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328B1 - 가공송전선 연결애자 고정용 완금 - Google Patents

가공송전선 연결애자 고정용 완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328B1
KR100933328B1 KR1020090081785A KR20090081785A KR100933328B1 KR 100933328 B1 KR100933328 B1 KR 100933328B1 KR 1020090081785 A KR1020090081785 A KR 1020090081785A KR 20090081785 A KR20090081785 A KR 20090081785A KR 100933328 B1 KR100933328 B1 KR 100933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tube
groove
connector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대영
Original Assignee
오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대영 filed Critical 오대영
Priority to KR1020090081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 연결애자 고정용 완금에 관한 것으로, 관 형상의 연결애자(110): 구형의 연결구(121)가 연결애자(110) 외면에 돌출되도록 된 행거(120): 전면이 개구된 이동홈(132a)을 형성한 도전성 재질의 통전대(132); 이동홈(132a)의 내면과 긴밀히 접하면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도전성 재질의 이동자(133); 이동홈(132a)에 내설되어 이동자(133)를 탄발 지지하는 탄발체(134); 통전대(132)를 감싸면서 절연하고, 말단 둘레면에는 회전식 걸림홈(131a)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인입전선(210)의 통전라인(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음단자(222)가 삽입되면서 이동자(133)와 접하도록 안내하는 인입홈(131b)과, 이 인입홈(131b)을 중심으로 나란히 절개되어서 이음단자(222)의 둘레를 이격되게 감싸는 차단대(221b)가 삽입되는 홈(131c)이 각각 형성된 수용관(131); 회전식 걸림홈(131a)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려서 수용관(131)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는 돌기(135a)를 형성하고, 수용관(131)의 말단 둘레를 감싸는 연결관(135);으로 이루어져서, 연결애자(110)에 내설되는 다수의 소켓(130): 말단에 뿔대 형상으로 배치된 탄성 재질의 걸림체(213a)를 구비하면서, 내측 빈공간에 고화물질(B)이 수용된 튜브(214)를 내삽한 송전케이블(200)의 강심(213)이 삽입되는 관 형상을 이루고; 내면에는 강심(213) 삽입시 걸림체(213a)를 가압해 튜브(214)를 터뜨려서 고화물질(B)을 확산시켜, 탄성에 의해 복원된 걸림체(213a)를 걸어 고정하는 턱(141)이 돌출 형성되어서; 연결애자(110)에 내설되는 결속관(140): 연결구(121)를 이동가능하게 감싸 고정하는 링거(151)를 구비하면서 지상에 고정되는 지지대(150): 및 연결구(121)에 장착되며 자외선을 발사하는 UV건(171); 연결구(121)의 회전을 따라 이동하는 UV건(171)과의 거리가 항시 일정하도록 곡면으로 배치되고 UV건(171)의 자외선 수신시 각각 고유한 주파수의 고유신호를 발신하는 다수의 감지패널(172a)과, 감지패널(172a)을 지지대(150)에 고정하는 고정부(172b)로 된 감지대(172); 감지패널(172a)이 전송한 고유신호의 주파수를 확인해서 해당 감지패널(172a)과 배치 위치를 확인하는 제어모듈(173)과, 제어모듈(173)의 상태정보를 수신해서 원격지의 본부로 송신하는 송신모듈(174)로 이루어진 워치감지장치(17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공송전선 연결애자 고정용 완금{Cross bar for fixing the insulator}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 연결애자 고정용 완금에 관한 것이다.
전기는 원격으로의 송전, 또는 특정 지역에서의 소비를 위해 송전 전용 전선을 매개로 송전해야 하고, 통상적으로는 지중 또는 가공송전선을 통해 상기 송전이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가공송전선(200, 300; 도 1 참조)은 지중은 물론 가공으로 배치될 수 있고, 가공의 경우에는 전주 또는 철탑 등(이하 철탑)에 지지대(150; 도 4 참조)을 매개로 고정된다.
