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672B1 -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 - Google Patents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672B1
KR100908672B1 KR1020090030847A KR20090030847A KR100908672B1 KR 100908672 B1 KR100908672 B1 KR 100908672B1 KR 1020090030847 A KR1020090030847 A KR 1020090030847A KR 20090030847 A KR20090030847 A KR 20090030847A KR 100908672 B1 KR100908672 B1 KR 100908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underground
fixture
longitudinal direction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대영
Original Assignee
오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대영 filed Critical 오대영
Priority to KR1020090030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소정간격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안내홈(10-1)과, 안내홈(10-1)과 연통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공(10-2)과, 둘레면의 양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맨홀(1)의 내부로 설치된 이음관(3,4)의 플랜지(3-1,4-1)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설치고정되는 플랜지(10-3,10-4)를 갖춘,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인 절연재질의 보호관(10)과; 길이방향을 따라 외향으로 돌출되어 안내홈(10-1)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21-1)와, 길이방향의 전·후측에 각각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체결부(21-2)를 갖추고서, 지중전선(L1,L2)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 절연재질의 바디부(21)와; 바디부(21)에 내설되어 지중전선(L1,L2)의 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재질의 이음금구(22)와, 일측 둘레면에 나사부(23-1)를 갖추고서, 바디부(21)의 가이드부(2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안내공(10-2)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절연재질의 손잡이부(23)와, 지중전선(L1,L2)의 외면을 감싸면서 지중전선(L1,L2)을 압착고정하는 고정구(24-1)와, 고정구(24-1)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고정구(24-1)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체결부(21-2)에 나사결합되어 고정구(24-1)를 체결부(21-2)에 고정하는 결합구(24-2)로 이루어진 체결금구(24)를 갖춘 연결구뭉치(20) 포함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평소에 유지보수를 위하여 맨홀커버를 개방하였을 때에 손잡이부의 위치이동을 보고 현재 보호관의 내부에 배선된 지중전선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하게 대응하여 처리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작업자가 손잡이부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보호관의 중앙에 위치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지중전선이 인장력에 의해 단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지중전선이 내부에서 상호 배선 연결되는 연결구뭉치를 횡 방향의 지진 발생시 수평이동되도록 하여 상호 배선 연결된 지중전선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나아가 내진기능을 강화시켜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중전선을 각각 개별적으로 배선 연결시켜 주어 다른 지중전선들과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어 지중전선 간의 전기적인 접촉에 의한 합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90030847
맨홀. 보호관. 안내홈. 연결구뭉치. 바디부. 손잡이부. 체결금구.

Description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Underground Electroic Line Of Pipe}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어 내부로 지중전선을 용이하게 상호 연결시켜 줌과 동시에 외부 간섭으로부터 내부에 실장된 지중전선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신주에 전력선을 설치하거나 또는 지중에 매설하게 되는데, 지상 및 공중가설 방식은 시공성이나 소요되는 공사비 및 공사기간 등을 고려하여 볼 때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보다는 훨씬 경제적이면서도 공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도심지와 같이 건물이 매우 인접하게 밀집된 곳에서는 그 설치가 상당히 곤란한 단점이 있어 도심지나 고압의 전류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된다.
종래 우리나라의 가공배전선에 지중화작업은 1973년 효자동에서 광화문까지 복잡하게 시설되어 있는 배전선을 전선정비측면에서 간선도로변의 전주를 뒷골목에 이설, 저압케이블을 사용 주상변압기로부터 인근 수용가로 공급하는 것을 시초로, 그 이후에도 다음과 같이 계획되어 근래에까지 이어오고 있다.
