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757B1 -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757B1
KR101837757B1 KR1020180001357A KR20180001357A KR101837757B1 KR 101837757 B1 KR101837757 B1 KR 101837757B1 KR 1020180001357 A KR1020180001357 A KR 1020180001357A KR 20180001357 A KR20180001357 A KR 20180001357A KR 101837757 B1 KR101837757 B1 KR 101837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istribution line
underground distribution
preventing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북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북아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북아기술
Priority to KR1020180001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쉽고 간편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고, 동시에 외력으로부터 지중배전선을 보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지중배전선 간의 간격을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한편, 스토퍼너트의 풀림이나, 불완전 결속 등에 따른 고정구바디의 이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웃하는 고정구바디 간의 충돌에 따른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한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insulator apparatus of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쉽고 간편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고, 동시에 외력으로부터 지중배전선을 보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지중배전선 간의 간격을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한편, 스토퍼너트의 풀림이나, 불완전 결속 등에 따른 고정구바디의 이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웃하는 고정구바디 간의 충돌에 따른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한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 등에서는 미관을 고려하여 전선 등을 지상에 설치하지 않고 지하에 매설하고 있다.
이때, 전선이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전선보호관을 지하에 매설하고 그 내측으로 지중배전선을 삽입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지중배전선을 보호하는 전선보호관의 경우 지하에 매설되어 그 내측으로 지중배전선이 내입되며, 전선보호관을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호덮대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48730호(2014.10.13.)에는 '지중 배전선로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관로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중 배전선로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관로구조물은 스토퍼너트의 풀림이나, 불완전 결속 등에 따라 고정구바디가 가이드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문제점과 함께 이웃하는 고정구바디 간에 충돌되면서 파손 등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48730호(2014.10.13.) '지중 배전선로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관로구조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쉽고 간편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고, 동시에 외력으로부터 지중배전선을 보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지중배전선 간의 간격을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한편, 스토퍼너트의 풀림이나, 불완전 결속 등에 따른 고정구바디의 이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웃하는 고정구바디 간의 충돌에 따른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한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와 상면이 개방된 관바디(11)와, 관바디(11)와 직교되는 가이드공(12a)을 구비하며 관바디(11)의 상면을 덮는 투명커버(12)를 갖춘 보호관(10): 가이드공(12a)과 마주보는 안내홈(21a)을 구비하며 관바디(11)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는 설치대바디(21)와; 상호 이격되며 설치대바디(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22)을 갖춘 설치대(20): 안내홈(21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31a)를 구비하며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고정구바디(31)와, 고정구바디(31)의 구멍에 고정되는 베어링부재(32)와, 고정구바디(3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투명커버(12)의 가이드공(12a)을 관통하며, 둘레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손잡이(33)와, 손잡이(33)에 체결되어 투명커버(12)를 가압해 고정구바디(31)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너트(34)로 구성된 커넥터고정구(30): 관통된 양단 내주면에 제1체결부(41a-1)가 구비되며 베어링부재(3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절연애자(41a)와, 절연애자(41a)에 내설되며 내주면에 복수의 고정돌기(41b-1)가 구비된 금속관(41b)으로 구성된 연결부재(41)와; 둘레면에 형성되며 제1체결부(41a-1)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42a-1),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향으로 절곡되어 지중배전선(L)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이탈방지편(42a-2)이 구비된 전선이탈방지부(42a)와, 외면과 내면에 각각 안착부(42b-1)와 요철(42b-2)을 갖추고서, 전선이탈방지부(42a)의 일단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며 전선이탈방지부(42a)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전선억류부(42b)를 갖춘 전선고정부재(42,42'); 및 전선억류부(42b)를 감싸도록 안착부(42b-1)에 설치되어 전선억류부(42b)를 매개로 지중배전선(L)을 가압해 고정하는 타이밴드(43)로 구성된 커넥터(40):를 포함하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에 있어서, 스토퍼너트(34)의 풀림이나, 불완전 결속에 따른 고정구바디(31)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방지부(100)를 더 포함하되, 커넥터고정구(30)는, 가이드공(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며, 이동방지부(100)는, 양단부가 복수의 손잡이(33)를 통과하는 연결바(110); 이웃하는 손잡이(33) 간에 위치되도록 연결바(110)에 결합되는 이동방지수단(120); 및 연결바(11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130)를 포함하며, 이동방지수단(120)은, 연결바(110)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이웃하는 손잡이(33)를 배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2스프링(121,122); 및 제1,2스프링(121,122) 간에 위치되도록 이탈방지부재(13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123)을 포함하고, 제1,2스프링(121,122)은, 스토퍼너트(34)의 풀림이나, 불완전 결속에 따른 고정구바디(31)의 이동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한편,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지중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쉽고 간편하게 연결시켜 줄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 및 작업능률 면에서 상당히 효과적이다.
