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004B1 - 주름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주름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004B1
KR102507004B1 KR1020210077337A KR20210077337A KR102507004B1 KR 102507004 B1 KR102507004 B1 KR 102507004B1 KR 1020210077337 A KR1020210077337 A KR 1020210077337A KR 20210077337 A KR20210077337 A KR 20210077337A KR 102507004 B1 KR102507004 B1 KR 102507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ody portion
pipe
nu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7951A (ko
Inventor
김완구
Original Assignee
김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구 filed Critical 김완구
Priority to KR1020210077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00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7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 F16L47/2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for joints between metal and plastic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는, 제1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고,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연결본체부;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1 관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일측결합부; 및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2 관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타측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본체부는, 상기 제1 관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일측 내측 공간을 제공하는 일측내면, 상기 제2 관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타측 내측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일측내면과 단을 이루는 타측내면 및 상기 일측내면과 상기 타측내면을 연결하여 상기 일측 내측 공간과 상기 타측 내측 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공간인 연결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일측내면과 단을 이루는 연결내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주름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HETEROGENEOUS PIPE CONNECTION ASSEMBLY BETWEEN CORRUGATED PIPE AND GENERAL PIPE}
본 발명은 주름관과 일반배관을 긴밀하게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냉난방, 급수 등을 위해 동파이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관뿐만 아니라, 폴리부틸렌, 가교화된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계열과 PVC, PPC 등의 플라스틱관 등도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술한 관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 관 연결구인데, 이는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관과 관을 기밀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장치이다.
한편, 관 연결 시에는 동종 재질의 관뿐만 아니라, 이종 재질의 관들을 서로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 바, 이를 위해서는 금속관과 제1 관이음쇠의 연결시공, 플리스틱관과 제2 관이음쇠의 연결시공, 그리고 상술한 제1 관 이음쇠와 제2 관이음쇠 간의 연결시공, 즉 3번의 연결시공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총 3번의 연결시공을 수행하게 되면 작업자의 작업 속도는 현저하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연결시공을 함에 있어서 필요한 부품의 수 마저도 증가하게 되므로 경제적인 측면까지도 상당히 비효율적이었다.
따라서, 관 연결구가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체결의 용이함, 파이프와의 양호한 체결상태 유지, 기밀성의 향상과 더불어서 다른/같은 재질을 서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관 연결구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배관을 긴밀하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는, 제1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고,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연결본체부;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1 관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일측결합부; 및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2 관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타측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본체부는, 상기 제1 관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일측 내측 공간을 제공하는 일측내면, 상기 제2 관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타측 내측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일측내면과 단을 이루는 타측내면 및 상기 일측내면과 상기 타측내면을 연결하여 상기 일측 내측 공간과 상기 타측 내측 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공간인 연결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일측내면과 단을 이루는 연결내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관은, 오목둘레부와 상기 오목돌레부보다 직경이 더 큰 볼록둘레부가 교차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내면은, 상기 제2 관의 단부로서 오목둘레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공간인 연결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결합부는,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타측너트부, 상기 연결본체부에 삽입되어 연결본체부와 제2 관의 외측 사이를 밀폐하는 타측고무패킹 및 상기 제2 관에 삽입되어 상기 타측고무매킹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제한부를 구비하고, 상기 타측내면은, 상기 타측고무패킹이 접촉되는 제1 타측내면 및 상기 제1 타측내과 상기 연결내면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2 관과 이격되는 제2 타측내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결합부는,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는 일측너트부 및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과 상기 일측너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너트부가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정도가 커질수록 상기 일측너트부에 의해 상기 제1 관을 가압하는 압착링을 구비하고, 상기 압착링은, 상기 제1 관이 삽입되도록 내측에 개구된 공간을 제공하는 압착본체부 및 회전되면서 상기 일측너트부가 상기 연결본체부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압착본체부가 상기 일측너트부 또는 상기 제1 관으로부터 슬립되지 않도록 상기 압착본체부와 상기 제1 관을 서로 매개하는 미끄럼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본체부는, 상기 압착본체부의 일단부와 상기 압착본체부의 타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압착본체부의 일단부 및 상기 압착본체부의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압착본체부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본체부는, 중심본체부, 상기 중심본체부로부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너트부가 나사 결합되어 삽입되는 일측본체부 및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타측결합부가 나사 결합되어 삽입되는 타측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측너트부는, 양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관으로 외삽되면서 상기 일측본체부에 결합되는 일측너트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측너트본체부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일단부 방향으로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타단부에 경사진 면인 일측그립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너트부는, 상기 일측그립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일측너트돌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너트돌출부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그립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본체부는, 상기 일측본체부에 상기 일측너트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일측너트부의 돌출된 높이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관은, 동관 또는 SUS 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에 따르면, 작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설치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구비하는 연결본체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측너트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구비하는 압착링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는, 제1 관(P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고, 제2 관(P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연결본체부(100),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일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1 관(P11)이 상기 연결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일측결합부(200) 및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타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2 관(P12)이 상기 연결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타측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P11)과 제2 관(P12)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관일 수 있다.
