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931B1 -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931B1
KR101170931B1 KR1020100005891A KR20100005891A KR101170931B1 KR 101170931 B1 KR101170931 B1 KR 101170931B1 KR 1020100005891 A KR1020100005891 A KR 1020100005891A KR 20100005891 A KR20100005891 A KR 20100005891A KR 101170931 B1 KR101170931 B1 KR 101170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el
pipe
ring
tighten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6261A (ko
Inventor
강민중
Original Assignee
강민중
안순자
강태현
강선중
강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중, 안순자, 강태현, 강선중, 강대운 filed Critical 강민중
Priority to KR1020100005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93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6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8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12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 F16L47/2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for joints between metal and plastic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엑셀파이프가 일단부 외측에 끼워지되, 일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그 외주면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는 연결관, 연결관의 외주면에 위치되되, 연결관과의 사이에 엑셀파이프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설치공간부가 형성되고, 설치공간부의 개방 단부는 삽입가이드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을 갖는 내부고정링, 엑셀파이프와 연결관이 관통되도록 내부가 통공되되, 그 통공된 내면에 연결관의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조임공간부가 형성되며, 내부고정링의 삽입가이드에 대응되도록 단부 외주면이 형성되고, 일측이 절단되어 중심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는 내부엑셀조임링, 및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통공되어 내부엑셀조임링을 수용하고, 수용공간부의 일단 내면에는 내부고정링의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외부커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외부커버링을 회전시켜 내부고정링과 결합시킴에 따라 내부엑셀조임링이 엑셀파이프를 연결관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Description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Connecter of heating accel pipe}
본 발명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난방을 위해 엑셀파이프를 연결관에 연결시키되, 엑셀파이프를 가압하도록 돌출부를 형성하여 엑셀파이프를 연결관에 견고하게 고정시킴에 따라 엑셀파이프가 사용 중 빠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을 위해 설치되는 관은 철로 만들어 사용해 왔으나 시공이 불편하고, 녹이 발생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PVC재질의 파이프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PVC재질의 파이프 중 엑셀파이프는 특히 많이 사용되고, 이 엑셀파이프는 연결구에 의해 금속의 다른 관과 연결된다.
이때, 엑셀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구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엑셀파이프를 다른 관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과 이 연결관에 끼워진 엑셀파이프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다수의 링부재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구의 연결관은 그 외주면에 엑셀파이프가 걸리기 위한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다수의 링부재가 엑셀파이프를 연결관방향으로 가압하여도 일정량의 힘 이상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조금만 움직여도 엑셀파이프가 연결관에서 이탈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링부재는 연결관 외측으로 끼워진 엑셀파이프를 단순하게 조여주는 방식으로, 연결관에 끼워진 엑셀파이프 부위를 균일하게 가압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누수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엑셀파이프가 끼워지는 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조임공간부를 갖는 내부엑셀조임링을 구비하며, 외부커버링에 의해 내부엑셀조임링을 외측에서 가압하여 돌출부와 함께 엑셀파이프를 가압하여 연결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내부엑셀조임링의 조임공간부에는 한 쌍의 조임돌기가 구비되어 돌출부와 함께 엑셀파이프를 연결관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켜 엑셀파이프가 사용 중 빠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엑셀파이프가 일단부 외측에 끼워지되, 상기 일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그 외주면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위치되되, 상기 연결관과의 사이에 상기 엑셀파이프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설치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부의 개방 단부는 삽입가이드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을 갖는 내부고정링, 상기 엑셀파이프와 연결관이 관통되도록 내부가 통공되되, 그 통공된 내면에 상기 연결관의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조임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고정링의 삽입가이드에 대응되도록 단부 외주면이 형성되고, 일측이 절단되어 중심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는 내부엑셀조임링, 및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통공되어 상기 내부엑셀조임링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공간부의 일단 내면에는 상기 내부고정링의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외부커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커버링을 회전시켜 상기 내부고정링과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내부엑셀조임링이 내부고정링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내부엑셀조임링이 상기 내부고정링의 삽입가이드를 따라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엑셀파이프를 연결관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관은, 돌출부를 기준으로, 일단부 방향 외주면에 씰링홈이 형성되어 씰링부재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은, 돌출부를 기준으로, 타단부 방향 외주면에 압력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외부커버링에 의해 내부엑셀조임링이 중심방향으로 조여질 경우, 내부엑셀조임링의 일부가 수용되어 상기 엑셀파이프를 연결관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내부고정링의 설치공간부에 패킹부재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는 고무 또는 실리콘 및 연질 PVC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링 또는 튜브로 형성되고, 일면에 패킹가이드가 돌출형성되어 그 내면이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과 닿고, 패킹가이드는 상기 엑셀파이프의 단부 내측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내부엑셀조임링의 조임공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조임돌기가 더 구비되고, 이 한 쌍의 조임돌기는 상기 연결관의 돌출부와 상기 엑셀파이프를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조임돌기는 반원형상과 다각형상이며, 조임돌기 중 상기 연결관이 삽입되는 방향의 조임돌기는 반원형상이고, 상기 엑셀파이프가 삽입되는 방향의 조임돌기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부엑셀조임링을 반대방향으로 삽입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각 조임돌기는 반대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과 내부고정링 및 외부커버링의 재질은 황동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씰링패드가 더 구비되되, 상기 씰링패드는, 상기 연결관의 일단부에서 돌출부까지의 부위와 상기 내부고정링이 형성된 연결관의 일단부 전체 부위 및 상기 연결관의 일단부에서 상기 설치공간부까지의 부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위치되어 링 또는 튜브형으로 탄성에 의해 고정되거나 코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에 의하면, 엑셀파이프를 연결관에 견고하게 고정시킴에 따라 엑셀파이프가 사용 중 빠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의 패킹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의 조임돌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의 조임돌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의 씰링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의 씰링패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의 씰링패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의 패킹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의 조임돌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의 조임돌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의 씰링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의 씰링패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의 씰링패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100)는 연결관(110)과 내부고정링(120), 내부엑셀조임링(130) 및 외부커버링(140)으로 구성된다.
