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372B1 -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6372B1 KR101746372B1 KR1020160157031A KR20160157031A KR101746372B1 KR 101746372 B1 KR101746372 B1 KR 101746372B1 KR 1020160157031 A KR1020160157031 A KR 1020160157031A KR 20160157031 A KR20160157031 A KR 20160157031A KR 101746372 B1 KR101746372 B1 KR 1017463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mission line
- guide bar
- hole
- fixing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송전선로 철탑(1)에 고정되는 철탑금구(10)와; 하면에 소켓크레비스(21)를 갖추고서, 철탑금구(10)에 설치되는 현수애자(20)와;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되되, 상면에는 소켓크레비스(21)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고정돌기(31a)가 형성되고, 둘레에는 시계방향으로 내부와 연통되게 제1나선공(31b)이 형성된 상부캡(31),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되되, 상면에는 제1나선공(31b)을 따라 이동하는‘T’자 형상의 제1가이드봉(32a)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반시계방향으로 내부와 연통되게 제2나선공(32b)이 형성된 하부캡(32)으로 구성된 비틀림 및 장력조절기(30)와; 내부가 관통되되, 관통된 양단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된 제1단턱부(33a)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2나선공(31b)을 따라 이동하는‘T’자 형상의 제2가이드봉(33b)이 형성된 본체(33), 제2가이드봉(33b)의 둘레에 설치되어 하부캡(32)과 제2가이드봉(33b)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시키는 스페이서(34),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단턱부(35a)를 갖추고서, 본체(33)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측으로 인입된 송전선(L)을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하는 한 쌍의 송전선 고정블록(35), 고정블록(35) 사이 및 제1단턱부(33a)와 제2단턱부(35a)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압축 및 복원을 반복하는 탄성스프링(36)으로 구성된 장력조절기(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송전선이 바람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흔들리더라도 이를 상부캡과 하부캡 및 본체가 충분히 수용할 수 있게 되므로 송전선이 단전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여름이나 겨울에 송전선의 길이변화(늘어나거나 줄게 됨)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탄성스프링을 통해 충분히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송전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송전선이 바람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흔들리더라도 이를 상부캡과 하부캡 및 본체가 충분히 수용할 수 있게 되므로 송전선이 단전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여름이나 겨울에 송전선의 길이변화(늘어나거나 줄게 됨)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탄성스프링을 통해 충분히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송전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선의 지지물로 사용되는 철탑의 형태는 선로의 송전전력·전압·지형 등에 따라 다르며, 높이는 60m나 되는 것도 있으며, 주재료는 단면이 L형인 강재이다.
송전선의 철탑은 보통 3상 2회선, 즉 6개의 전선을 애자로 지지하고 있다.
철탑 사이의 거리는 20 ∼ 30m이고, 철탑에 가설한 전선의 지표로부터 최저 높이는 전기 설비 기술에 의해 정해져 있으며, 예를 들면 150,000V의 선로일 경우 6m이다.
보통 선로가 넓은 강이나 깊은 계곡을 건널 경우에는 경간이 길고, 따라서 장력이 커지므로 특히 강한 구조가 필요하다.
송전선일지라도 규모가 작은 것, 또는 배전선이나 전화선의 지지물로서 단일기초 위에 세우는 철주가 있다.
이러한 송전선로용 철탑은 상호 간에 다수의 송전선을 연결하고 있으며, 이러한 송전선들은 고공에 설치되는 특성상 바람이나 눈, 비 등의 기후적인 영향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진동 혹은 진폭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하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일정기간이 경과 하면 송전선에 처짐 현상이 초래되어 강한 바람이 불 경우 송전선들이 상·하로 심하게 흔들려서 상호 간에 마찰을 빚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것은 합선이나 단전 유발 등 대형 안전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송전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보수작업을 하여 송전선의 처짐 현상으로 인한 안전사고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방법은 단전을 수반하여야만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력 사용 세대들의 크나큰 불편과 원성을 초래하였고, 이러한 불편을 수반하는 문제로 인해 수시로 보수작업을 실시하지 못하게 됨에 따른 안전상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4199호(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가 있으며, 여기에는 철탑에 철탑금구를 매개로 설치된 현수애자에 절연커버(11)와, 절연커버(11)와 결합되는 절연받침대(12)와, 절연커버(11)와 절연받침대(12) 사이에 수용되어 탄성스프링(122)을 인장시키는 회전부재(10), 및 회전부재(10)에 설치되어 송전선을 각각 고정하는 신장부재(20)로 구성되어 양호한 전선지지와 절연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력변화에 따른 송전선의 늘어짐 현상을 최소화하며, 송전선에 비틀림이 작용할 경우에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킴으로써 유지관리상의 편리성과 안전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절연커버(11)와 절연받침대(12)에 수용된 회전부재(10)가 송전선에 의해 한쪽방향(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반대방향(시계방향)으로 송전선이 이동할 경우 회전부재(10)가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순간적으로 송전선의 단부에 힘이 반복적으로 집중됨에 따라 송전선이 단전될 우려가 매우 높다.
