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435A -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435A
KR20210135435A KR1020210144548A KR20210144548A KR20210135435A KR 20210135435 A KR20210135435 A KR 20210135435A KR 1020210144548 A KR1020210144548 A KR 1020210144548A KR 20210144548 A KR20210144548 A KR 20210144548A KR 20210135435 A KR20210135435 A KR 20210135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wire
unit
couple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3251B1 (ko
Inventor
이정규
김성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44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25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02G7/056Dead-end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활선 상태의 전선과 점퍼선이 결합되는 클램프부와, 클램프부에 장착되는 인스톨부와, 인스톨부에 결합되어 클램프부를 이동시키는 툴부를 포함하여, 활선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점퍼선을 전선에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INSTALLATION DEVICE OF JUMPER WIRE FOR LIVE LINE}
본 발명은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활선상태에서 전선에 장착된 클램프가 점퍼선과 연결되도록 하는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서지역의 전력공급설비의 특성 중 하나가 교량이 없는 육지-도서간 또는 도서-도서간의 거리가 멀 경우 철탑을 건설하여 22.9kV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따라서 철탑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 복구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정전으로 인한 주민불편이 불가피하다. 이러한 고장을 예방하기 위해 전문화된 인력을 활용하여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를 시행하고 있다.
종래의 배전철탑의 접속개소의 접촉불량 발생시 열화에 따른 고장을 예방하기 위해 전기 공급을 중단한 정전상태에서 불량개소에 대한 보수작업을 시행 하므로, 전기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46204호(2009.05.11 공개, 발명의 명칭 : 점퍼선 고정기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활선 상태에서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는: 활선 상태의 전선과 점퍼선이 결합되는 클램프부; 상기 클램프부에 장착되는 인스톨부; 및 상기 인스톨부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부를 이동시키는 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부와, 상기 점퍼선이 삽입되는 점퍼선삽입부가 형성되고,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클램프몸체부; 한 쌍의 상기 클램프몸체부를 관통하는 클램프볼트부; 및 상기 클램프볼트부에 결합되는 클램프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스톨부는: 상기 클램프부의 외측에 탈부착되는 조립부; 상기 조립부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툴부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부는: 상기 클램프부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단부에서 구부러져 상기 클램프부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부는: 상기 커버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관통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툴부가 결합되며, 상기 툴부에서 제공되는 가압력을 상기 커버부에 전달하는 밀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조립부에 결합되는 작동너트부; 상기 작동너트부에 나사 결합되는 작동막대부; 및 상기 작동막대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관통되도록 작동홀부가 형성되는 작동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작동막대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작동결합부를 탄성 지지하는 작동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작동부를 관통하는 연결막대부; 상기 연결막대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막대부를 지지하는 연결너트부; 및 상기 연결막대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툴부와 맞물리도록 연결홀부가 형성되는 연결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는 활선 상태에서 전선과 접속 불량인 점퍼선을 전선에 추가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는 활선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도서지역에 지속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는 작업자가 클램프부와 직접 접촉되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에서 클램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에서 인스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에서 인스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에서 한 쌍의 클램프몸체부가 이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클램프몸체부에 인스톨부를 조립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클램프부에 전선을 삽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클램프부에 점퍼선을 삽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클램프몸체부의 간격을 줄이면서 인스톨부를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1)는 클램프부(10)와, 인스톨부(20)와, 툴부(30)를 포함한다.