상기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의 경우, 대부분의 전선은 단순 배선되어 있어 지진 발생시 맨홀 내부에 배선된 지중전선은 횡파에 의해 좌우로 심하게 흔들림과 동시에 지중전선 상호 간에 강한 인장력이 발생되어 지중전선의 이음부가 단락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전선과 전선을 연결시켜 줄 때에 전선의 피복선을 탈피시킨 후에 상호 꼬아서 연결하고, 연결된 부분의 외면에는 절연테이프를 감아 보호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방식은 전선의 지름이 작은 경우에는 가능하지만 전선의 지름이 굵은 경우에는 설치가 힘든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지진 발생 또는 배선 연결작업중 지중전선을 여유분 없이 너무 과하게 잡아당겨 연결한 경우 상호 이음된 지중전선 중 어느 일방으로 인장력이 발생하게 되면 이음부가 쉽게 단락되는 등 인장력과 외부간섭으로부터 이음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해 줄 수 있는 수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아울러, 작업자가 일정주기로 지중전선의 배선상태를 확인할 때에 지중전선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현재 지중전선의 연결상태는 확인이 불가능하고, 지중전선을 보호하는 관의 외면상태만 확인하게 됨으로 지중전선의 현 상태를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연구 역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선결속시 용이하게 배선처리 할 수 있고, 내부에 개별적으로 지중전선을 연결하여 외부 간섭으로부터 지중전선을 보호하며, 위치이동되는 손잡이부를 통해 작업자가 현재의 지중전선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된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소정간격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안내홈과, 안내홈과 연통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공과, 둘레면의 양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맨홀의 내부로 설치된 이음관의 플랜지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설치고정되는 플랜지를 갖춘,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인 절연재질의 보호관과;
길이방향을 따라 외향으로 돌출되어 안내홈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길이방향의 전·후측에 각각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체결부를 갖추고서, 지중전선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 절연재질의 바디부와; 바디부에 내설되어 지중전선의 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재질의 이음금구와, 일측 둘레면에 나사부를 갖추고서, 바디부의 가이드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안내공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절연재질의 손잡이부와, 지중전선의 외면을 감싸면서 지중전선을 압착고정하는 고정구와, 고정구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고정구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체결부에 나사결합되어 고정구를 체결부에 고정하는 결합구로 이루어진 체결금구를 갖춘 연결구뭉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작업자가 평소에 유지보수를 위하여 맨홀커버를 개방하였을 때에 손잡이부의 위치이동을 보고 현재 보호관의 내부에 배선된 지중전선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하게 대응하여 처리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작업자가 손잡이부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보호관의 중앙에 위치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지중전선이 인장력에 의해 단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지중전선이 내부에서 상호 배선 연결되는 연결구뭉치를 횡 방향의 지진 발생시 수평이동되도록 하여 상호 배선 연결된 지중전선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나아가 내진기능을 강화시켜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중전선을 각각 개별적으로 배선 연결시켜 주어 다른 지중전선들과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어 지중전선 간의 전기적인 접촉에 의한 합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의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은,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소정간격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안내홈(10-1)과, 안내홈(10-1)과 연통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공(10-2)과, 둘레면의 양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맨홀(1)의 내부로 설치된 이음관(3,4)의 플랜지(3-1,4-1)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설치고정되는 플랜지(10-3,10-4)를 갖춘,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인 절연재질의 보호관(10)과; 길이방향을 따라 외향으로 돌출되어 안내홈(10-1)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21-1)와, 길이방향의 전·후측에 각각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체결부(21-2)를 갖추고서, 지중전선(L1,L2)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 절연재질의 바디부(21)와; 바디부(21)에 내설되어 지중전선(L1,L2)의 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재질의 이음금구(22)와, 일측 둘레면에 나사부(23-1)를 갖추고서, 바디부(21)의 가이드부(2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안내공(10-2)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절연재질의 손잡이부(23)와, 지중전선(L1,L2)의 외면을 감싸면서 지중전선(L1,L2)을 압착고정하는 고정구(24-1)와, 고정구(24-1)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고정구(24-1)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체결부(21-2)에 나사결합되어 고정구(24-1)를 체결부(21-2)에 고정하는 결합구(24-2)로 이루어진 체결금구(24)를 갖춘 연결구뭉치(20)로 이루어지며, 이를 도 1 내지 도 2c와 같이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맨홀(1)은, 콘크리트재질에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상측으로 맨홀커버(2)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측벽(즉, 둘레면)에는 내부로 진입되는 지중전선(L1,L2)의 피복을 보호함과 동시에 배선할 수 있도록 일단에 플랜지(3-1,4-1)가 형성된 이음관(3,4)이 설치된다.
