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964B1 - 관 연결 소켓 - Google Patents

관 연결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964B1
KR101555964B1 KR1020150019926A KR20150019926A KR101555964B1 KR 101555964 B1 KR101555964 B1 KR 101555964B1 KR 1020150019926 A KR1020150019926 A KR 1020150019926A KR 20150019926 A KR20150019926 A KR 20150019926A KR 101555964 B1 KR101555964 B1 KR 101555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clined surface
packing
slop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스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스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스텐
Priority to KR1020150019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964B1/ko
Priority to CN201580057496.9A priority patent/CN107148529B/zh
Priority to PCT/KR2015/010643 priority patent/WO20160641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접하여 있는 한 쌍의 관을 연결하는 관 연결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이 삽입되는 중공체 형상으로, 양단의 내주면에는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나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면에 각각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면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나사면의 후단은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조임너트와; 관이 삽입되는 중공체 형상으로, 일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패킹과; 관이 삽입되는 중공체 형상으로, 일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조임너트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암링과; 상기 패킹과 암링 사이에 결합되는 와셔: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임너트를 회전시켜 조이면 상기 패킹의 경사면과 암링의 경사면이 각각 접촉하고 있는 하우징의 경사면과 조임너트의 경사면에 의해 압박되면서 직경이 줄어들게 되어 암링의 중공홀에 삽입되어 있는 관의 외주면을 고정하는 것이 특징인 관 연결 소켓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관 연결 소켓은 하우징과 조임너트가 나사결합되어 조임력이 우수하며, 하우징과 패킹 그리고 조임너트와 암링이 서로 경사면에 의해 접촉되어 있으므로 밀착력이 우수하여 유체의 유출이 방지되고, 또한 암링의 좌우 형상을 달리하여 이종관의 결합에도 매우 유용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 연결 소켓{Socket to connect pipe}
본 발명은 근접하여 있는 한 쌍의 관을 연결하는 관 연결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패킹 그리고 조임너트와 암링이 서로 경사면에 의해 접촉되어 있으므로 밀착력이 우수하여 유체의 유출이 방지 및 암링의 형태를 변형시켜 이종재질의 관을 연결할 수 있는 관 연결 소켓에 관한 것이다.
관 연결구 또는 관 연결 소켓은 근접하여 있는 한 쌍의 파이프 또는 관을 연결하는 소켓으로서, 관의 내부로 이동하는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막음 처리가 완벽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 연결 소켓의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996-0007436호에 한 쪽 단부에 소켓과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본체 ; 상기 본체의 접속부에 한 쪽 단부가 접속되며, 다른 단부에 배관이 삽입되고, 상기 배관이 삽입되는 단부 주위의 내주면에 바깥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가 설치된 소켓 ; 일정한 범위에서는 진퇴가능하도록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인써트 ; 및 상기 소켓의 내주면과 인써트 사이에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도록 끼워지는 콜릿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가 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3-0004986호에 관 연결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파이프형상의 몸체(1) 내면에 단턱(1a)과 고정홈(1b)을 형성하여 O-링(2)(3)을 삽입하고, 단부에는 외부로 확장되는 경사면(1C)을 형성하여 이와 동일한 경사면(4a)을 갖는 C형 멈춤링(4)을 삽입하며, 상기 C형 멈춤링(4)의 외측에서 몸체(1)와의 사이에 간격(C)이 유지되게 구멍(5a)이 뚫린 너트(5)를 몸체(1) 주연의 수나사(1d)와 나사결합하여 상기 너트(5) 체결시 C형 멈춤링(4)이 슬라이딩하면서 관(A)(B) 외부에 강제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열거한 종래기술은 근접하는 한 쌍의 관을 연결하더라도 내부로 유동하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대부분 동일소재의 관을 연결하는 소켓으로만 사용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우징과 패킹 그리고 조임너트와 암링이 서로 경사면에 의해 접촉되어 있으므로 밀착력이 우수하여 유체의 유출이 방지 및 암링의 형태를 변환하여 이종재질의 관을 연결할 수 있는 관 연결 소켓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은 관이 삽입되는 중공체 형상으로, 양단의 내주면에는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나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면에 각각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면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나사면의 후단은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조임너트와; 관이 삽입되는 중공체 형상으로, 일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패킹과; 관이 삽입되는 중공체 형상으로, 일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조임너트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암링과; 상기 패킹과 암링 사이에 결합되는 와셔: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임너트를 회전시켜 조이면 상기 패킹의 경사면과 암링의 경사면이 각각 접촉하고 있는 하우징의 경사면과 조임너트의 경사면에 의해 압박되면서 직경이 줄어들게 되어 암링의 중공홀에 삽입되어 있는 관의 외주면을 고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관 연결 소켓은 하우징과 조임너트가 나사결합되어 조임력이 우수하며, 하우징과 패킹 그리고 조임너트와 암링이 서로 경사면에 의해 접촉되어 있으므로 밀착력이 우수하여 유체의 유출이 방지되고, 또한 암링의 좌우 형상을 달리하여 이종관의 결합에도 매우 유용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일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하우징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조임너트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패킹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와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암링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패킹, 