그런데, 가공송전선(200, 300)으로는 특고압 전기가 흐르므로, 가공송전선(200, 300) 주변엔 높은 전자기장이 발생한다. 물론, 이러한 전자기장은 주변 전도체에 전기를 유도 및 발생시켜서, 철탑 관리자 또는 근방을 통행하는 보행자 등에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가공송전선을 애자를 매개로 완금에 끼워 고정했다. 하지만, 애자는 사기 재질로 되면서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고, 횡력에 대해서는 충분한 지지력이 없으므로,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거나 파손사고 가 빈번히 발생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공송전선을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면서 철탑과의 단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풍력과 같은 외력에 의한 가공송전선의 흔들림에 대응해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가공송전선 연결애자 고정용 완금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 형상의 연결애자(110):
구형의 연결구(121)가 연결애자(110) 외면에 돌출되도록 된 행거(120):
전면이 개구된 이동홈(132a)을 형성한 도전성 재질의 통전대(132); 이동홈(132a)의 내면과 긴밀히 접하면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도전성 재질의 이동자(133); 이동홈(132a)에 내설되어 이동자(133)를 탄발 지지하는 탄발체(134); 통전대(132)를 감싸면서 절연하고, 말단 둘레면에는 회전식 걸림홈(131a)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인입전선(210)의 통전라인(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음단자(222)가 삽입되면서 이동자(133)와 접하도록 안내하는 인입홈(131b)과, 이 인입홈(131b)을 중심으로 나란히 절개되어서 이음단자(222)의 둘레를 이격되게 감싸는 차단대(221b)가 삽입되는 홈(131c)이 각각 형성된 수용관(131); 회전식 걸림홈(131a)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려서 수용관(131)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는 돌기(135a)를 형성하고, 수용관(131)의 말단 둘레를 감싸는 연결관(135);으로 이루어져서, 연결애 자(110)에 내설되는 다수의 소켓(130):
말단에 뿔대 형상으로 배치된 탄성 재질의 걸림체(213a)를 구비하면서, 내측 빈공간에 고화물질(B)이 수용된 튜브(214)를 내삽한 송전케이블(200)의 강심(213)이 삽입되는 관 형상을 이루고; 내면에는 강심(213) 삽입시 걸림체(213a)를 가압해 튜브(214)를 터뜨려서 고화물질(B)을 확산시켜, 탄성에 의해 복원된 걸림체(213a)를 걸어 고정하는 턱(141)이 돌출 형성되어서; 연결애자(110)에 내설되는 결속관(140):
연결구(121)를 이동가능하게 감싸 고정하는 링거(151)를 구비하면서 지상에 고정되는 지지대(150): 및
연결구(121)에 장착되며 자외선을 발사하는 UV건(171); 연결구(121)의 회전을 따라 이동하는 UV건(171)과의 거리가 항시 일정하도록 곡면으로 배치되고 UV건(171)의 자외선 수신시 각각 고유한 주파수의 고유신호를 발신하는 다수의 감지패널(172a)과, 감지패널(172a)을 지지대(150)에 고정하는 고정부(172b)로 된 감지대(172); 감지패널(172a)이 전송한 고유신호의 주파수를 확인해서 해당 감지패널(172a)과 배치 위치를 확인하는 제어모듈(173)과, 제어모듈(173)의 상태정보를 수신해서 원격지의 본부로 송신하는 송신모듈(174)로 이루어진 워치감지장치(170);
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연결애자 고정용 완금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의 연결이 손쉽고, 특히 완금과 송전케이블 간의 물리적인 결속을 견고히 해서 장력에 의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가공송 전선이 풍력 등과 같은 외력에도 유동성 있는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금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금(100)은 관 형상의 연결애자(110)와, 연결애자(110)를 고정하는 행거(120)와, 연결애자(110)에 내설되는 다수의 소켓(130) 및 결속관(140)으로 이루어진다.
도시한 바와 같이, 완금(100)은 철탑(미도시함)을 통과하는 가공송전선(200, 300)을 지지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의 가공송전선(200, 300)은 완금(100)에 구비된 다수의 소켓(130)에 상응하는 다수의 인입전선(210)을 내장하는 것으로 한다.
