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002B1 - 설치 및 보수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이종관 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설치 및 보수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이종관 연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002B1
KR102507002B1 KR1020210077339A KR20210077339A KR102507002B1 KR 102507002 B1 KR102507002 B1 KR 102507002B1 KR 1020210077339 A KR1020210077339 A KR 1020210077339A KR 20210077339 A KR20210077339 A KR 20210077339A KR 102507002 B1 KR102507002 B1 KR 102507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grip
nut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7953A (ko
Inventor
김완구
Original Assignee
김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구 filed Critical 김완구
Priority to KR1020210077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00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7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 F16L47/2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for joints between metal and plastic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는, 제1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고,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연결본체부;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1 관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일측결합부; 및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2 관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타측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본체부는, 굽어진 측면을 가지는 중심본체부,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결합부가 결합되는 일측본체부,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타측결합부가 결합되는 타측본체부 및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그립 수단이 파지할 수 있도록 평면인 측면을 가지는 그립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설치 및 보수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이종관 연결 조립체{HETEROGENEOUS PIPE CONNECTION ASSEMBLY FOR EFFICIENCY IN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
본 발명은 설치와 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이종관 연결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냉난방, 급수 등을 위해 동파이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관뿐만 아니라, 폴리부틸렌, 가교화된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계열과 PVC, PPC 등의 플라스틱관 등도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술한 관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 관 연결구인데, 이는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관과 관을 기밀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장치이다.
한편, 관 연결 시에는 동종 재질의 관뿐만 아니라, 이종 재질의 관들을 서로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 바, 이를 위해서는 금속관과 제1 관이음쇠의 연결시공, 플리스틱관과 제2 관이음쇠의 연결시공, 그리고 상술한 제1 관 이음쇠와 제2 관이음쇠 간의 연결시공, 즉 3번의 연결시공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총 3번의 연결시공을 수행하게 되면 작업자의 작업 속도는 현저하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연결시공을 함에 있어서 필요한 부품의 수 마저도 증가하게 되므로 경제적인 측면까지도 상당히 비효율적이었다.
따라서, 관 연결구가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체결의 용이함, 파이프와의 양호한 체결상태 유지, 기밀성의 향상과 더불어서 다른/같은 재질을 서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관 연결구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 효율성을 극대화한 이종관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는, 제1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고,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연결본체부;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1 관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일측결합부; 및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2 관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타측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본체부는, 굽어진 측면을 가지는 중심본체부,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결합부가 결합되는 일측본체부,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타측결합부가 결합되는 타측본체부 및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그립 수단이 파지할 수 있도록 평면인 측면을 가지는 그립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중심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 축에서 상기 중심본체부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법선벡터를 가지는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 그립부 및 상기 중심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그립부와 대향되게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제2 그립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그립부는, 상기 제1 그립부의 측면의 일부가 함입되어 제1 슬립방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그립부는, 상기 제2 그립부의 측면의 일부가 함입되어 제2 슬립방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슬립방지부는, 상기 제2 그립부의 측면과 동일 면상의 상기 제2 슬립방지부의 영역보다 상기 제1 그립부의 측면과 동일 면상의 상기 제1 슬립방지부의 영역이 더 넓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결합부는,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는 일측너트부 및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과 상기 일측너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너트부가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정도가 커질수록 상기 일측너트부에 의해 상기 제1 관을 가압하는 일측압착링을 구비하고, 상기 일측압착링은, 상기 제1 관이 삽입되도록 내측에 개구된 공간을 제공하는 일측압착본체부 및 회전되면서 상기 일측너트부가 상기 연결본체부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일측압착본체부가 상기 일측너트부 또는 상기 제1 관으로부터 슬립되지 않도록 상기 일측압착본체부와 상기 제1 관을 서로 매개하는 일측미끄럼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압착본체부는, 상기 일측압착본체부의 일단부와 상기 일측압착본체부의 타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일측절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일측미끄럼방지부는, 상기 일측압착본체부의 일단부 및 상기 일측압착본체부의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일측압착본체부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본체부는, 중심본체부, 상기 중심본체부로부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너트부가 나사 결합되어 삽입되는 일측본체부 및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타측결합부가 나사 결합되어 삽입되는 타측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측너트부는, 양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관으로 외삽되면서 상기 일측본체부에 결합되는 일측너트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측너트본체부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일단부 방향으로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타단부에 경사진 면인 일측그립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너트부는, 상기 일측그립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일측너트돌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너트돌출부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그립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에 따르면, 작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설치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구비하는 연결본체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측너트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측압착링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는, 제1 관(P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고, 제2 관(P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연결본체부(100),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일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1 관(P11)이 상기 연결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일측결합부(200) 및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타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2 관(P12)이 상기 연결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타측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P11)과 제2 관(P12)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관일 수 있다.