연결관(110)는 엑셀파이프(10)와 다른 관(미 도시)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엑셀파이프(10)가 일단부 외측에 끼워지되, 일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그 외주면을 따라 돌출부(112)가 형성되고, 타단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고정링(120)은 연결관(110)의 외주면에 위치되어 연결관(110)에 끼워지는 엑셀파이프(10)의 끼워지는 길이를 제한하는 것으로, 그 내부가 통공되고, 설치공간부(122)와 삽입가이드(124)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126)이 형성된다.
이 설치공간부(122)는 연결관(110)과의 사이에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연결관(110)에 끼워진 엑셀파이프(10)의 단부가 위치된다.
이때 설치공간부(122)의 일정이격 거리는 엑셀파이프(10)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가이드(124)는 설치공간부(122)의 개방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엑셀파이프(10)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확개되어 일정 경사 및 굴곡지게 형성된다.
한편, 내부고정링(120)은 연결관(1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내부엑셀조임링(130)는 연결관(110)에 끼워진 엑셀파이프(10)를 가압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엑셀파이프(10)와 연결관(110)이 관통되도록 내부가 통공되되, 그 통공된 내면에 조임공간부(132)가 형성된다.
이 조임공간부(132)는 연결관(110)의 돌출부(1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며, 외부커버링(140)에 의해 내부엑셀조임링(130)이 조여질 경우, 돌출부(112)를 수용함에 따라 엑셀파이프(10)를 연결관(110)에 가압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내부고정링(120)과 닿는 내부엑셀조임링(130)의 단부는 그 외주가 내부고정링(120)의 삽입가이드(124)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이 절단되어 외측에서 일정량의 힘이 가해질 경우, 중심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외부커버링(140)은 내부고정링(120)과 결합되어 내부엑셀조임링(130)을 가압하여 엑셀파이프(10)를 연결관(11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부(142)가 통공되고, 이 수용공간부(142)의 연결관(110) 삽입방향 단부 내주면에 나사산(144)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부(142)는 엑셀파이프(10)가 끼워진 연결관(110)과 내부엑셀조임링(130)을 수용하고, 이 수용공간부(142)의 단부 내주면에 나사산(144)은 내부고정링(120)의 나사산(126)에 결합된다.
여기서, 엑셀파이프(10)는 PVC재질로 형성되고, 연결관(110)과 내부고정링(120) 및 외부커버링(140)의 재질은 황동으로 형성되며, 내부엑셀조임링(130)은 황동 또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100)에 의해 엑셀파이프(10)의 연결을 살펴보면,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내부고정링(120)을 연결관(110) 외측에 위치시키고, 외부커버링(140)과 내부엑셀조임링(130)을 엑셀파이프(10) 외측에 순차적으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엑셀파이프(10)를 연결관(110)의 단부 외측을 따라 내부고정링(120)의 설치공간부(122)까지 끼운 후, 내부엑셀조임링(130)을 내부고정링(120) 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임공간부(132)가 연결관(110)의 돌출부(112) 외측에 위치시킨다.
