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460Y1 - 분배기에 결합되는 피비파이프의 연결보조기구 - Google Patents

분배기에 결합되는 피비파이프의 연결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460Y1
KR200261460Y1 KR2020010033630U KR20010033630U KR200261460Y1 KR 200261460 Y1 KR200261460 Y1 KR 200261460Y1 KR 2020010033630 U KR2020010033630 U KR 2020010033630U KR 20010033630 U KR20010033630 U KR 20010033630U KR 200261460 Y1 KR200261460 Y1 KR 200261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ubber ring
phoebe
cap nut
grip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화
Original Assignee
홍성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화 filed Critical 홍성화
Priority to KR20200100336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460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급수나 난방을 위하여 사용되는 분배기 등에 연질의 피비(PB)파이프를 연결할 경우에 피비파이프의 정확한 장착을 위한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 분배기에는 연결배관이 형성되어 건물등의 설비시설인 배관파이프와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은 연결부속이나 밸브등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연결배관이 지면으로 향하고 있어, 연결부속이나 밸브와 연결시키기 위하여는 파이프를 밑에서 위로 밀어 올려서 끼워야 함으로 고정을 위한 그립링과 기밀유지를 위한 고무링과 그립링과 고무링의 밀착시에 고무링의 파손방지를 위한 왓샤 등을 끼워야 함으로 피비파이프의 고정작업의 불편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정확한 고정이 용이치 못한 단점이 있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피비파이프에 끼워지는 고무 링과 와샤 및 그립 링을 역순으로 삽입시킬 수 있는 내입홈과 내입홈의 외측으로는 사사산이 형성되어 중앙이 개구되어진 캡너트를 나사결합하여 상기 캡너트의 개구되어진 부분으로 피비파이프를 끼우면 피비파이프에 그립링, 왓샤 및 고무링과 캡너트가 형성되어짐으로서 밸브등의 연결작업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배관용