일례로, 제1관은 동관 또는 SUS 관일 수 있다.
일례로, 제2 관도 동관 또는 SUS 관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관(P11) 및/또는 제2 관(P12)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측결합부(200)는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는 일측너트부(210) 및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일단과 상기 일측너트부(2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너트부(210)가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일단에 결합되는 정도가 커질수록 상기 일측너트부(210)에 의해 상기 제1 관(P11)을 가압하는 일측압착링(22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결합부(200)는 상기 연결본체부(100)에 삽입되어 연결본체부(100)와 제1 관(P11)의 외측 사이를 밀폐하는 일측밀폐부(230) 및 상기 일측압착링(220)과 상기 일측밀폐부(230) 사이에 배치되는 일측와셔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측밀폐부(23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일측밀폐부(230)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측밀폐부(230)와 일측와셔부(240)는 제1 관(P11)에 외삽될 수 있다.
타측결합부(300)는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타측너트부(310) 및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일단과 상기 타측너트부(3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타측너트부(310)가 상기 연결본체부(10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정도가 커질수록 상기 타측너트부(310)에 의해 상기 제2 관(P12)을 가압하는 타측압착링(32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결합부(300)는 상기 연결본체부(100)에 삽입되어 연결본체부(100)와 제2 관(P12)의 외측 사이를 밀폐하는 타측밀폐부(330) 및 상기 타측압착링(320)과 상기 타측밀폐부(330) 사이에 배치되는 타측와셔부(3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타측밀폐부(33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타측밀폐부(330)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타측밀폐부(330)와 타측와셔부(340)는 제2 관(P12)에 외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구비하는 연결본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본체부(100)는 중심본체부(110), 상기 중심본체부(110)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너트부(210)가 나사 결합되어, 일측너트부(210)에 삽입되는 일측본체부(120) 및 상기 중심본체부(110)로부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타측결합부(300)가 나사 결합되어, 타측너트부(310)에 삽입되는 타측본체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본체부(100)는 상기 중심본체부(110)로부터 돌출되어 그립 수단이 파지할 수 있도록 평면인 측면을 가지는 그립부(140a, 140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중심본체부(110)는 라운드 형상의 굽어진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중심본체부(110)는 내측에 공동을 제공하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중심본체부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상기 일측본체부(120)는 상기 중심본체부(110)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일측본체부(120)는 원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내측에는 상기 중심본체부(110)의 내측 공간과 서로 연결되도록 양측으로 개방된 공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본체부(120)의 외측면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일측본체부(120)의 내측 공동에는 일측밀폐부(230), 일측와셔부(240) 및 일측압착링(220)이 차례로 삽입될 수 있다.