계속해서, 가공송전선(200, 300)은 다수의 인입전선(210)과 더불어, 자체 지지와 고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강심(230)을 포함한다. 강심(230)은 바람직하게는 가공송전선(200, 300)의 중심에 배치되고, 인입전선(210)은 강심(230)을 중심으로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인입전선(210)의 말단에는 소켓(130)과의 물리적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220)가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금과 가공송전선의 연결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인입전선(210)은 전기가 흐르는 통전라인(211)과, 통전라인(211)을 절연하는 피복(212)과, 통전라인(211)을 지지하는 지지심(213)으로 구성된다. 이때, 통전라인(211)은 송전효율과 경제성을 고려해 알루미늄이 널리 활용된다. 인입전선(210)은 공지,공용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인입전선(210)에 대한 구조와 재질 및 특성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단자(220)는 인입전선(210)의 말단을 감싸 고정하는 본체(221)와, 본체(221)의 중공에 고정되면서 일단이 인출되고 타단은 통전라인(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음단자(2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221)는 인입전선(210)의 지지심(213)을 고정하는 앵커부(221a)와, 돌출된 이음단자(222)의 둘레를 따라 나란히 이격하게 돌출되는 차단대(221b)를 형성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지지심(213)의 둘레를 감싸는 앵커부(221a)에 볼트 또는 핀 등이 끼워져서, 지지심(213)과 앵커부(221a)가 고정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지지심(213)과 앵커부(221a)의 체결방식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앵커부(221a)는 본체(221)와 일체로 된 것으로, 스크류 형태로 지지심(213)의 둘레를 감싸는 통전라인(211)을 관통해 배치될 것이다.
이음단자(222)는 통전라인(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일단이 돌출된 것으로, 통전라인(211)을 따라 흐르는 송전전기가 흐르게 될 것이다.
소켓(130)은 연결단자(220)를 물리적으로 고정하는 수용관(131)과, 수용 관(131)에 내설되고 전면이 개구된 이동홈(132a)이 형성된 통전대(132)와, 이동홈(132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면서 통전대(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동자(133)와, 이동자(133)를 통전대(132)로부터 탄발하도록 지지하는 탄발체(134)와, 수용관(131)과 연결단자(220)를 연결하는 연결관(135)으로 이루어진다.
수용관(131)은 고압의 전기가 흐르는 통전대(132)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재질로 되고, 연결단자(220)가 접하는 일면에는 이음단자(222)가 삽입되는 인입홈(131b)과, 차단대(221b)가 삽입되는 홈(131c)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관(135)이 감싸는 외면에는 회전식 걸림홈(131a)이 형성되어서, 연결관(135)의 돌기(135a)와 맞물리도록 된다.
통전대(132)는 이음단자(222)를 매개로 인입전선(210)의 통전라인(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전면에는 인입홈(131b)에 연통하는 이동홈(132a)이 형성된다.
이동자(133)는 이동홈(13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면서 둘레면이 이동홈(132a)의 내면과 밀착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음단자(222)의 일단면과 직접적으로 접한다. 한편, 이음단자(222)와 이동자(133)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음단자(222) 및 이동자(133)의 접합면에는 굴곡을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탄발체(134)는 이동자(133)를 이음단자(222) 쪽으로 탄발하는 것으로, 이동홈(132a)에 내설될 수 있다. 즉, 이음단자(222)와 이동자(133)의 접촉이 이동자(133)를 이음단자(22)로 밀어내는 탄발체(134)에 의해 항시 긴밀하게 이루어지도 록 해서, 상호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연결관(135)은 수용관(131)의 말단 둘레부를 감싸면서 공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되고, 연결단자(220)의 둘레면과 결속돼 소켓(130)과 인입전선(210)이 물리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본체(221)의 둘레면에 나사산을 형성시키고, 연결관(135)의 내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을 형성시켜서, 본체(221)와 연결관(135)의 나사산 결합으로 물리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했다. 물론, 나사산 결합을 위해서는 연결관(135)이 수용관(131)의 둘레를 공회전해야 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관(131)의 둘레에는 회전식 걸림홈(131a)을 형성시키고, 연결관(135)의 내면에는 회전식 걸림홈(131a)에 이동가능하게 걸리는 돌기(135a)를 형성시켜서, 돌기(135a)가 회전식 걸림홈(131a)을 따라 이동되도록 했다.