상기 맨홀(1)은 지중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작업자가 맨홀(1) 내부에 상호 연결된 이음관(3,4)과 보호관(10) 및 내부에 배선된 지중전선(L1,L2)의 연결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유지/보수용으로 이용된다.
상기 맨홀(1)에 설치된 이음관(3,4)과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호 연통되게 고정설치되는 보호관(10)은, 내부가 관통된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안내홈(10-1)과, 둘레면에 안내홈(10-1)과 연통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안내공(10-2)과, 둘레면의 양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플랜지(10-3,10-4)로 이루어지며, 이를 도 2a 내지 도 2b와 같이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보호관(10)은, 맨홀(1)의 내부로 설치된 이음관(3,4)의 플랜지(3-1,4-1)에 보호관(10)의 플랜지(10-3,10-4)가 상호 연접되고, 각 플랜지(3-1,4-1,10-3,10-4)에 형성된 설치공(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으로 체결수단 즉, 통상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상호 연결시켜 주었다.
또한, 상기 이음관(3,4)과 보호관(10)은 침투수 및 지하수와 같은 외부 간섭으로부터 내부에 설치된 지중전선(L1,L2)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에 배선된 지중전선(L1,L2)에 누전이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절연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관(10)의 안내홈(10-1)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전선(L1,L2)를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상호 이음되도록 하는 연결구뭉치(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향으로 돌출되어 안내홈(10-1)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21-1)와, 길이방향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된 체결부(21-2)를 갖추고서, 지중전선(L1,L2)이 내부로 삽입되는 절연재질의 바디부(21)와; 바디부(21)에 내설되어 지중전선(L1,L2)의 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재질의 이음금구(22)와, 일측 둘레면에 나사부(23-1)를 갖추고서, 안내홈(10-1)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바디부(2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절연재질의 손잡이부(23)와, 지중전선(L1,L2)의 외면을 감싸면서 지중전선(L1,L2)을 압착고정하는 고정구(24-1)와, 고정구(24-1)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고정구(24-1)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체결부(21-2)에 나사결합되어 고정구(24-1)를 체결부(21-2)에 고정하는 결합구(24-2)로 이루어진 체결금구(24)로 구성되며, 이를 도 2a 내지 도 2b와 같이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바디부(21)는, 전체적인 형상이 정사면체이고, 내부 는 관통되어 있어 지중전선(L1,L2)이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외면에는 안내홈(10-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호형의 가이드부(21-1)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21)의 내부 중앙에는 내측으로 인입되는 지중전선(L1,L2)의 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켜 주는 이음금구(22)가 삽입되되, 이음금구(22)는 전기 전도율이 우수한 구리, 알루미늄 등의 도전체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인서트(Insert) 성형을 통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인서트(Insert) 성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바디부(21)의 양측에는 외주면에 나사탭을 갖추고서, 바디부(21)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며, 체결금구(24)와 상호 결합/체결되는 체결부(21-2)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부(21-1)에는 체결공(21-3)을 마련하여 