타측본체부(130)는 상기 중심본체부(110)로부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타측본체부(130)는 원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내측에는 상기 중심본체부(110)의 내측 공간과 서로 연결되도록 양측으로 개방된 공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본체부(130)의 외측면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타측본체부(130)의 내측 공동에는 타측밀폐부(330), 타측와셔부(340) 및 타측압착링(320)이 차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는 상기 중심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 축(N10)에서 상기 중심본체부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법선벡터(B10)를 가지는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일측너트부(210, 도 2 참조)가 일측본체부()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그립 수단(일례로, 공구)를 활용하여 일측너트부(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중심본체부(1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다른 그립 수단을 이용하여 중심본체부(110)가 그립될 수 있다.
여기서, 중심본체부(110)의 파손을 방지하고 그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립부(140a, 140b)가 중심본체부(110)로부터 돌출되어 그립 수단이 파지할 수 있는 면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140a, 140b)는 상기 중심본체부(110)로부터 돌출되는 제1 그립부(140a) 및 상기 중심본체부(11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그립부(140a)와 대향되게 상기 중심본체부(110)로부터 돌출되는 제2 그립부(140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부(140a)의 측면의 일부가 함입되어 제1 슬립방지부(140a-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그립부(140b)의 측면의 일부가 함입되어 제2 슬립방지부(140b-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립방지부(140a-1)와 제2 슬립방지부(140b-1)는 그립 수단이 그립부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립 수단이 그립부로부터 슬립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그립부(140b)의 측면과 동일 면상의 상기 제2 슬립방지부(140b-1)의 영역보다 상기 제1 그립부(140a)의 측면과 동일 면상의 상기 제1 슬립방지부(140a-1)의 영역이 더 넓을 수 있다.
그립 장치가 물체를 그립하는 원리 상, 그립 장치가 그립부의 법선벡터의 반대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하는 동시에, 그립부의 측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립 장치가 물체를 그립하는 원리 상, 하나의 그립부에 작용하는 외력인 다른 하나의 그립부에 작용하는 외력보다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 그립부(140a)의 측면이 더 많이 함입되어 슬립방지부()가 더 많이 형성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슬립을 예방할 수 있다.
제1 슬립방지부와 및/또는 제2 슬립방지부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제1 슬립방지부 및/또는 제2 슬립방지부는 임의의 패턴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제1 슬립방지부 및/또는 제2 슬립방지부는 정보 전달력을 가지는 도형, 문자 및/또는 기호일 수 있다.
일례로, 그립 수단은 몽키스패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그립 수단은 소정의 물체를 파지하여 외력을 인가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일례로, 그립 수단은 작업자의 손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측너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일측너트부(210)는 양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관(P11)에 외삽되면서 상기 일측본체부(120)에 결합되는 일측너트본체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일측너트본체부(211)는 상기 일측본체부(120)에 외삽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개구된 공동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일측너트본체부(211)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너트본체부(211)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211)의 타단부에서 상기 일측너트본체부(211)의 일단부 방향으로 상기 일측너트본체부(211)의 타단부에 경사진 면인 일측그립경사면(R2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측너트본체부(211)의 측면의 단면은 육각형을 이룰 수 있다.
즉, 일측너트본체부(211)는 제1 너트측면(T211) 내지 제6 너트측면(T216)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각의 너트측면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그립경사면(R211)은 너트측면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그립경사면(R211)은 일측너트본체부(211)의 타단부의 외측둘레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너트측면의 연결되는 부분을 주로 그립하기 때문일 수 있다.
