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798B1 - 파이프 연결 조인트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798B1
KR101636798B1 KR1020150055294A KR20150055294A KR101636798B1 KR 101636798 B1 KR101636798 B1 KR 101636798B1 KR 1020150055294 A KR1020150055294 A KR 1020150055294A KR 20150055294 A KR20150055294 A KR 20150055294A KR 101636798 B1 KR101636798 B1 KR 101636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tube
pressing me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현
Original Assignee
(주)미라이후손관거
이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라이후손관거, 이재현 filed Critical (주)미라이후손관거
Priority to KR1020150055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단부에 파이프(P)의 단부가 각각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접속부(110)(120)가 형성되는 연결관체(100)와, 체결구 조임에 따른 내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파이프(P)를 외경을 감싸며 고정하는 고정관체(200)와, 내주면이 파이프(P)를 감싸고 외주면이 상기 접속부(110)(120)의 입구에 밀착 삽입되는 가압부재(300)와, 일측이 상기 가압부재(300)의 일면에 밀착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관체(200)에 밀착되는 가압링(400)과, 상기 연결관체(100)와 상기 고정관체(200)를 당기는 형태로 조임 고정하는 조임구(500)로 구성되는 파이프 연결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체(100)의 접속부(110)(120) 내측에 경사면(116)과 단턱(118)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턱(118)에 상기 파이프(P)의 단부가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실링되도록 탄성링(700)이 밀착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재(300)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속부(110)(120)의 경사면(116)에 접하도록 형성된 일측 경사면에 오링(320)이 복수개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 수직면에 상기 가압링(400) 가압시 탄성력을 발생하는 패드(340)가 결합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조인트가 작업자에 의해 간편하고 안정되게 조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 조인트{PIPE CONNECTION JOINT}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관 등을 이루는 파이프와 또 다른 파이프를 접속시 연결 부분이 수평 또는 곡선으로 연결시키도록 하는 조인트를 구성함에 있어 조인트를 이루는 연결관체에 파이프가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연결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용 파이프를 수평 또는 곡선으로 연결시 안정된 기밀 상태를 가지도록 연결시키기 위해 조인트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조인트는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이음 부분에 적용되는 것이며, 상기 이음 부분은 유체의 내압 영향을 받게 되고, 유체의 압력 맥동 또는 외부의 물리적 충격력 발생으로 인해 연결된 파이프가 이완되거나 심한 경우 분리되어 이송되는 유체가 누수되는 현상이 있었다.
종래 배수관 등의 파이프에 적용되는 조인트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81565호 파이프 접속용 조인트 및 특허공개 제10-2008-0020142호 케이피 메카니칼 조인트에 사용되는 관 이탈방지구가 제시된 바 있다.
전자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이프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관체(10)와, 상기 파이프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가 상기 연결관체(10)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관체(20)와, 상기 고정관체(20)를 상기 연결관체(10)에 결합시키는 조임구(50), 및 상기 연결관체(10)의 입구단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관체(20)의 가압시 압축되면서 상기 파이프의 외측면을 가압 형태로 감싸는 가압부재(300) 그리고, 상기 고정관체(20)에 지지되어 상기 가압부재(300)를 가압시켜 상기 파이프가 고정되도록 하는 가압링(40)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한 조인트는 조임볼트의 결합시 배수관을 고정하는 고정관체가 이동하면서 가압부재를 압축시키고 연속해서 가압부재가 압축되면서 팽창되게 되고 이때 팽창되는 가압부재가 기밀을 유지하는 것임에 따라 가압부재의 복원력 발생시 고정관체가 파이프를 안정되게 지지하지 못해 파이프가 고정관체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고정관체가 가압부재 등의 압착력을 통해 파이프를 고정시킴에 따라 가압부재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경우 또는 이물질 등이 발생되는 경우 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관체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문헌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8-0020142호 공개일 2008. 03. 05. [문헌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81565호 공고일 2010. 09. 10 [문헌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52373호 공고일 2000. 