌍의 양방향폭조절볼트(140);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연결바(130) 사이에 다수개가 연결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반원홈(138)에 삽입되어 제1 요철부(137)와 치합을 이루는 한 쌍의 제2 요철 부(151)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요철부(151)의 인접한 일측에 현수애자(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애자체결공(153)이 마련된 애자설치봉(150) 및
    상기 애자설치봉(150)을 연결바(13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바(130)의 반원홈(138)이 형성된 부위에 각각 설치되며, 내측에 전방과 상하로 개구되어 연결바(130)가 삽입되는 유입공(161)이 마련되고, 양측면에 상기 애자설치봉(150)이 삽입되어 제2 요철부(151)와 치합을 이루는 반원형 제3 요철부(163)를 갖는 가이드홀(165)이 형성되며, 배면에 상기 제2 요철부(151)와 제3 요철부(16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167)가 체결되는 결합홀(169)이 마련된 고정구(1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
KR2020080016238U 2008-12-08 2008-12-08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 KR200443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238U KR200443612Y1 (ko) 2008-12-08 2008-12-08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238U KR200443612Y1 (ko) 2008-12-08 2008-12-08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612Y1 true KR200443612Y1 (ko) 2009-03-02

Family

ID=4134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238U KR200443612Y1 (ko) 2008-12-08 2008-12-08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61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736B1 (ko) 2010-06-01 2010-09-07 (주)은암이엔시 특고압 수직장주용 삼각 완금장치
KR101039831B1 (ko) 2011-03-04 2011-06-09 (주)정연엔지니어링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KR101129710B1 (ko) * 2011-11-16 2012-03-28 이희삼 현수애자와 전주 사이의 거리 조절이 용이한 배전용 전주의 상부지지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736B1 (ko) 2010-06-01 2010-09-07 (주)은암이엔시 특고압 수직장주용 삼각 완금장치
KR101039831B1 (ko) 2011-03-04 2011-06-09 (주)정연엔지니어링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KR101129710B1 (ko) * 2011-11-16 2012-03-28 이희삼 현수애자와 전주 사이의 거리 조절이 용이한 배전용 전주의 상부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975B1 (ko) 지중배전용 전력케이블 곡선지지장치
KR100753957B1 (ko) 변전소 피뢰기 브라켓 방향조정장치
KR100770617B1 (ko) 가공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0601417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확장 애자 고정용 스트랍장치
KR100879791B1 (ko) 송전선로용 완충식 진동방지장치
KR200443612Y1 (ko) 전주용 현수애자 안착대
KR101131082B1 (ko) 송전 철탑용 조립식 고정금구
KR100658661B1 (ko) 공동주택용 경량 케이블 트레이
KR101485160B1 (ko) 가공 배전선로의 배전반 지지완철
KR20220116401A (ko) 길이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행거
KR19990084162A (ko) 전선 케이블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20110122935A (ko) 본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랙 행거
KR100749386B1 (ko) 전선케이블형 경완금 연결장치
KR100967386B1 (ko) 부스바 체결 클립
KR20080005068U (ko) 턱트 겸용 케이블 트레이
KR102243314B1 (ko) 케이블 고정장치
KR200468964Y1 (ko) 케이블 장력 인장클램프 장치
KR100728313B1 (ko) 송,배전 케이블의 지지장치
KR102134870B1 (ko) 전선 트레이 설치용 분전함
JP4550121B2 (ja) 配電機器を収納した外箱におけるケーブルブラケットの取り付け構造
KR100873877B1 (ko) 배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0788048B1 (ko) 송배전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200451748Y1 (ko) 콘센트 박스 지지대
KR101419492B1 (ko) 케이블 고정구
KR101031892B1 (ko) 케이블 트레이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