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146B1 - 폴리올레핀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146B1
KR102528146B1 KR1020210077338A KR20210077338A KR102528146B1 KR 102528146 B1 KR102528146 B1 KR 102528146B1 KR 1020210077338 A KR1020210077338 A KR 1020210077338A KR 20210077338 A KR20210077338 A KR 20210077338A KR 102528146 B1 KR102528146 B1 KR 102528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pipe
nut
connection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7952A (ko
Inventor
김완구
Original Assignee
김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구 filed Critical 김완구
Priority to KR1020210077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146B1/ko
Publication of KR20220167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 F16L47/2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for joints between metal and plastic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는, 제1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고,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연결본체부;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1 관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일측결합부; 및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2 관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타측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본체부는, 상기 제1 관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일측 내측 공간을 제공하는 일측내면 및 상기 제2 관이 외삽되며 상기 제1 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상기 제2 관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일측내면과 단을 이루는 가이드내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HETEROGENEOUS PIPE CONNECTION ASSEMBLY BETWEEN POLYOLEFIN PIPE AND GENERAL PIPE}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관과 일반배관을 긴밀하게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냉난방, 급수 등을 위해 동파이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관뿐만 아니라, 폴리부틸렌, 가교화된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계열과 PVC, PPC 등의 플라스틱관 등도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술한 관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 관 연결구인데, 이는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관과 관을 기밀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장치이다.
한편, 관 연결 시에는 동종 재질의 관뿐만 아니라, 이종 재질의 관들을 서로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 바, 이를 위해서는 금속관과 제1 관이음쇠의 연결시공, 플리스틱관과 제2 관이음쇠의 연결시공, 그리고 상술한 제1 관 이음쇠와 제2 관이음쇠 간의 연결시공, 즉 3번의 연결시공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총 3번의 연결시공을 수행하게 되면 작업자의 작업 속도는 현저하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연결시공을 함에 있어서 필요한 부품의 수 마저도 증가하게 되므로 경제적인 측면까지도 상당히 비효율적이었다.
따라서, 관 연결구가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체결의 용이함, 파이프와의 양호한 체결상태 유지, 기밀성의 향상과 더불어서 다른/같은 재질을 서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관 연결구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배관을 긴밀하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는, 제1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고,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연결본체부;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1 관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일측결합부; 및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2 관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타측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본체부는, 상기 제1 관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일측 내측 공간을 제공하는 일측내면 및 상기 제2 관이 외삽되며 상기 제1 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상기 제2 관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일측내면과 단을 이루는 가이드내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내면은, 수평적이게 연장되는 제1 일측내면 및 상기 제1 일측내면과 상기 가이드내면에 연결되는 제2 일측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일측내면은, 상기 가이드내면에서 상기 제1 일측내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본체부는,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일측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가이드돌출부와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가이드돌출부와 이격되게 상기 제2 일측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가이드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결합부는,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는 일측너트부 및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과 상기 일측너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너트부가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정도가 커질수록 상기 일측너트부에 의해 상기 제1 관을 가압하는 압착링을 구비하고, 상기 압착링은, 상기 제1 관이 삽입되도록 내측에 개구된 공간을 제공하는 압착본체부 및 회전되면서 상기 일측너트부가 상기 연결본체부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압착본체부가 상기 일측너트부 또는 상기 제1 관으로부터 슬립되지 않도록 상기 압착본체부와 상기 제1 관을 서로 매개하는 미끄럼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본체부는, 상기 압착본체부의 일단부와 상기 압착본체부의 타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압착본체부의 일단부 및 상기 압착본체부의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압착본체부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본체부는, 중심본체부, 상기 중심본체부로부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너트부가 나사 결합되어 삽입되는 일측본체부 및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타측결합부가 나사 결합되어 삽입되는 타측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측너트부는, 양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관으로 외삽되면서 상기 일측본체부에 결합되는 일측너트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측너트본체부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일단부 방향으로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타단부에 경사진 면인 일측그립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너트부는, 상기 일측그립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일측너트돌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너트돌출부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그립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본체부는, 상기 일측본체부에 상기 일측너트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일측너트부의 돌출된 높이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관은, 동관 또는 SUS 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에 따르면, 작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설치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구비하는 연결본체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측너트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구비하는 압착링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는, 제1 관(P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고, 제2 관(P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연결본체부(100),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일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1 관(P11)이 상기 연결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일측결합부(200) 및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타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2 관(P12)이 상기 연결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타측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P11)과 제2 관(P12)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관일 수 있다.