04.15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조인트가 작업자에 의해 간편하고 안정되게 조립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파이프가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누수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다시말해, 파이프가 조인트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조인트에 파이프 고정시 파이프의 외관을 훼손하지 않으며 더불어 조인트에 고정된 파이프가 안정된 실링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단부에 파이프의 단부가 각각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접속부가 형성되는 연결관체와, 체결구 조임에 따른 내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파이프를 외경을 감싸며 고정하는 고정관체와, 내주면이 파이프를 감싸고 외주면이 상기 접속부의 입구에 밀착 삽입되는 가압부재와, 일측이 상기 가압부재의 일면에 밀착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관체에 밀착되는 가압링과, 상기 연결관체와 상기 고정관체를 당기는 형태로 조임 고정하는 조임구로 구성되는 파이프 연결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체의 접속부 내측에 경사면과 단턱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 상기 파이프의 단부가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실링되도록 탄성링이 밀착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재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속부의 경사면에 접하는 일측 경사면에 오링이 복수개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 수직면에 상기 가압링의 가압시 탄성력을 발생하는 패드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관체의 내주면에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 상기 파이프의 외경을 감싸며 지지되는 탄성소재의 마찰부재가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마찰부재는, 호형의 구조로 적어도 2개가 원형을 이루도록 상기 슬라이드홈이 밀착되는 금속소재의 탄성판, 상기 탄성판의 양면을 감싸는 형태로 도포되는 고무소재의 패드 및 상기 패드의 일측 노출면에 돌출되어 상기 파이프와 접하는 복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조인트가 작업자에 의해 간편하고 안정되게 조립될 수 있음은 물론 파이프가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누수 등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즉, 고정관체의 마찰부재가 파이프를 안정되게 고정하고, 가압부재가 고정관체와 연결관체의 가압 접속에 따른 안정된 지지력으로 부품 훼손을 방지하며, 탄성링을 통한 파이프의 탄성 밀착을 통해 접속부분의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파이프 연결 조인트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 조인트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관체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정단면도,
도 7은 도 3에서 가압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요부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마찰부재에 대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파이프를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7의 도시에 의하여 양단부에 파이프의 단부가 각각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접속부(110)(120)가 형성되는 연결관체(100)와, 체결구 조임에 따른 내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파이프(P)를 외경을 감싸며 고정하는 고정관체(200)와, 내주면이 파이프를 감싸고 외주면이 상기 접속부의 입구에 밀착 삽입되는 가압부재(300)와, 일측이 상기 가압부재(300)의 일면에 밀착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관체(200)에 밀착되는 가압링(400)과, 상기 연결관체(100)와 상기 고정관체(200)를 당기는 형태로 조임 고정하는 조임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체(100)는, 금속 소재로 주물 제작되고, 직선 또는 구부러진 형태로 상기 파이프(P)의 방향을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유도하게 되며, 양단부에 상기 파이프(P)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입구와 출구에 각각 접속부(110)(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110)(120)에는 각각 양쪽에 볼트 안내홀(112)(1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체(100)의 접속부(110)(120) 각각 내측에 안쪽 방향으로 경사면(116) 및 단턱(118)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턱(118)에 상기 파이프(P)의 단부가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실링되도록 탄성링(700)이 밀착 결합된다.
상기 탄성링(700)은, 고무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이프(P)의 단부가 밀착되는 경우 탄성력을 가지며 압착 지지되어 상기 연결관체(100)의 내경과 상기 파이프(P)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링(700)의 일면에 상기 파이프(P)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파이프홈(720)이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홈(720)은, 입구에서 내측으로 진행될 수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파이프(P)의 단부가 끼워질때 외측으로 탄성력을 가지며 기밀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고정관체(200)는, 상기 연결관체(100)의 접속부(110)(120)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파이프(P)의 단부가 각각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되며, 링형으로 벌어짐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잘려진 형태의 절개단(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개단(210)의 대응면에는 볼트(232) 및 너트(234)로 이루어진 체결구의 조임에 따라 상기 절개단(210)의 폭을 조절하게 되는 조임단(212)(214)이 돌출 구비되고, 상기 조임단(212)(214)에 형성된 안내홀(215)을 통과하는 볼트(232)의 너트(234) 조임에 따라 파이프(P)가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관체(200)의 외측에는 양쪽으로 각각 볼트안내홈(242)이 형성된 연결단부(243)(244)가 각각 방향을 달리하며 돌출 형성되고, 후술될 상기 조임구(500)에 의해 상기 연결관체(100)의 접속부(110)(120)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체(200)의 내주면에 슬라이드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250)에 상기 파이프(P)의 외경을 감싸며 지지되는 탄성소재의 마찰부재(260)가 결합된다.
