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681B1 - 파이프 연결밸브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681B1
KR101736681B1 KR1020160111021A KR20160111021A KR101736681B1 KR 101736681 B1 KR101736681 B1 KR 101736681B1 KR 1020160111021 A KR1020160111021 A KR 1020160111021A KR 20160111021 A KR20160111021 A KR 20160111021A KR 101736681 B1 KR101736681 B1 KR 101736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ipe
washer
compression ring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구
Original Assignee
김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구 filed Critical 김완구
Priority to KR1020160111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33/2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a clamping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threaded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밸브는 밸브 및 고정너트와 상기 밸브와 고정너트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 와셔 및 압착링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파이프 연결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일단에 경사진 패킹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은 링 형상을 가지되 상기 패킹결합홈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며, 상기 와셔는 링 형상을 가지며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압착링은 링 형상을 가지되 일측이 절개되어 외압 발생 시 직경이 축소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의 편리함과 동시에 파이프와의 양호한 결합상태와 기밀함이 유지될 수 있다. 특히 가압너트와 밸브 사이에 배치된 압착링과 와셔가 서로 중첩되는 사면구조를 이루어져, 각 부재간 밀착력과 확장성을 배가시켜 연결밸브로서의 기밀성은 물론 체결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밸브{PIPE CONNECTING VALVE}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파이프와의 양호한 결합상태와 기밀함이 유지되고, 특히 가압너트와 밸브 사이에 배치된 압착링과 와셔가 서로 중첩되는 사면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각 부재간 밀착력과 확장성을 배가시켜 기밀성은 물론 체결력을 높일 수 있는 파이프 연결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연결구는 유체가 외부로 누설이 방지되도록 파이프와 파이프를 기밀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장치이다. 종래의 관 연결구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34887호에 관 이음쇠(이라 '선행문헌'이라 함.)로서 등록된 바 있다.
선행문헌은 관을 삽입하는 내주면에 단턱과 경사면이 형성되는 니플과, 상기 관에 끼워지면서 상기 니플에 결합되고 내주면 일측에 경사단턱이 형성되는 고정너트로 이루어진 관이음쇠에 있어서, 상기 관에 끼워지면서 외주면 일측에 상기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패킹과; 상기 관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도록 절단되고, 외주면 일측에 상기 경사단턱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압착링과; 상기 패킹과 압착링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관에 끼워지는 와셔를 구성의 요지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공이 간단하면서 용이하고, 관의 연결 시 유체의 누출방지와 관의 견고한 연결을 도모할 수 있고, 해체시 패킹, 와셔, 압착링뿐만 아니라 관도 절단하지 않고 그대로 재사용이 가능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동시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발명의 목적 및 효과로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선행문헌은 결합의 편의와 동시에 체결력 향상과 더불어 기밀한 연결밸브조를 동시에 만족시키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은 관과 관을 연결하기 위해 니플을 사용하고 있고, 이로 인해 관과 관의 연결 이외에는 달리 활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볼 밸브와 같은 밸브의 경우에도 관이 밀착 결합될 필요성이 있는데 종래에는 밸브에 관을 결합시킬 때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용접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고, 링닛플 등과 같은 부속으로 하는 체결방법 사용시에 절개부분이 없는 압착링이 너트를 조이는 상태로 압착링이 파괴되면서 관을 조이기 때문에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결합시키면 체결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은 고정너트를 니플에 체결하면서 발생하는 압력은 길이방향으로 발생하며, 따라서 압착링은 와셔 및 패킹으로의 밀착력은 크게 발생하나, 압착링이 파이프 외주를 가압하는 압력은 미비할 수밖에 없다. 