둘째, 지중배전선 간의 간격을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며, 특히 투명커버는 관바디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투명커버를 분리하지 않고도 배선상태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손잡이를 이용하여 고정구바디에 고정된 커넥터를 유관으로 확인해 가면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이 상당히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셋째, 전선고정부재의 제2체결부에 나사탭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연결부재를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돌려줌에 따라 전선고정부재가 동시에 풀리거나 조여질 수 있어 조립 및 해체가 상당히 편리하면서도 특히, 지중배전선이 꼬이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넷째, 스토퍼너트의 풀림이나, 불완전 결속 등에 따른 고정구바디의 이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웃하는 고정구바디 간의 충돌에 따른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에서 요부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에서 전선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지중배전선을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를 이용하여 지중배전선을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에서 이동방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448730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448730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448730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지중 배전선로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관로구조물'은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로 대체하고, 스토퍼너트의 풀림이나, 불완전 결속에 따른 고정구바디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448730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는 보호관(10)과 설치대(20), 커넥터고정구(30) 및 커넥터(40)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의하면 지중에 매립된 지하시설(지하실)의 바닥에 시공되어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토록 함과 동시에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고, 필요에 따라 지중배전선(L) 간의 간격을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관(10)은 관바디(11)와 투명커버(1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중에 매립된 지하시설(지하실)의 바닥에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을 감싸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관바디(11)는 길이방향과 상면이 개방된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을 이루는 부재로서, 지하시설(지하실)의 바닥을 따라 일렬로 설치된다.
상기 투명커버(12)는 관바디(11)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용도로 이용되며, 중앙에는 관바디(11)와 서로 직교를 이루는 가이드공(12a)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공(12a)에는 손잡이(33)가 삽입관통되며, 여기서 가이드공(12a)은 손잡이(33)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투명커버(12)는 관바디(11)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투명커버(12)를 분리하지 않고도 배선상태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손잡이(33)를 이용하여 고정구바디(31)에 고정된 커넥터(40)를 유관으로 확인해 가면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이 상당히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관바디(11)의 상면에 투명커버(12)가 단순히 얹혀져 손잡이(33) 및 스토퍼너트(34)에 의해 상호 맞대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별도의 체결수단(예를 들면 나사볼트 등)을 이용하여 관바디(11)에 투명커버(12)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관로설치가 상당히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설치대(20)는 설치대바디(21)와 격벽(22)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보호관(10)에 삽입되어 지중배전선(L)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설치대바디(21)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이며, 관바디(11)의 내부 바닥면에 체결수단(예를 들면 나사볼트 등)을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설치대바디(21)의 중앙에는 투명커버(12)의 가이드공(12a)과 서로 마주보는 안내홈(21a)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안내홈(21a)에는 커넥터고정구(30)의 가이드부(31a)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안내홈(21a)의 내측 중간부분이 내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가이드부(31a)가 안내홈(2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은 가능 하지만 외부로 이탈되는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커넥터고정구(3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격벽(22)은 설치대바디(21)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지중배전선(L)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기능을 한다.
도 1 내지도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고정구(30)는 고정구바디(31)와 베어링부재(32), 손잡이(33) 및 스토퍼너트(34)로 구성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설치대(20)의 안내홈(21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커넥터(40)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커넥터(40)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참고로, 상기 설치대(20)에는 복수의 커넥터고정구(3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구바디(31)는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를 이루고,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안내홈(21a)에 대응되는 가이드부(31a)를 구비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가이드부(31a)를 매개로 안내홈(21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베어링부재(32)는 고정구바디(31)의 구멍에 설치되는 공지의 부재로서, 이후에 설명될 커넥터(4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손잡이(33)는 고정구바디(3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투명커버(12)의 가이드공(12a)을 관통하며, 둘레면에 나사탭이 형성된다.
