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527Y1 -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527Y1
KR200282527Y1 KR2020020012764U KR20020012764U KR200282527Y1 KR 200282527 Y1 KR200282527 Y1 KR 200282527Y1 KR 2020020012764 U KR2020020012764 U KR 2020020012764U KR 20020012764 U KR20020012764 U KR 20020012764U KR 200282527 Y1 KR200282527 Y1 KR 200282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cable
communication
power cable
fix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만
박현순
Original Assignee
김창만
박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만, 박현순 filed Critical 김창만
Priority to KR2020020012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5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527Y1/ko

Links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설치여부에 제한을 받지않고 물이나 유동성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관의 균열부를 통해 유입된 물이나 유동성 물질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고정체와, 이 케이블고정체의 외주면을 감싸며 배선용 관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밀폐부를 포함하며, 상기한 밀폐부는 시일부재와, 이 시일부재의 양측면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간격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한 시일부재는 상기한 체결부재에 의해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제1 및 제2가압부에 의해 단면적의 형태가 신축적으로 변화되면서 배선용관의 입구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WATERPROOF DEVICE OF PIPE FOR WIRING COMMUNICATION AND ELECTRIC POWER CABLE}
본 고안은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선용 관의 입구부에 물이나 유동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이미 균열부나 연결부를 통해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을 손쉽게 배수처리할 수 있는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및 전력 케이블은 전송경로에 다수개의 맨홀을 일정한 거리마다 설치하고 맨홀과 맨홀을 배선용 관으로 연통시켜서 이 배선용 관에 상기한 케이블을 설치하여 통신 및 전력의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케이블을 매설하기 전까지 맨홀의 내측에 형성된 배선용 관의 입구부를 통해 물이나 유동성 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장치를 설치한다.
상기한 방수장치는 일반적으로 상기한 배선용 관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의 외주면에 튜브형태의 시일부재를 감아서 상기한 배선용 관의 입구부에 설치한 후 별도의 컴프레서(COMPRESSOR)를 통해 상기한 시일부재 내측에 압축공기를 강제로 주입하여 상기한 배선용 관의 내주면과 몸체의 외주면 접촉부를 밀폐시켜 방수처리를 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배선용 관의 표면이나 연결부가 자연적인 지반침하 또는 외력에 의해 발생된 균열부를 통해 물이나 유동성 물질이 유입되면 상기한 시일부재에 주입된 공기를 배출한 후 관이 내부에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 등을 배출한 후 상기한 설치방법을 통해 케이블 설치되기 전까지 배선용 관의 내부를 밀폐시켜 방수를 행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배선용 관의 내부에 유입된 물이나 유동성 물질을 장시간 배출하지 않게 되면 케이블이 부식되거나 파손되어 통신 및 전력의 전송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는 배선용 관에 케이블이 설치되지 않은 공관(空官)인 상태에서만 설치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케이블을 설치한 후에는 이에 대응하는 또 다른 구조를 가지는 방수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만족할 만한 호환성과 효율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 상기한 종래의 방수장치는 튜브형태로 이루어지는 시일부재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려면 추가로 대형의 컴프레서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복잡할 뿐만 아니라, 대형의 컴프레서를 매번 작업장으로 이동시키야 하므로 과다한 인건비와 추가적인 설비의 구입에 따른 비용을 감수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방수장치는 시일부재를 몸체의 외주면에 감을 때에 정확한 셋팅위치에 셋팅하기가 어렵고 작업자에 따라 셋팅위치의 차이가 발생하여 동일한 방수품질을 얻을 수 없게 되므로 이로 인한 방수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구조적으로 부실시공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설치여부에 제한을 받지않고 물이나 유동성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관의 균열부를 통해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고정체와, 이 케이블고정체의 외주면을 감싸며 배선용 관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밀폐부를 포함하며, 상기한 밀폐부는 시일부재와, 이 시일부재의 양측면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간격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압부 및 제2가압부를 포함하는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가 맨홀의 배선용 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부의 밀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를 배선용 관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 의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a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부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b는 도 8a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는 배선용 관에 설치되어 방수를 행하는 것을 일예로 한다.