클램프부(10)에는 활선 상태의 전선(100)과 점퍼선(200)이 결합된다. 전선(100)은 철탑에 지지될 수 있고, 점퍼선(200)은 전선(10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점퍼선(200)과 전선(100)간의 결합부위에 열화가 발생하면, 전선(100)의 고장을 유발하므로, 클램프부(10)를 추가로 전선(100)에 장착하고, 클램프부(10)에 점퍼선(200) 일부를 연결하여 전선(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인스톨부(20)는 클램프부(10)에 장착된다. 인스톨부(20)는 클램프부(10)에 탈부착 가능한 형상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스톨부(20)는 클램프부(10)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자체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툴부(30)는 인스톨부(20)에 결합되어 클램프부(10)를 이동시킨다. 즉, 작업자는 툴부(30)를 사용하여 클램프부(10)를 이동시키므로, 활선 상태인 전선(100)에서 작업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에서 클램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부(10)는 클램프몸체부(11)와, 클램프볼트부(12)와, 클램프너트부(13)를 포함한다.
클램프몸체부(11)는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마주보는 면의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전선(100)이 삽입 가능한 전선삽입부(111)가 형성되며, 마주보는 면의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점퍼선(200)이 삽입 가능한 점퍼선삽입부(112)가 형성된다. 각각의 클램프몸체부(11)에는 클램프볼트부(12)가 관통되도록 클램프홀부(113)가 형성된다. 일 예로, 클램프홀부(113)는 클램프몸체부(11)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한 쌍의 클램프몸체부(11)가 마주칠 때 클램프홀부(113)는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클램프볼트부(12)는 클램프홀부(113)를 통해 한 쌍의 클램프몸체부(11)를 관통하고, 클램프너트부(13)와 나사 결합되어 한 쌍의 클램프몸체부(11)를 고정시킨다. 일 예로, 클램프홀부(113)는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각 클램프홀부(113)를 통해 클램프볼트부(12)가 삽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에서 인스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에서 인스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톨부(20)는 조립부(40)와, 작동부(50)와, 연결부(60)를 포함한다.
조립부(40)는 클램프부(10)의 외측에 탈부착되고, 작동부(50)는 조립부(40)에 결합되어 이동되며, 연결부(60)는 작동부(50)의 단부에 결합된다. 연결부(60)는 툴부(30)와 결합된다. 따라서, 툴부(30)가 연결부(60)에 결합되면, 툴부(30)는 클램프부(1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툴부(30)는 절연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40)는 커버부(41)와 걸림부(42)를 포함한다. 커버부(41)는 클램프부(1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부(41)는 클램프볼트부(12)의 머리부분을 감싸는 볼트커버(411)와, 볼트커버(411)의 상측면과 하측면에서 각각 연장되어 클램프몸체부(11)의 외측면을 감싸는 몸체커버(41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42)는 커버부(41)의 단부에서 구부러져 클램프부(10)에 걸림 고정된다. 일 예로, 걸림부(42)는 몸체커버(412)의 단부에서 각각 클램프몸체부(11)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클램프몸체부(11)에 걸쳐질 수 있다. 커버부(41)와 걸림부(42)는 변형 가능한 형상을 하여, 외력에 의해 클램프부(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40)는 밀판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판부(43)는 커버부(41)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관통홀부(431)가 형성된다. 툴부(30)는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막대 형상을 하며, 단부 단면이 'U'자 형상을 하여 관통홀부(431)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툴부(30)의 단부가 밀판부(43)에 결합된 상태에서 툴부(30)에 힘을 가하여 밀판부(43)를 밀어내면, 밀판부(43)와 연결된 커버부(41) 및 걸림부(42)가 클램프부(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50)는 작동너트부(51)와, 작동막대부(52)와, 작동결합부(53)를 포함한다. 작동너트부(51)는 조립부(40)에 결합되고, 작동막대부(52)는 작동너트부(51)를 관통한다. 