와셔, 암링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 관 연결 소켓(100)은 관(200)이 삽입되는 중공체 형상으로, 양단의 내주면에는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경사면(112)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나사면(111)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면(111)에 각각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면(121)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나사면(121)의 후단은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경사면(123)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조임너트(120)와; 관(200)이 삽입되는 중공체 형상으로, 일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경사면(112)에 대응하는 경사면(131)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패킹(130)과; 관(200)이 삽입되는 중공체 형상으로, 일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조임너트(120)의 경사면(123)에 대응하는 경사면(151)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암링(150)과; 상기 패킹(130)과 암링(150) 사이에 결합되는 와셔(140):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10)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임너트(120)를 회전시켜 조이면 상기 패킹(130)의 경사면(112)과 암링(150)의 경사면(151)이 각각 접촉하고 있는 하우징(110)의 경사면(112)과 조임너트(120)의 경사면(123)에 의해 압박되면서 직경이 줄어들게 되어 암링(150)의 중공홀에 삽입되어 있는 관(200)의 외주면을 고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면(112)에는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걸림홈(11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임너트(120)를 회전시켜 조이면 상기 패킹(130)의 경사면(131)이 하우징(110)의 경사면(112)을 따라 내부로 점점 삽입되면서 패킹(130)의 경사면(131) 상부에 형성된 꼭지부(132)는 상기 하우징(110)의 걸림홈(113)에 삽입되어 패킹(130)과 하우징(110)은 더욱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한 쌍의 암링(150) 중 어느 하나의 암링(150)의 내부면에는 경사면이 후방으로 하향하는 복수의 쇄기형 돌기(152)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 다른 암링(150)이 측면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의 직경이 줄어드는 직원뿔대형 돌기(154)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직원뿔대형 돌기(154)는 테이퍼진 외측면이 각각 암링(150)의 내외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일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하우징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조임너트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패킹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와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암링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관 연결 소켓의 패킹, 와셔, 암링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 관 연결 소켓(100)은 중공체 형상의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120)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과 조임너트(120) 사이에 패킹(130), 와셔(140), 암링(150)이 순차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하우징(110)은 내부 중공홀로 관(200)이 삽입되는 중공체 형상으로서, 양단의 내주면에는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경사면(112)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나사면(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양단에는 조임너트(120)가 체결되게 된다.
상기 조임너트(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면(111)에 체결되기 위해 내주면에는 나사면(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면(121)의 후단은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경사면(12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조임너트(12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미끄럼방지돌기(도면부호 미도시)이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과 조임너트(120) 사이에는 패킹(130), 와셔(140), 그리고 암링(150)이 구성되게 되는데, 패킹(130)의 전면부 측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경사면(112)에 대응하는 경사면(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부 측은 후방에 결합되는 와셔(140)가 걸릴 수 있도록 단턱(1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와셔(140)의 후방에는 관(200)이 삽입되는 중공체 형상으로서, 일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조임너트(120)의 경사면(123)에 대응하는 경사면(151)이 형성되어 있는 암링(150)이 체결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0)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임너트(120)를 회전시켜 조이면 상기 패킹(130)의 경사면(131)과 암링(150)의 경사면(151)이 각각 접촉하고 있는 하우징(110)의 경사면(112)과 조임너트(120)의 경사면(123)에 의해 압박되면서 직경이 줄어들게 되어 중공홀에 삽입되어 있는 관(200)의 외주면을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특히,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면(112)에는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걸림홈(11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임너트(120)를 회전시켜 조이면 상기 패킹(130)의 경사면(131)이 하우징(110)의 경사면(112)을 따라 내부로 점점 삽입되면서 패킹(130)의 경사면(131) 상부에 형성된 꼭지부(132)가 상기 하우징(110)의 걸림홈(113)에 삽입되어 패킹(130)과 하우징(110)은 더욱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암링(150)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홈(15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임너트(120)를 회전시켜 조이면 암링(150)의 직경은 줄어들게 되어 중공홀에 삽입되어 있는 관(200)을 더욱 견고히 조이게 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암링(150) 중 어느 하나의 암링(150)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쇄기형 돌기(152)가 형성되어 있어, 조임너트(120)를 회전시켜 암링(150)을 압박하게 되면 쇄기형 돌기(152)가 관(200)의 외주면을 압박하게 되어 더욱 견고하게 관(200)이 결속되는 것이다.