도 1, 도 2,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C)을 고정하는 케이블고정체(2)와, 이 케이블고정체(2)의 외주면을 감싸며 배선용 관(P)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밀폐부(4)을 포함하며, 상기한 밀폐부(4)은 시일부재(6)와, 이 시일부재(6)의 양측면에서 체결부재(B)에 의해 이격거리가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압부(8) 및 제2가압부(10)를 포함한다.
상기한 케이블고정체(2)는 자체적인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를 원통형태로 성형하고 이 고정체(2)의 원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홀(12)이 형성된다.
상기한 가이드홀(12)은 매설되는 케이블(C)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한 케이블고정체(2)의 길이방향으로 뚫려지고 매설되는 케이블(C)의 수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가이드홀(12)의 직경은 삽입되는 케이블(C)의 직경과 같거나 조금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한 가이드홀(12)의 직경이 삽입되는 케이블(C)의 직경보다 너무 작으면 틈새가 발생하여 방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너무 크게 형성하면 상기한 케이블고정체(2)의 표면에 주름이 발생하여 방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C)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여 처짐 등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가이드홀(12)을 상기한 케이블고정체(2)의 원주방향으로 형성할 때에 상기한 가이드홀(12)의 내주면이 상기한 케이블고정체(2)의 외주면을 조금 벗어난 형태로 형성하여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부(1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가이드홀(12)에 형성되는 절개부(14)는 케이블(C)을 설치할 때에 상기한 케이블고정체(2)의 원주방향에서 직접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더욱 용이한 조립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한 케이블고정체(2)의 일측면 중심부에는 걸이부재(16)가 설치되고, 이 걸이부재(16)는 배선용 관(P)에서 상기한 밀폐부(4)의 내측에 삽입된 후 맨홀(M)의 내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한 케이블고정체(2)를 셋팅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통상의 아이볼트(EYE BOLT)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구조를 가지는 걸이부재( 예를 들면, 후크 등)는 다양하게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케이블고정체(2)의 일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보조홀(18)이 형성되며, 이 홀(18)은 상기한 케이블고정체(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지 않고 소정의 길이로만 형성된다.
상기한 보조홀(18)들은 상기한 케이블고정체(2)의 외주면이 상기한 밀폐부 (4)의 시일부재(6)에 의해 가압될 때에 더욱 탄력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신축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한 보조홀(18)의 직경이 너무 크거나 그 수가 많아지면 상대적으로 탄성이 저하되므로 이를 감안하여 최적의 탄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직경으로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밀폐부(4)은 상기한 케이블고정체(2)를 감싸며 배선용 관(P)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이 관(P)에 물이나 유동성 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시일부재(6)와, 이 시일부재(6)의 양측면에 제1가압부(8), 제2가압부(10)가 직렬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한 시일부재(6)는 설치되는 배선용 관(P)의 내주면과 상기한 케이블고정체(2)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링형태로 형성되고 원주방향 일측에는 절개부(20)가 형성된다.
상기한 시일부재(6)의 재질은 자체 탄성을 보유한 고무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직렬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시일부재(6)를 하나만 설치하게 되면 만족할 만한 탄성을 얻을 수 없으므로 상기한 길이를 등분하여 하나 이상을 설치하게 되면 더욱 향상된 탄성이 발휘되어 밀폐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시일부재(6)의 절개부(20)는 절개선이 단차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한 시일부재(6)의 절개부(20)를 일자형태로 절개하여 형성하면 상기한 제1가압부(8)와 제2가압부(10)에 의해 측면 가압력을 받을 때에 단면적이 변형되므로 이 절개부(20)에서 원활한 방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배선용 관(P)에 삽입할 때에도 관의 직경 크기에 적절하게 호환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한 시일부재(6)의 양측면에는 제1가압부(8)과 제2가압부(10)가 각각 직렬로 설치되고 이들은 체결부재(B)의 조임이나 풀림에 의해 이격된 거리가 조절되도록 셋팅되는데, 이러한 제1 및 제2가압부(8,10)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한 체결부재(B)는 한쌍의 볼트(B1) 및 너트(B2)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한 제1고정부(8), 시일부재(6), 제2고정부(10)의 측방향에서 하나 이상이 관통하여 이들을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한 제1 및 제2고정부(8,10)의 이격된 거리를 좁히거나 벌리면서 배선용 관(P)의 밀폐를 행한다.