일례로, 제1관은 동관 또는 SUS 관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관(P12)은 스테인레스 관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관(P11) 및/또는 제2 관(P12)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2관(P12)은 오목둘레부(P12a)와 상기 오목돌레부보다 직경이 더 큰 볼록둘레부(P12b)가 교차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관(P12)은 주름관일 수 있다.
일측결합부(200)는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는 일측너트부(210) 및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일단과 상기 일측너트부(2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너트부(210)가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일단에 결합되는 정도가 커질수록 상기 일측너트부(210)에 의해 상기 제1 관(P11)을 가압하는 압착링(22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결합부(200)는 상기 연결본체부(100)에 삽입되어 연결본체부(100)와 제1 관(P11)의 외측 사이를 밀폐하는 일측밀폐부(230) 및 상기 압착링(220)과 상기 일측밀폐부(230) 사이에 배치되는 일측와셔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측밀폐부(23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일측밀폐부(230)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측밀폐부(230)와 일측와셔부(240)는 제1 관(P11)에 외삽될 수 있다.
상기 타측결합부(300)는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타측너트부(310), 상기 연결본체부에 삽입되어 연결본체부(100)와 제2 관의 외측 사이를 밀폐하는 타측고무패킹(320) 및 상기 제2 관(P12)에 삽입되어 상기 타측고무패킹(320)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제한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타측고무패킹(320)은 후술하는 제1 타측내면(P131)과 접촉되어 제2 관(P12)과 타측본체부(130)의 사이를 밀폐하는 제1 패킹본체부(321), 상기 제1 패킹본체부(32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패킹본체부(321)와 상기 제2 관(P12) 사이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2 관(P21)에 밀착되는 제2 패팅본체부(322) 및 상기 제1 패킹본체부(321)의 타단으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어 상기 타측본체부의 단부게 걸쳐지게 배치되는 제3 패킹본체부(323)를 구비할 수 있다.
타측결합부(300)의 구성들이 제2 관(P12)을 연결본체부(100)에 결합시키는 방식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구비하는 연결본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본체부(100)는 중심본체부(110), 상기 중심본체부(110)로부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너트부(210)가 나사 결합되어 삽입되는 일측본체부(120) 및 상기 중심본체부(110)로부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타측결합부(300)가 나사 결합되어 삽입되는 타측본체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중심본체부(110)는 내측에 양측으로 개방된 공동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중심본체부(110)는 외측면의 둘레가 육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본체부(120)는 상기 중심본체부(110)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일측본체부(120)는 원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내측에는 상기 중심본체부(110)의 내측 공간과 서로 연결되도록 양측으로 개방된 공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본체부(120)의 외측면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측너트부(210)가 상기 일측본체부(120)에 결합되어도 상기 중심본체부(110)와 이격되도록, 상기 일측본체부(120) 나사산은 상기 중심본체부(110)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본체부(120)의 내측 공동에는 일측밀폐부(230), 일측와셔부(240) 및 압착링(220)이 차례로 삽입될 수 있다.
타측본체부(130)는 상기 중심본체부(110)로부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타측본체부(130)는 원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내측에는 상기 중심본체부(110)의 내측 공간과 서로 연결되도록 양측으로 개방된 공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본체부(130)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타측너트부(310)가 타측 본체부에 결합되어도 상기 중심본체부(110)와 이격되도록 상기 타측너트부(310)의 나사산은 상기 중심본체부(110)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본체부(130)의 내측 공간에는 타측고무패킹(32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측너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일측너트부(210)는 양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관(P11)에 외삽되면서 상기 일측본체부(120)에 결합되는 일측너트본체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일측너트본체부(211)는 상기 일측본체부(120)에 외삽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개구된 공동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일측너트본체부(211)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너트본체부(211)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211)의 타단부에서 상기 일측너트본체부(211)의 일단부 방향으로 상기 일측너트본체부(211)의 타단부에 경사진 면인 일측그립경사면(R2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측너트본체부(211)의 측면의 단면은 육각형을 이룰 수 있다.