일례로, 제1관은 동관 또는 SUS 관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관(P12)은 엑셀관으로서,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관(P11) 및/또는 제2 관(P12)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측결합부(200)는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는 일측너트부(210) 및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일단과 상기 일측너트부(2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너트부(210)가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일단에 결합되는 정도가 커질수록 상기 일측너트부(210)에 의해 상기 제1 관(P11)을 가압하는 압착링(22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결합부(200)는 상기 연결본체부(100)에 삽입되어 연결본체부(100)와 제1 관(P11)의 외측 사이를 밀폐하는 일측밀폐부(230) 및 상기 압착링(220)과 상기 일측밀폐부(230) 사이에 배치되는 일측와셔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측밀폐부(23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일측밀폐부(230)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측밀폐부(230)와 일측와셔부(240)는 제1 관(P11)에 외삽될 수 있다.
상기 타측결합부(300)는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타측너트부(310) 및 상기 제2 관(P12)에 외삽되어 상기 타측너트부(310)가 연결본체부(100)에 결합되는 것에 따라 제2 관(P12)을 가압하는 타측가압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구비하는 연결본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본체부(100)는 중심본체부(110), 상기 중심본체부(110)로부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너트부(210)가 나사 결합되어 삽입되는 일측본체부(120) 및 상기 중심본체부(110)로부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타측결합부(300)가 나사 결합되어 삽입되는 타측본체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본체부(100)는 상기 중심본체부(110)와 연결되며 상기 타측본체부(130)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며 제2 관이 외삽되는 가이드본체부(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본체부는 연결본체부(100)의 일단부에서 연결본체부(100)의 타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후술하는 제2 일측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돌출부(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중심본체부(110)는 내측에 양측으로 개방된 공동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중심본체부(110)는 외측면의 둘레가 육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본체부(120)는 상기 중심본체부(110)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일측본체부(120)는 원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내측에는 상기 중심본체부(110)의 내측 공간과 서로 연결되도록 양측으로 개방된 공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본체부(120)의 외측면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측너트부(210)가 상기 일측본체부(120)에 결합되어도 상기 중심본체부(110)와 이격되도록, 상기 일측본체부(120) 나사산은 상기 중심본체부(110)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본체부(120)의 내측 공동에는 일측밀폐부(230), 일측와셔부(240) 및 압착링(220)이 차례로 삽입될 수 있다.
일측본체부(120)은 제1 관(P11)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일측 내측 공간(S120)을 제공하는 내면인 일측내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측내면(P121, P122, P123)은 수평적이게 연장되는 제1 일측내면(P121) 및 상기 제1 일측내면과 후술하는 가이드내면(P140)에 연결되는 제2 일측내면(P12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내면은 상기 제1 일측내면(P121)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일측내면(P122)과 대향되게 상기 제1 일측내면(P121)과 연결되는 제3 일측내면(P12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일측내면(P122)은 가이드내면(P140)에서 상기 제1 일측내면(P121)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일측내면(P123)은 상기 제1 일측내면(P121)와 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유체의 유동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함일 수 있다.
타측본체부(130)는 상기 중심본체부(110)로부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타측본체부(130)는 원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내측에 가이드본체부(140)가 위치되고, 제2 관(P12)이 위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타측본체부(130)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타측너트부(310)가 타측 본체부에 결합되어도 상기 중심본체부(110)와 이격되도록 상기 타측너트부(310)의 나사산은 상기 중심본체부(110)와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본체부(140)는 타측본체부(130)로부터 일측본체부(120)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본체부(140)에는 제2 관이 외삽될 수 있다.
가이드본체부(140)는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양측으로 개방된 공간인 가이드공간(S14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본체부(140)는 상기 제2 관이 외삽되며 상기 제1 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상기 제2 관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공간(S140)을 제공하며 상기 일측내면과 단을 이루는 가이드내면(P14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가이드돌출부(150)는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일단부에서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타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일측내면(P122)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가이드돌출부(150a)와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일단부에서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타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가이드돌출부(150a)와 이격되게 상기 제2 일측내면(P122)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가이드돌출부(150b)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가이드돌출부(150)는 제1 가이드돌출부 내지 제N 가이드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N은 2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가이드돌출부들은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가이드공간(S140)의 길이 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제2 일측내면(P122)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출부는 제2 일측내면에 접착물질에 의해 접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가이드돌출부의 형성 과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일측본체부를 음각하여 제2 일측내면 형성하는 과정에서, 일 부분을 음각하지 않아 가이드돌출부와 제2 일측내면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돌출부의 개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가이드공간의 단면의 직경은 일측 내측 공간의 단면 평균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관에서 제2 관으로 유체가 유동되는 경우, 제2 일측내면(P122)에 유체가 충돌되면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출부(150)는 유체가 제2 일측내면(P122)을 따라서 일측 내측 공간에서 가이드공간(S140)으로 효과적으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측너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일측너트부(210)는 양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관(P11)에 외삽되면서 상기 일측본체부(120)에 결합되는 일측너트본체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일측너트본체부(211)는 상기 일측본체부(120)에 외삽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개구된 공동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일측너트본체부(211)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너트본체부(211)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211)의 타단부에서 상기 일측너트본체부(211)의 일단부 방향으로 상기 일측너트본체부(211)의 타단부에 경사진 면인 일측그립경사면(R2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측너트본체부(211)의 측면의 단면은 육각형을 이룰 수 있다.