상기한 제1가압부(8)는 반원형태로 이루어지는 2개의 아암(8a,8b)으로 구성되고 이들 아암(8a,8b)의 일측은 통상의 힌지구조를 가지며 힌지핀(22)으로 연결되어 이 힌지핀(2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거나 오므라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아암(8a,8b)의 타측단은 이들이 원형태를 이룰때에 일정부분이 서로 마주보면서 접촉하도록 단차지게 절개부(2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가압부(8)의 아암(8a,8b)들의 절개부(24)들이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하면 상기한 시일부재(6)를 측방향에서 가압할 때에 이 아암(8a,8b)들이 비틀리지 않고 균일한 가압력으로 가압하게 되어 밀폐성을 더욱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증대된다.
상기한 제1가압부(8)의 원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26)이 뚫져지고 이 관통홀(26)의 일측에는 고정홈(26a)이 형성된다.
상기한 관통홀(26)에는 체결부재(B) 즉, 볼트(B1)가 관통하여 끼워지고 상기한 고정홈(26a)에는 상기한 볼트(B1)의 머리가 안착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고정홈(26a)은 상기한 볼트(B1)의 머리에 대응하는 육각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며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제1가압부(8)의 원주방향으로는 통상의 리브형태로 보강부(28)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보강부(28)를 형성하면 내구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재료비는 대폭 잘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2가압부(10)는 상기한 시일부재(6)를 사이에 두고 상기한 제1가압부(8)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한 제2가압부(10)는 상기한 제1가압부(8)와 동일한 형태 즉, 반원형태로 이루어지는 2개의 아암(10a,10b)으로 구성되고 이들 아암(10a,10b)의 일측은 힌지핀(30)으로 연결되고 타측단은 이들이 원형태를 이룰 때에 일정부분이 서로 마주보면서 접촉하도록 단차지게 절개부(32)를 형성한다.
상기한 제2가압부(10)의 아암(10,10b)에는 상기한 제1가압부(8)의 아암 (8a,8b)에 뚫려진 관통홀(26)에 대응하는 관통홀(34)이 형성되며, 상기한 시일부재(6)에도 이와 동일한 위치에 관통홀(36)이 뚫려져서 볼트(B1)가 상기한 제1가압부(8), 시일부재(6), 제2가압부(10)의 관통홀(26,36,34)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한 제2가압부(10)에서 너트(B2)에 의해 고정되고 이때 상기한 볼트(B1)의 머리가 상기한 제1가압부(8)에 형성된 고정홈(26a)에 고정되어 상기한 너트(B2)를 조이거나 풀 때에 슬립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너트(B2)를 제2가압부(10)에서 볼트(B1)와 결합할 때에 와셔 등을 삽입하면 상기한 너트(B2)의 회전에 의해 상기한 제2가압부(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욱 견고한 체결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조로 이루어지는 밀폐부(4)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너트(B2)를 조이게 되면 상기한 제1가압부(8)와 제2가압부(10)의 이격거리가 좁혀지면서 이들의 사이에 설치된 시일부재(6)의 양측면을 가압하게 되며 이 시일부재(6)는 측방향의 가압력에 의해 단면적의 형태가 변화되어 내경(D1)은 축소되고 외경(D2)은 확대되면서 상기한 케이블고정체(2)의 외주면과 배선용 관(P)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케이블(C)이 매설된 배선용 관(P)의 입구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의 바람직한 사용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 본 실시에에서는 배선용 관(P)에 케이블(C)이 설치된 상태에서 이 관(P)의 입구부를 밀폐시키는것을 일예로 한다.