즉, 일측너트본체부(211)는 제1 너트측면(T211) 내지 제6 너트측면(T216)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각의 너트측면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그립경사면(R211)은 너트측면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그립경사면(R211)은 일측너트본체부(211)의 타단부의 외측둘레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너트측면의 연결되는 부분을 주로 그립하기 때문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타측너트부는 양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관(P12)에 외삽되면서 상기 타측본체부(130)에 결합되는 타측너트본체부(3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타측너트본체부(311)는 상기 타측너트본체부(311)의 타단부에서 상기 타측너트본체부(311)의 일단부 방향으로 상기 타측너트본체부(311)의 타단부에 경사진 면인 타측그립경사면(R3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타측너트부의 구조적인 형상은 일측너트부와 동일할 수 있으며, 연결본체부에 결합되는 위치와 크기에 있어서만 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일측너트부의 기술적 특징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타측너트부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구비하는 압착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압착링(220)은 상기 제1 관(P11)이 삽입되도록 내측에 개구된 공간을 제공하는 압착본체부(221) 및 회전되면서 상기 일측너트부(210)가 상기 연결본체부(10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압착본체부(221)가 상기 일측너트부(210) 또는 상기 제1 관(P11)으로부터 슬립되지 않도록 상기 압착본체부(221)와 상기 제1 관(P11)을 서로 매개하는 미끄럼방지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착본체부(221)는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일단부와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타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개부(S221)를 형성할 수 잇다.
압착본체부(221)는 외측면의 일 부분으로서 제1 압착외측면(221a) 및 상기 제1 압착외측면(221a)으로부터 경사진 제2 압착외측면(221b)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압착외측면(221a)에서 제2 압착외측면(221b)의 경사는 제1 압착외측면(221a)을 기준으로 18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기울기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일단부 및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일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일단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일단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타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타단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타단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222)는 압착본체부(221)의 단부에 접착물질에 접착될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미끄럼방지부의 제조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링 형상의 모체의 일부 부분을 절삭 기구로 절개하면서 압착본체부와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일 부분이 절개된 모체의 단부에 프레스 압력을 인가한 뒤에, 모체의 단부를 가공하여 압착본체부와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를 향하는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미끄럼방지부(222)는 일측너트부(210)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중심을 향하는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미끄럼방지부(222)는 제1 관(P11)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일측너트부(210) 또는 상기 제1 관(P11)에 접촉되는 일면이 불균일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미끄럼방지부(222)의 기능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측너트본체부(211)가 일측본체부(120)에 최대로 결합되더라도 일측너트본체부(211)는 중심본체부(110)와 이격될 수 있다.
일측너트본체부(211)가 일측본체부(120)에 최대로 결합된다는 것의 의미는, 일측너트본체부(211)가 중심본체부(110)에 최대로 가까워진 경우를 말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일측너트본체부(211)를 용이하게 그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타측너트본체부(311)가 타측본체부(130)에 최대로 결합되더라도 타측너트본체부(311)는 중심본체부(110)와 이격될 수 있다.