이때, 연결관(110)에 위치되는 내부고정링(120)의 위치는 내부엑셀조임링(130)의 길이나 엑셀파이프(10)의 끼워지는 길이에 따라 위치를 조절하거나 용접 등에 의해 연결관(110)에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고정링(120)과 내부엑셀조임링(130)의 위치가 결정되면, 외부커버링(140)을 내부고정링(120)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호 나사결합시킴에 따라 엑셀파이프(10)를 연결관(1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외부커버링(140)을 회전시켜 내부고정링(120)과 결합시킬 경우, 내부엑셀조임링(130)이 내부고정링(120) 방향으로 이동되고, 내부엑셀조임링(130)의 분기된 단부가 내부고정링(120)의 삽입가이드(124)를 따라 내측으로 절곡되어 엑셀파이프(10)를 연결관(110)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연결관(110)은 돌출부(112)를 기준으로 일단부 방향 외주면에 씰링홈(114)이 형성되고, 씰링홈(114)에는 씰링부재(150)가 더 구비되어 끼워지는 엑셀파이프(10)와의 사이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러한 씰링부재(150)는 엑셀파이프(10)와 닿는 부위가 반원형상을 갖는 링으로 형성되되, 엑셀파이프(10)를 끼울 때,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 타원형상을 갖는 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씰링부재(150)는 엑셀파이프(10)와의 밀폐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외측을 지지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후설되는 내부엑셀조임링(130)의 제1조임돌기(134a)에 의해 그 외측이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씰링홈(114)은 내부엑셀조임링(130)의 제1조임돌기(134a)에 대응되는 연결관(110)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관(110)은 돌출부(112)를 기준으로, 타단부 방향 외주면에 압력홈(116)이 더 형성되는 것으로, 이 압력홈(116)은 외부커버링(140)에 의해 내부엑셀조임링(130)이 중심방향으로 조여질 경우, 내부엑셀조임링(130)의 일부가 수용되어 엑셀파이프(10)를 연결관(1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고정링(120)의 설치공간부(122)에 패킹부재(160)가 더 구비되며, 이 패킹부재(160)는 끼워진 엑셀파이프(10)의 단부와 닿아 혹시 연결관(110)과 엑셀파이프(10) 사이에서 발생된 누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패킹부재(160)는 고무 또는 실리콘 및 연질 PVC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링 또는 튜브로 형성되고,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패킹부재(160')는 일면에 패킹가이드(162')가 돌출형성되어 그 내면이 연결관(110)의 외주면과 닿고, 패킹가이드(162')는 엑셀파이프(10)의 단부 내측에 끼워진다.
이는, 패킹가이드(162')가 엑셀파이프(10)의 단부를 외측으로 벌려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연결관(110)과 엑셀파이프(10) 사이로 발생된 누수를 더욱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내부엑셀조임링(130)의 조임공간부(132)에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조임돌기(134)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이 한 쌍의 조임돌기(134)는 연결관(110)의 돌출부(112)와 함께 엑셀파이프(10)를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조임돌기(134)는 제1조임돌기(134a)와 제2조임돌기(134b)로 구성되며,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돌출부(112)와 함께 엑셀파이프(10)를 효과적으로 가압하여 연결관(1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특히, 사용 중 엑셀파이프(10)를 당길 경우, 이탈을 방지하여 장시간 고정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임돌기(134')의 다른 실시 예로, 제1조임돌기(134a')와 제2조임돌기(134b')가 다각형상과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연결관(110)이 삽입되는 방향의 조임돌기는 반원형상이고, 엑셀파이프(10)가 삽입되는 방향의 조임돌기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조임돌기(134a')는 다각형상이고, 제2조임돌기(134b')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조임돌기(134a')와 제2조임돌기(134b')는 돌출부(112)와 함께 엑셀파이프(10)를 효과적으로 가압하여 연결관(1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특히, 사용 중 엑셀파이프(10)를 당길 경우, 이탈을 방지하여 장시간 고정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각형상의 제1조임돌기(134a')와 반원형상의 제2조임돌기(134b')를 갖는 내부엑셀조임링(130)은 반대방향으로 삽입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조임돌기(134a')와 제2조임돌기(134b')는 상호 반대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제1조임돌기(134a')는 반원형상이고, 제2조임돌기(134b')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관(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씰링패드(170)가 더 구비된다.