이는, 고정너트가 압착링을 길이방향으로 가압하더라도, 사면으로 이루어진 일측 단부에만 압력만이 파이프에 가해지기 때문에 파이프와의 결합상태는 물론, 기밀상태가 양호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 의해 결합상태가 해제되거나, 기밀상태가 해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체결이 용이하면서, 파이프와의 양호한 체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파이프 연결밸브가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파이프와의 체결은 물론, 해체뿐만 아니라, 기밀한 구조를 유지시킬 수 있는 파이프 열결구에 대한 개발이 절실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의 편리함과 동시에 파이프와의 양호한 결합상태와 기밀함이 유지되도록 하는 파이프 연결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압너트와 밸브 사이에 배치된 압착링과 와셔가 서로 중첩되는 사면구조를 이루어져, 각 부재간 밀착력과 확장성을 배가시켜 기밀성은 물론, 체결력을 높일 수 있는 파이프 연결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착링 외주 양단 사이에 음각의 홈부가 형성되고, 압력 발생에 따라 홈부를 중심으로 양단이 절곡되도록 하여 파이프와의 밀착상태를 배가시킬 수 있는 파이프 연결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착링과 파이프 사이, 또는 압착링 내주에 마찰부가 형성되어, 파이프와 밸브 사이 저항력을 높여 파이프와의 결합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는 파이프 연결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밸브는 밸브 및 고정너트와 상기 밸브와 고정너트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 와셔 및 압착링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파이프 연결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일단에 경사진 패킹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은 링 형상을 가지되 상기 패킹결합홈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며, 상기 와셔는 링 형상을 가지며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압착링은 링 형상을 가지되 일측이 절개되어 외압 발생 시 직경이 축소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밸브는 볼 밸브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밸브는 상기 와셔는 상기 압착링과 마주하는 일측에 내주에서 외주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링은 양단이 외주에서 내주 방향으로 첨예하게 형성된 관체로서, 일단에 형성된 제1 첨예부는 상기 고정너트의 경사면과, 타단의 제2 첨예부는 상기 와셔의 경사면과 마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밸브는 상기 밸브와 고정너트를 체결할 때 발생하는 측압에 의해 상기 제1 첨예부는 상기 와셔의 경사면, 상기 제2 첨예부는 상기 정너트의 경사면과 중첩되어, 상기 파이프와 연결밸브 사이 압력을 높여 상기 파이프와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링은 외주 양단 사이에 마련되어 음각의 홈부가 형성되어, 압력 발생에 따라 상기 홈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첨예부와 제2 첨예부가 굴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밸브는 상기 압착링의 내주 양단 사이에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압착링과 파이프 사이에서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부는 저항성 패드 또는 상기 압착링 내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기인 것이며, 상기 패드는 합성수지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및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의 편리함과 동시에 파이프와의 양호한 결합상태와 기밀함이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너트와 밸브 사이에 배치된 압착링과 와셔가 서로 중첩되는 사면구조를 이루어져 각 부재간 밀착력과 확장성을 배가시켜 연결밸브로서의 기밀성은 물론, 체결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링 외주 양단 사이에 음각의 홈부가 형성되고, 압력 발생에 따라 홈부를 중심으로 양단이 절곡되도록 하여 파이프와의 밀착상태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링과 파이프 사이, 또는 압착링 내주에 마찰부가 형성되어, 파이프와 연결밸브 사이 저항력을 높여,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파이프와의 결합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연결밸브의 분리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밸브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연결밸브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밸브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연결밸브의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밸브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연결밸브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밸브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찰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압착링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연결밸브의 분리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밸브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연결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연결밸브(100)는 도 1과 같이 파이프(200)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이하,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밸브(100)는 비교적 얇은 두께의 동파이프, 스테인리스스틸 및 플라스틱 파이프 등의 파이프 연결밸브로서, 파이프간 연결이 긴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결밸브(100)는 중공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일단 또는 양단에 파이프(2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밸브(100)는 밸브(110, Valve), 밸브(110)와 나사체결되는 고정너트(120), 밸브(110)과 고정너트(120)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패킹(130, Paking), 와셔(150, Washers) 및 압착링(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밸브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밸브(110)는 일단 또는 양단에 패킹결합홈(101)에 형성되고, 이러한 패킹결합홈(101)에 패킹(130)이 결합된다. 