작동막대부(5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작동너트부(51)와 나사 결합된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작동너트부(51)는 볼트커버(411)의 외측에 용접될 수 있고, 작동너트부(51)에 나사 결합되는 작동막대부(52)는 회전 방향에 따라 단부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작동결합부(53)는 작동막대부(52)의 단부에 형성되고, 연결부(60)가 관통되도록 작동홀부(531)가 형성된다. 일 예로, 작동결합부(53)는 작동홀부(531)가 중앙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작동막대부(52)의 폭보다 작동결합부(53)의 폭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50)는 작동탄성부(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동탄성부(54)는 작동막대부(52)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작동결합부(53)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작동탄성부(54)는 작동막대부(52)를 감싸는 코일스프링 형상을 하고, 일단부가 작동너트부(51)에 안착되어 작동결합부(53)를 지지할 수 있다. 작동탄성부(54)가 작동결합부(53)를 지지함으로써, 설정된 외력 내에서 다른 환경요인에 의한 작동막대부(52)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60)는 연결막대부(61)와, 연결너트부(62)와, 연결체결부(63)를 포함한다. 연결막대부(61)는 작동부(50)를 관통한다. 일 예로, 연결막대부(61)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작동홀부(531)를 관통할 수 있다. 연결너트부(62)는 연결막대부(61)에 나사 결합되어 연결막대부(61)를 지지한다. 일 예로, 작동결합부(53)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연결너트부(62)가 작동결합부(53)에 압박되어 연결막대부(6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연결막대부(61)의 일단부에 연결너트부(62)가 결합되고, 연결막대부(61)의 타단부에 연결체결부(63)가 형성된다. 연결체결부(63)는 툴부(30)와 맞물리도록 연결홀부(631)가 형성된다. 일 예로, 연결체결부(63)는 툴부(30)의 단부 형상과 상응하도록 단면이 'U'자 형상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에서 한 쌍의 클램프몸체부가 이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클램프몸체부에 인스톨부를 조립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서 클램프부에 전선을 삽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클램프부에 점퍼선을 삽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서 클램프몸체부의 간격을 줄이면서 인스톨부를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활선 상태의 전선(100)에 점퍼선(200)을 연결하는 작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 쌍의 클램프몸체부(11)가 클램프볼트부(12)와 클램프너트부(13)에 의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이때, 클램프볼트부(12)의 조임력을 느슨하게 하여 한 쌍의 클램프몸체부(11)는 전선(100)의 통과가 원활하도록 이격된다(도 5 참조).
한 쌍의 클램프몸체부(11)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조립부(40)를 클램프몸체부(11)에 결합한다. 즉, 커버부(41)가 클램프몸체부(11)의 외측을 감싸도록 한 다음, 커버부(41)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42)가 클램프몸체부(11)의 단부에 걸리도록 한다(도 6 참조). 이때, 조립부(40)에는 작동부(50)가 결합되되, 작동부(50)에는 연결부(60)가 장착된다.
클램프몸체부(11)에 조립부(40)가 결합되면, 작업자는 툴부(30)를 연결부(60)에 결합시키고, 결합된 연결부(60)와 궁극적으로 연결된 클램프부(10)를 이동시켜 활선 상태인 전선부(100)를 삽입시킨다(도 7 참조). 즉, 작업자는 전선부(100)의 하방에 클램프부(10)를 위치시킨 후, 이격된 클램프몸체부(11)에 형성되는 전선삽입부(111)에 전선부(100)가 삽입되도록 클램프부(1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전선부(100)를 전선삽입부(111)에 삽입한 후, 작업자는 조작봉부(130)를 이용하여 전선부(100)에 연결되었으나 접속 불량이 발생한 점퍼선(200)의 일단부를 파지하여 점퍼선삽입부(112)에 삽입한다(도 8 참조).
클램프부(10)에 전선부(100)와 점퍼선(200)이 삽입되면, 클램프너트부(13)의 조임력을 증대시켜 한 쌍의 클램프몸체부(11)간의 간격을 줄여준다. 클램프너트부(13)의 조임력은 전선삽입부(111)와 점퍼선삽입부(112)에 각각 삽입된 전선부(100)와 점퍼선(200)이 일탈되지 않도록 클램프몸체부(11)들의 간격을 좁혀준다. 이때, 클램프너트부(13)를 회전시키더라도 클램프볼트부((12)의 머리부분은 볼트커버(411)에 걸려 회전되지 않는다.