손잡이부(23)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손잡이부(23)는, 외주면에 나사부(23-1)를 갖는 절연재질의 중실봉 또는 중공봉으로, 바디부(21)의 가이드부(21-1)가 안내홈(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보호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둘레면에 형성된 안내공(10-2)으로 삽입되어 바디부(21)의 체결공(21-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21)의 내부에 상호 이음된 지중전선(L1,L2)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 방향으로 바디부(21)가 수평이동되는 경우 바디부(2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23)를 통해 보호관(10)의 중간으로 지중전선(L1,L2)이 상호 이음된 바디부(21)를 이동되도록 하여 상호 체결된 보호관(10)과 이음관(3,4)을 분리시키지 않고도 용이하게 지중전선(L1,L2)을 원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아울러, 상기 일측 내주면이 지중전선(L1,L2)의 외면에 고정되고, 타측 내주면이 바디부(21)의 체결부(21-2)에 결합체결되는 체결금구(24)는, 지중전선(L1,L2)의 외면을 감싸면서 지중전선(L1,L2)을 압착고정하는 고정구(24-1)와, 고정구(24-1)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고정구(24-1)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체결부(21-2)에 나사결합되어 고정구(24-1)를 체결부(21-2)에 고정하는 결합구(24-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의 작동관계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관(10)의 안내홈(10-1)으로 내부에 이음금구(22)가 실장된 바디부(21)의 가이드부(21-1)를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시켜 주고, 상기 바디부(21)의 내측으로 지중전선(L1,L2)를 삽입하여 이음금구(22)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켜 주되, 지중전선(L1,L2)의 외면에는 고정구(24-1)를 압입고정하여 주고, 고정구(24-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결합구(24-2)를 바디부(21)의 체결부(21-2)와 상호 결합체결시켜 주며, 맨홀(1)의 내측에 수평하게 설치된 이음관(3,4)의 플랜지(3-1,3-2)로 보호관(10)의 플랜지(10-3,10-4)를 상호 연접시켜 준 상태에서 통상의 체결수단인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켜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평상시에는 지중전선(L1,L2)을 내부에 상호 이음시켜 주는 연결구뭉치(20)가 보호관(10)의 내부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하지만, 횡 방향으로의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연결구뭉치(20)의 내부에 상호 배선된 지중전선(L1,L2)은 좌우진동에 의해 어느 일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때 보호관(10)의 안내홈(10-1)에 삽입된 바디부(21)의 가이드부(21-1)는 좌우로 움직이는 지중전선(L1,L2)과 함께 보호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며, 또한 바디부(21)의 체결공(2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체결되는 손잡이부(23) 역시 안내공(10-2)을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평소에 유지보수를 위하여 맨홀(1)의 맨홀커버(2)를 개방하였을 때에 손잡이부(23) 위치이동을 보고 현재 보호관(10)의 내부에 배선된 지중전선(L1,L2)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하게 대응하여 처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작업자가 손잡이부(23)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보호관(10)의 중앙에 위치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지중전선(L1,L2)에 작용하고 있던 인장력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상호 연결된 지중전선(L1,L2)이 인장력에 의해 단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지중전선(L1,L2)이 내부에서 상호 배선 연결되는 연결구뭉치(20)를 횡 방향의 지진 발생시 수평이동되도록 하여 상호 배선 연결된 지중전선(L1,L2)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나아가 내진기능을 강화시켜 주었다.