상기 일측그립경사면(R211)은 이웃되는 너트측면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양측의 너트 측면으로 퍼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타측너트부는 양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관(P12)에 외삽되면서 상기 타측본체부(130)에 결합되는 타측너트본체부(3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타측너트본체부(311)는 상기 타측너트본체부(311)의 타단부에서 상기 타측너트본체부(311)의 일단부 방향으로 상기 타측너트본체부(311)의 타단부에 경사진 면인 타측그립경사면(R3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타측너트부의 구조적인 형상은 일측너트부와 동일할 수 있으며, 연결본체부에 결합되는 위치와 크기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일측너트부의 기술적 특징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타측너트부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측압착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일측압착링(220)은 상기 제1 관(P11)이 삽입되도록 내측에 개구된 공간을 제공하는 일측압착본체부(221) 및 회전되면서 상기 일측너트부(210)가 상기 연결본체부(10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일측압착본체부(221)가 상기 일측너트부(210) 또는 상기 제1 관(P11)으로부터 슬립되지 않도록 상기 일측압착본체부(221)와 상기 제1 관(P11)을 서로 매개하는 일측미끄럼방지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일측압착본체부(221)는 상기 일측압착본체부(221)의 일단부와 상기 일측압착본체부(221)의 타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일측절개부(S221)를 형성할 수 잇다.
일측압착본체부(221)는 외측면의 일 부분으로서 제1 일측압착외측면(221a) 및 상기 제1 일측압착외측면(221a)으로부터 경사진 제2 일측압착외측면(221b)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일측압착외측면(221a)에서 제2 일측압착외측면(221b)의 경사는 제1 일측압착외측면(221a)을 기준으로 18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기울기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일측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일측압착본체부(221)의 일단부 및 상기 일측압착본체부(221)의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일측압착본체부(221)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일측압착본체부(221)의 일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일측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일측압착본체부(221)의 일단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일측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일측압착본체부(221)의 일단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일측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일측압착본체부(221)의 타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일측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일측압착본체부(221)의 타단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일측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일측압착본체부(221)의 타단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측미끄럼방지부(222)는 일측압착본체부(221)의 단부에 접착물질에 접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일측미끄럼방지부의 제조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링 형상의 모체의 일부 부분을 절삭 기구로 절개하면서 일측압착본체부와 일측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일 부분이 절개된 모체의 단부에 프레스 압력을 인가한 뒤에, 모체의 단부를 가공하여 일측압착본체부와 일측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를 향하는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일측미끄럼방지부(222)는 일측너트부(210)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중심을 향하는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일측미끄럼방지부(222)는 제1 관(P11)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일측미끄럼방지부(222)는 상기 일측너트부(210) 또는 상기 제1 관(P11)에 접촉되는 일면이 불균일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일측미끄럼방지부(222)의 기능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타측압착링의 구조적인 형상은 일측압착링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종관 연결 조립체에 위치되는 위치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일측압착링의 기술적 특징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타측압착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타측압착링은 타측압착본체부와 타측미끌럼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타측압착본체에는 타측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타측압착본체부는 제1 타측압착외측면과 제2 타측압착외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일측본체부(120)에 상기 일측너트부(210)가 결합된 경우, 상기 중심본체부(110)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본체부(110)의 가상의 중심 축에서 상기 중심본체부(110)의 외측면 방향으로 상기 일측너트부(210)의 측면이 더 돌출되도록 상기 일측너트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일측너트부(210)를 회전시켜 일측본체부(120)로부터 일측너트부(210)를 분리시키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함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타측본체부(130)에 상기 타측너트부(310)가 결합된 경우, 상기 중심본체부(110)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본체부(110)의 가상의 중심 축에서 상기 중심본체부(110)의 외측면 방향으로 상기 타측너트부(310)의 측면이 더 돌출되도록 상기 타측너트부(3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타측너트부(310)를 회전시켜 타측본체부(130)로부터 타측너트부(310)를 분리시키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함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일측밀폐부(230), 일측와셔부(240), 일측압착링(220) 및 일측너트부(210)가 제1 관(P11)에 외삽된 상태로 제1 관(P11)은 중심본체부(110)의 일측 개구 공간에 인입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일측너트부(210)가 일측본체부(120) 상에서 회전되면서 일측너트부(210)는 중심본체부(110) 쪽으로 위치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압착외측면(221a, 도 5 참조)으로부터 돌출된 일측미끄럼방지부(222, 도 5 참조)는 일측너트부(210)의 내면과 접촉될 수도 있고, 이격될 수도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일측너트부(210)가 일측본체부(120) 상에서 계속해서 회전되면서 일측너트부(210)는 중심본체부(110) 쪽으로 더욱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일측너트부(210)의 내면에 형성된 경사면이 제2 일측압착외측면(221b, 도 5 참조)을 가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일측절개부(S221)의 크기가 점점 줄어들면서 제2 일측압착외측면(221b)을 가지는 일측압착본체부(221)가 제1 관(P11)을 향하여 조여질 수 있다.