클램프몸체부(11)간의 간격이 좁혀지면, 작업자는 연결부(60)에서 툴부(30)를 분리한 후, 툴부(30)로 밀판부(43)를 밀어 조립부(40)를 클램프부(10)에서 분리시킨다(도 9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1)는 활선 상태에서 전선(100)과 접속 불량인 점퍼선(200)을 전선(100)에 추가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1)는 활선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도서지역에 지속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1)는 작업자가 클램프부(10)와 직접 접촉되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클램프부 11 : 클램프몸체부
12 : 클램프볼트부 13 : 클램프너트부
20 : 인스톨부 30 : 툴부
40 : 조립부 41 : 커버부
42 : 걸림부 43 : 밀판부
50 : 작동부 51 : 작동너트부
52 : 작동막대부 53 : 작동결합부
54 : 작동탄성부 60 : 연결부
61 : 연결막대부 62 : 연결너트부
63 : 연결체결부 100 : 전선
200 : 점퍼선

Claims (4)

  1. 활선 상태의 전선과 점퍼선이 결합되는 클램프부;
    상기 클램프부에 장착되는 인스톨부; 및
    상기 인스톨부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부를 이동시키는 툴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부와, 상기 점퍼선이 삽입되는 점퍼선삽입부가 형성되고,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클램프몸체부;
    한 쌍의 상기 클램프몸체부를 관통하는 클램프볼트부; 및
    상기 클램프볼트부에 결합되는 클램프너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스톨부는
    상기 클램프부의 외측에 탈부착되는 조립부;
    상기 조립부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툴부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클램프부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단부에서 구부러져 상기 클램프부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 및
    상기 커버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관통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툴부가 결합되며, 상기 툴부에서 제공되는 가압력을 상기 커버부에 전달하는 밀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툴부는 파지 가능한 막대 형상을 하고, 단부 단면이 'U'자 형상을 하여 상기 관통홀부에 일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조립부에 결합되는 작동너트부;
    상기 작동너트부에 나사 결합되는 작동막대부; 및
    상기 작동막대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관통되도록 작동홀부가 형성되는 작동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작동막대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작동결합부를 탄성 지지하는 작동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작동부를 관통하는 연결막대부;
    상기 연결막대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막대부를 지지하는 연결너트부; 및
    상기 연결막대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툴부와 맞물리도록 연결홀부가 형성되는 연결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20210144548A 2014-10-20 2021-10-27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2333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548A KR102333251B1 (ko) 2014-10-20 2021-10-27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714A KR102326107B1 (ko) 2014-10-20 2014-10-20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20210144548A KR102333251B1 (ko) 2014-10-20 2021-10-27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714A Division KR102326107B1 (ko) 2014-10-20 2014-10-20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435A true KR20210135435A (ko) 2021-11-15
KR102333251B1 KR102333251B1 (ko) 2021-12-02

Family