또한, 지중전선(L1,L2)을 각각 개별적으로 배선 연결시켜 주어 다른 지중전선들과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어 지중전선 간의 전기적인 접촉에 의한 합선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의 설치상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의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의 작동관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맨홀 2: 맨홀커버 3. 4: 이음관
10: 보호관 10-1: 안내홈 10-2: 안내공
10-3. 10-4: 플랜지 20: 연결구뭉치 21: 바디부
21-1: 가이드부 21-2: 체결부 22: 이음금구
23: 손잡이부 24: 체결금구 24-1: 고정구
24-2: 결합구 L1. L2: 지중전선

Claims (1)

  1.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소정간격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안내홈(10-1)과, 안내홈(10-1)과 연통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공(10-2)과, 둘레면의 양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맨홀(1)의 내부로 설치된 이음관(3,4)의 플랜지(3-1,4-1)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설치고정되는 플랜지(10-3,10-4)를 갖춘,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인 절연재질의 보호관(10)과;
    길이방향을 따라 외향으로 돌출되어 안내홈(10-1)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21-1)와, 길이방향의 전·후측에 각각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체결부(21-2)를 갖추고서, 지중전선(L1,L2)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 절연재질의 바디부(21)와; 바디부(21)에 내설되어 지중전선(L1,L2)의 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재질의 이음금구(22)와, 일측 둘레면에 나사부(23-1)를 갖추고서, 바디부(21)의 가이드부(2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안내공(10-2)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절연재질의 손잡이부(23)와, 지중전선(L1,L2)의 외면을 감싸면서 지중전선(L1,L2)을 압착고정하는 고정구(24-1)와, 고정구(24-1)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고정구(24-1)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체결부(21-2)에 나사결합되어 고정구(24-1)를 체결부(21-2)에 고정하는 결합구(24-2)로 이루어진 체결금구(24)를 갖춘 연결구뭉치(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
KR1020090030847A 2009-04-09 2009-04-09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 KR100908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847A KR100908672B1 (ko) 2009-04-09 2009-04-09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847A KR100908672B1 (ko) 2009-04-09 2009-04-09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672B1 true KR100908672B1 (ko) 2009-07-21

Family

ID=4133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847A KR100908672B1 (ko) 2009-04-09 2009-04-09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6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469B1 (ko) 2009-09-01 2009-12-30 오대영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
KR20200009274A (ko) * 2018-07-18 2020-01-30 한국전력공사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221A (ko) * 2005-05-04 2006-11-08 (주)제일피앤피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배전함
KR100816866B1 (ko) 2008-01-16 2008-03-27 (합)동양엔지니어링 침수방지 및 절연형 지중전선 배전함
KR100880950B1 (ko) 2008-11-03 2009-02-04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전원제어 배전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221A (ko) * 2005-05-04 2006-11-08 (주)제일피앤피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배전함
KR100816866B1 (ko) 2008-01-16 2008-03-27 (합)동양엔지니어링 침수방지 및 절연형 지중전선 배전함
KR100880950B1 (ko) 2008-11-03 2009-02-04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전원제어 배전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469B1 (ko) 2009-09-01 2009-12-30 오대영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
KR20200009274A (ko) * 2018-07-18 2020-01-30 한국전력공사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
KR102651241B1 (ko) * 2018-07-18 2024-03-27 한국전력공사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263B1 (ko) 지중배전선의 인입출 배전안내형 접속함
CN108695658B (zh) 有保险丝的t型连接线束
KR100909098B1 (ko) 합선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 접속체
CA2775262C (en) Intersystem grounding bridge and system
KR102236030B1 (ko) 배전 전주용 접지시설
KR101408050B1 (ko) 송배전용 해저전력케이블 계장플랜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US6777616B2 (en) Bushing arrangement
KR20210032098A (ko) 건축용 방호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0908672B1 (ko)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
MX2010006811A (es) Metodo y aparato para poner a tierra y montar un conector de un polo de alto amperaje.
US20170141556A1 (en) Riser glove, enclosure glove and strain releasing connectors
US8299362B2 (en) Cable adapter and adapted system
KR100706785B1 (ko) 지중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KR10162614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KR20210030682A (ko) 전선방호용 커버장치
KR101759737B1 (ko)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101217847B1 (ko) 지중 송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0759291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JPH11150838A (ja) ビル等の建築物用幹線ユニット・ケーブル
KR101178797B1 (ko) 방수용 전선 접속 커넥터
KR200219438Y1 (ko) 접지장치부 입상케이블 보호관
KR20190142557A (ko) 직선 접속재용 수분 침투 방지 장치
KR101132388B1 (ko) 지중배전 케이블의 절연형 접속커넥터
KR200494247Y1 (ko)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US10665971B2 (en) Cable connector and cable ter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