또한, 신장부재(20)의 양단에 절연캡(24)을 매개로 고정된 송전선이 인장될 경우 절연캡(24)을 상호 연결하고 있는 탄성스프링(23)이 함께 인장하게 되는데, 이때 한번 인장된 탄성스프링(23)은 송전선의 자중에 의해 늘어나 처지기 쉽고, 이에 따라 탄성스프링(23)은 복원되지 못한 체 처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송전선이 바람에 흔들려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고, 송전선의 장력변화에도 원래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는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전선로 철탑에 고정되는 철탑금구와;
하면에 소켓크레비스를 갖추고서, 철탑금구에 설치되는 현수애자와;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되되, 상면에는 소켓크레비스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둘레에는 시계방향으로 내부와 연통되게 제1나선공이 형성된 상부캡,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되되, 상면에는 제1나선공을 따라 이동하는‘T’자 형상의 제1가이드봉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반시계방향으로 내부와 연통되게 제2나선공이 형성된 하부캡,
내부가 관통되되, 관통된 양단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된 제1단턱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2나선공을 따라 이동하는‘T’자 형상의 제2가이드봉이 형성된 본체,
제2가이드봉의 둘레에 설치되어 하부캡과 제2가이드봉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시키는 스페이서,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단턱부를 갖추고서, 본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측으로 인입된 송전선을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하는 한 쌍의 송전선 고정블록,
고정블록 사이 및 제1단턱부와 제2단턱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압축 및 복원을 반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비틀림 및 장력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송전선이 바람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흔들리더라도 이를 상부캡과 하부캡 및 본체가 충분히 수용할 수 있게 되므로 송전선이 단전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여름이나 겨울에 송전선의 길이변화(늘어나거나 줄게 됨)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탄성스프링을 통해 충분히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송전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에서 장력조절기의 부분 평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에서 장력조절기의 부분 평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에서 장력조절기의 부분 평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는, 철탑금구(10)와 현수애자(20) 및 비틀림 및 장력조절기(30)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의하면 송전선(L)의 바람에 의한 흔들림 및 장력 변화시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송전선(L)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송전선(L)과 송전선(L)은 점퍼선(J;도 3 참조)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철탑금구(10)는 철탑(1)에 체결수단(예:볼트 및 너트)을 매개로 설치되며, 이 철탑금구(10)에는 현수애자(20)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현수애자(20)는 절연체로서, 철탑(1)과 비틀림 및 장력조절기(30) 사이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현수애자(20)의 하단에는 비틀림 및 장력조절기(30)를 구성하는 상부캡(31)의 고정돌기(31a)와 체결수단(예:볼트 및 너트)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소켓크레비스(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비틀림 및 장력조절기(30)는 상부캡(31)과 하부캡(32), 본체(33), 스페이서(34), 송전선고정블록(35) 및 탄성스프링(36)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현수애자(20)에 설치되어 송전선(L)의 비틀림 및 장력 변화시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송전선(L)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상부캡(31)은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된 원통으로서, 상면에는 소켓크레비스(21)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고정돌기(31a)가 형성되고, 둘레에는 시계방향으로 내부와 연통되는 제1나선공(3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캡(32)은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된 원통으로서, 상면에는 제1나선공(31b)을 따라 이동하는‘T’자 형상의 제1가이드봉(32a)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반시계방향으로 내부와 연통되는 제2나선공(3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33)는 내부가 관통된 사각형상의 관으로서, 관통된 양단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된 제1단턱부(33a)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2나선공(31b)을 따라 이동하는‘T’자 형상의 제2가이드봉(3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34)는 탄성재질의 휠로서, 제2가이드봉(33b)의 둘레에 설치되어 하부캡(32)과 제2가이드봉(33b)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송전선 고정블록(35)은 본체(33)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략‘T’자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2단턱부(35a)가 형성되고, 일측을 통해 내측으로 송전선(L)의 단부가 인입되어 체결수단(예:나사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송전선 고정블록(35)은 본체(33)의 내부에 한 쌍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스프링(3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록(35) 사이 및 제1단턱부(33a)와 제2단턱부(35a)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압축 및 복원을 반복하는 부재이다.