타측너트본체부(311)가 타측본체부(130)에 최대로 결합된다는 것의 의미는, 타측너트본체부(311)가 중심본체부(110)에 최대로 가까워진 경우를 말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타측너트본체부(311)를 용이하게 그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상기 일측본체부(120)에 상기 일측너트부(3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본체부(120)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일측너트부(210)의 돌출된 높이보다 상기 일측본체부(120)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중심본체부(110)의 높이가 더 낮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일측너트본체부(211)를 용이하게 그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작업자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를 이용하여 제1 관과 제2 관을 서로 연결하려고 하기 위해, 먼저 일측본체부(120)로부터 일측너트부(210)를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일측너트부(210)를 회전시켜 일측본체부(120)로부터 일측너트부(210)를 분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타측본체부(130)에 상기 타측너트부(3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타측본체부(130)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타측너트부(310)의 돌출된 높이보다 상기 타측본체부(130)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중심본체부(110)의 높이가 더 낮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타측너트본체부(311)를 용이하게 그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작업자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를 이용하여 제1 관과 제2 관을 서로 연결하려고 하기 위해, 타측본체부(130)로부터 타측너트부(310)를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타측너트부(310)를 회전시켜 타측본체부(130)로부터 타측너트부(310)를 분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일측밀폐부(230), 일측와셔부(240), 압착링(220) 및 일측너트부(210)가 제1 관(P11)에 외삽된 상태로 제1 관(P11)은 중심본체부(110)의 일측 개구 공간에 인입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일측너트부(210)가 일측본체부(120) 상에서 회전되면서 일측너트부(210)는 중심본체부(110) 쪽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압착외측면(221a, 도 5 참조)으로부터 돌출된 미끄럼방지부(222, 도 5 참조)는 일측너트부(210)의 내면과 접촉될 수도 있고, 이격될 수도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일측너트부(210)가 일측본체부(120) 상에서 계속해서 회전되면서 일측너트부(210)는 중심본체부(110) 쪽으로 더욱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일측너트부(210)의 내면에 형성된 경사면이 제2 압착외측면(221b, 도 5 참조)을 가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절개부(S221)의 크기가 점점 줄어들면서 제2 압착외측면(221b)을 가지는 압착본체부(221)가 제1 관(P11)을 향하여 조여질 수 있다.
이 때, 제2 압착외측면(221b)으로부터 돌출된 미끄럼방지부(222)는 일측너트부(210)의 내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압착본체부(22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미끄럼방지부(222)는 제1 관(P11)과 접촉될 수 있다.
압착본체부(22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미끄럼방지부(222)는 제1 관(P11)의 길이 방향으로 제1 관(P11)이 위치 이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압착본체부(22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미끄럼방지부(222)는 일측너트부(210)가 회전되어 일측너트본체부(211)에 조여진 상태가 약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본체부는 상기 제1 관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일측 내측 공간(S120)을 제공하는 일측내면, 상기 제2 관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타측 내측 공간(S130)을 제공하며 상기 일측내면과 단을 이루는 타측내면 및 상기 일측내면과 상기 타측내면을 연결하여 상기 일측 내측 공간(S120)과 상기 타측 내측 공간(S130)을 서로 연결하는 공간인 연결공간(S100)을 제공하는 연결내면(P100)을 구성할 수 있다.
일측내면(P121, P122)은 상기 연결내면(P100)과 단을 이루며 연결되는 제1 일측내면(P121)과 상기 제1 일측내면(P121)으로부터 일측본체부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2 일측내면(P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일측내면(P121)은 제1 관의 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2 일측내면(P122)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일측밀폐부(230)의 외측면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연결내면(P100)은 상기 제2 관의 단부로서 하나의 오목둘레부(P12a)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공간인 연결공간(S100)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내면(P100)이 이루는 직경은 볼록둘레부(P12b)의 외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볼록둘레부(P12b)는 연결내면(P100)이 제공하는 공간으로 삽입되지 못할 수 있다.
만일, 볼록둘레부(P12b)가 연결공간(S100)으로 삽입된다면, 제1 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볼록둘레부(P12b)의 외면을 가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관의 진동, 제2 관의 파손, 제2 관이 연결본체부로부터의 분리 및 타측너트부의 결합력 약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연결내면(P100)의 직경은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상기 타측내면(P131, P132)은 상기 타측고무패킹이 접촉되는 제1 타측내면(P131) 및 상기 제1 타측내과 상기 연결내면(P100)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2 관과 이격되는 제2 타측내면(P13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타측내면(P131)은 타측본체부(130)의 단부에서 연결내면(P10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1 타측내면(P131a),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1-1 타측내면(P131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2 타측내면(P131b) 및 상기 제1-2 타측내면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3 타측내면(P131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타측내면(P131a)과 제1-3 타측내면(P131c)의 경사는 타측본체부(130)에서 일측본체부(120) 방향으로 갈수록 타측 내측 공간(S130)의 직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타측내면(P132)은 상기 제1-3 타측내면(P131c)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1 타측내면(P132a) 및 상기 제2-1 타측내면(P132a)과 연결내면(P100)을 서로 연결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2 타측내면(P132b)을 구비할 수있다.
제2-2 타측내면(P132b)의 경사는 타측본체부(130)에서 일측본체부(120) 방향으로 갈수록 타측 내측 공간(S130)의 직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패킹본체부(323)는 타측본체부(130)에 걸쳐지게 되면서, 제1-1 타측내면(P131a)과 접촉되게 되고, 제1 패킹본체부는 제1-2 타측내면과 접될 수 있다.