즉, 일측너트본체부(211)는 제1 너트측면(T211) 내지 제6 너트측면(T216)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각의 너트측면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그립경사면(R211)은 너트측면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그립경사면(R211)은 일측너트본체부(211)의 타단부의 외측둘레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너트측면의 연결되는 부분을 주로 그립하기 때문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타측너트부는 양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관(P12)에 외삽되면서 상기 타측본체부(130)에 결합되는 타측너트본체부(3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타측너트본체부(311)는 상기 타측너트본체부(311)의 타단부에서 상기 타측너트본체부(311)의 일단부 방향으로 상기 타측너트본체부(311)의 타단부에 경사진 면인 타측그립경사면(R3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타측너트부의 구조적인 형상은 일측너트부와 동일할 수 있으며, 연결본체부에 결합되는 위치와 크기에 있어서만 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일측너트부의 기술적 특징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타측너트부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구비하는 압착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압착링(220)은 상기 제1 관(P11)이 삽입되도록 내측에 개구된 공간을 제공하는 압착본체부(221) 및 회전되면서 상기 일측너트부(210)가 상기 연결본체부(10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압착본체부(221)가 상기 일측너트부(210) 또는 상기 제1 관(P11)으로부터 슬립되지 않도록 상기 압착본체부(221)와 상기 제1 관(P11)을 서로 매개하는 미끄럼방지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착본체부(221)는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일단부와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타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개부(S221)를 형성할 수 잇다.
압착본체부(221)는 외측면의 일 부분으로서 제1 압착외측면(221a) 및 상기 제1 압착외측면(221a)으로부터 경사진 제2 압착외측면(221b)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압착외측면(221a)에서 제2 압착외측면(221b)의 경사는 제1 압착외측면(221a)을 기준으로 18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기울기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일단부 및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일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일단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일단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타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타단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압착본체부(221)의 타단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222)는 압착본체부(221)의 단부에 접착물질에 접착될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미끄럼방지부의 제조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링 형상의 모체의 일부 부분을 절삭 기구로 절개하면서 압착본체부와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일 부분이 절개된 모체의 단부에 프레스 압력을 인가한 뒤에, 모체의 단부를 가공하여 압착본체부와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를 향하는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미끄럼방지부(222)는 일측너트부(210)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중심을 향하는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미끄럼방지부(222)는 제1 관(P11)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일측너트부(210) 또는 상기 제1 관(P11)에 접촉되는 일면이 불균일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미끄럼방지부(222)의 기능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측너트본체부(211)가 일측본체부(120)에 최대로 결합되더라도 일측너트본체부(211)는 중심본체부(110)와 이격될 수 있다.
일측너트본체부(211)가 일측본체부(120)에 최대로 결합된다는 것의 의미는, 일측너트본체부(211)가 중심본체부(110)에 최대로 가까워진 경우를 말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일측너트본체부(211)를 용이하게 그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타측너트본체부(311)가 타측본체부(130)에 최대로 결합되더다도 타측너트본체부(311)는 중심본체부(110)와 이격될 수 있다.