결국, 이러한 구조를 통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130)과 인입전선(210)은 전기적/물리적인 견고한 결속을 이루고, 이는 소켓(130)과 인입전선(210) 간의 안정된 연결상태를 담보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완금(100)의 소켓(130)은 연결단자(220)와의 결속 시, 차단대(221b)와 홈(131c) 간 결속, 이음단자(222)와 인입홈(131b) 간 결속 등과 같이 긴밀히 맞물리는 접촉면적을 넓게 해서, 소켓(130)과 연결단자(200) 간의 유동성을 최소화시켰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금과 강심의 연결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강심(230)은 가공송전선(200, 300)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면서 완금(100)과의 결속을 매개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금속재질이 이용된다.
한편, 완금(100)에 구성된 결속관(140)은 강심(230)이 가공송전선(200, 300)에 배치된 위치에 상응하도록, 관 형상의 연결애자(110)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결속관(140)은 중공을 갖는 관 형상으로 내면에는 턱(14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턱(141)의 일면은 완만한 사면이고 타면은 결속관(140)의 내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거나 급경사로 된 사면으로 된다.
계속해서, 결속관(140)에 삽입되는 강심(230)의 말단에는 뿔대 형상으로 강심(230)의 둘레를 감싸도록 된 걸림체(213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체(213a)는 현 위치를 고수하려는 탄성재질로 되고, 걸림체(213a)와 강심(213) 사이에 형성된 빈공간에는 액성 고화물질(B)을 수용한 튜브(214)가 내삽된다.
여기서 액성 고화물질(B)이란. 접착제 등과 같이 공기 중에서 액체에서 고체로 상태가 변하는 공지,공용의 합성물질이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강심(230)을 결속관(140)에 삽입하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심(230)의 말단에 위치한 걸림체(213a)는 결속관(140)의 내면에 돌출된 턱(141)의 일면과 접하면서 오므라들고, 이렇게 오므라드는 과정에서 상기 빈공간에 위치한 튜브(214)는 압력을 받아 터지게 된다. 이때, 강심(213)의 외면과 마주하는 걸림체(213a)의 내면에는 바늘(213b)이 돌출 형성되어서, 튜브(214)의 터짐을 효과적으로 일으킬 수 있다.
튜브(214)의 터짐으로 튜브(214)에 수용된 고화물질(B)은 확산하고,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심(230)의 지속적인 삽입에 의해 협소해진 공간을 채운다. 이때, 충분한 삽입으로
(213a)가 턱(141)을 지나면, 걸림체(213a)는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고, 이를 통해 걸림체(213a)는 턱(141)의 타면과 접하면서 강심(213)이 결속관(14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 지지한다. 물론, 상기 빈공간을 채운 고화물질(B)은 신속한 고체화를 통해 상기 공간을 견고히 지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금에 대한 가공송전선의 유동적인 고정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금(100)은 별도로 분리된 가공송전선(200, 300)을 일지점에 전기적/물리적으로 연결하면서 가공송전선(200, 300)의 선로를 안내하는 고정성을 갖추어야 한다. 하지만, 가공송전선(200, 300)의 경우, 풍력 등과 같은 외력을 받아 요동칠 수 있으므로, 가공송전선(200, 300)을 부동하게 단단히 고정하는 것은 오히려 가공송전선(200, 300)과 완금(100) 간의 결속력을 약화시킬 우려가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완금(100)은 구형의 연결구(121)가 돌출형성된 행거(120)를 구비하고, 철탑의 특정 지점에 고정된 지지대(150)와 링거(151)를 매개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링거(151)는 연결구(121)를 이동가능하게 감싸 고정하면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구(121)가 일정 범위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피봇힌지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금(100)은 위치감지장치(170)를 더 포함한다. 위치감지장치(170)는 연결애자(110)의 기울어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구(121)에 설치되는 UV건(171)과, 지지대(150)에 내설되는 감지대(172)와, 감지대(172)의 감지상태를 확인하는 제어모듈(173)과, 제어모듈(173)의 제어정보를 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송신하는 송신모듈(174)로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애자(110)가 가공송전선(200, 300)의 움직임을 따라 기울어지면, 연결구(121)에 장착된 UV건(171) 또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움직인다. 