Description

분배기에 결합되는 피비파이프의 연결보조기구{Connection aid instrument of P.B in combination with division machinery}
본 고안은 배관용 피비파이프를 분배기 등에 연결할 경우에 정확한 연결을위하여 사용되는 연결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비파이프에 끼워지는 그립링 등이 역순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캡너트의 중앙에 개구되어진 부분으로 피비파이프를 삽입하면 분배기 등에 연결하기 위한 피비파이프에 그립링 등이 정확하게 장착토록 한 것이다.
현재 배관재로 사용되는 피비(Polybuthylene) 파이프는 높은 인장강도와 내파열성, 내마모성, 내열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반영구적인 배관재로서 그 효용가치가 높고 특히 배관 작업시에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히 배관을 행할 수 있어 공사기간과 인건비 등의 공사비 절감효과가 큰데 반하여 원자재의 가격이 높아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고, 단지 실내의 상수 배관이나 유체의 이송이 위생적으로 행해져야 할 곳 등 경제적인 측면으로 인하여 비교적 작은 직경의 관으로 사용이 가능한 극히 일부로만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피비파이프로 이루어진 배관파이프를 분배기 등에 연결토록 하기 위하여는 피비파이프에 캡너트가 끼워진 상태에서 기밀유지용 고무 링과 간극조절용 와샤 및 피비파이프의 고정을 위한 그립 링이 차례로 끼워진 후 그 상태에서 피비파이프를 분배기등의 연결부속이나 밸브등에 끼운 후 캡너트를 이용하여 연결부속이나 밸브등에 나사결합함으로서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그립링이 피비파이프에 끼워지는 위치가 연결부속에 삽입되어지는 위치보다 너무 많이 끼워질 경우에는 연결이 불가능하여 피비파이프에 그립링을 미리 일정위치까지 끼우기가 곤란한 것이어서, 통상 그립링이 약간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부속이나 밸브등에 밀어 넣음으로서 그립링의 끼워지는 위치가 정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그립링은 피비파이프에 끼워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토록 하기 위하여 그립링에는 다수개의 경사날이 형성되어 있고, 경사날의 선단에서 연결되는 내경은 피비파이프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끼움시에 상당한 가압력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압이 부족할 경우에는 덜끼워진 상태에서 피비파이프가 연결부속에 연결되는 것이어서 수압에 의하여 빠짐이 발생되거나 기밀유지가 미숙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당한 가압력으로 가압하여야 하나 이러한 가압작업을 위하여는 어느 정도의 작업공간이 요구되고 있으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 등이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연결부속에 피비파이프를 밀어올려 끼우기 위한 가압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 통상 작업자는 작업의 불편함으로 적당한 상태까지 만을 밀어올리게 됨으로 설치 후에는 하자발생의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한 것으로,
별도의 보조기구의 선단으로 피비파이프에 끼워지는 고무 링과 와샤 및 그립 링을 역순으로 삽입시킬 수 있는 내입홈을 형성한 후 내입홈의 외측으로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고무링과 왓샤 및 그립링이 끼워진 상태에서 중앙이 개구되어진 캡너트가 나사 결합된 후 상기 캡너트의 중앙에 개구되어진 부분으로 피비파이프를 밀어 끼운 후에 나사산에 나사결합된 캡너트를 분리하면 피비파이프에 그립링등이 정학한위치에 끼워져 있게 됨으로 분배기 등의 연결부속에 연결작업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연결보조기구에 파이프가 결합되는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2는 연결보조기구에서 파이프가 이탈된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4는 손잡이의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몸체 12: 손잡이
100: 배관파이프 200: 내입홈
200a: 나사산 300a: 분배기 연결구
210: 그립링 220: 와샤
230: 고무링 240: 캡 너트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는 구조상의 기능이 동일할 경우에는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손잡이가 형성되는 보조기구의 선단에 그립링(210), 왓샤(220)와 고무링(230)이 삽입될 수 있는 내입홈(200)이 형성되고 내입홈(200)의 외주연으로는 캡너트(24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200a)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한 내입홈(200)과 나사산(200a)은 피비파이프(100)가 분배기(300)에 결합되는 밸브 등의 연결부속(300a)과 동일한 구조 즉 나사산의 외경과 내입홈의 깊이가 갖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내입홈과 나사산은 손잡이가 형성된 보조기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보조기구의 선단에 별도의 내입홈과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구(2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조기구의 손잡이는 손잡이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적당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기구의 몸체(10)는 휴대가 편하도록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가공되어질 수도 있으며 강재로 제조될 수도 있는 등 소재의 제한이 없는 것이고, 몸체(10)에서 내입홈(200)과 나사산(200a)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내입홈(200)과 나사산(200a)만을 분리된 상태에서 별도의 연결구로 제작하여 탈착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피비파이프의 서로 다른 규격에 사용할 경우에 연결구(20)의 선택사용으로 규격이 서로 다른 피비파이프에도 하나의 보조기구로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연결구(20)의 결합은 회동되지 않토록 결합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방식은 연결구의 일측의 면취하는 방법등을 사용하는 것이고, 이러한 방식은 주지 관용화 된 기술이다.
따라서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연결보조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선단에 형성된 내입홈(200)으로 그립링(210)과 와샤(220) 및 고무링(230)을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캡 너트(240)를 체결한 후 접속을 행하고자 하는 배관파이프(100) 에 보조기구의 손잡이를 잡고 밀어 넣으면 되는 것이다.
밀어 넣음이 종료된 후 나사산에 체결된 캡 너트(240)를 해체하면 배관에 필요한 그립링(210)과 와샤(220) 및 고무링(230)이 피비파이프(100)의 소정위치까지 삽입되어 있음으로서 연결부속(300a)과의 접속이 쉽고 간편하며 신속하게 행하여 지면서도 정확한 연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신속하고 완전하게 고정된 연결구에 고정된 배관파이프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공사에 요하는 시간을 줄임으로서 공사비의 절감을 이루고 완전한 관 접속을 행할 수 있음으로서 누수 등의 우려가 없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보조기구의 몸체의 선단으로 내입홈을 형성하고, 내입홈의 외주연으로는 캡너트로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피비파이프 연결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보조기구의 몸체 선단으로 내입홈과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구가 탈착이 가능하게 조립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피비파이프 연결보조기구.
KR2020010033630U 2001-11-02 2001-11-02 분배기에 결합되는 피비파이프의 연결보조기구 KR200261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630U KR200261460Y1 (ko) 2001-11-02 2001-11-02 분배기에 결합되는 피비파이프의 연결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630U KR200261460Y1 (ko) 2001-11-02 2001-11-02 분배기에 결합되는 피비파이프의 연결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460Y1 true KR200261460Y1 (ko) 2002-01-23

Family

ID=7311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630U KR200261460Y1 (ko) 2001-11-02 2001-11-02 분배기에 결합되는 피비파이프의 연결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4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5876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pressure gauge to a pipe
US10663094B2 (en) Fitting to connect water pipes
DK161477B (da) Slange- eller roerkobling
KR20010040307A (ko) 배관용 조인트 및 이 조인트가 일체로 형성된 밸브
JP2006518833A (ja) 直線ネジの設けられた調整可能なポート端部
KR200452046Y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KR200452369Y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KR200261460Y1 (ko) 분배기에 결합되는 피비파이프의 연결보조기구
KR100765881B1 (ko) 급수관 연결구
CN209943769U (zh) 一种管件快速接驳可调节锁紧装置
KR101676320B1 (ko)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
KR20170004074U (ko) 수도배관 연결구
KR20160095571A (ko)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
KR200246583Y1 (ko) 플라스틱 관 연결구
CN219527992U (zh) 一种墙面封孔装置
KR102528146B1 (ko) 폴리올레핀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KR102528144B1 (ko) 이종관 연결구
CN215178370U (zh) 密封性测试夹具
KR200269745Y1 (ko) 메타폴 관의 이음쇠
KR20090002233U (ko) 냉온수 분배기
KR200492191Y1 (ko) 조임표시형 배관연결장치
KR102507002B1 (ko) 설치 및 보수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이종관 연결 조립체
KR20110009602A (ko) 수도꼭지의 호스 연결용 커플링
KR200390670Y1 (ko) 일체형 배관용 어댑터
KR200286782Y1 (ko) 보일러용 온수 분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