상기 마찰부재(260)는, 호형의 구조로 적어도 2개 이상이 원형을 이루도록 상기 슬라이드홈(250)에 밀착되는 금속소재의 탄성판(262)과, 상기 탄성판(262)의 양면을 감싸는 형태로 도포되는 고무소재의 패드(264) 및 상기 패드(264)의 일측 노출면에 돌출되어 상기 파이프(P)와 접하는 복수개의 돌기(266)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재(300)는, 후술될 상기 조임구(500)의 볼트(520) 조임에 따라 상기 연결관체(100)와 상기 고정관체(200)의 조임시 가압력을 발생하며 압착 고정되는 것으로 내주면이 상기 파이프(P)를 감싸고 외주면이 상기 접속부(110)(120)의 각각 입구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116)에 밀착 삽입된다.
즉, 상기 가압부재(300)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속부(110)(120)의 경사면(116)에 접하는 일측 경사면(310)에 오링(320)이 복수개 끼워져 결합되도록 오링홈(322)이 복수개 형성되고, 타측 수직면에 상기 가압링(400)의 가압시 탄성력을 발생하는 고무소재의 패드(340)가 결합되도록 패드삽입홈(342)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링(400)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이프(P)가 통과하도록 파이프 안내홀(420)이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조임구(500)를 이루는 볼트(520)가 통과하도록 볼트 안내홀(440)이 형성된다.
이에따라 상기 볼트(520)가 조임되면 상기 고정관체(200)가 연결관체(100)와 접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가압링(400)이 상기 가압부재(300)를 밀어 상기 가압부재(300)가 상기 접속부(110)(120)의 경사면에 압착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조임구(500)는, 볼트(520)와 너트(54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520)의 나사부가 상기 연결관체(100)의 볼트 안내홀(112), 상기 가압링(400)의 볼트 안내홀(440), 상기 고정관체(200)의 볼트 안내홈(242)을 통과하여 상기 연결단부(243)(244)에 지지된 너트(540)에 조임되면서 상기 연결관체(100)에 대해 상기 파이프(P)를 고정시킨 상기 고정관체(200)를 당겨 상기 파이프(P)의 단부가 상기 탄성링(700)에 밀착 지지되면서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 조인트의 결합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시에는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관체(200)의 내측 슬라이드홈(250)에 마찰부재(260)를 삽입시킨다. 그런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마찰부재(260)에 파이프(P)의 단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파이프(P)의 단부가 상기 탄성링(700)을 가압시키는 위치까지를 계산하여 위치를 결정한 후 조임단(212)(214)을 이루는 볼트(232) 및 너트(234)를 통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임시킨다. 그러면 상기 고정관체(200)의 마찰부재(260)가 상기 고정관체(200)의 내경이 축소되면서 탄성 가압력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이프(P)를 고정하게 된다.
이후,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관체(100)의 접속부(110)(120)에 형성된 경사면(116) 및 단턱(118)에 탄성링(700)과 가압부재(300)를 순차적으로 밀착시키고, 연속해서 가압링(400)을 파이프(P)의 단부를 통과하면서 고정관체(200)의 일면에 밀착시킨다.