일 예로서, 상기 비틀림 및 장력조절기(3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부캡(31)의 내측으로 하부캡(32)의 상단부가 인입되어 하부캡(32)의 제1가이드봉(32a)이 상부캡(31)의 제1나선공(31b)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32)의 내측으로 본체(33)의 제2가이드봉(33b)이 인입되어 하부캡(32)의 제2나선공(32b)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이때 제2가이드봉(33b)의 둘레에 끼워진 스페이서(34) 역시 하부캡(32)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하부캡(32)과 제2가이드봉(33b)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시켜 제2나선공(32b)으로부터 제2가이드봉(33b)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33)의 양단 내측으로 송전선 고정블록(35)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송전선 고정블록(35) 사이 및 본체(33)의 제1단턱부(33a)와 송전선 고정블록(35)의 제2단턱부(35a) 사이에 탄성스프링(36)이 각각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선(L)이 바람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흔들히게 되면, 송전선(L)을 고정하고 있는 본체(33)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본체(33)의 제2가이드봉(33b)은 하부캡(32)의 제2나선공(32b)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부로 이동하는 본체(33)에 의해 송전선(L)이 잡아 당겨지면서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선(L)이 바람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흔들리게 되면, 송전선(L)을 고정하고 있는 본체(33)와 하부캡(3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하부캡(32)의 제1가이드봉(32a)은 상부캡(31)의 제1나선공(31b)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부로 이동하는 하부캡(32)과 본체(33)에 의해 송전(L)이 잡아 당겨지면서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송전선(L)이 바람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흔들리더라도 이를 상부캡(31)과 하부캡(32) 및 본체(33)가 충분히 수용할 수 있게 되므로 송전선이 단전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봄이나 가을에는 송전선(L)의 길이변화가 크게 없지만, 여름이나 겨울에는 송전선(L)의 길이변화(늘어나거나 줄게 됨)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송전선(L)이 늘어나 처짐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본체(33)의 제1단턱부(35a)와 송전선 고정블록(35)의 제2단턱부(35a) 사이에 배치된 탄성스프링(36)이 송전선 고정블록(35)을 본체(33)의 내측으로 밀어줌에 따라 늘어난 송전선(L)이 처지지 않도록 당기게 되고, 반대로 송전선(L)이 수축될 경우에는 송전선 고정블록(35) 사이에 배치된 탄성스프링(36)이 송전선 고정블록(35)을 본체(33) 밖으로 밀어줌에 따라 수축으로 인한 송전선(L)의 길이변화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송전선(L)이 바람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흔들리더라도 이를 상부캡(31)과 하부캡(32) 및 본체(33)가 충분히 수용할 수 있게 되므로 송전선이 단전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여름이나 겨울에 송전선(L)의 길이변화(늘어나거나 줄게 됨)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본체(33)의 내부에 수용된 탄성스프링(36)을 통해 충분히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송전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철탑 10: 철탑금구 20: 현수애자
21: 소켓크레비스 30: 비틀림 및 장력조절기
31: 상부캡 31a: 고정돌기 31b: 제1나선공
32: 하부캡 32a: 제1가이드봉 32b: 제2나선공
33: 본체 33a: 제1단턱부 33b: 제2가이드봉
34: 스페이서 35: 송전선고정블록 35a: 제2단턱부
36: 스프링 L: 송전선
21: 소켓크레비스 30: 비틀림 및 장력조절기
31: 상부캡 31a: 고정돌기 31b: 제1나선공
32: 하부캡 32a: 제1가이드봉 32b: 제2나선공
33: 본체 33a: 제1단턱부 33b: 제2가이드봉
34: 스페이서 35: 송전선고정블록 35a: 제2단턱부
36: 스프링 L: 송전선
Claims (1)
- 송전선로 철탑(1)에 고정되는 철탑금구(10)와;
철탑금구(10)에 설치되며 하면에 소켓크레비스(21)가 구비된 현수애자(20)와;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되되, 상면에는 소켓크레비스(21)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고정돌기(31a)가 형성되고, 둘레에는 시계방향으로 내부와 연통되게 제1나선공(31b)이 형성된 통형상의 상부캡(31),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되되, 상면에는 제1나선공(31b)을 따라 이동하는‘T’자 형상의 제1가이드봉(32a)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반시계방향으로 내부와 연통되게 제2나선공(32b)이 형성된 통형상의 하부캡(32),
내부가 관통되되, 관통된 양단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된 제1단턱부(33a)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2나선공(31b)을 따라 이동하는‘T’자 형상의 제2가이드봉(33b)이 형성된 본체(33),
제2가이드봉(33b)의 둘레에 설치되어 하부캡(32)과 제2가이드봉(33b)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시키는 스페이서(34),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단턱부(35a)를 갖추고서, 본체(33)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측으로 인입된 송전선(L)을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하는 한 쌍의 송전선 고정블록(35),