타측너트본체부(311)가 타측본체부(130)에 최대로 결합된다는 것의 의미는, 타측너트본체부(311)가 중심본체부(110)에 최대로 가까워진 경우를 말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타측너트본체부(311)를 용이하게 그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상기 일측본체부(120)에 상기 일측너트부(3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본체부(120)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일측너트부(210)의 돌출된 높이보다 상기 일측본체부(120)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중심본체부(110)의 높이가 더 낮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일측너트본체부(211)를 용이하게 그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작업자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를 이용하여 제1 관과 제2 관을 서로 연결하려고 하기 위해, 먼저 일측본체부(120)로부터 일측너트부(210)를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일측너트부(210)를 회전시켜 일측본체부(120)로부터 일측너트부(210)를 분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타측본체부(130)에 상기 타측너트부(3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타측본체부(130)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타측너트부(310)의 돌출된 높이보다 상기 타측본체부(130)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중심본체부(110)의 높이가 더 낮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타측너트본체부(311)를 용이하게 그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작업자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를 이용하여 제1 관과 제2 관을 서로 연결하려고 하기 위해, 타측본체부(130)로부터 타측너트부(310)를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타측너트부(310)를 회전시켜 타측본체부(130)로부터 타측너트부(310)를 분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일측밀폐부(230), 일측와셔부(240), 압착링(220) 및 일측너트부(210)가 제1 관(P11)에 외삽된 상태로 제1 관(P11)은 중심본체부(110)의 일측 개구 공간에 인입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일측너트부(210)가 일측본체부(120) 상에서 회전되면서 일측너트부(210)는 중심본체부(110) 쪽으로 위치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압착외측면(221a, 도 5 참조)으로부터 돌출된 미끄럼방지부(222, 도 5 참조)는 일측너트부(210)의 내면과 접촉될 수도 있고, 이격될 수도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일측너트부(210)가 일측본체부(120) 상에서 계속해서 회전되면서 일측너트부(210)는 중심본체부(110) 쪽으로 더욱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일측너트부(210)의 내면에 형성된 경사면이 제2 압착외측면(221b, 도 5 참조)을 가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절개부(S221)의 크기가 점점 줄어들면서 제2 압착외측면(221b)을 가지는 압착본체부(221)가 제1 관(P11)을 향하여 조여질 수 있다.
이 때, 제2 압착외측면(221b)으로부터 돌출된 미끄럼방지부(222)는 일측너트부(210)의 내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압착본체부(22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미끄럼방지부(222)는 제1 관(P11)과 접촉될 수 있다.
압착본체부(22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미끄럼방지부(222)는 제1 관(P11)의 길이 방향으로 제1 관(P11)이 위치 이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압착본체부(22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미끄럼방지부(222)는 일측너트부(210)가 회전되어 일측너트본체부(211)에 조여진 상태가 약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조립체가 포함하는 일측결합보의 일측너트부(1200)는 일측너트본체부(1211)에 형성된 일측그립경사면(R211)으로부터 돌출되는 일측너트돌출부(12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일측그립경사면(R211)에 접착 물질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일측너트돌출부(1212)의 제조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일측너트본체부(1211)의 일측그립경사면(R211)을 음각하여 형성하는 과정에서 음각의 정도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그립경사면(R211)은 이웃되는 너트측면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양측의 너트 측면으로 퍼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사용자의 손이 일측그립경사면(R211) 상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일측그립경사면(R21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121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그립경사면(R21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일측너트본체부(1211)의 타단에서 일단 방향으로 일측너트본체부(1211)에 외력을 인가하기 때문일 수 있다.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복수개가 일측그립경사면(R21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일측너트돌출부(1212)의 배열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121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나의 링 형상으로서 일측그립경사면(R21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일측그립경사면과 일측너트돌출부로 인해, 사용자는 편리하게 일측너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조립체가 포함하는 일측결합보의 타측너트부(1300)는 타측너트본체부(1311)에 형성된 타측그립경사면(R311)으로부터 돌출되는 타측너트돌출부(1312)를 구비할 수 있다.