이때, UV건(171)은 자외선을 발사하는 공지,공용의 기구이다. 또한, UV건(171)의 구동을 위한 전력공급은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별도의 배터리(미도시함)로부터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가공송전선(200, 300)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미도시함)으로부터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감지대(172)는 UV건(171)으로부터 발사되는 자외선을 감지하는 것으로, 자외선 감지는 다수 개의 감광패널(172a)을 통해 이루어지고, 이 감광패널(172a)은 지지대(150)에 고정되는 고정부(172b)에 안착된다. 여기서, 감광패널(172a)이 안착되는 고정부(172b)의 일면은 연결구(121)의 회전중심을 구 중심으로 하는 곡면을 이루도록 되어서, UV건(171)과 감광패널(172a)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모듈(173)은 다수의 감광패널(172a)과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어서, 임의 감광패널(172a)이 자외선을 감지해 제어모듈(173)로 고유신호를 보내면, 제어모듈(173)은 이 고유신호를 확인해서 자외선을 감지한 감광패널(172a)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어모듈(173)은 가공송전선(200, 300)이 어떠한 상태인지를 인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광패널(172a)의 상기 고유신호는 각기 다른 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로 되어서, 제어모듈(173)은 상기 고유신호의 주파수를 확인해서 해당 감광패널(172a)이 무엇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송신모듈(174)은 제어모듈(173)이 확인한 가공송전선(200, 300)의 상태정보를 수신해서 이를 본부로 발송한다. 여기서 본부란, 원격지에서 가공송전선(200, 300)의 상태 등을 확인 및 관리하는 곳으로, 송신모듈(174)이 송신한 상태정보를 확인해 해당 위치의 가공송전선(200, 300)이 어떠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고, 가공송전선(200, 300)의 기울어짐이 클 경우엔 이를 보수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금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금과 가공송전선의 연결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금과 강심의 연결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금에 대한 가공송전선의 유동적인 고정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

  1. 관 형상의 연결애자(110):
    구형의 연결구(121)가 연결애자(110) 외면에 돌출되도록 된 행거(120):
    전면이 개구된 이동홈(132a)을 형성한 도전성 재질의 통전대(132); 이동홈(132a)의 내면과 긴밀히 접하면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도전성 재질의 이동자(133); 이동홈(132a)에 내설되어 이동자(133)를 탄발 지지하는 탄발체(134); 통전대(132)를 감싸면서 절연하고, 말단 둘레면에는 회전식 걸림홈(131a)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인입전선(210)의 통전라인(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음단자(222)가 삽입되면서 이동자(133)와 접하도록 안내하는 인입홈(131b)과, 이 인입홈(131b)을 중심으로 나란히 절개되어서 이음단자(222)의 둘레를 이격되게 감싸는 차단대(221b)가 삽입되는 홈(131c)이 각각 형성된 수용관(131); 회전식 걸림홈(131a)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려서 수용관(131)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는 돌기(135a)를 형성하고, 수용관(131)의 말단 둘레를 감싸는 연결관(135);으로 이루어져서, 연결애자(110)에 내설되는 다수의 소켓(130):
    말단에 뿔대 형상으로 배치된 탄성 재질의 걸림체(213a)를 구비하면서, 내측 빈공간에 고화물질(B)이 수용된 튜브(214)를 내삽한 송전케이블(200)의 강심(213)이 삽입되는 관 형상을 이루고; 내면에는 강심(213) 삽입시 걸림체(213a)를 가압해 튜브(214)를 터뜨려서 고화물질(B)을 확산시켜, 탄성에 의해 복원된 걸림체(213a)를 걸어 고정하는 턱(141)이 돌출 형성되어서; 연결애자(110)에 내설되는 결속 관(140):
    연결구(121)를 이동가능하게 감싸 고정하는 링거(151)를 구비하면서 지상에 고정되는 지지대(150): 및
    연결구(121)에 장착되며 자외선을 발사하는 UV건(171); 연결구(121)의 회전을 따라 이동하는 UV건(171)과의 거리가 항시 일정하도록 곡면으로 배치되고 UV건(171)의 자외선 수신시 각각 고유한 주파수의 고유신호를 발신하는 다수의 감지패널(172a)과, 감지패널(172a)을 지지대(150)에 고정하는 고정부(172b)로 된 감지대(172); 감지패널(172a)이 전송한 고유신호의 주파수를 확인해서 해당 감지패널(172a)과 배치 위치를 확인하는 제어모듈(173)과, 제어모듈(173)의 상태정보를 수신해서 원격지의 본부로 송신하는 송신모듈(174)로 이루어진 워치감지장치(1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 연결애자 고정용 완금.