이때 패킹결합홈(101)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밸브(110)의 내주면에 제1 경사면(111)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110)에는 파이프(200)와 나사 체결되기 위한 제1 나선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너트(120)는 도 2b와 같이 내주 일측에 제1 나선부(113)와 체결되는 제2 나선부(123), 양단 사이에 제2 경사면(121)이 형성되고, 제2 나선부(123)의 외곽에는 제2 조임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너트(120)는 종래의 고정너트와 유사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밸브(110)와 고정너트(120) 사이에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130), 와셔(150) 및 압착링(14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패킹(130)은 고무 재질로서 제1 경사면(111)에 대응하도록 외주에서 내주로 갈수록 첨예한(경사진) 쐐기의 형태를 가지며, 밸브(110)과 파이프(200) 사이를 기밀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패킹(130)은 고무는 물론, 실리콘, 우레탄,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및 합성수지 등과 같은 플랙시블(flexible)한 소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셔(150)는 링 형상을 갖고 패킹(130)과 마주하는 일면은 플랫(flat)한 면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와셔(150)는 금속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내경은 파이프(200)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압착링(140)은 절개부(147)가 형성되어 외압에 의해 직경의 선택적 축소와 복원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연결밸브의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밸브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연결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밸브(110)는 일단 또는 양단에 패킹결합홈(101)에 형성되고, 이러한 패킹결합홈(101)에 패킹(130)이 결합된다. 이때 패킹결합홈(101)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밸브(110)의 내주면에 제1 경사면(111)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110)에는 파이프(200)와 나사 체결되기 위한 제1 나선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너트(120)는 도 2b와 같이 내주 일측에 제1 나선부(113)와 체결되는 제2 나선부(123), 양단 사이에 제2 경사면(121)이 형성되고, 제2 나선부(123)의 외곽에는 제2 조임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너트(120)는 종래의 고정너트와 유사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밸브(110)와 고정너트(120) 사이에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130), 와셔(150) 및 압착링(14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패킹(130)은 고무 재질로서, 제1 경사면(111)에 대응하도록 외주에서 내주로 갈수록 첨예한(경사진) 쐐기의 형태를 가지며, 밸브(110)과 파이프(200) 사이를 기밀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패킹(130)은, 고무는 물론, 실리콘, 우레탄,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및 합성수지 등과 같은 플랙시블(flexible)한 소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셔(150)는 패킹(130)과 마주하는 일면은 플랫(flat)한 면체로 이루어지고, 타면은 내주에서 외주 방향으로 사면을 이루는 제3 경사면(151)이 형성된다. 이러한 와셔(150)는 금속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내경은 파이프(200)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거나, 소정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주는 제2 나선부(123)와 간섭되지 아니한 직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링(140)은 양단이 외주에서 내주 방향으로 첨예하게 형성된 관체로서, 일단에 형성된 제1 첨예부(141)는 제2 경사면(121)과, 타단의 제2 첨예부(143)는 제3 경사면(151)과 마주하게 형성된다. 또한, 압착링(140)은 양단 사이에 절개부(147)가 형성되어, 외압에 의해 직경의 선택적 축소와 복원 가능하다. 그리고 외주 양단 사이에 음각의 홈부(145)가 형성되어, 압력 발생에 따라 홈부(145)를 중심으로 제1 첨예부(141)가 제2 첨예부(143)가 굴절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밸브(100)는 파이프(200)와의 기밀한 결합이 유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종래에 비해 체결력 향상과 더불어 내구성 향상이 가능한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밸브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밸브(100)를 파이프(200)에 순차적으로 배치한 후, 고정너트(120)와 밸브(110)를 체결시킨다. 그리고 압력을 높여 고정너트(120)와 밸브(110)의 결합을 지속한다. 이때, 압착링(140)은 양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직경 축소와 더불어 내주가 파이프(200) 외주와 밀착된다.
