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241B1 -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 - Google Patents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241B1
KR102651241B1 KR1020180083428A KR20180083428A KR102651241B1 KR 102651241 B1 KR102651241 B1 KR 102651241B1 KR 1020180083428 A KR1020180083428 A KR 1020180083428A KR 20180083428 A KR20180083428 A KR 20180083428A KR 102651241 B1 KR102651241 B1 KR 102651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part
conduct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274A (ko
Inventor
박현민
김상권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83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24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일측 단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제1 접속부와, 본체부의 타측 단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제2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CONNECTION EQUIPMENT FOR POWER BUNDLED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양측에 각각 다수 개의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가 구비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도체 수를 가지는 두 개의 다도체 송전선로의 연결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수요처로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 송전용 철탑에 송전선로를 가설하여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송전선로의 송전선 도체 수는 송전선로의 용량에 따라 단도체, 2도체, 4도체, 6도체로 구성되며, 근래에는 전력수요의 증대로 인해 대용량의 전력을 송전할 수 있는 2도체 이상의 다도체 송전선로가 많이 가설되고 있다.
국내 송전선로 중 765kV 송전선로는 6도체로, 345kV 송전선로는 2도체 또는 4도체로, 154kV 송전선로는 2도체 또는 단도체로 운영되며, 다도체 송전선로는 변전소부터 변전소까지 동일한 도체 수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산사태, 태풍 등으로 인하여 철탑이 도괴되는 경우, 신속한 전력공급을 위하여 신속한 임시선로를 구성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고장 송전선로와 동등 이상의 용량이 증대된 송전선을 사용하여 단도체 또는 2도체로 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 신재생 에너지 확대정책의 일환으로 신재생 발전 송전선로를 기존 전력계통 송전망에 직접 연결할 수 있게 되었고, 신재생 발전 송전선로의 건설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단도체 또는 2도체로 선로를 구성하는 경우, 기존 송전선로의 도체 수와 다를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도체 수를 가지는 두 개의 다도체 송전선로의 연결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도체 수가 다른 송전선로(20,30)를 연결하는 경우, 내장애자련 점퍼선에서 패러렐 클램프(10)를 다수 개 사용하여 연결하였다.
패러렐 클램프(10)는 하부 부재(11)와 상부 부재(12)에 의해 두 개의 도체 연결 홀(H1,H2)이 형성되고, 볼트(13)와 너트(14)를 이용하여 도체 연결 홀(H1,H2)에 삽입되는 송전선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와 같이 패러렐 클램프(10)를 사용하는 경우, 길이가 짧은 내장애자련 점퍼선에서는 송전선로 도체 수와 동일하거나 더 많은 패러렐 클램프(10)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복잡해지고, 시공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시공 후 패러렐 클램프(10)에 과열이 발생하거나, 볼트 풀림으로 전선이 탈락되거나, 전선의 손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3235호(2006.12.04 등록, 고안의 명칭: 다도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양측에 각각 다수 개의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가 구비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도체 수를 가지는 두 개의 다도체 송전선로의 연결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일측 단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제1 접속부와, 본체부의 타측 단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제2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는 다도체 송전선로를 이루는 송전선들이 동시에 접속될 수 있도록, 각각 여섯 개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는 각각 중심부를 기준으로 직선거리 간격이 내장철탑의 내장애자련 점퍼선의 도체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는 송전선로의 접속 단자가 결합될 수 있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에는 송전선로의 접속 단자를 결합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다수 개의 볼트 홀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2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부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양측에 각각 다수 개의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가 구비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도체 수를 가지는 두 개의 다도체 송전선로의 연결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패러렐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패러렐 클램프를 이용한 송전선로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에 적용된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에 적용된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를 이용한 다도체 송전선로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에 적용된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에 적용된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를 이용한 다도체 송전선로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도체 수를 가지는 두 개의 송전선로의 연결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본체부(100)의 일측 단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제1 접속부(200)와, 본체부(100)의 타측 단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제2 접속부(3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알루미늄(KS D 2315) 재질로 이루어지며, 본체부(100)의 일측 단부 부근에는 다수 개의 제1 접속부(200)가 구비되고, 본체부(100)의 타측 단부 부근에는 다수 개의 제2 접속부(30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는 내장철탑의 내장애자련 점퍼선에서 두 개의 송전선로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제1 접속부(200) 및 제2 접속부(300)의 직선거리 간격(L)이 내장철탑의 내장애자련 점퍼선의 도체 간격인 400mm가 되도록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제1 접속부(200) 및 제2 접속부(300)가 내장철탑의 내장애자련 점퍼선 수와 동일하게 각각 여섯 개씩 배치된다. 또한, 본체부(100)도 반경(R)이 내장철탑의 내장애자련 점퍼선의 도체 간격인 400mm가 되도록 형성된다.
제1 접속부(200) 및 제2 접속부(300)는 두께가 얇은 직방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알루미늄 재질(KS D 2315)로 이루어지며, 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접속부(200) 및 제2 접속부(300)는 송전선로(400,500)의 접속 단자(410,510)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평평한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접속부(200) 및 제2 접속부(300)에는 송전선로(400,500)의 접속 단자(410,510)를 결합하기 위한 볼트(B)가 삽입되는 다수 개의 볼트 홀(210,310)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2열로 형성된다.
제1 접속부(200) 및 제2 접속부(300)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네 개의 볼트 홀(210,310)이 2열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열은 내장철탑의 내장애자련 점퍼선의 접속 단자(볼트 홀이 2열로 배열됨)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배열이다.
이 경우, 볼트 홀(210,310)의 반경(S1)은 12mm로 형성되고, 볼트 홀(210,310) 사이의 간격(S2)은 내장철탑의 내장애자련 점퍼선의 접속 단자 연결 볼트 간격과 동일하게 42mm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접속부(200) 및 제2 접속부(300)의 세로 길이(S3)는 92mm로 형성되고, 가로 길이(S4)는 176mm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접속부(200) 및 제2 접속부(300)에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다섯 개의 볼트 홀(210,310)이 2열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열은 내장철탑의 내장애자련 점퍼선의 접속 단자(볼트 홀이 2열로 배열됨)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배열이다.
이 경우, 볼트 홀(210,310)의 반경(S1)은 12mm로 형성되고, 볼트 홀(210,310) 사이의 간격(S2)은 내장철탑의 내장애자련 점퍼선의 접속 단자 연결 볼트 간격과 동일하게 42mm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접속부(200) 및 제2 접속부(300)의 세로 길이(S3)는 92mm로 형성되고, 가로 길이(S4)는 218mm로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를 이용한 다도체 송전선로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를 이용하게 되면, 서로 다른 종류의 도체 수를 가지는 두 개의 다도체 송전선로의 연결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도체 수가 6도체인 송전선로(400)의 접속 단자(410)를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제1 접속부(200)에 연결하고, 도체 수가 4도체인 송전선로(500)의 접속 단자(510)를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제2 접속부(300)에 연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양측에 각각 다수 개의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가 구비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도체 수를 가지는 두 개의 다도체 송전선로의 연결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부 200: 제1 접속부
210: 볼트 홀 300: 제2 접속부
310: 볼트 홀 400: 송전선로
410: 접속 단자 500: 송전선로
510: 접속 단자 B: 볼트
N: 너트