연속해서 상기 조임구(500)를 이루는 상기 볼트(520)의 나사부를 상기 연결관체(100)의 볼트 안내홀(112), 상기 가압링(400)의 볼트 안내홀(440), 상기 고정관체(200)의 볼트 안내홈(242)을 통과되도록 한 다음 상기 연결단부(243)(244)에 지지된 너트(540)와 나사 조임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볼트(520)의 나사부가 너트(540)와 조임되면서 상기 연결관체(100)에 대해 상기 파이프(P)를 고정시킨 상기 고정관체(200)를 당겨 상기 가압링(400)이 상기 가압부재(300)를 밀어 상기 가압부재(300)가 상기 접속부(110)(120)의 경사면에 압착되고 동시에 상기 파이프(P)의 단부가 상기 탄성링(700)에 밀착 지지되면서 고정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고정관체(200)의 마찰부재(260)는 파이프(P)를 고정하고, 상기 가압부재(300)는 상기 고정관체(200)와 상기 연결관체(100)의 접속에 따른 부품 훼손을 방지하며, 상기 탄성링(700)은 탄성 밀착을 통해 접속부분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조인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양단부에 파이프(P)의 단부가 각각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접속부(110)(120)가 형성되는 연결관체(100)와, 체결구 조임에 따른 내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파이프(P)를 외경을 감싸며 고정하는 고정관체(200)와, 내주면이 파이프(P)를 감싸고 외주면이 상기 접속부(110)(120)의 입구에 밀착 삽입되는 가압부재(300a)와, 일측이 상기 가압부재(300a)의 일면에 밀착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관체(200)에 밀착되는 가압링(400)과, 상기 연결관체(100)와 상기 고정관체(200)를 당기는 형태로 조임 고정하는 조임구(500)로 구성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300a)를 제외한 구성의 경우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임에 따라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압부재(300a)는, 상기 접속부(110)(120)의 경사면(116)에 접하도록 경사면(320a)이 형성되고 타측 수직면에 형성된 절곡홈(342a)에 상기 가압링(400) 가압시 탄성력을 발생하는 패드(340a)가 결합되도록 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체(200)의 내주면에 슬라이드홈(250a)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드홈(250a)에 상기 파이프(P)의 외경을 감싸며 지지되는 탄성소재의 마찰부재(260a)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260a)는, 원형으로 일측에 탄성을 위한 절개홈(261a)이 형성되며, 몸체가 고무소재의 패드(264a)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에 금속소재의 탄성판(262a)이 내장되며, 상기 패드(264a)의 내측면에 상기 파이프(P)와 접하는 복수개의 돌기(266a)가 돌출 형성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연결관체 110,120: 접속부
112,122: 볼트 안내홀 116: 경사면
118: 단턱
200: 고정관체
210: 절개단 212,214: 조임단
232: 볼트 234: 너트
242: 볼트 안내홈 243,244: 연결단부
250: 슬라이드홈 260: 마찰부재
262: 탄성판 264: 패드
266: 돌기
300: 가압부재
320: 오링 322: 오링홈
340: 패드 342: 패드삽입홈
400: 가압링
420: 파이프 안내홀 440: 볼트 안내홀
500: 조임구
520: 볼트 540: 너트
700: 탄성링
720: 파이프홈

Claims (3)

  1. 양단부에 파이프(P)의 단부가 각각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접속부(110)(120)가 형성되는 연결관체(100)와, 체결구 조임에 따른 내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파이프(P)를 외경을 감싸며 고정하는 고정관체(200)와, 내주면이 파이프(P)를 감싸고 외주면이 상기 접속부(110)(120)의 입구에 밀착 삽입되는 가압부재(300)와, 일측이 상기 가압부재(300)의 일면에 밀착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관체(200)에 밀착되는 가압링(400)과, 상기 연결관체(100)와 상기 고정관체(200)를 당기는 형태로 조임 고정하는 조임구(500)로 구성되는 파이프 연결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체(100)의 접속부(110)(120) 내측에 경사면(116)과 단턱(118)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턱(118)에 상기 파이프(P)의 단부가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실링되도록 탄성링(700)이 밀착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가압부재(300)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속부(110)(120)의 경사면(116)에 접하도록 형성된 일측 경사면에 오링(320)이 복수개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 수직면에 상기 가압링(400) 가압시 탄성력을 발생하는 패드(340)가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관체(200)의 내주면에 슬라이드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250)에 상기 파이프(P)의 외경을 감싸며 지지되는 탄성소재의 마찰부재(260)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마찰부재(260)가,
    호형의 구조로 적어도 2개가 원형을 이루도록 상기 슬라이드홈이 밀착되는 금속소재의 탄성판(262), 상기 탄성판(262)의 양면을 감싸는 형태로 도포되는 고무소재의 패드(264) 및 상기 패드(264)의 일측 노출면에 돌출되어 상기 파이프(P)와 접하는 복수개의 돌기(26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조인트.