타측너트부의 구조적인 형상은 일측너트부와 동일할 수 있으며, 연결본체부에 결합되는 위치와 크기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타측너트돌출부는 돌출되는 위치에서 일측너트돌출부와 차이가 존재할 뿐 다른 기술적 특징은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타측그립경사면과 타측너트돌출부로 인해, 사용자는 편리하게 타측너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타측그립경사면과 타측너트돌출부로 인해, 사용자는 편리하게 타측너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노후되거나 한파로 인해 관에 작은 홀 등의 결함이 발생되는 경우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 이 때, 홀등이 형성된 관의 부위를 절단하고, 본 발명의 이종관 연결구를 상호 절단된 관에 연결함으로써, 간단하고 효율적인 연결 보수 시공을 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연결본체부 200 : 일측결합부
300 : 타측결합부

Claims (10)

  1. 제1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고,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연결본체부;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1 관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일측결합부; 및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2 관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타측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본체부는,
    중심본체부,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결합부가 나사 결합되어 삽입되는 일측본체부 및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타측결합부가 나사 결합되어 삽입되는 타측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측결합부는,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는 일측너트부, 상기 연결본체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본체부와 상기 제1 관의 외측 사이를 밀폐하는 일측밀폐부,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과 상기 일측너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너트부가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정도가 커질수록 상기 일측너트부에 의해 상기 제1 관을 가압하는 압착링 및 상기 압착링과 상기 일측밀폐부 사이에 배치되는 일측와셔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착링은,
    상기 제1 관이 삽입되도록 내측에 개구된 공간을 제공하는 압착본체부 및 회전되면서 상기 일측너트부가 상기 연결본체부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압착본체부가 상기 일측너트부 또는 상기 제1 관으로부터 슬립되지 않도록 상기 압착본체부와 상기 제1 관을 서로 매개하는 미끄럼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착본체부는,
    상기 압착본체부의 일단부와 상기 압착본체부의 타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압착본체부의 일단부 및 상기 압착본체부의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압착본체부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본체부는,
    상기 제1 관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일측 내측 공간을 제공하는 일측내면 및 상기 제2 관이 외삽되며 상기 제1 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수가 상기 제2 관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일측내면과 단을 이루는 가이드내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공간의 단면의 직경은 상기 일측 내측 공간의 단면 평균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일측내면은,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 방향으로 수평적이게 연장되는 제1일측내면 및 상기 제1일측내면의 끝단에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내면과 연결되는 제2일측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일측내면은,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일측내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돌출부는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며,
    상기 일측너트부는,
    양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관으로 외삽되면서 상기 일측본체부에 결합되는 일측너트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측너트본체부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일단부 방향으로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타단부에 경사진 면인 일측그립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너트부는,
    상기 일측그립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일측너트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너트돌출부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그립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본체부는,
    상기 일측본체부에 상기 일측너트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일측너트부의 돌출된 높이보다 더 낮은,
    이종관 연결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은,
    동관 또는 SUS 관인,
    이종관 연결 조립체.

KR1020210077338A 2021-06-15 2021-06-15 폴리올레핀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KR102528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338A KR102528146B1 (ko) 2021-06-15 2021-06-15 폴리올레핀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338A KR102528146B1 (ko) 2021-06-15 2021-06-15 폴리올레핀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952A KR20220167952A (ko) 2022-12-22
KR102528146B1 true KR102528146B1 (ko) 2023-05-02

Family

ID=84578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338A KR102528146B1 (ko) 2021-06-15 2021-06-15 폴리올레핀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1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37B1 (ko) * 2001-04-19 2007-12-27 필맥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파이프 커플링
KR100951886B1 (ko) * 2009-09-14 2010-04-13 (주)어쌤이앤씨 유속 저감 유수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178A (ko) * 2017-07-12 2019-01-22 (주)태양테크 배관조립이 용이한 배관 유니언
KR20200067557A (ko) * 2018-12-04 2020-06-12 김완구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37B1 (ko) * 2001-04-19 2007-12-27 필맥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파이프 커플링
KR100951886B1 (ko) * 2009-09-14 2010-04-13 (주)어쌤이앤씨 유속 저감 유수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952A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0799B2 (en) Tube coupling
US6488318B1 (en) Piping joint and integrated valve with it
US8752867B2 (en) Sanitary hose coupling
US8960683B2 (en) Pipe coupling seal
KR102528146B1 (ko) 폴리올레핀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KR200452046Y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KR102507004B1 (ko) 주름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KR102528144B1 (ko) 이종관 연결구
KR102507002B1 (ko) 설치 및 보수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이종관 연결 조립체
US6860522B1 (en) Connector fitting for a high pressure hose
KR101870214B1 (ko) 파이프 이음구 어셈블리
KR200488599Y1 (ko) 이음관용 패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음관
US6832624B1 (en) Plumbing tool and method for repairing a pipe therewith
KR101053127B1 (ko) 금속 파이프용 이음구
KR102417758B1 (ko) 스크류 결합구조를 갖는 호스 커넥팅 어셈블리
CN215410812U (zh) 一种活接由令式丝堵
EP0541469B1 (fr) Raccords pour tubes en matière synthétique et procédé de montage de tels raccords
KR20090002233U (ko) 냉온수 분배기
KR20210062554A (ko) 튜브 피팅장치
KR200261460Y1 (ko) 분배기에 결합되는 피비파이프의 연결보조기구
KR200455569Y1 (ko) 누설방지용 파이프 이음
FR2557258A1 (fr) Raccord pour tubes souples
WO2000046538A1 (en) Tube joint
GB2444196A (en) Plumb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