작업자는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33)를 통해 고정구바디(31)를 용이하게 수평이동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상기 스토퍼너트(34)는 손잡이(33)에 체결되어 투명커버(12)를 가압해 고정구바디(31)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손잡이(33)에 스토퍼너트(34)를 강하게 체결함에 따라 고정구바디(31)의 가이드부(31a)가 안내홈(21a)과 강하게 맞대어지므로 고정구바디(31)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스토퍼너트(34)에 의해 투명커버(12)가 가압되므로 투명커버(12)의 고정성 또한 담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40)는 연결부재(41)와 전선고정부재(42,42') 및 타이밴드(43)로 구성된 절연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고정구바디(31)에 설치된 베어링부재(3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연결부재(41)는 절연재질의 절연애자(41a)와 금속재질의 금속관(41b)으로 구성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전선고정부재(42,42')를 고정하면서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절연애자(41a)는 중공관으로서, 양단부 내주면에는 나사탭을 낸 제1체결부(41a-1)가 일체로 구비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커넥터고정구(30)의 베어링부재(3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전선고정부재(42,42')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금속관(41b)은 내주면에 고정돌기(41b-1)가 구비된 관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L)의 금속선은 고정돌기(41b-1)를 매개로 고정하면서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이음(연결)해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선고정부재(42,42')는 전선이탈방지부(42a)와 전선억류부(42b)로 구성된 절연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중배전선(L)에 고정되어 지중배전선(L)을 연결부재(41)에 연결 및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선이탈방지부(42a)는 중공관으로서, 둘레면에는 각각 나사탭을 내 형성한 제2체결부(42a-1)와,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향으로 절곡되어 지중배전선(L)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이탈방지편(42a-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체결부(42a-1)는 제1체결부(41a-1)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된다.
일 예로서, 상기 전선이탈방지부(42a)에 지중배전선(L)을 고정된 상태로 제1체결부(41a-1)에 전선이탈방지부(42a)를 체결하게 되면 지중배전선(L)이 꼬이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전선고정부재(42,42')의 제2체결부(42a-1)에 나사탭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하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선고정부재(42,42')의 제2체결부(42a-1)에 나사탭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연결부재(41)를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돌려줌에 따라 전선고정부재(42,42')가 동시에 풀리거나 조여질 수 있어 조립 및 해체가 상당히 편리하면서도 특히, 지중배전선(L)이 꼬이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상기 이탈방지편(42a-2)은 전선이탈방지부(42a)의 둘레면을‘ㄷ’자로 절개한 다음 절개된 편을 내향으로 절곡(구부려)하여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측으로 지중배전선(L)이 삽입되면 내향으로 절곡된 복수의 이탈방지편(42a-2)이 벌어지면서 지중배전선(L)이 자연스럽게 통과하지만, 역으로 지중배전선(L)을 이탈시키고자 하면 이탈방지편(42a-2)의 단부에 지중배전선(L)의 피복이 걸리게 되므로 지중배전선(L)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선억류부(42b)는 전선이탈방지부(42a)의 일단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어 전선이탈방지부(42a)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중배전선(L)이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지중배전선(L)의 피복을 가압해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전선억류부(42b)의 외면과 내면에는 각각 안착부(42b-1)와 요철(42b-2)이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타이밴드(43)는 전선억류부(42b)를 감싸도록 안착부(42b-1)에 설치되어 전선억류부(42b)를 매개로 지중배전선(L)을 가압해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일 예로서, 타이밴드(43)를 적용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철사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지중배전선(L)을 전선고정부재(42,42')에 삽입시켜 주면 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중배전선(L)을 전선억류부(42b)를 통과시켜 전선이탈방지부(42a)의 끝단까지 밀어 주면, 내측으로 인입되는 지중배전선(L)에 의해 이탈방지편(42a-2)이 벌어지게 되면서 지중배전선(L)의 피복에 선단이 밀착된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중배전선(L)이 전선이탈방지부(42a)와 전선억류부(42b)에 삽입되면, 타이밴드(43)를 전선억류부(42b)의 안착부(42b-1)에 배치한 다음 묶어주게 되면 전선억류부(42b)가 오므려 들면서 지중배전선(L)의 피복을 요철(42b-2)이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지중배전선(L)은 전선고정부재(42,42')에 견실하게 고정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한편, 상기와 같이 전선고정부재(42,42')에 지중배전선(L)을 고정한 이후에는 연결부재(41)에 전선고정부재(42,42')를 간헐적으로 고정한 체결한 상태에서 연결부재(4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면, 전선고정부재(42,42')의 제2체결부(42a-1)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동시에 연결부재(41)에 체결되며, 지중배전선(L)의 금속선부분은 금속관(41b)으로 인입되어 고정돌기(41b-1)에 압입고정된다.
상기 지중배전선(L)이 손상된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방법의 역순으로 손상된 지중배전선(L)을 교체 후 재조립하면 된다,
보호관(10)에 내설된 지중배전선(L)의 간격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손잡이(33)에 체결된 스토퍼너트(34)를 살짝 풀어준 상태에서 손잡이(33)를 좌우로 밀어 설정시켜주며, 설정이 끝나면 스토퍼너트(34)를 강하게 조여 고정구바디(31)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쉽고 간편하게 연결시켜 줄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 및 작업능률 면에서 상당히 효과적이다.