고정블록(35) 사이 및 제1단턱부(33a)와 제2단턱부(35a)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압축 및 복원을 반복하는 탄성스프링(36)으로 구성된 비틀림 및 장력조절기(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7031A KR101746372B1 (ko) | 2016-11-24 | 2016-11-24 |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7031A KR101746372B1 (ko) | 2016-11-24 | 2016-11-24 |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6372B1 true KR101746372B1 (ko) | 2017-06-14 |
Family
ID=5921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7031A KR101746372B1 (ko) | 2016-11-24 | 2016-11-24 |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6372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4667B1 (ko) | 2019-07-10 | 2019-09-25 | 주식회사 와이앤제이이앤씨 |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
KR102216985B1 (ko) | 2020-07-15 | 2021-02-18 | 주식회사 동경기술단 | 안전성이 향상된 가공송전용 지지철탑 |
KR102216983B1 (ko) | 2020-07-13 | 2021-02-18 | 주식회사 동경기술단 | 가공송전선 설치를 위한 철탑 고정기구 |
KR102243951B1 (ko) | 2020-09-23 | 2021-04-26 | (주)원엔지니어링 | 가공송전선 안전거리 이격가능 지지기구 |
KR102243946B1 (ko) | 2020-09-17 | 2021-04-26 | (주)원엔지니어링 | 가공송전선 설치가 가능한 철탑 고정기구 |
KR102243948B1 (ko) | 2020-09-18 | 2021-04-26 | (주)원엔지니어링 | 가공송전라인 충돌방지형 지지기구 |
KR102565028B1 (ko) * | 2022-12-22 | 2023-08-08 | (주)이림엔지니어링 | 송전선로와 철탑의 연결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9934B1 (ko) | 2004-12-15 | 2005-10-11 |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 애자 |
KR100904199B1 (ko) * | 2009-03-10 | 2009-06-22 | 남도종합기술(주) |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 |
-
2016
- 2016-11-24 KR KR1020160157031A patent/KR1017463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9934B1 (ko) | 2004-12-15 | 2005-10-11 |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 애자 |
KR100904199B1 (ko) * | 2009-03-10 | 2009-06-22 | 남도종합기술(주) |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4667B1 (ko) | 2019-07-10 | 2019-09-25 | 주식회사 와이앤제이이앤씨 |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
KR102216983B1 (ko) | 2020-07-13 | 2021-02-18 | 주식회사 동경기술단 | 가공송전선 설치를 위한 철탑 고정기구 |
KR102216985B1 (ko) | 2020-07-15 | 2021-02-18 | 주식회사 동경기술단 | 안전성이 향상된 가공송전용 지지철탑 |
KR102243946B1 (ko) | 2020-09-17 | 2021-04-26 | (주)원엔지니어링 | 가공송전선 설치가 가능한 철탑 고정기구 |
KR102243948B1 (ko) | 2020-09-18 | 2021-04-26 | (주)원엔지니어링 | 가공송전라인 충돌방지형 지지기구 |
KR102243951B1 (ko) | 2020-09-23 | 2021-04-26 | (주)원엔지니어링 | 가공송전선 안전거리 이격가능 지지기구 |
KR102565028B1 (ko) * | 2022-12-22 | 2023-08-08 | (주)이림엔지니어링 | 송전선로와 철탑의 연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6372B1 (ko) |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 | |
CN107706871B (zh) | 架空配电线路 | |
KR100927116B1 (ko) |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 | |
KR100904199B1 (ko) |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 | |
KR100519934B1 (ko) |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 애자 | |
KR100899184B1 (ko) | 송전가공 선로형 상간 스페이서 | |
KR101869712B1 (ko) | 특고압 가공 배전선로의 고정프레임 | |
KR100783808B1 (ko) | 송·배전용 철탑의 현수 애자 | |
KR100899771B1 (ko) |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 |
KR100514720B1 (ko) |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 |
US3002043A (en) | Electrical transmission system | |
KR100880880B1 (ko) |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 |
US8618414B2 (en) | Holding device for an overhead line and overhead line configuration | |
KR100904964B1 (ko) | 송배전 전선의 처짐 방지 시설물 | |
KR101082963B1 (ko) | 특고압 송전선의 정렬상태유지를 위한 절연형 간격 유지대 | |
CN203481707U (zh) | 上桩头引流线固定杆 | |
KR101955308B1 (ko) |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 | |
KR100873519B1 (ko) | 송배전용 케이블을 지지하는 라인포스트애자의 행거 | |
KR20210031118A (ko) | 가공송전선로용 이도조정장치 | |
US2149875A (en) | Cable support | |
KR102240498B1 (ko) |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내진형 전신주 | |
CN220440346U (zh) | 一种电力电缆防舞动装置 | |
KR102257774B1 (ko) | 송전선로 피뢰기의 설치구조 | |
CN110718879B (zh) | 一种高压架空线及其下垂自动修正设备 | |
KR101746373B1 (ko) | 송전탑 설치용 다기능 가공송전선로 연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