ID=55915119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714A KR102326107B1 (ko) 2014-10-20 2014-10-20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20210144544A KR102333247B1 (ko) 2014-10-20 2021-10-27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20210144548A KR102333251B1 (ko) 2014-10-20 2021-10-27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20210144546A KR102333249B1 (ko) 2014-10-20 2021-10-27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20210144547A KR102333250B1 (ko) 2014-10-20 2021-10-27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20210144545A KR102333248B1 (ko) 2014-10-20 2021-10-27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20210144543A KR102333246B1 (ko) 2014-10-20 2021-10-27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714A KR102326107B1 (ko) 2014-10-20 2014-10-20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20210144544A KR102333247B1 (ko) 2014-10-20 2021-10-27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546A KR102333249B1 (ko) 2014-10-20 2021-10-27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20210144547A KR102333250B1 (ko) 2014-10-20 2021-10-27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20210144545A KR102333248B1 (ko) 2014-10-20 2021-10-27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20210144543A KR102333246B1 (ko) 2014-10-20 2021-10-27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3261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86182B (zh) * 2017-03-31 2018-06-29 中科院合肥技术创新工程院 用于带电接火操作的快速自动安装工具
KR102281030B1 (ko) * 2020-08-27 2021-07-23 대원전기 주식회사 트랩형 활선 단말 절연캡 및 이를 이용한 점퍼선의 간접활선 절연공법
KR102327599B1 (ko) * 2021-03-17 2021-11-17 대원전기 주식회사 트랩형 활선 단말 절연캡 및 이를 이용한 점퍼선의 간접활선 절연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788B1 (ko) * 2008-04-15 2008-07-11 (주)천도건축사사무소 송전선로의 점퍼지지대 겸용 아킹혼장치
JP2009165241A (ja) * 2007-12-28 2009-07-23 Daiden Co Ltd 接続クランプ用カバー、接続クランプ、バイパス用電線装置及びバイパス法
JP2014045597A (ja) * 2012-08-28 2014-03-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分岐鉄塔の架空線工事方法及びこれに適した仮設ジャンパー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5241A (ja) * 2007-12-28 2009-07-23 Daiden Co Ltd 接続クランプ用カバー、接続クランプ、バイパス用電線装置及びバイパス法
KR100845788B1 (ko) * 2008-04-15 2008-07-11 (주)천도건축사사무소 송전선로의 점퍼지지대 겸용 아킹혼장치
JP2014045597A (ja) * 2012-08-28 2014-03-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分岐鉄塔の架空線工事方法及びこれに適した仮設ジャンパ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432A (ko) 2021-11-15
KR20160046156A (ko) 2016-04-28
KR102333249B1 (ko) 2021-12-02
KR20210131981A (ko) 2021-11-03
KR20210135434A (ko) 2021-11-15
KR20210131982A (ko) 2021-11-03
KR102333248B1 (ko) 2021-12-02
KR102333246B1 (ko) 2021-12-02
KR20210135433A (ko) 2021-11-15
KR102333251B1 (ko) 2021-12-02
KR102326107B1 (ko) 2021-11-16
KR102333247B1 (ko) 2021-12-02
KR102333250B1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251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CN110071406B (zh) 配电网带电自动接线工具组及机器人
KR101228866B1 (ko) 초고압 변전소용 피뢰기 단자 결합장치
CN102611060A (zh) 一种导线夹持装置
KR101087740B1 (ko) 원터치형 접지금구용 클램프
CN102737792B (zh) 一种多功能组合绝缘基座
CN104967027A (zh) 一种令克绝缘隔板
KR102558374B1 (ko)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CN102820629A (zh) 带电更换引流线并沟线夹的方法
KR200472209Y1 (ko)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
CN204045535U (zh) 一种已损坏跌落式熔断器的替换装置
KR20190000956U (ko) 클램프와 절연애자 체결기구
KR102243314B1 (ko) 케이블 고정장치
CN203445075U (zh) 一种令克绝缘隔板
KR101230255B1 (ko) 드롭퍼 클램프
CN206020766U (zh) 一种输电线路塔用opgw绝缘引下紧固件
CN103302629A (zh) Pt保险拆装器
CN203357386U (zh) Pt保险拆装器
CN104300424B (zh) 一种绝缘子串架设杆塔的横担卡具
KR102166860B1 (ko) 가공 송전 선로용 압축인류 클램프
CN205429213U (zh) 一种架空线路带电引线装置
KR20230085476A (ko) 송전선로용 이도 조정장치
KR20120000978U (ko) 점퍼 리드선 장치
KR101113282B1 (ko) 수직설치물의 지지를 위한 지선 또는 전선을 고정하는 인장 클램프 조립체 및 상기 인장클램프 조립체를 이용한 지선 설치 방법
KR100965777B1 (ko) 전선 케이블 연결용 경완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