도 4,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맨홀(M)의 내측에서 배선용 관(P)의 입구부에 매설된 케이블(C)을 상기한 케이블고정체(2)에 형성된 가이드홀(12)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한 가이드홀(12)에 형성된 절개부(14)를 통해 상기한 케이블고정체 (2)의 원주방향 외측에서 직접 케이블(C)을 삽입하면 더욱 손쉽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고정체(2)에 케이블(C)의 삽입이 완료되면, 이 고정체(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한 밀폐부(4)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한 밀폐부(4)은 상기한 케이블고정체(2)의 길이방향으로 삽입하거나 제1가압부(8)의 아암(8a,8b)과 제2가압부(10)의 아암(10a,10b)를 각각 힌지핀(22,30)을 중심으로 펼쳐지도록 회전시켜서 원주방향에서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한 시일부재(6)도 원주면 일측에 절개부(20)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한 제1가압부(8) 및 제2가압부(10)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펼쳐질 때에 동일하게 절개부(20)가 펼쳐져서 상기한 케이블고정체(2)를 용이하게 감싸며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고정체(2)의 외주면에 밀폐부(4)을 설치한 다음 상기한 밀폐부(4)을 배선용 관(P)의 입구부 내측으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한 제2가압부(10)는 볼트(B1)와 연결된 너트(B2)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상기한 맨홀(M)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한 제2가압부(10)에서 볼트(B1)와 결합된 너트(B2)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한 제1가압부(8)와 제2가압부(10)의 이격거리가 점차 좁혀지면서 상기한 시일부재(6)의 양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가압부(8)와 제2가압부(10)의 이격거리가 좁혀지면서 상기한 시일부재(6)의 양측면에서 가압하게 되면 이 시일부재(6)가 자체적으로 탄성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단면적의 형태가 길이방향으로는 축소되면서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확대되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한 시일부재(6)의 내경(D1)은 축소되고 외경은 확대되면서 상기한 케이블고정체(2)의 외주면과 배선용 관(P)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한 배선용 관(P)의 입구부를 완전히 밀폐시키게 된다.(도 7참조)
그리고 상기와 같이 시일부재(6)의 단면적 형태가 변화되면서 밀폐를 행할 때에 상기한 케이블고정체(2)도 자체 탄성을 보유한 고무재로 이루어져 상기한 시일부재(6)의 밀착력에 대응하여 신축적으로 변형되면서 최적의 상태로 밀착되어 이 케이블고정체(2)에 삽입된 케이블(C)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고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가 케이블(C)이 매설된 상태의 베선용 관(P)을 밀폐시키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어 실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배선용 관(P)이 공관인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입구부를 밀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8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도면부호(38)은 밀폐뚜껑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 뚜껑(38)은 상기한 밀폐부 (4)의 시일부재(6)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판상의 플레이트로 형성하고 재질은 내부식성 및 가공성이 구비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관인 상태의 배선용 관(P)을 밀폐시키려면, 상기한 배선용 관(P)의 입구부 내측에 상기한 밀폐부(4)을 설치한 다음 이 부의 시일부재(6) 내측에 상기한 밀폐뚜껑(38)을 배치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기한 제2가압부(10)의 너트(B2)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한 시일부재(6)의 단면적이 상기한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변화되면서 상기한 배선용 관(P)의 내주면과 상기한 밀폐뚜껑(38)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상기한 배선용 관(P)의 입구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에서는 밀폐뚜껑(38)을 상기한 밀폐부(4)의 내측에 설치하여 배선용 관(P)의 입구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어 실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b를 참조하면, 밀폐뚜껑(40)을 상기한 제2가압부(10)의 직경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하고 이 뚜껑(40)의 원주방향에는 상기한 제2가압부(10)의 관통홀(34)에 대응하는 관통홀(42)을 형성한다.