상기 암링(150)에 형성된 쇄기형 돌기(152)는 쇄기형상으로 하우징(110)의 중심부로 향하여 상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관(200)을 삽입하기 위하여 조임너트(120)를 조이게 되면 쇄기형상의 돌기(152)가 관(200)의 외주면을 압박하게 되면서 요홈(210)을 형성하여 관(200)을 하우징(110)의 중심부로 이끌고 들어가게 되며, 반대로 조임너트(120)를 회전시키면 쇄기형 돌기(152)의 경사면에 의해 쉽게 빠져나오는 구조이다.
특히, 상기 암링(150)에 형성된 돌기(152)는 원주방향뿐만 아니라 길이방향으로도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더욱 견고히 관(200)을 압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또 다른 암링(150)이 측면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의 직경이 줄어드는 직원뿔대형 돌기(154)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직원뿔대형 돌기(154)는 테이퍼진 외측면이 각각 암링(150)의 내외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직원뿔대형 돌기(154)는 합성수지재의 암링(150)에 인서트 사출방법으로 일체화하게 된다.
따라서, 쇄기형 돌기(152)가 형성된 암링(150)으로는 합성수지 재질의 관(200)이 삽입되고, 직원뿔대형 돌기(154)가 형성된 암링(150)으로는 금속재질의 관(200)이 삽입되게 됨으로써, 서로 다른 이종재질의 관(200)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우징(110)은 내부 중공홀로 관(200)이 삽입되는 중공체 형상으로, 양단의 내주면에는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경사면(112)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나사면(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조임너트(120)는 하우징(110)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면(111)에 각각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면(1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나사면(121)의 후단은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경사면(1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경사면(123)이 형성된 후면부는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패킹(130), 와셔(140), 암링(150)을 조여 압박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조임턱(122)이라 명한다.
본 발명의 패킹(130)은 내부 중공홀로는 관(200)이 삽입되는 중공체 형상으로서, 패킹(130)의 일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경사면(112)에 대응하는 경사면(1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상기 패킹(130)은 자체 탄성이 있는 합성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으로, 경사면(112)의 상부 측 꼭지부(132)는 경사면(112)보다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와셔(140)는 금속재질의 링형상으로서 특히, 패킹(130)의 후단이 삽입되도록 패킹(130)이 삽입되는 전면부의 두께가 후면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제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암링(150)은 내부 중공홀로 관(200)이 삽입되는 중공체 형상으로, 암링(150)의 일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조임너트(120)의 경사면(123)에 대응하는 경사면(1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관 연결 소켓은 하우징과 조임너트가 나사결합되어 조임력이 우수하며, 하우징과 패킹 그리고 조임너트와 암링이 서로 경사면에 의해 접촉되어 있으므로 밀착력이 우수하여 유체의 유출이 방지되고, 또한 암링의 좌우 형상을 달리하여 이종관의 결합에도 매우 유용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소켓
110. 하우징 111. 나사면 112. 경사면
113. 걸림홈
120. 조임너트 121. 나사면 122. 조임턱
123. 경사면
130. 패킹 131. 경사면 132. 꼭지부
133. 단턱
140. 와셔
150. 암링 151. 경사면 152. 쇄기형 돌기
153. 절개홈 154. 직원뿔대형 돌기
200. 관 210. 요홈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관(200)이 삽입되는 중공체 형상으로, 양단의 내주면에는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경사면(112)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나사면(111)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면(111)에 각각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면(121)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나사면(121)의 후단은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경사면(123)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조임너트(120)와;
    상기 관(200)이 삽입되는 중공체 형상으로, 일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경사면(112)에 대응하는 경사면(131)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패킹(130)과;
    상기 관(200)이 삽입되는 중공체 형상으로, 일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조임너트(120)의 경사면(123)에 대응하는 경사면(151)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암링(150)과;
    상기 패킹(130)과 암링(150) 사이에 결합되는 와셔(140):
    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10)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임너트(120)를 회전시켜 조이면 상기 패킹(130)의 경사면(131)과 암링(150)의 경사면(151)이 각각 접촉하고 있는 하우징(110)의 경사면(112)과 조임너트(120)의 경사면(123)에 의해 압박되면서 직경이 줄어들게 되어 암링(150)의 중공홀에 삽입되어 있는 관(200)의 외주면을 고정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면(112)에는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걸림홈(11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임너트(120)를 회전시켜 조이면 상기 패킹(130)의 경사면(131)이 하우징(110)의 경사면(112)을 따라 내부로 점점 삽입되면서 패킹(130)의 경사면(131) 상부에 형성된 꼭지부(132)는 상기 하우징(110)의 걸림홈(113)에 삽입되어 패킹(130)과 하우징(110)은 더욱 견고하게 체결되고,
    상기 한 쌍의 암링(150) 중 어느 하나의 암링(150)의 내부면에는 경사면이 후방으로 하향하는 복수의 쇄기형 돌기(152)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 다른 암링(150)의 측면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의 직경이 줄어드는 직원뿔대형 돌기(152)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관 연결 소켓.