또한, 지중배전선(L) 간의 간격을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며, 특히 투명커버(12)는 관바디(11)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투명커버(12)를 분리하지 않고도 배선상태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손잡이(33)를 이용하여 고정구바디(31)에 고정된 커넥터(40)를 유관으로 확인해 가면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이 상당히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선고정부재(42,42')의 제2체결부(21a)에 나사탭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연결부재(41)를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돌려줌에 따라 전선고정부재(42,42')가 동시에 풀리거나 조여질 수 있어 조립 및 해체가 상당히 편리하면서도 특히, 지중배전선(L)이 꼬이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너트(34)의 풀림이나, 불완전 결속에 따른 고정구바디(31)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방지부(1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이동방지부(100)는 스토퍼너트의 풀림이나, 불완전 결속 등에 따른 고정구바디(31)의 이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웃하는 고정구바디(31) 간의 충돌에 따른 파손 등을 방지한다.
커넥터고정구(30)는 가이드공(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며, 3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동방지부(100)는 양단부가 복수의 손잡이(33)를 통과하는 연결바(110), 이웃하는 손잡이(33) 간에 위치되도록 연결바(110)에 결합되는 이동방지수단(120) 및 연결바(11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130)를 포함한다.
연결바(110)는 양단부가 가이드공(12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가이드공(12a)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정 중앙부에 배치되는 손잡이와 함께 양측에 배치되는 손잡이를 통과하면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탈방지부재(130)는 연결바(100)의 양단부에 결합되면서 복수의 손잡이(3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바(1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탈방지부재(13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연결바(11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130)는 이웃하는 손잡이에 압착되도록 연결바(110)에 나사결합되면서 연결바(110)가 복수의 손잡이(33)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방지수단(120)은 연결바(110)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이웃하는 손잡이(33)를 배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2스프링(121,122) 및 제1,2스프링(121,122) 간에 위치되도록 이탈방지부재(13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123)을 포함한다.
지지판(123)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연결바(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연결바(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스프링(121,122)은 일반적인 형태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지지판(123)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도록 연결바(110)의 외측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2스프링(121,122)은 이웃하는 손잡이(33)를 배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스토퍼너트(34)의 풀림이나, 불완전 결속에 따른 고정구바디(31)의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2스프링(121,122)은 스토퍼너트(34)의 풀림이나, 불완전 결속에 따른 고정구바디(31)의 이동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이동방지부(100)는 제1,2스프링(121,122)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력조절수단(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력조절수단(140)은 제1,2스프링(121,122)과 지지판(123) 간에 위치되도록 연결바(110)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조절너트(141)를 포함한다.
조절너트(141)는 회전에 따라 연결바(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2스프링(121,122)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면서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동방지부(100)는 지지판(123)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가이드공(12a)으로 인입되는 회전방지바(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방지바(150)는 상부가 지지판(123)에 연결되고 하부가 가이드공(12a)으로 인입되면서 조절너트(141)의 회전에 따라 연결바(110)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이동방지부(100)는 스토퍼너트(34)의 풀림이나, 불완전 결속 등에 따른 고정구바디(31)의 이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웃하는 고정구바디(31) 간의 충돌에 따른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10: 보호관 11: 관바디
12: 투명커버 20: 설치대
21: 설치대바디 22: 격벽
30: 커넥터고정구 31: 고정구바디
32: 베어링부재 33: 손잡이
34: 스토퍼너트 40: 커넥터
41: 연결부재 42,42': 전선고정부재
43: 타이밴드 100: 이동방지부
110: 연결바 120: 이동방지수단
121: 제1스프링 122: 제2스프링
123: 지지판 130: 이탈방지부재
140: 탄성력조절수단 141: 조절너트
150: 회전방지바

Claims (1)

  1. 내부와 상면이 개방된 관바디(11)와, 관바디(11)와 직교되는 가이드공(12a)을 구비하며 관바디(11)의 상면을 덮는 투명커버(12)를 갖춘 보호관(10):
    가이드공(12a)과 마주보는 안내홈(21a)을 구비하며 관바디(11)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는 설치대바디(21)와; 상호 이격되며 설치대바디(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22)을 갖춘 설치대(20):
    안내홈(21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31a)를 구비하며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고정구바디(31)와, 고정구바디(31)의 구멍에 고정되는 베어링부재(32)와, 고정구바디(3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투명커버(12)의 가이드공(12a)을 관통하며, 둘레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손잡이(33)와, 손잡이(33)에 체결되어 투명커버(12)를 가압해 고정구바디(31)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너트(34)로 구성된 커넥터고정구(30):