이때, 밸브(110)는 패킹(130)을 통해 와셔(150)를 가압하고, 와셔(150)의 제3 경사면(151)이 제2 첨예부(143)의 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하 중첩되고, 고정너트(120)의 제2 경사면(121)은 제1 첨예부(141)의 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하 중첩되어 파이프(200)와 연결밸브(100) 사이 부피가 확장됨과 동시에 내부 압력이 높아진다.
그리고 고정너트(120)와 밸브(110)의 결합을 지속시켜 압력을 배가시키면 압착링(140)은 홈부(145)를 중심으로 제1 첨예부(141)와 제2 첨예부(143)가 굴절되면서 부피 확장과 내부 압력이 배가된다.
이러한 압착링(140)의 굴절에 의해 훼손되어 추후 교체가 요구되나, 훼손범위를 압착링에 한정시키면서 파이프(200)와의 기밀성과 체결력을 극대화시켜 파이프(200)간의 기밀한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연결밸브(100)는 파이프(200)와의 마찰력을 높여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7과 같이 마찰부(160)가 더 존재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찰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압착링의 종단면도이다.
마찰부(160)는 압착링(140)과 파이프(200) 사이 또는 압착링(140) 내주에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a와 같이 압착링(140)과 파이프(200) 사이에 패드의 형태로 존재하거나, 또는 도 7b와 같이 돌기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패드의 경우, 고무, 실리콘, 우레탄 및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다양한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거나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는 내주에 일체로 성형되거나 분리 가능한 구조일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으나 압착링(140)의 내주를 거칠게 가공하여 파이프와의 마찰력이 높아지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압착링(140)과 파이프(200) 사이 또는 압착링(140) 내주에 마찰부(160)가 형성되어 파이프(200)와 연결밸브(100) 사이 저항력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파이프(200)와의 결합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밸브는 고정너트(120), 패킹(130), 와셔(150) 및 압착링(140)이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고정너트(120), 패킹(130), 와셔(150) 및 압착링(140)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밸브(110)의 양단에 패킹결합홈(101)이 형성되고, 밸브(110)의 양단에 상기 하나의 세트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연결밸브(100)와 파이프(200)의 기밀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견고한 결합상태가 지속될 수 있고, 특히 외부 충격은 물론 장기간 사용에도 훼손의 최소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양호한 결합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연결밸브 101: 패킹결합홈
110: 밸브 111: 제1 경사면
113: 제1 나선부 120: 고정너트
121: 제2 경사면 123: 제2 나선부
130: 패킹 140: 압착링
141: 제1 첨예부 143: 제2 첨예부
145: 홈부 147: 절개부
150: 와셔 151: 제3 경사면
160: 마찰부 200: 파이프

Claims (9)

  1. 밸브 및 고정너트와 상기 밸브 및 고정너트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 와셔 및 압착링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파이프 연결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볼 밸브이고 외주에서 내주로 갈수록 첨예한 쐐기 형태로서, 상기 밸브의 일단에 경사진 패킹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은 링 형상을 가지되 상기 패킹결합홈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며,
    상기 와셔는 링 형상을 가지며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압착링은 링 형상을 가지되 일측이 절개되어 외압 발생 시, 직경이 축소되며,
    상기 와셔는 상기 압착링과 마주하는 일측에 내주에서 외주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링은 내주가 거칠게 가공되고 양단이 외주에서 내주 방향으로 첨예하게 형성된 관체로서, 일단에 형성된 제1 첨예부는 상기 고정너트의 제2 경사면과, 타단의 제2 첨예부는
    상기 와셔의 제3 경사면과 마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첨예부의 경사 각도가 상기 고정너트의 제2 경사면의 경사 각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첨예부의 경사 각도가 상기 와셔의 제3 경사면의 경사 각도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밸브는,
    상기 밸브와 고정너트를 체결할 때 발생하는 측압에 의해 상기 제1 첨예부는 상기 고정너트의 제2 경사면, 상기 제2 첨예부는 상기 와셔의 제3 경사면과 슬라이드 이동하여 중첩되어, 상기 파이프와 연결밸브 사이 압력을 높여 상기 파이프와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압착링은,
    외주 양단 사이에 마련되어 음각의 홈부가 형성되어, 압력 발생에 따라 상기 홈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첨예부와 제2 첨예부가 굴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밸브는,
    상기 압착링의 내주 양단 사이에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압착링와 파이프 사이에서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밸브.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저항성 패드 또는 상기 압착링 내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기인 것이며,
    상기 패드는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밸브.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및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밸브.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너트, 패킹, 와셔 및 압착링이 두 개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너트, 패킹, 와셔 및 압착링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상기 밸브의 양단에 패킹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의 양단에 상기 하나의 세트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밸브.