제2 패킹본체부(322)는 제2-1 타측내면의 일부와 접촉될 수 있다.
즉, 패킹본체부는 타측 내측 공간(S130) 상에서 제2 관(P12)의 위치를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제2 관(P12)과 타측내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메꿀 수 있다.
제2-1 타측내면(P132a)은 제2 관(P12)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관(P11)에서 제2 관(P12)으로 유체가 유입될 때와 제2 관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될 때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제2 관(P12)에는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제2-1 타측내면은 제2 관과 이격되어, 제2 관이 타측본체부에 지속적으로 충돌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이동제한부(330)는 제2 관의 오목둘레부(P12a)의 외면에 위치된 채로, 제3 패킹본체부와 타측너트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동제한부(330)는 일 블록둘레부와 이와 이웃되는 다른 불록둘레부 사이에서 양 측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패킹본체부가 위치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조립체가 포함하는 일측결합부의 일측너트부(1200)는 일측너트본체부(1211)에 형성된 일측그립경사면(R211)으로부터 돌출되는 일측너트돌출부(12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일측그립경사면(R211)에 접착 물질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일측너트돌출부(1212)의 제조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일측너트본체부(1211)의 일측그립경사면(R211)을 음각하여 형성하는 과정에서 음각의 정도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그립경사면(R211)은 이웃되는 너트측면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양측의 너트 측면으로 퍼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사용자의 손이 일측그립경사면(R211) 상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일측그립경사면(R21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121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그립경사면(R21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일측너트본체부(1211)의 타단에서 일단 방향으로 일측너트본체부(1211)에 외력을 인가하기 때문일 수 있다.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복수개가 일측그립경사면(R21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일측너트돌출부(1212)의 배열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121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나의 링 형상으로서 일측그립경사면(R21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일측그립경사면과 일측너트돌출부로 인해, 사용자는 편리하게 일측너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조립체가 포함하는 일측결합보의 타측너트부(1300)는 타측너트본체부(1311)에 형성된 타측그립경사면(R311)으로부터 돌출되는 타측너트돌출부(1312)를 구비할 수 있다.
타측너트부의 구조적인 형상은 일측너트부와 동일할 수 있으며, 연결본체부에 결합되는 위치와 크기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타측너트돌출부는 돌출되는 위치에서 일측너트돌출부와 차이가 존재할 뿐 다른 기술적 특징은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타측그립경사면과 타측너트돌출부로 인해, 사용자는 편리하게 타측너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타측그립경사면과 타측너트돌출부로 인해, 사용자는 편리하게 타측너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노후되거나 한파로 인해 관에 작은 홀 등의 결함이 발생되는 경우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 이 때, 홀등이 형성된 관의 부위를 절단하고, 본 발명의 이종관 연결구를 상호 절단된 관에 연결함으로써, 간단하고 효율적인 연결 보수 시공을 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연결본체부 200 : 일측결합부
300 : 타측결합부

Claims (10)

  1. 제1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고,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연결본체부;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1 관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일측결합부; 및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2 관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타측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본체부는,
    중심본체부,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결합부가 나사 결합되어 삽입되는 일측본체부 및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타측결합부가 나사 결합되어 삽입되는 타측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본체부의 내측은 상기 제1 관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일측 내측 공간을 제공하는 일측내면, 상기 제2 관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타측 내측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일측내면과 단을 이루는 타측내면 및 상기 일측내면과 상기 타측내면을 연결하여 상기 일측 내측 공간과 상기 타측 내측 공간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2관의 단부가 위치되는 공간인 연결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일측내면과 단을 이루는 연결내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측결합부는,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타측너트부, 상기 연결본체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본체부와 상기 제2 관의 외측 사이를 밀폐하는 타측고무패킹 및 상기 제2 관에 삽입되어 상기 타측고무패킹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제한부를 구비하고,
    상기 타측내면은,
    상기 타측고무패킹이 접촉되는 제1 타측내면 및 상기 제1 타측내면과 상기 연결내면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2 관과 이격되는 제2 타측내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타측내면과 상기 제2 타측내면은 경사진 단을 이루어 연결되어, 상기 타측본체부에서 상기 일측본체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 내측 공간의 직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되며,
    상기 타측고무패킹은,