    관통된 양단 내주면에 제1체결부(41a-1)가 구비되며 베어링부재(3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절연애자(41a)와, 절연애자(41a)에 내설되며 내주면에 복수의 고정돌기(41b-1)가 구비된 금속관(41b)으로 구성된 연결부재(41)와;
    둘레면에 형성되며 제1체결부(41a-1)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42a-1),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향으로 절곡되어 지중배전선(L)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이탈방지편(42a-2)이 구비된 전선이탈방지부(42a)와, 외면과 내면에 각각 안착부(42b-1)와 요철(42b-2)을 갖추고서, 전선이탈방지부(42a)의 일단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며 전선이탈방지부(42a)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전선억류부(42b)를 갖춘 전선고정부재(42,42'); 및
    전선억류부(42b)를 감싸도록 안착부(42b-1)에 설치되어 전선억류부(42b)를 매개로 지중배전선(L)을 가압해 고정하는 타이밴드(43)로 구성된 커넥터(40):를 포함하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에 있어서,
    스토퍼너트(34)의 풀림이나, 불완전 결속에 따른 고정구바디(31)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방지부(100)를 더 포함하되,
    커넥터고정구(30)는,
    가이드공(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며,
    이동방지부(100)는,
    양단부가 복수의 손잡이(33)를 통과하는 연결바(110);
    이웃하는 손잡이(33) 간에 위치되도록 연결바(110)에 결합되는 이동방지수단(120); 및
    연결바(11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130)를 포함하며,
    이동방지수단(120)은,
    연결바(110)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이웃하는 손잡이(33)를 배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2스프링(121,122); 및
    제1,2스프링(121,122) 간에 위치되도록 이탈방지부재(13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123)을 포함하고,
    제1,2스프링(121,122)은,
    스토퍼너트(34)의 풀림이나, 불완전 결속에 따른 고정구바디(31)의 이동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한편,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
KR1020180001357A 2018-01-04 2018-01-04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 KR101837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357A KR101837757B1 (ko) 2018-01-04 2018-01-04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357A KR101837757B1 (ko) 2018-01-04 2018-01-04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757B1 true KR101837757B1 (ko) 2018-03-14

Family

ID=6166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357A KR101837757B1 (ko) 2018-01-04 2018-01-04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7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092B1 (ko) * 2018-02-14 2018-08-29 박순섭 특고압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198B1 (ko) 2014-07-18 2014-10-06 김미희 신설작업이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KR101448140B1 (ko) 2014-06-11 2014-10-08 동재감리 주식회사 효과적인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448730B1 (ko) 2014-07-23 2014-10-13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관로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40B1 (ko) 2014-06-11 2014-10-08 동재감리 주식회사 효과적인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447198B1 (ko) 2014-07-18 2014-10-06 김미희 신설작업이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KR101448730B1 (ko) 2014-07-23 2014-10-13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관로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092B1 (ko) * 2018-02-14 2018-08-29 박순섭 특고압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73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관로구조물
US8704089B2 (en) Foundation member with cable theft deterrent device
US9865938B2 (en) Apparatus for electrically bonding a solar array
KR101837757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
US6800812B1 (en) Universal ground clamp
KR101893092B1 (ko) 특고압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
JP2007020344A (ja) ケーブルクリート
JP2006340457A (ja) 短絡接地器具のための操作絶縁棒
KR101572946B1 (ko) 통신 케이블용 다중 클램프
US9490618B2 (en) Electrical splice box
KR200436146Y1 (ko) 피뢰도선 지지구
KR102186578B1 (ko)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는 접지선
KR100547626B1 (ko) 배전선로의 랙크밴드 강화구조
KR100361083B1 (ko) 애자용 전선 고정장치
KR101684313B1 (ko) 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US10895370B2 (en) Hands-free support bolt and method
KR100982332B1 (ko) 부스 덕트의 너트 이탈방지장치
KR102130958B1 (ko) 눌러조임 단자대
DK143774B (da) Elektrisk tilslutningsanordning for en kapslet koelemaskine
JP4709620B2 (ja) 変流器固定装置
KR200214341Y1 (ko) 애자용 전선 고정장치
KR100864864B1 (ko) 다회 사용가능한 접속금구
JPS6345804Y2 (ko)
JPH0724881Y2 (ja) 配電盤用機器取付け金具
JPH034362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