Claims (6)

  1.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 단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제1 접속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 단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제2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는 다도체 송전선로를 이루는 송전선들이 동시에 접속될 수 있도록, 각각 여섯 개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는 각각 중심부를 기준으로 직선거리 간격이 내장철탑의 내장애자련 점퍼선의 도체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는 송전선로의 접속 단자가 결합될 수 있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에는 송전선로의 접속 단자를 결합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다수 개의 볼트 홀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2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
  6. 삭제
KR1020180083428A 2018-07-18 2018-07-18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 KR102651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428A KR102651241B1 (ko) 2018-07-18 2018-07-18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428A KR102651241B1 (ko) 2018-07-18 2018-07-18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274A KR20200009274A (ko) 2020-01-30
KR102651241B1 true KR102651241B1 (ko) 2024-03-27

Family

ID=69321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428A KR102651241B1 (ko) 2018-07-18 2018-07-18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2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672B1 (ko) * 2009-04-09 2009-07-21 오대영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672B1 (ko) * 2009-04-09 2009-07-21 오대영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274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1241B1 (ko) 다도체 송전선로용 접속금구
CN201515191U (zh) 一种特高压输电线路用多分裂铝管式刚性跳线
CN210245960U (zh) 一种开关柜电缆进线布置结构
CN209016393U (zh) 一种用于馈线终端调试的一分二网线及馈线终端
KR101762645B1 (ko) 모듈형 케이블
US9601821B2 (en) Load cell topology network based on multi-branch cables
CN212258311U (zh) 一种自由组合的卡箍结构
CN204835115U (zh) 一种转接式电连接器
KR101090558B1 (ko) 분전반
CN211209188U (zh) 出线系统
CN205231429U (zh) 一种机身线束
CN201256213Y (zh) 束线带结构
CN113922322A (zh) 一种电路区域网用的电线接头防护装置
CN208752983U (zh) 一种光电复合缆
CN201594722U (zh) 一种预绞丝间隔棒
CN111064141A (zh) 出线系统
CN220914923U (zh) 一种通信电缆护线套
CN204927539U (zh) 电气接点快速连接器
CN213339826U (zh) 具有低烟无卤护套的集束电缆跳线
CN216625266U (zh) 一种用于电缆连接处的隔离保护装置
CN209496656U (zh) 一种具有绝缘性的架空电缆
CN212435255U (zh) 一种通讯连接线固定结构
CN201331936Y (zh) 集束型电缆
CN221102948U (zh) 电动工程机械高压电缆布线装置
CN211858379U (zh) 一种变压器出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