  2. 삭제
  3. 삭제
KR1020150055294A 2015-04-20 2015-04-20 파이프 연결 조인트 KR101636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294A KR101636798B1 (ko) 2015-04-20 2015-04-20 파이프 연결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294A KR101636798B1 (ko) 2015-04-20 2015-04-20 파이프 연결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798B1 true KR101636798B1 (ko) 2016-07-07

Family

ID=5650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294A KR101636798B1 (ko) 2015-04-20 2015-04-20 파이프 연결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7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681B1 (ko) * 2016-08-30 2017-05-29 김완구 파이프 연결밸브
KR20180006194A (ko) * 2016-07-08 2018-01-17 매크로드 주식회사 고하중 저항판 틀프레임 체결 구조물
KR102125654B1 (ko) * 2019-11-06 2020-07-07 한지현 파이프 조인트 및 이를 사용한 파이프 조립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3487A (ja) * 1993-08-23 1995-05-02 Kawanishi Suido Kiki:Kk 管継手用ゴムパッキン
JPH0996385A (ja) * 1995-07-25 1997-04-08 Hitachi Metals Ltd 管継手
JPH1026272A (ja) * 1996-07-05 1998-01-27 Cosmo Koki Co Ltd 管継手
KR100252373B1 (ko) 1997-09-29 2000-04-15 김원택 주철관이음매의이탈방지장치
JP3825859B2 (ja) * 1997-01-23 2006-09-27 コスモ工機株式会社 管継手
KR20080020142A (ko) 2006-08-30 2008-03-05 주식회사 고리 케이피 메카니칼 조인트에 사용되는 관 이탈방지구
KR100981565B1 (ko) 2010-02-05 2010-09-10 이재욱 파이프 접속용 조인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3487A (ja) * 1993-08-23 1995-05-02 Kawanishi Suido Kiki:Kk 管継手用ゴムパッキン
JPH0996385A (ja) * 1995-07-25 1997-04-08 Hitachi Metals Ltd 管継手
JPH1026272A (ja) * 1996-07-05 1998-01-27 Cosmo Koki Co Ltd 管継手
JP3825859B2 (ja) * 1997-01-23 2006-09-27 コスモ工機株式会社 管継手
KR100252373B1 (ko) 1997-09-29 2000-04-15 김원택 주철관이음매의이탈방지장치
KR20080020142A (ko) 2006-08-30 2008-03-05 주식회사 고리 케이피 메카니칼 조인트에 사용되는 관 이탈방지구
KR100981565B1 (ko) 2010-02-05 2010-09-10 이재욱 파이프 접속용 조인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194A (ko) * 2016-07-08 2018-01-17 매크로드 주식회사 고하중 저항판 틀프레임 체결 구조물
KR101894963B1 (ko) 2016-07-08 2018-09-05 매크로드 주식회사 고하중 저항판 틀프레임 체결 구조물
KR101736681B1 (ko) * 2016-08-30 2017-05-29 김완구 파이프 연결밸브
KR102125654B1 (ko) * 2019-11-06 2020-07-07 한지현 파이프 조인트 및 이를 사용한 파이프 조립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7530B2 (ja) 弧状剛性リブを有する継手
US10036494B2 (en) Seal with lip projections
KR101366180B1 (ko) 무용접 방폭용 케이블 그랜드 조립체
TW201730470A (zh) 轉接頭之連接器
KR101636798B1 (ko) 파이프 연결 조인트
US20170350545A1 (en) Pipeline fitting with vibration compensator
KR20130052967A (ko) 파이프 연결구
US20220299134A1 (en) Fitting device for making connection tube that can fine position adjustment of the tube
KR101274094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20200010495A (ko) 인입형 중앙 다리가 구비된 시일을 가지는 커플링
KR101728442B1 (ko) 케이블 그랜드
KR20120026589A (ko) 상하수도관용 신축이음장치
KR20190117296A (ko) 배관 피팅장치
KR20190120468A (ko) 가스용 주름관의 기밀 연결장치
KR101964566B1 (ko) 실링 링
KR20050013496A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100777788B1 (ko) 상수도용 이탈 압륜 고무링
KR20030010129A (ko) 관 연결구의 결합장치
KR20160119559A (ko) 유압용 호스의 연결구
KR101773751B1 (ko) 파이프 연결소켓
KR101736681B1 (ko) 파이프 연결밸브
KR101170931B1 (ko)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
KR20120020715A (ko) 관의 연결구조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101700063B1 (ko) 호스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