KR1020150019926A 2014-10-22 2015-02-10 관 연결 소켓 KR101555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926A KR101555964B1 (ko) 2015-02-10 2015-02-10 관 연결 소켓
CN201580057496.9A CN107148529B (zh) 2014-10-22 2015-10-08 管连接插座
PCT/KR2015/010643 WO2016064118A1 (ko) 2014-10-22 2015-10-08 관 연결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926A KR101555964B1 (ko) 2015-02-10 2015-02-10 관 연결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964B1 true KR101555964B1 (ko) 2015-09-25

Family

ID=5424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926A KR101555964B1 (ko) 2014-10-22 2015-02-10 관 연결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96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681B1 (ko) * 2016-08-30 2017-05-29 김완구 파이프 연결밸브
KR101861431B1 (ko) * 2016-06-15 2018-05-28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파이프 조인트의 고무링구조
CN109114338A (zh) * 2018-10-08 2019-01-01 陈清龙 一种管件的插合卡扣连接件
KR102005741B1 (ko) 2018-12-27 2019-07-31 (주)준성이엔씨 수도배관 이음구
CN110566732A (zh) * 2019-09-23 2019-12-13 黄子颢 一种管道连接件
KR20200120813A (ko) * 2019-04-12 2020-10-2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에틸렌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KR20220167953A (ko) * 2021-06-15 2022-12-22 김완구 설치 및 보수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이종관 연결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067Y1 (ko) * 1999-07-22 2000-02-15 권윤노 관연결구
JP2001021042A (ja) 1999-07-07 2001-01-26 Riken Corp メカニカル式管継手
JP2013221586A (ja) * 2012-04-17 2013-10-28 Inoue Sudare Kk 管継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1042A (ja) 1999-07-07 2001-01-26 Riken Corp メカニカル式管継手
KR200165067Y1 (ko) * 1999-07-22 2000-02-15 권윤노 관연결구
JP2013221586A (ja) * 2012-04-17 2013-10-28 Inoue Sudare Kk 管継手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431B1 (ko) * 2016-06-15 2018-05-28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파이프 조인트의 고무링구조
KR101736681B1 (ko) * 2016-08-30 2017-05-29 김완구 파이프 연결밸브
CN109114338A (zh) * 2018-10-08 2019-01-01 陈清龙 一种管件的插合卡扣连接件
CN109114338B (zh) * 2018-10-08 2024-03-15 陈清龙 一种管件的插合卡扣连接件
KR102005741B1 (ko) 2018-12-27 2019-07-31 (주)준성이엔씨 수도배관 이음구
KR20200120813A (ko) * 2019-04-12 2020-10-2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에틸렌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KR102179856B1 (ko) * 2019-04-12 2020-11-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에틸렌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CN110566732A (zh) * 2019-09-23 2019-12-13 黄子颢 一种管道连接件
KR20220167953A (ko) * 2021-06-15 2022-12-22 김완구 설치 및 보수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이종관 연결 조립체
KR102507002B1 (ko) * 2021-06-15 2023-03-06 김완구 설치 및 보수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이종관 연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964B1 (ko) 관 연결 소켓
KR101548111B1 (ko) 관 연결 소켓
US7878555B2 (en) Coupling device for circular pipes
US6435568B1 (en) Tube joint having tightening member for accommodating tubes of varying wall thickness
KR20160005645A (ko) 파이프 조인트
US4082326A (en) Compressible member for use in compression joint pipe connector
CA2618331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hoses
WO2016117581A1 (ja) 樹脂製管継手構造
KR200474790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170001915U (ko) 개선된 가스배관용 클램프
JPWO2018079633A1 (ja) シール構造およびシール方法ならびにこのシール構造を備えた継手
KR10215736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US7699357B2 (en) Coupling for tubes
JP5515495B2 (ja) 継手
JP3506669B2 (ja) 継 手
GB2091364A (en) Fluid-tight seal
JP3564389B2 (ja) 継手
TWM595182U (zh) 管接頭裝置
KR200142429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WO2018079632A1 (ja) シール構造およびシール方法ならびにこのシール構造を備えた継手
KR970028028A (ko) 관 죠인트
JP2003222276A (ja) 管の継手構造
KR200373381Y1 (ko) 파이프 조인트
KR200473400Y1 (ko) 파이프와 연결관의 연결장치
KR200322158Y1 (ko) 압륜을 갖는 오수관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