    상기 제1 타측내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2 관과 상기 타측본체부 사이를 밀폐하는 제1 패킹본체부, 상기 제1 패킹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패킹본체부와 상기 제2 관 사이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2 관에 밀착되는 제2 패킹본체부 및 상기 제1 패킹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어 상기 타측본체부의 단부에 걸쳐지게 배치되는 제3 패킹본체부를 구비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은,
    오목둘레부와 상기 오목둘레부보다 직경이 더 큰 볼록둘레부가 교차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내면은,
    상기 제2 관의 단부로서 오목둘레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공간인 연결공간을 제공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결합부는,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는 일측너트부 및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과 상기 일측너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너트부가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정도가 커질수록 상기 일측너트부에 의해 상기 제1 관을 가압하는 압착링을 구비하고,
    상기 압착링은,
    상기 제1 관이 삽입되도록 내측에 개구된 공간을 제공하는 압착본체부 및 회전되면서 상기 일측너트부가 상기 연결본체부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압착본체부가 상기 일측너트부 또는 상기 제1 관으로부터 슬립되지 않도록 상기 압착본체부와 상기 제1 관을 서로 매개하는 미끄럼방지부를 구비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본체부는,
    상기 압착본체부의 일단부와 상기 압착본체부의 타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압착본체부의 일단부 및 상기 압착본체부의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압착본체부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너트부는,
    양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관으로 외삽되면서 상기 일측본체부에 결합되는 일측너트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측너트본체부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일단부 방향으로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타단부에 경사진 면인 일측그립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너트부는,
    상기 일측그립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일측너트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너트돌출부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그립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본체부는,
    상기 일측본체부에 상기 일측너트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일측너트부의 돌출된 높이보다 더 낮은,
    이종관 연결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2항,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은,
    동관 또는 SUS 관인,
    이종관 연결 조립체.

KR1020210077337A 2021-06-15 2021-06-15 주름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KR102507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337A KR102507004B1 (ko) 2021-06-15 2021-06-15 주름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337A KR102507004B1 (ko) 2021-06-15 2021-06-15 주름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951A KR20220167951A (ko) 2022-12-22
KR102507004B1 true KR102507004B1 (ko) 2023-03-06

Family

ID=8457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337A KR102507004B1 (ko) 2021-06-15 2021-06-15 주름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0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37B1 (ko) * 2001-04-19 2007-12-27 필맥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파이프 커플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1067A (ja) * 1993-03-31 1994-10-07 Shinwa Sangyo Kk 配管用の継手装置
KR101980544B1 (ko) * 2018-04-27 2019-08-28 목성균 주름관 연결장치
KR20200067557A (ko) * 2018-12-04 2020-06-12 김완구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37B1 (ko) * 2001-04-19 2007-12-27 필맥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파이프 커플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951A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9028A1 (en) Improved pipe coupling seal
JP2006518833A (ja) 直線ネジの設けられた調整可能なポート端部
KR102507004B1 (ko) 주름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US7467814B2 (en) Flange
US20200025314A1 (en) Coupling for fluid line assemly
KR20200008939A (ko) 에어컨 실외기용 수지코팅 알루미늄 배관 연결구
KR102528146B1 (ko) 폴리올레핀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KR102035976B1 (ko) 원터치 결합 구조 및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이음관
KR102528144B1 (ko) 이종관 연결구
KR102507002B1 (ko) 설치 및 보수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이종관 연결 조립체
RU2369800C2 (ru) Фитинг для монтажа и демонтажа труб
KR101870214B1 (ko) 파이프 이음구 어셈블리
WO2022083640A1 (zh) 防拆连接件及防拆连接组件
KR100454565B1 (ko)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US20090039649A1 (en) Anti-leakage and Anti-Cracking Connection Hose
JP6924254B2 (ja) 流体閉塞用プラグ
KR200333861Y1 (ko) 파이프의 단부 밀폐용 마개
KR100962461B1 (ko) 배관용 커플링
KR20210001307U (ko) 에어컨 실외기용 수지코팅 알루미늄관 연결장치
KR100568879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488599Y1 (ko) 이음관용 패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음관
KR102380190B1 (ko) 새들 분수전의 피이관 연결 장치
CN215410812U (zh) 一种活接由令式丝堵
CN210799859U (zh) 一种厂房建设用管道连接件
KR100723003B1 (ko) 관연결구의 패킹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