KR1020160111021A 2016-08-30 2016-08-30 파이프 연결밸브 KR101736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021A KR101736681B1 (ko) 2016-08-30 2016-08-30 파이프 연결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021A KR101736681B1 (ko) 2016-08-30 2016-08-30 파이프 연결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681B1 true KR101736681B1 (ko) 2017-05-29

Family

ID=59053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021A KR101736681B1 (ko) 2016-08-30 2016-08-30 파이프 연결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44794A (zh) * 2020-11-26 2022-05-27 株式会社岛津制作所 色谱仪用连接组件
KR20240000618U (ko) 2022-10-05 2024-04-12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관체 연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174Y1 (ko) * 2001-12-01 2002-02-27 주식회사 하이스텐 슬립인식 볼 밸브
KR200474790Y1 (ko) * 2013-11-28 2014-10-14 임헌록 파이프 연결구
KR101555964B1 (ko) * 2015-02-10 2015-09-25 주식회사 하이스텐 관 연결 소켓
KR101636798B1 (ko) * 2015-04-20 2016-07-07 (주)미라이후손관거 파이프 연결 조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174Y1 (ko) * 2001-12-01 2002-02-27 주식회사 하이스텐 슬립인식 볼 밸브
KR200474790Y1 (ko) * 2013-11-28 2014-10-14 임헌록 파이프 연결구
KR101555964B1 (ko) * 2015-02-10 2015-09-25 주식회사 하이스텐 관 연결 소켓
KR101636798B1 (ko) * 2015-04-20 2016-07-07 (주)미라이후손관거 파이프 연결 조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44794A (zh) * 2020-11-26 2022-05-27 株式会社岛津制作所 色谱仪用连接组件
KR20240000618U (ko) 2022-10-05 2024-04-12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관체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681B1 (ko) 파이프 연결밸브
CN107477283A (zh) 具有振动补偿器的管路接头
CN109114322B (zh) 一种管接头
KR101712315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190120468A (ko) 가스용 주름관의 기밀 연결장치
JP6010831B2 (ja) 管継手構造
KR101636798B1 (ko) 파이프 연결 조인트
US11262006B2 (en) Piping joint and resin tube assembly
KR100637935B1 (ko) 호스 결합구
KR100925867B1 (ko)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20100056736A (ko) 스테인레스 강관의 관이음 부재
KR200481695Y1 (ko) 진공배관 연결구조
JP4768508B2 (ja) 管体の継手構造および継手装置
KR101187042B1 (ko) 파이프 연결장치
JP3775878B2 (ja) ガスケット
CN109707929A (zh) 带防脱结构的快速卡箍
KR20190094342A (ko)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및 관련 조립방법
JP4718310B2 (ja) 管体の継手構造および継手装置
KR101144004B1 (ko) 파형관 이음재
KR102669657B1 (ko) 조인트 패킹
CN217328892U (zh) 卡箍
KR101111722B1 (ko) 관 이음장치
KR10118148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WO2016203645A1 (ja) 防水装置、防水栓、および固定部材
KR20230088134A (ko) 조인트 패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