이 씰링패드(17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관(110)의 일단부에서 돌출부(112)까지의 부위에 위치되거나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고정링(120)이 형성된 연결관(110)의 일단부 전체 부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씰링패드(170)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관(110)의 일단부에서 설치공간부(122)까지의 부위에도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엑셀파이프(10)의 단부가 위치된 설치공간부(122)를 패킹하여 엑셀파이프(10)와의 패킹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각 씰링패드(170)는 링 또는 튜브형으로 탄성에 의해 고정되거나 코팅되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1 : 메인관 10 : 엑셀파이프
100 : 연결구 110 : 연결관
112 : 돌출부 114 : 씰링홈
116 : 압력홈 120 : 내부고정링
122 : 설치공간부 124 : 삽입가이드
130 : 내부엑셀조임링 132 : 조임공간부
134 : 조임돌기 140 : 외부커버링
150 : 씰링 160, 160' : 패킹부재
170 : 씰링패드

Claims (9)

  1. 엑셀파이프가 일단부 외측에 끼워지되, 상기 일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그 외주면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위치되되, 상기 연결관과의 사이에 상기 엑셀파이프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설치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부의 개방 단부는 삽입가이드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을 갖는 내부고정링;
    상기 엑셀파이프와 연결관이 관통되도록 내부가 통공되되, 그 통공된 내면에 상기 연결관의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조임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고정링의 삽입가이드에 대응되도록 단부 외주면이 형성되고, 일측이 절단되어 중심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는 내부엑셀조임링; 및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통공되어 상기 내부엑셀조임링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공간부의 일단 내면에는 상기 내부고정링의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외부커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커버링을 회전시켜 상기 내부고정링과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내부엑셀조임링이 내부고정링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내부엑셀조임링이 상기 내부고정링의 삽입가이드를 따라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엑셀파이프를 연결관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연결관은,
    돌출부를 기준으로, 일단부 방향 외주면에 씰링홈이 형성되어 씰링부재가 더 구비되고,
    돌출부를 기준으로, 타단부 방향 외주면에 압력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외부커버링에 의해 내부엑셀조임링이 중심방향으로 조여질 경우, 내부엑셀조임링의 일부가 수용되어 상기 엑셀파이프를 연결관에 고정시키며,
    상기 내부엑셀조임링의 조임공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조임돌기가 더 구비되고, 이 한 쌍의 조임돌기는 상기 연결관의 돌출부와 상기 엑셀파이프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내부고정링의 설치공간부에 패킹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패킹부재는 고무 또는 실리콘 및 연질 PVC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링 또는 튜브로 형성되고, 일면에 패킹가이드가 돌출형성되어 그 내면이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과 닿고, 패킹가이드는 상기 엑셀파이프의 단부 내측에 끼워지며,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씰링패드가 더 구비되되,
    상기 씰링패드는,
    상기 연결관의 일단부에서 돌출부까지의 부위와 상기 내부고정링이 형성된 연결관의 일단부 전체 부위 및 상기 연결관의 일단부에서 상기 설치공간부까지의 부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조임돌기는 반원형상과 다각형상이며,
    조임돌기 중 상기 연결관이 삽입되는 방향의 조임돌기는 반원형상이고, 상기 엑셀파이프가 삽입되는 방향의 조임돌기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부엑셀조임링을 반대방향으로 삽입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각 조임돌기는 반대로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과 내부고정링 및 외부커버링의 재질은 황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
  9. 삭제
KR1020100005891A 2010-01-22 2010-01-22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 KR101170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891A KR101170931B1 (ko) 2010-01-22 2010-01-22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891A KR101170931B1 (ko) 2010-01-22 2010-01-22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261A KR20110086261A (ko) 2011-07-28
KR101170931B1 true KR101170931B1 (ko) 2012-08-07

Family

ID=4492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891A KR101170931B1 (ko) 2010-01-22 2010-01-22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9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61Y1 (ko) * 2015-06-25 2016-12-09 박춘웅 Pb 파이프 연결 소켓
KR200482060Y1 (ko) * 2015-06-25 2016-12-12 박춘웅 Pb 파이프 연결 소켓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261A (ko)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4320A (ko) 파이프 피팅
JP2013534603A5 (ko)
KR100716062B1 (ko) 파이프 커플링
KR101170931B1 (ko)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
CN211525753U (zh) 带有将螺母插入端口内侧的加强件的pb管道连接端口装置
KR101114497B1 (ko) 멀티소켓관과 드레인호스의 결합구조
RU138954U1 (ru) Обжимной фитинг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KR101636798B1 (ko) 파이프 연결 조인트
KR101436351B1 (ko) 결착력과 수밀성이 우수한 이음관
KR102201374B1 (ko) 이음관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 방법
KR20100124916A (ko) 소형 배관의 연결방법 및 그 실링 구조
KR100945494B1 (ko) 금속관 연결구조
KR100779183B1 (ko) 하수관 연결소켓
KR200481695Y1 (ko) 진공배관 연결구조
KR20041541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200493485Y1 (ko) 배관용 고무링
KR101164187B1 (ko) 하수도관 연결구
KR200463450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KR100623390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101842837B1 (ko) 관 연결 소켓
KR200489471Y1 (ko) 상하수관 보수용 연결구
KR100926361B1 (ko) 관이음부재의 패킹 결합구조
KR101026354B1 (ko) 농업용 폴리에틸렌 파이프 연결구
KR101243643B1 (ko) 체결성이 향상된 파이프 커플링장치
KR200397996Y1 (ko) 파이프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8