KR1020090081785A 2009-09-01 2009-09-01 가공송전선 연결애자 고정용 완금 KR100933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785A KR100933328B1 (ko) 2009-09-01 2009-09-01 가공송전선 연결애자 고정용 완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785A KR100933328B1 (ko) 2009-09-01 2009-09-01 가공송전선 연결애자 고정용 완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328B1 true KR100933328B1 (ko) 2009-12-28

Family

ID=41684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785A KR100933328B1 (ko) 2009-09-01 2009-09-01 가공송전선 연결애자 고정용 완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3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5265U (ja) * 1998-06-24 1999-01-12 ユタカ商事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
KR20010023456A (ko) * 1997-08-28 2001-03-26 시아오잉 수 3 상 동력 케이블의 플러그 유형 연결구
JP2009512152A (ja) * 2005-10-12 2009-03-19 イスパノ・シユイザ 複数電線の電気ケーブル用のエルボ接続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3456A (ko) * 1997-08-28 2001-03-26 시아오잉 수 3 상 동력 케이블의 플러그 유형 연결구
JP3055265U (ja) * 1998-06-24 1999-01-12 ユタカ商事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
JP2009512152A (ja) * 2005-10-12 2009-03-19 イスパノ・シユイザ 複数電線の電気ケーブル用のエルボ接続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226B1 (ko) 안정적 전력배전을 위한 가공배전용 분기장치
CN201303150Y (zh) 线缆连接器
CN102918720B (zh) 电分配装置和其安装方法
AU2009253494B2 (en) Faraday optical current sensor arrangement
KR100933328B1 (ko) 가공송전선 연결애자 고정용 완금
KR102459033B1 (ko)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 클램프 장치
CN207719427U (zh) 一种易于辨识的电缆
KR100933327B1 (ko) 특고압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 철탑
KR20120004286U (ko) 전차선의 접지 및 급전경보장치를 구비하는 클램프
CN208986745U (zh) 绝缘套及电机及空调器
KR100933321B1 (ko) 변전반 인입전선용 절연형 커넥터
CN213422410U (zh) 一种线缆设备
CN102456957B (zh) 接地线线夹
KR100777179B1 (ko) 볼형과 클램프형 금구를 사용한 애자 체결구조
CN207947553U (zh) 无操作孔lf型联板绝缘子带电更换作业用前卡
CN202534446U (zh) 一种架空导线防雷装置悬式瓷瓶安装抱箍
KR101301927B1 (ko) 꼬임 방지용 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CN207705405U (zh) 一种便于拆卸的消防用接地装置
CN101262093A (zh) 一种电力安全接地线架
CN208767533U (zh) 数据线
CN213520299U (zh) 一种多接头基站天线
CN209497029U (zh) 尼龙绝缘易入勾形端子
CN215735362U (zh) 一种线材连接结构及无线充电设备
CN220439490U (zh) 一种分体式水位磁感应开关
JP4032012B2 (ja) アーキングホーン金具およびそ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