이 때, 제2 일측압착외측면(221b)으로부터 돌출된 일측미끄럼방지부(222)는 일측너트부(210)의 내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일측압착본체부(22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일측미끄럼방지부(222)는 제1 관(P11)과 접촉될 수 있다.
일측압착본체부(22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일측미끄럼방지부(222)는 제1 관(P11)의 길이 방향으로 제1 관(P11)이 위치 이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일측압착본체부(22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일측미끄럼방지부(222)는 일측너트부(210)가 회전되어 일측너트본체부(211)에 조여진 상태가 약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타측결합부가 타측본체부에 결합되는 방식의 상술한 내용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포함하는 일측결합부의 일측너트부(1200)는 일측너트본체부(1211)에 형성된 일측그립경사면(R211)으로부터 돌출되는 일측너트돌출부(12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사용자의 손이 일측그립경사면(R211) 상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일측그립경사면(R21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121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그립경사면(R21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일측너트본체부(1211)의 타단에서 일단 방향으로 일측너트본체부(1211)에 외력을 인가하기 때문일 수 있다.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일측그립경사면(R211)에 접착 물질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일측너트돌출부(1212)의 제조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일측너트본체부(1211)의 일측그립경사면(R211)을 음각하여 형성하는 과정에서 음각의 정도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복수개가 일측그립경사면(R21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일측너트돌출부(1212)의 배열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일측너트돌출부(1212)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121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나의 링 형상으로서 일측그립경사면(R21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일측그립경사면과 일측너트돌출부로 인해, 사용자는 편리하게 일측너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관 연결 조립체가 포함하는 일측결합부의 타측너트부(1300)는 타측너트본체부(1311)에 형성된 타측그립경사면(R311)으로부터 돌출되는 타측너트돌출부(13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타측너트부의 구조적인 형상은 일측너트부와 동일할 수 있으며, 연결본체부에 결합되는 위치와 크기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타측너트돌출부는 돌출되는 위치에서 일측너트돌출부와 차이가 존재할 뿐 다른 기술적 특징은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타측그립경사면과 타측너트돌출부로 인해, 사용자는 편리하게 타측너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노후되거나 한파로 인해 관에 작은 홀 등의 결함이 발생되는 경우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 이 때, 홀등이 형성된 관의 부위를 절단하고, 본 발명의 이종관 연결구를 상호 절단된 관에 연결함으로써, 간단하고 효율적인 연결 보수 시공을 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연결본체부 200 : 일측결합부
300 : 타측결합부

Claims (9)

  1. 제1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고,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연결본체부;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1 관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일측결합부; 및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2 관이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타측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본체부는,
    굽어진 측면을 가지는 중심본체부,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결합부가 결합되는 일측본체부,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타측결합부가 결합되는 타측본체부 및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그립 수단이 파지할 수 있도록 평면인 측면을 가지는 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 그립부 및 상기 중심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그립부와 대향되게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제2 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립부는 상기 제1 그립부의 측면의 일부가 함입되어 제1 슬립방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그립부는 상기 제2 그립부의 측면의 일부가 함입되어 제2 슬립방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슬립방지부는, 상기 제2 그립부의 측면과 동일 면상의 상기 제2 슬립방지부의 영역보다 상기 제1 그립부의 측면과 동일 면상의 상기 제1 슬립방지부의 영역이 더 넓도록 형성된,
    이종관 연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중심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 축에서 상기 중심본체부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법선벡터를 가지는 측면을 가지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결합부는,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는 일측너트부 및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과 상기 일측너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너트부가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정도가 커질수록 상기 일측너트부에 의해 상기 제1 관을 가압하는 일측압착링을 구비하고,