그리하여, 상기한 밀폐뚜껑(40)의 관통홀(42)이 상기한 제2가압부(10)의 관통홀(34)에 돌출된 볼트(B1)에 관통되도록 설치한 후 상기한 볼트(B1)에 너트(B2)를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제2가압부(10)의 측면에 밀폐뚜껑(40)이 설치된 밀폐부(4)을 배선용 관(P)의 입구부 내측에 설치한 후 상기한 너트(B2)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시일부재(6)가 배선용 관(P)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한 밀폐부(4)의 내측은 상기한 밀폐뚜껑(40)에 의해 밀폐되어 상기한 배선용 관(P)을 용이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한 밀폐뚜껑(40)과 제2가압부(10) 사이에 연질의 시일패드(예를 들면 가스켓)을 설치하면 더욱 향상된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에 의하면, 배선용 관에 케이블이 매설되거나 공관인 상태에서도 이에 대응하여 배선용 관의 입구부를 최적의 상태로 밀폐시켜 방수품질과 신뢰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는 추가적인 장비가 없이도 작업자가 직접 손쉽게 설치하거나 분해하는 것이 가능하여 더욱 향상된 작업성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Claims (8)

  1.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고정체와, 이 케이블고정체의 외주면을 감싸며 배선용 관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밀폐부를 포함하며, 상기한 밀폐부은, 시일부재와, 이 시일부재의 양측면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간격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압부 및 제2가압부를 포함하는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시일부재는 자체 탄성이 구비되는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체결부재에 의해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제1가압부 및 제2가압부에 의해 단면적의 형태가 신축적으로 변화되면서 배선용 관의 내측을 방수가 가능한 상태로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블고정체는 자체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홀은 상기한 밀폐부의 밀폐동작시에 상기한 시일부재와 신축적으로 접촉하여 내측에 고정된 케이블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밀폐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제1가압부 및 제2가압부는, 반원형태로 이루어지는 2개의 아암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한 체결부재의 조임동작이나 풀림동작에 의해 이격거리가 좁혀지거나 넓혀지면서 상기한 시일부재의 단면적 형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체결부재는, 한쌍의 볼트 및 나사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밀폐부에 원주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밀폐부의 시일부재, 제1가압부, 제2가압부의 원주면 일측에는 단차진 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블고정체의 일측 중심부에는 걸이부재가 설치되고, 이 걸이부재는 아이볼트(EYE BOLT) 또는 후크(HOOK)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밀폐부는 밀폐뚜껑을 더 포함하고, 이 뚜껑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기한 밀폐부의 내측이나 일측면에 결합하여 밀폐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KR2020020012764U 2002-04-26 2002-04-26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KR200282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764U KR200282527Y1 (ko) 2002-04-26 2002-04-26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764U KR200282527Y1 (ko) 2002-04-26 2002-04-26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858A Division KR100454565B1 (ko) 2002-04-26 2002-04-26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527Y1 true KR200282527Y1 (ko) 2002-07-22

Family

ID=7307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764U KR200282527Y1 (ko) 2002-04-26 2002-04-26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5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136B1 (ko) 2008-04-07 2008-07-14 (유)전일기술단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136B1 (ko) 2008-04-07 2008-07-14 (유)전일기술단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7817B2 (en) Seal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seal
RU2198337C2 (ru) Уплотняюще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переходов кабелей и труб
CA1308042C (en) Pipe renovation system
KR100454565B1 (ko)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KR20100009210A (ko) 이중관 수전 연결구
KR200282527Y1 (ko)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KR101962473B1 (ko)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US5957505A (en) Branch pipe connection
US20240195158A1 (en) Cable entry for water-tight and dust-tight lead-through of a cable, housing with cable entry, and method of leading a cable through a cable entry
KR20090011547A (ko) 관 이음장치
KR100511518B1 (ko)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
JPH06113438A (ja) ケーブル等の管路の止水方法と構造
JP3858162B2 (ja) 水中構造物の接合装置
KR102439797B1 (ko)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
KR100666481B1 (ko) 케이블 관체의 방수장치
KR100424216B1 (ko) 하수관 연결장치
JP2003274545A (ja) ケーブル用導管の防水装置とその装置を使用した防水施工方法
KR200405951Y1 (ko) 지중 송·배선을 위한 관로구 방수장치
CN210693370U (zh) 用于穿壁管件的密封件
JPH10267782A (ja) 水圧試験機能付き管継手構造及びそのパッキング
KR102351804B1 (ko)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KR200344018Y1 (ko) 피이브이시 이중벽관의 연결부재
CS230791A3 (en) Inflatable and expulsion pad and a extensible jack being provided with said pad
KR102507004B1 (ko) 주름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JP2533704Y2 (ja) 水道用器具の接続パッ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