    상기 일측압착링은,
    상기 제1 관이 삽입되도록 내측에 개구된 공간을 제공하는 일측압착본체부 및 회전되면서 상기 일측너트부가 상기 연결본체부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일측압착본체부가 상기 일측너트부 또는 상기 제1 관으로부터 슬립되지 않도록 상기 일측압착본체부와 상기 제1 관을 서로 매개하는 일측미끄럼방지부를 구비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압착본체부는,
    상기 일측압착본체부의 일단부와 상기 일측압착본체부의 타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일측절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일측미끄럼방지부는,
    상기 일측압착본체부의 일단부 및 상기 일측압착본체부의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일측압착본체부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본체부는,
    중심본체부,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너트부가 나사 결합되어 삽입되는 일측본체부 및 상기 중심본체부로부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타측결합부가 나사 결합되어 삽입되는 타측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측너트부는,
    양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관으로 외삽되면서 상기 일측본체부에 결합되는 일측너트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측너트본체부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일단부 방향으로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타단부에 경사진 면인 일측그립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너트부는,
    상기 일측그립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일측너트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너트돌출부는,
    상기 일측너트본체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그립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KR1020210077339A 2021-06-15 2021-06-15 설치 및 보수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이종관 연결 조립체 KR102507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339A KR102507002B1 (ko) 2021-06-15 2021-06-15 설치 및 보수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이종관 연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339A KR102507002B1 (ko) 2021-06-15 2021-06-15 설치 및 보수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이종관 연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953A KR20220167953A (ko) 2022-12-22
KR102507002B1 true KR102507002B1 (ko) 2023-03-06

Family

ID=84578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339A KR102507002B1 (ko) 2021-06-15 2021-06-15 설치 및 보수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이종관 연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0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37B1 (ko) * 2001-04-19 2007-12-27 필맥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파이프 커플링
KR101555964B1 (ko) * 2015-02-10 2015-09-25 주식회사 하이스텐 관 연결 소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557A (ko) * 2018-12-04 2020-06-12 김완구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37B1 (ko) * 2001-04-19 2007-12-27 필맥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파이프 커플링
KR101555964B1 (ko) * 2015-02-10 2015-09-25 주식회사 하이스텐 관 연결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953A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1728B2 (en) Pipe-coupling device
US4817997A (en) Hose coupling
US6488318B1 (en) Piping joint and integrated valve with it
EP2664833B1 (en) Restraint Seal
US5213375A (en) Quick pipe connector
US9447904B2 (en) Hose coupling
CN212616854U (zh) 防拆接头及防拆接头组件
KR102507002B1 (ko) 설치 및 보수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이종관 연결 조립체
KR101478746B1 (ko) 파이프 압착 연결구
US20200025314A1 (en) Coupling for fluid line assemly
JPH0160714B2 (ko)
KR102507004B1 (ko) 주름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KR102528146B1 (ko) 폴리올레핀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US4238132A (en) Connector
KR102528144B1 (ko) 이종관 연결구
KR200165067Y1 (ko) 관연결구
KR102341427B1 (ko) 공간 분할형 그립링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장치
US20030080563A1 (en) Irrigation valve
KR200333861Y1 (ko) 파이프의 단부 밀폐용 마개
KR200416998Y1 (ko) 원터치 배관 연결소켓
CN215410812U (zh) 一种活接由令式丝堵
CN215928454U (zh) 阀门总成和发动机总成
JP2000193157A (ja) 管継手
KR200179786Y1 (ko) 호스 연결구
KR200488599Y1 (ko) 이음관용 패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